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600A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600A
KR20180090600A KR1020170015659A KR20170015659A KR20180090600A KR 20180090600 A KR20180090600 A KR 20180090600A KR 1020170015659 A KR1020170015659 A KR 1020170015659A KR 20170015659 A KR20170015659 A KR 20170015659A KR 20180090600 A KR20180090600 A KR 20180090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jog dial
dial
knob
j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7001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600A/ko
Publication of KR2018009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이 밥솥의 전면에 위치하는 판넬의 후면에 결합함으로써, 조그 다이얼 및 판넬 간의 조립성을 개선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돌려 기능을 조작하는 조그 다이얼이 밥솥의 전면에 위치하는 판넬의 후면에 결합함으로써, 조그 다이얼 및 판넬 간의 조립성을 개선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535605호)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솥 본체의 하측에는 조그 다이얼을 구비한 조작부(50)가,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영역(62)으로 나뉘어 있다.
사용자가 취사를 실행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다양한 조리 메뉴가 다채로운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미밥, 잡곡밥, 삼계탕, 영양죽, 찜요리, 이유식, 슬로우 쿡 등이 조작부(50)의 조그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으로 보여 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백미밥을 조리하고자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는 선택한 백미밥에서 제공하는 세부 밥맛을 안내한다.
즉, 찰진밥, 진밥, 된밥, 누룽지 등의 세부 밥맛이, 관련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찰진밥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영역(62)에 찰진밥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로서 쌀과 물의 혼합 비율 등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전기밥솥의 고급화와 맞물려 조그 다이얼을 채택한 고가의 전기밥솥이 다수 출시되는게 최근 전기밥솥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해 조그 다이얼을 채택한 전기밥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1) 먼저 메인 기판(PCB)에 조그 다이얼이 고정 장착된다.
(2) 메인 기판(PCB) 위에 판넬이 위치한 후, 밥솥의 전면에 판넬이 장착되며, 이때 조그 다이얼은 판넬에 형성된 홀(hole)을 통과하며 조립된다.
(3) 조그 다이얼의 끝단에 다이얼 손잡이가 결합한다.
이때, 다이얼 손잡이가 결합된 조그 다이얼(40)은 긴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조그 다이얼은 일반적으로 메인 기판(PCB)에 고정 장착시 약간 기울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1)과 (2)의 조립과정에서 판넬(100)에 형성된 홀(hole)과의 간섭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5605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3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그 다이얼을 채택한 전기 밥솥에 있어서, 전면 판넬에 형성된 홀(hole)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통공이 형성되는 판넬; 상기 판넬의 전면에 위치하는 다이얼 손잡이; 상기 다이얼 손잡이와 결합하며, 고정부와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가 상기 판넬의 후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는 상기 판넬의 후면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전기밥솥은 상기 다이얼 손잡이는 상기 판넬의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조그 다이얼이 판넬에 고정 결합되므로, 판넬에 형성된 통공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2) 전술한 간섭이 배제될 수 있어, 메인 기판과 판넬의 조립 과정이 빨라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밥솥에서 판넬과 조그 다이얼의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에서 판넬과 조그 다이얼의 분해 사시도(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에서 판넬과 조그 다이얼의 분해 사시도(정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뚜껑(20)과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0)의 전면에 판넬(100)이 위치한다.
판넬(100)에는 다이얼 손잡이(5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전면(31)에 위치하는 판넬(100)은 본체의 전면(31)과 결합한다.
판넬의 전면(105)에 다이얼 손잡이(50)가 위치한다.
다이얼 손잡이(50)는 본체(3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환형의 부재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 손잡이(50)는 조작하여 취사 선택 또는 취사 취소, 보온 등의 기능을 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이얼 손잡이(50)는 다시 조그 다이얼(60)과 결합한다.
조그 다이얼(60)은 다이얼 손잡이(5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게 연장 형성된다.
조그 다이얼(60)은 본체(30) 내부의 메인 기판(PCB, 70)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다이얼 손잡이(50)를 회전 조작하면, 조그 다이얼(60)에 형성된 접속부(미도시)가 본체(30) 내부의 메인 기판(PCB, 70)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가 접속하여 메인 기판(PCB, 70)에 취사 선택 또는 취사 취소, 보온 등의 기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이얼 손잡이(50)를 회전 조작하면, 접속부(미도시)의 스위치(미도시)가 본체(30) 내부의 메인 기판(PCB, 70)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의 접속 관계에 따라 전기 밥솥의 기능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고정부(80)와 회전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80)의 형상은 환형의 부재와 유사하다.
고정부는 내주면(81)과 외주면(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의 내주면(81)에는 내측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제1부재(81a)가 복수 개가 형성된다.
하나의 제1부재(81a)는 인접하는 다른 제1부재(81a)와 고정부의 내주면(81)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갖게 형성된다.
고정부(80)에 형성된 통공으로 회전부(90)가 삽입되며, 회전부(90)의 일단은 다이얼 손잡이(50)와 결합한다.
따라서 다이얼 손잡이(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부(90)도 회전된다.
고정부의 외주면(82)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보스(85)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85)를 통해 고정부(80)가 판넬의 후면(106)에 결합된다.
즉, 종래(첨부 도면 1)에는 조그 다이얼(40)이 메인 기판(PCB, 미도시)에 결합(장착)되곤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조그 다이얼(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부(80)가 판넬의 후면(106)에 결합된다.
회전부(9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원통과 유사하며, 외주면(92)에는 회전부(90)의 길이방향에 걸쳐 소정의 폭을 가지며 돌출된 제2부재(92b)가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제2부재(92b)는 고정부의 내주면(81)과 접할 정도의 높이를 갖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제2부재(92b)도 인접하는 다른 제2부재(92b)와 등간격을 갖게 형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서로 90도 간격을 갖게 형성된다.
한편, 회전부의 내주면(91)에는 반경방향으로 제3부재(91c)가 형성되며, 하나의 제3부재와 인접하는 제3부재(91c)는 서로 90도 간격을 갖는다.
제3부재(91c)의 일단은 회전부의 내주면(91)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제3부재(91c)의 타단은 제4부재(91d)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4부재(91d)는 원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회전부의 내주면(91) 중심에 위치한다.
제4부재(91d)의 가운데로부터 판넬의 후면(106)에서 후방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제5부재(91e)가 형성되며, 제5부재(91e)는 전술한 메인 기판(PCB, 70)의 스위치(미도시)와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제3부재(91c)와 제4부재(91d)는 원통 형상을 갖는 회전부(9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90)는 다이얼 손잡이(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밥솥의 기능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다이얼 손잡이(50)를 회전 조작하면, 회전부(90)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가 본체(30) 내부의 메인 기판(PCB, 70)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의 접속 관계에 따라 전기 밥솥의 기능이 선택된다.
회전부(90)의 길이는 밥솥의 크기 또는 회전부(90)에 결합하는 다이얼 손잡이(50)의 길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80)는 판넬의 후면(106)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80)는 판넬의 후면(106)과 나사(120) 등에 의해 결합한다.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80)에는 고정부 외주면(8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나사 결합부, 즉 보스(85)가 형성된다.
보스(85)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나사(120)가 삽입될 수 있다.
보스(85)의 형상은 고정부 외주면(82)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를 갖게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자유롭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스(85)의 두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고정부(80)의 두께와 같게 형성함이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보스(85)는 복수 개가 형성되되, 고정부 외주면(82)에서 서로 등간격을 갖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보스(85)는 인접하는 다른 보스(85)와 서로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조그 다이얼(60)은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80)에 형성된 보스(85)에 나사(120)를 삽입하여, 판넬의 후면(106)과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 손잡이(50)는 판넬의 통공(102)을 관통하는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90)와 결합한다.
다이얼 손잡이(50)와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90)의 결합은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9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다이얼 손잡이(5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1) 조그 다이얼을 판넬의 통공을 통해 삽입 후 고정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조립시 판넬의 통공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며 (2) 메인 기판과 판넬과의 조립성을 향상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 : 전기밥솥 20 : 뚜껑
30 : 본체 50 : 다이얼 손잡이
60 : 조그 다이얼 70 : 메인 기판(PCB)
80 :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 90 :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

