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182A -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 Google Patents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182A
KR20180015182A KR1020177037751A KR20177037751A KR20180015182A KR 20180015182 A KR20180015182 A KR 20180015182A KR 1020177037751 A KR1020177037751 A KR 1020177037751A KR 20177037751 A KR20177037751 A KR 20177037751A KR 20180015182 A KR20180015182 A KR 2018001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y
flat pattern
hole
upper portion
bas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237B1 (ko
Inventor
브루스 제이. 킬고어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1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26Marking for future work
    • A43D8/28Patterns for drawing cut-ou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02Cutt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갑피 부분이 제공된다. 갑피 부분은 발가락 정점과 발가락 단부 상의 중간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선 기준선을 갖는다. 갑피 부분은 또한 갑피 부분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중간선 기준선의 10 밀리미터 내에 배치되는 원점 구멍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에는 또한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갑피 부분과 결합되는 오버레이가 형성된다. 오버레이는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정렬 구멍을 갖는다.

Description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본 발명은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의 제조는 전통적으로 개개의 피스를 절단하고 피스를 함께 재봉하여 신발류를 형성하는 힘든 공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공정은 일련의 작업이 제1 작업자에 의해 신발의 일부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 후 다른 일련의 작업이 나중에 다른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치(batch)식이다. 이 시작 및 중지 공정은 공정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신발류 물품의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는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을 갖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갑피에 관한 것이다.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은 갑피 부분 바깥쪽 측부가 풋베드 바깥쪽 측부와 만나도록 일체형으로 동연적이다. 풋베드 부분은 풋베드 발가락 단부와 풋베드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풋베드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한 에지 및 안쪽 측부를 따른 복수 개의 형성 구멍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은 또한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형성 구멍을 포함한다.
제2 양태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갑피 부분에 관한 것이다. 갑피 부분은 발가락 정점과 발가락 단부 상의 중간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선 기준선을 갖는다. 갑피 부분은 또한 갑피 부분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중간선 기준선의 10 밀리미터 내에 배치되는 원점 구멍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에는 또한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갑피 부분과 결합되는 오버레이가 형성된다. 오버레이는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정렬 구멍을 갖는다.
제3 양태는 플랫 패턴으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1 재료의 상부면과 바닥면을 통해 제1 재료에 제1 컷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오버레이가 제1 컷 위에서 연장되어 제1 재료 상부면을 가리도록 제1 재료 상부면 상에 오버레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로 계속된다. 방법은 제1 컷 및 오버레이와 함께 제1 재료를 갖는 플랫 패턴을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입체적 신발류 물품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계속된다. 제1 재료 바닥면은 상부면보다 입체적 신발류 물품의 더 내부에 있다.
제4 양태는 통합형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턴은 입체적 신발의 외부를 형성하는 상부면 및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을 향하는 바닥면을 갖는 플랫 갑피를 포함한다. 플랫 패턴은 또한 발목 개구에서 플랫 갑피와 결합되는 칼라 라이너를 포함한다. 칼라 라이너는 내부면 및 대향하는 외부면을 갖는다. 외부면은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의 노출된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면은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 내의 플랫 갑피 바닥면을 향한다. 그러나, 외부면은 발목 개구 결합 위치에서 플랫 갑피 상부면을 향한다.
