KR20180016030A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030A
KR20180016030A KR1020160099873A KR20160099873A KR20180016030A KR 20180016030 A KR20180016030 A KR 20180016030A KR 1020160099873 A KR1020160099873 A KR 1020160099873A KR 20160099873 A KR20160099873 A KR 20160099873A KR 20180016030 A KR20180016030 A KR 2018001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hole
rim
jog dial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오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09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030A/ko
Publication of KR2018001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과 이러한 조그 다이얼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간의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과 이러한 조그 다이얼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간의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535605호)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솥 본체의 하측에는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50)가,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영역(62)으로 나뉘어 있다.
사용자가 취사를 실행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다양한 조리 메뉴가 다채로운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미밥, 잡곡밥, 삼계탕, 영양죽, 찜요리, 이유식, 슬로우 쿡 등이 조작부(50)의 조그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으로 보여 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백미밥을 조리하고자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선택한 백미밥에서 제공하는 세부 밥맛을 안내한다. 즉, 찰진밥, 진밥, 된밥, 누룽지 등의 세부 밥맛이, 관련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찰진밥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 찰진밥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로서 쌀과 물의 혼합 비율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전기밥솥은 일반적으로 물기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젖은 손 등으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50)를 조작할 경우, 조그 다이얼과 디스플레이 영역(62) 사이의 틈으로 물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그 다이얼과 디스플레이 영역(62) 사이의 틈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조그 다이얼의 조작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5605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3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조그다이얼과 디스플레이부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되, 상기 통공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의 리브 사이에 상기 다이얼 노브의 측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다이얼 노브의 외주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성형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측벽이 상기 통공 테두리와 상기 통공 테두리로부터 내측에 형성되는 통공 리브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통공 테두리와 상기 통공 리브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통공의 리브는 상기 통공의 테두리보다 전면으로 더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디스플레이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조그 다이얼과 디스플레이부 사이로 침투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안쪽까지 침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조그 다이얼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조그 다이얼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조그 다이얼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조그 다이얼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전기밥솥의 일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뚜껑(20)과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체(30)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0)에 결합하는 조그다이얼(5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0)에는 통공(110)이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통공(110)을 통해 조그 다이얼(50)이 삽입되며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의 전면(105)에 조그 다이얼(50)이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그 다이얼(50)은 다이얼 노브(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얼 노브(53)는 본체(30)의 전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105)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환형의 부재이다.
사용자는 다이얼 노브(53), 구체적으로 다이얼 노브(53)의 외주를 파지하며 다이얼 노브(53)를 회전시켜 전기밥솥(1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파지하는 다이얼 노브의 외주(55)는 제1측벽(51)과 제2측벽(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얼 노브(53)의 전면부(미도시)로부터 후방으로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이 형성된다.
도 4(단면도)를 기준으로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은 경사를 갖는다.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의 끝단으로부터 제2측벽(52)이 연장 성형 된다.
다이얼 노브의 제2측벽(52)의 길이는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한편,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의 외주면과 다이얼 노브의 제2측벽(52)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얼 노브의 제2측벽(52)은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조그 다이얼(50), 구체적으로 조그 다이얼의 접속부(60)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삽입된다.
조그 다이얼의 접속부(60)는 본체(30) 내부의 스위치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다이얼 노브(53)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도록 한다.
조그 다이얼의 접속부(60)는 다이얼 노브(53)의 저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조그 다이얼의 접속부(60)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부(61)와 돌기부 사이 공간(62)이 형성된다.
한편 조그 다이얼의 접속부(60) 내측에는 지지부(70)가 더 형성된다.
전술한 통공(110)은 통공의 테두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그 다이얼(50)이 디스플레이부(100)에 삽입시, 통공의 테두리(120)는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의 끝단과 접한다.
한편, 통공의 테두리(120)보다 내측에는 통공의 리브(130)가 형성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를 정면에서 볼 경우, 통공(110)에는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테두리(120) 내측으로 리브(130)가 형성되므로, 2개의 원호가 있는 것과 유사하다.
통공의 테두리(120) 내측으로 통공의 리브(130)가 형성되므로, 통공의 테두리(120)와 통공의 리브(130) 사이에는 공간 또는 홈이 형성된다.
이를 테두리와 리브 사이 공간(140)이라 한다.
결국 조그 다이얼(50)을 디스플레이부(100)에 삽입하면 (1) 통공의 테두리(120)는 다이얼 노브의 제1측벽(51)의 끝단과 접하며, (2) 다이얼 노브의 제2측벽(52)은 테두리와 리브 사이 공간(140)에 삽입된다.
통공의 테두리(120)와 통공의 리브(13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통공의 테두리(120)의 하부와 통공의 리브(130)의 하부는 연결부(12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테두리와 리브 사이 공간(140)은 "U"자형 공간을 갖는다.
본체(30)의 전면을 타고 흐르는 물이 디스플레이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공의 리브(130)를 통공의 테두리(120)보다 전면으로 더 돌출되도록 성형한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00)를 타고 흐르는 물이 조그 다이얼(50)과 디스플레이부(100) 사이로 침투하더라도, 통공의 리브(130)를 타고 아래로 흘러내린 후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1)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타고 흐르는 물이 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 사이로 침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설령 물이 조그 다이얼과 디스플레이부 사이로 침투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안쪽까지 침투하지 못하고, 리브를 타고 아래로 흐른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디스플레이부가 물 등에 고장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10 : 전기밥솥 20 : 뚜껑
30 : 본체 50 : 조그 다이얼
100 : 디스플레이부 105 : 디스플레이부 전면
110 : 통공 120 : 통공의 테두리
130 : 통공의 리브