Claims (3)

  1.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통공이 형성되는 판넬;
    상기 판넬의 전면에 위치하는 다이얼 손잡이;
    상기 다이얼 손잡이와 결합하며, 고정부와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가 상기 판넬의 후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의 고정부는 상기 판넬의 후면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손잡이는 상기 판넬의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70015659A 2017-02-03 2017-02-03 전기밥솥 KR20180090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59A KR20180090600A (ko) 2017-02-03 2017-02-03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659A KR20180090600A (ko) 2017-02-03 2017-02-03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00A true KR20180090600A (ko) 2018-08-13

Family

ID=6325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659A KR20180090600A (ko) 2017-02-03 2017-02-03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6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313A (ko) 2010-11-10 2014-01-21 암젠 리서치 (뮌헨) 게엠베하 Cd3-특이적 결합 도메인에 의해 유발된 악영향의 예방
KR101535605B1 (ko) 2014-01-21 2015-07-09 주식회사 리홈쿠첸 애니메이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313A (ko) 2010-11-10 2014-01-21 암젠 리서치 (뮌헨) 게엠베하 Cd3-특이적 결합 도메인에 의해 유발된 악영향의 예방
KR101535605B1 (ko) 2014-01-21 2015-07-09 주식회사 리홈쿠첸 애니메이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078B2 (en) Knob assembly with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US7963003B1 (en) Decorative appliance control knob
EP2837727B1 (en)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control panel assembly
EP2837729B1 (en)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control panel assembly
KR20190011144A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11371713B2 (en) Knob assembly with a display device and appliance having the same
EP3364111B1 (en) Rotary knob assembly with display
KR20180090600A (ko) 전기밥솥
KR102557564B1 (ko) 전기밥솥
KR101848022B1 (ko)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101848021B1 (ko)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CN207590474U (zh) 烹饪器具
KR20180016030A (ko) 전기밥솥
KR100369818B1 (ko) 전자렌지용 조작패널
KR102491253B1 (ko) 전기밥솥
KR102491252B1 (ko) 전기밥솥
KR20180007139A (ko) 전기밥솥용 디스플레이
CN220546154U (zh) 一种煲体外壳、煲体和烹饪器具
JPS6134717Y2 (ko)
KR102364182B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880001574Y1 (ko) 전자 레인지의 바베큐 요리용 회전장치
KR200368252Y1 (ko) 찜기의 커버 결합구조
KR200257614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부와 레인지부 연결구조
KR20180118098A (ko)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80118099A (ko)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