본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도록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부들 또는 필수 특징부들을 확인하려는 의도가 없고, 또한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려는 의도도 없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일련의 신발 갑피의 기재 상에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 갑피를 위한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 처리 스테이션을 따라 진행하는 도 1의 기재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기재로부터 형성된 플랫 패턴 갑피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복수 개의 예시적인 기준선을 갖는 도 3의 플랫 패턴 갑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3의 플랫 패턴 갑피를 형성하는 기재 재료 상에 위치 설정된 예시적인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플랫 패턴 갑피와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오버레이, 즉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6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 위에 위치 설정된 중족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오버레이,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 중족 오버레이, 및 칼라 라이너를 포함하는 도 7의 플랫 패턴 갑피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발목 개구 구역, 중족 개구 구역, 및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제거되는 내포된 설포를 갖는 도 8의 플랫 패턴 갑피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정렬 공구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9로부터의 뒤꿈치 구역에 결합된 후에 플랫 패턴 갑피의 풋베드 형성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도 10으로부터의 정렬 공구의 정렬 핀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안쪽 플랩의 형성 구멍이 정렬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정렬 공구 둘레를 래핑하는 도 11의 갑피 부분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안쪽 플랩을 풋베드 부분과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용적 내에 삽입된 라스트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3 내지 도 9의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형성된 입체적 신발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발목 칼라의 간소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 갑피에 통합된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제는 법정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자는 청구된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본 문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단계들의 조합 또는 상이한 단계를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신발류 물품의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는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을 갖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갑피에 관한 것이다.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은 갑피 부분 바깥쪽 측부가 풋베드 바깥쪽 측부와 만나도록 일체형으로 동연적이다. 풋베드 부분은 풋베드 발가락 단부와 풋베드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풋베드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한 에지 및 안쪽 측부를 따른 복수 개의 형성 구멍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은 또한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형성 구멍을 포함한다.
제2 양태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갑피 부분에 관한 것이다. 갑피 부분은 발가락 정점과 발가락 단부 상의 중간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선 기준선을 갖는다. 갑피 부분은 또한 갑피 부분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중간선 기준선의 10 밀리미터 내에 배치되는 원점 구멍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에는 또한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그리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갑피 부분과 결합되는 오버레이가 형성된다. 오버레이는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정렬 구멍을 갖는다.
제3 양태는 플랫 패턴으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1 재료의 상부면과 바닥면을 통해 제1 재료에 제1 컷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오버레이가 제1 컷 위에서 연장되어 제1 재료 상부면을 가리도록 제1 재료 상부면 상에 오버레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로 계속된다. 방법은 제1 컷 및 오버레이와 함께 제1 재료를 갖는 플랫 패턴을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입체적 신발류 물품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계속된다. 제1 재료 바닥면은 상부면보다 입체적 신발류 물품의 더 내부에 있다.
제4 양태는 통합형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턴은 입체적 신발의 외부를 형성하는 상부면 및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을 향하는 바닥면을 갖는 플랫 갑피를 포함한다. 플랫 패턴은 또한 발목 개구에서 플랫 갑피와 결합되는 칼라 라이너를 포함한다. 칼라 라이너는 내부면 및 대향하는 외부면을 갖는다. 외부면은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의 노출된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면은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 내의 플랫 갑피 바닥면을 향한다. 그러나, 외부면은 발목 개구 결합 위치에서 플랫 갑피 상부면을 향한다.
신발류 물품은 신발, 부츠, 샌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을 지칭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신발"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스타일의 신발로 제한되지 않고, 대신에 부츠, 운동화, 샌들, 런닝화, 클릿(cleat), 및 다른 신발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밑창으로 지칭될 수 있는 지면 접촉부를 포함한다. 신발은 다양한 재료 및/또는 다양한 개별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밑창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바깥창, 중창, 및/또는 안창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은 또한 사용자의 발을 밑창에 고정하는 데에 효과적인 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 고정부는 신발 갑피,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간략하게 "갑피"로 지칭될 수 있다. 갑피는 하나 이상의 재료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및 기술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다.