Claims (4)

  1.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되,
    상기 통공의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의 리브 사이에 상기 다이얼 노브의 측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노브의 외주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성형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측벽이 상기 통공 테두리와 상기 통공 테두리로부터 내측에 형성되는 통공 리브 사이 공간에 삽입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공 테두리와 상기 통공 리브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리브는 상기 통공의 테두리보다 전면으로 더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60099873A 2016-08-05 2016-08-05 전기밥솥 KR20180016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73A KR20180016030A (ko) 2016-08-05 2016-08-05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73A KR20180016030A (ko) 2016-08-05 2016-08-05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30A true KR20180016030A (ko) 2018-02-14

Family

ID=6122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73A KR20180016030A (ko) 2016-08-05 2016-08-05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0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0609A (zh) 具备搅拌功能的烹饪锅盖
USD505139S1 (en) Door handle for an appliance
GB2333225A (en) Enclosure with a detachable lid
JP2012524585A (ja) 手持ち式電気ブレンダーのワンド形装着体
FR2431276A1 (fr) Combine menager a plusieurs fonctions
US20140246420A1 (en) Precision warming bowl
CA2299032C (en) Control panel assembly of a microwave oven
CN107752746B (zh) 烹饪器具
KR20180016030A (ko) 전기밥솥
JP6074592B2 (ja) 電動調理器及び電動調理器のへら
CN108209643B (zh) 一种自动洗米电饭煲
CN204704873U (zh) 控制面板及微波烹饪器具
US20170354297A1 (en) Assembly for preparation of meals for infants, in particular meals for babies
JP2014239966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10046521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102491253B1 (ko) 전기밥솥
KR20180090600A (ko) 전기밥솥
KR20180007139A (ko)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
KR20180026000A (ko) 전기밥솥
TW201724994A (zh) 一種上置式攪拌炒菜機
KR102491252B1 (ko) 전기밥솥
CN212232879U (zh) 和面桶及和面机
EP2662002A1 (en) Goods supply apparatus
KR102440633B1 (ko)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CN211049135U (zh) 一种锅体和锅盖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