갑피 및/또는 밑창을 형성하는 재료 또는 기술에 관계없이, 추가의 성형 및 형성이 원하는 3차원 형상(예컨대, 입체적 신발)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코블러 라스트(cobbler's last)로서 공지된 공구는 신발이 원하는 크기, 형상, 및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형상체의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라스트"라는 용어는 갑피가 형성될 수 있는 공구 형태를 지칭할 것이다. 몇몇 양태에서, 밑창은 갑피가 라스팅될 때에(즉, 라스트가 갑피의 내부 용적 내에 위치 설정됨) 갑피에 결합(예컨대, 접착, 스티칭)될 수 있다. 라스트는 결과적인 신발의 윤곽, 형상, 스타일, 및 기타 특성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입체적 신발로 형성되는 플랫 패턴(flat pattern)을 고려한다. "플랫 패턴"은 대체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재료 집합체이다. 상이한 재료들이 텍스쳐, 범프, 엠보싱, 돌출부 등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 재료 집합체는 여전히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따라서 표면을 따른 높이의 편차가 있더라도 "플랫(flat)"하다(평탄하다). 플랫 패턴은 사용자의 발이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동을 생성하도록 라스트 둘레에 형성될 때에 "입체적" 물품이 된다. 예컨대, 3차원 신발류 물품이 착용자의 부분에 그리고 둘레에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물품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은, "입체적" 물품과 달리, 착용자의 부분 둘레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플랫 패턴의 개념은 신발 갑피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많은 재료가 원료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예컨대, 시트형) 구성인 롤형 제품이기 때문에 제조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플랫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로부터 신발 갑피의 구성은 라스트 또는 맞춤형 공구 등의 사용을 통해 나중에 입체적 물품으로 변환되는 플랫 패턴으로서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공정에 대해 자동화될 수 있다.
높은 수준에서, 양태는 인라인 제조의 일부로서 형성된 신발 갑피 부분들 각각의 다양한 스타일, 크기, 및/또는 재료를 허용하는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공정에서 신발 갑피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한다. 연속적인 라인을 따른 하나 이상의 공정이 특정한 일련의 작업을 완료하도록 프로그램된 기계에 의해 수행되도록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제조 라인의 하나 이상의 공정이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발 갑피의 형성 및 전체로서의 가능한 신발 완성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 및 사람 개입의 임의의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는 인장 강도, 연신율 특성, 및 수분 전달과 같은 공학적 재료 특성을 플랫 패턴 상에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략적으로 구현하게 한다. 플랫 패턴 개념은 제조의 보다 큰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입체적 갑피 제조 공정에 비해 제조 공정의 일부를 수행하는 데에 덜 정교한 기계 및 로직을 구현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 시스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 갑피의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의 개요를 제공한다. 특히,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일련의 갑피(118, 120, 122, 124, 126)의 기재(102) 상에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100)를 도시한다. 기재(10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갑피가 형성될 수 있는 토대의 역할을 한다. 기재(10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그 위에 적용된 재료들의 위치를 정합하게 하는 최소 신축성을 갖는다. 예컨대, 시스템은 기재(102)가 인라인 제조 공정을 통과할 때에 기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기재의 위치를 알면,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 갑피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기재 상에 어떤 공정이 어디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기재(102)는 임의의 폭 및/또는 임의의 길이로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폭을 가로질러 적어도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신발 갑피 플랫 패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롤형 제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02)는 그룹(104, 1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플랫 패턴 갑피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그룹(104)과 그룹(106)은 한쌍의 신발을 형성하도록 짝을 이루는 갑피들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그룹(108, 110, 112, 114, 116)은 완성 시에 조직화된 신발이 되는 플랫 갑피의 좌우 쌍을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은 상이한 스타일, 형상, 구성 또는 다음 그룹과 다른 신발 갑피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그룹(108)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여성용 런닝화 갑피를 나타낼 수 있고 그룹(110)은 남성용 야구 클릿 갑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그룹이, 대안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발 갑피의 공통의 크기, 형상 및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기재(102)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지만,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시트 재료이다. 예컨대, 기재(102)는 기계적, 열적, 및/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한 섬유/필라멘트의 얽힘을 통해 형성된 시트 또는 웨브형 구조인 부직물일 수 있다. 부직물 재료는 직조되거나 편직되지 않은 다공성 플랫 재료일 수 있다. 부직물 재료는 인라인 제조 공정 자체에서 생성된 스크랩 재료와 같은 재활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니들 펠팅(needle felting)에 의해 제조되는 산업용 펠트와 같은 웨브 재료일 수 있다. 기재(102)는 부직포 또는 다른 재료(예컨대, 직물/편직물)로서 임의의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섬유는 폐기물 스트림의 일부로서 제조 공정 자체로부터 포획될 수 있다. 예컨대, 갑피를 형성하지 않는 기재(102)의 부분은 신발 갑피의 형성 후에 폐기물 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폐기물 스트림의 기재(102) 부분은 다시 후속 제조 공정을 위한 기재(102)를 형성하도록 재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부직물 기재(102)는 부직물 재료를 형성하는 섬유의 무작위 얽힘과는 대조적으로 특정한 공학적 구조[예컨대, 인터레이싱(interlacing), 루핑(looping)]를 갖는 편직물 또는 직물 구조에 비해 폐기물 스트림 재료의 재활용을 고려할 때에 보다 경제적인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기재(102)는 대안으로 직물 또는 편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재(102)는 기재가 얀(yarn), 섬유, 실 또는 다른 원료 재료로서 시작한 다음 인라인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시트형 포맷으로 형성되도록 인라인 편직물 또는 직물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대안으로, 기재(102)는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공정에 도입되기 전에 편직 또는 제직에 의해 시트형 포맷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재(102)는 화살표(101)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속적인 그룹의 갑피에 구현되는 일련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예컨대, 그룹(108)의 갑피(118)는, 도 3 내지 도 9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플랫 패턴 형상의 윤곽 및 일련의 구멍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재(102)는 갑피(120)를 갖는 그룹(110)에서 다른 공정으로 진행한다. 갑피(120)는 갑피 상에 적용되어 플랫 갑피에 원하는 기계적 및/또는 심미적 특성을 제공하는 오버레이[예컨대, 이하의 도 5의 오버레이(500)]를 가질 수 있다. 진행은 다른 오버레이[예컨대, 이하의 도 6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가 상부에 적용된 갑피(122)를 갖는 그룹(112)으로 계속된다. 연속적인 롤의 기재(102)에 대한 인라인 제조는 다른 오버레이[예컨대, 이하의 도 7의 중족 오버레이(700)]가 갑피(124)의 플랫 패턴에 적용되는 갑피(124)를 갖는 그룹(114)으로 계속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라인 제조 공정의 도시된 예시적인 순서에서, 다른 오버레이[예컨대, 이하의 도 8의 칼라 라이너(800)]가 그룹(116)의 플랫 패턴 갑피(126)에 적용된다. 이 공정에서, 도 8에 또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스티칭(128)이 도시되어 있다.
특정한 구성요소 및 공정이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공정(예컨대, 절단, 커플링, 도색, 인쇄, 접착, 형성 등)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임의의 갯수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특정한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지만,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 형상, 배치, 재료, 및/또는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방향성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피쳐들의 상대 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컨대, 발가락 방향 또는 발가락 방향으로는 구성요소의 발가락 단부를 향한 방향을 설명한다. 유사하게, 뒤꿈치 방향 또는 뒤꿈치 방향으로는 구성요소의 뒤꿈치 단부를 향한 방향을 설명한다. 안쪽 및 바깥쪽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성형된 입체적 신발에 대한 방향성 용어이다. 예컨대, 안쪽 측부는 착용했을 때에 사용자 발의 신체 중간선에 대해 내측 부분을 향하고, 바깥쪽 측부는 착용했을 때에 사용자 발의 신체 중간선에 대해 외측 부분을 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 갑피를 위한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시스템(200)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 처리 스테이션을 따라 진행하는 기재(102)를 도시한다. 특히, 시스템(200)은 이송 시스템(202)과 일련의 처리 스테이션(204, 206, 208, 210, 212)을 포함한다. 이송 시스템(202)과 처리 스테이션은 본질상 예시적이고 단지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상이한 시스템 및 스테이션이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양태를 달성하도록 임의의 조합, 간격, 순서,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시적인 처리 스테이션은, 제한하지 않지만, 인쇄 스테이션, 액체 도포 스테이션, 열 스테이션, 증기 스테이션, 절단 스테이션, 펀칭 스테이션, 배치 스테이션, 재봉 스테이션, 접착제 스테이션, 용접 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2개 이상의 작업을 공동 위치에서 및/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공동 스테이션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작업이 사람없이 또는 기계와 관련하여 수행되도록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사람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3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공정들의 순서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으로부터 형성되는 특정한 플랫 패턴 갑피는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예시적인 예(들)와 다를 것이다. 시스템(200)의 유연성은 시스템(200) 구성에 대한 재료 변경없이 상이한 플랫 갑피의 다양한 제조를 설계에 의해 허용한다. 대신에,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특정한 플랫 패턴 갑피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제1 갑피는 갑피 상에 인쇄된 요소를 추가하도록 인쇄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고, 동일한 연속적인 기재(102) 상에 형성된 후속 갑피는 후속 갑피가 상이한 스타일로 되기 때문에 인쇄 스테이션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고려된다. 유사하게, 제1 갑피는 제1 작업(예컨대, 특정 절단 패턴, 특정 스티칭 패턴, 특정 접착 패턴, 특정 인쇄 패턴)을 수행하기 위해 스테이션을 이용하는 한편, 상이한 스타일/구성의 후속 갑피도 또한 처리 스테이션을 이용하지만 상이한 작업(예컨대, 상이한 특정 절단 패턴, 상이한 특정 스티칭 패턴, 상이한 특정 접착 패턴, 상이한 특정 인쇄 패턴)을 수행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주어진 플랫 패턴 갑피에 대해 어떤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시스템(200)에 알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시각 인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 사용되어 플랫 갑피 구성 요소, 마킹(예컨대, 바코드, QR 코드) 또는 다른 시각적으로 검출 가능한 피쳐에 기초하여 특정한 플랫 패턴 갑피를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플랫 패턴 갑피를 식별하도록 무선 주파수 식별 기법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구축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물론, 하나 이상의 자극(예컨대, 전자기 에너지)에 반응하는 매립된 반응성 섬유와 같은 다른 기법이 고려된다. 게다가, 기재(102)가 공지된 위치/거리로 진행함에 따라 기재 상에 형성된 특정한 플랫 패턴 갑피가 또한 공지되도록 기재 상에 플랫 패턴의 위치가 정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달리 말해서, 일 양태에서, 기재가 시스템(200)을 통해 진행할 때에 기재 상에 형성된 플랫 갑피의 위치를 알기 위한 충분한 정확도를 연속적인 기재와 관련된 낮은 탄성계수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식별 시스템이 연속적인 인라인 시스템에서 갑피의 제조를 돕는 것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패턴 갑피가 연속적인 롤의 기재(102)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시스템(200)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기재(102)의 일부가 제거된 갑피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2는 기재(102)로부터 취출된 플랫 패턴 갑피 윤곽(214)을 도시한다. 폐기물 스트림의 나머지는 기재(102)의 부분(216)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부분(21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의 후속 형성을 위해 기재의 다른 부분 내에 사용하도록 재활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순서를 도시한다. 플랫 패턴 갑피(300)는 도 1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부직물 재료의 롤과 같은 연속적인 기재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외측 주변부가 기재층을 위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그러한 주변부는 플랫 패턴 갑피(300)가 더 큰 기재 재료 집합체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경계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 갑피(300) 상에 수행될 후속 공정의 완료 전에 하나 이상의 제조 공정 전에(동안에) 성형하도록 기재가 절단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 대안적인 고려에서, 도 3의 도시된 주변부는 플랫 패턴 갑피(300)가 형성되는 기재 재료의 에지를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이미 제공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예컨대,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는 도 3의 기재]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은 달라질 수 있고 제공된 표현은 본질상 예시적이다. 예컨대, 예시적인 양태에서, 일부가 갑피 부분(302)의 갑피 안쪽 측부(311) 상에 있고 풋베드 부분의 다른 부분이 갑피 부분(302)의 갑피 바깥쪽 측부(313) 상에 있을 수 있도록 풋베드 부분(304)이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대안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 갑피가 동연적인 풋베드 부분없이 형성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내포된 설포가 갑피 뒤꿈치 단부(348)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피쳐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양태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패턴 갑피의 하나 이상의 피쳐들의 구성, 형상, 스타일, 및 배향이 고려되고 예시적인 도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플랫 패턴 갑피로서의 기재
도 3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 갑피(3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랫 패턴 갑피(300)는 갑피 부분(302)과 동연적인 풋베드 부분(304)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동연적인(coextensive)"이라는 용어는 일체식으로 다른 부분과 인접해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예컨대, 갑피 부분(302)은 풋베드 부분(304)과 공통의 연속적인 재료[예컨대, 도 1의 기재(102)]로 형성된다. 각각의 동연적인 부분들을 형성하는 재료는 동연적인 부분들이 함께 만나도록 서로 일체형이고, 나중에, 예컨대 용접, 접착, 또는 스티칭에 의해 함께 결합되지 않는다.
갑피 부분은 볼록한 에지를 형성하는 갑피 발가락 단부(306) 및 갑피 뒤꿈치 단부(348)를 포함한다. 갑피 뒤꿈치 단부(348)는 또한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와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에 의해 한정된다. 갑피 부분(302)는 또한 갑피 안쪽 측부(311) 및 대향하는 갑피 바깥쪽 측부(313)를 포함한다. 갑피 안쪽 측부(311)는 또한 예시적인 예에서 발가락 방향 안쪽 에지(326), 안쪽 플랩 에지(329), 및 뒤꿈치 방향 안쪽 에지(33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또한, 갑피 부분(302)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안쪽 플랩(328)을 포함한다. 갑피 바깥쪽 측부(313)는 또한 발가락 방향 바깥쪽 에지(352)와 뒤꿈치 방향 바깥쪽 에지(35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갑피 부분(30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바깥쪽 측부(313)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한 풋베드 부분(304)과 동연적이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발가락 단부(312), 풋베드 뒤꿈치 단부(314), 풋베드 바깥쪽 측부(317), 및 풋베드 안쪽 측부(315)를 포함한다. 풋베드 안쪽 측부(315)는 또한 발가락 단부 정점(316), 바닥(318), 및 뒤굼치 단부 정점(32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발가락 단부 정점(316), 바닥(318), 및 뒤꿈치 단부 정점(320)은 안쪽 측부(315)의 오목한 에지(319)를 한정한다.
플랫 패턴 갑피(300)를 적절한 형상 및 편안함을 갖는 입체적 신발로 변환시키는 것은 하나 이상의 뒤꿈치 단부 또는 발가락 단부에서 동연적인 갑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의 발산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교차점(322)이 발가락 방향 바깥쪽 에지(352)와 풋베드 부분(304)의 바깥쪽 측부(317)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갑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 사이의 교차점(322)에 예각이 형성된다. 예각은 신발류 물품의 발가락 단부(예컨대, 앞심(toe box)) 근처에 곡선형 복합 표면을 갖는 입체적 신발류의 형성을 허용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둔각은 플랫 패턴 갑피를 동연적인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을 갖는 입체적 신발류 물품로 변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지 못할 수 있다. 유사하게 뒤꿈치 단부를 향해서, 플랫 패턴 갑피(300)는 뒤꿈치 방향 바깥쪽 에지(350)와 풋베드 부분(304)의 뒤꿈치 단부(314) 근처의 바깥쪽 측부(317)의 교차점에서 교차점(324)을 형성한다. 갑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 사이의 교차점(324)에 예각이 형성된다. 발가락 방향으로의 예각과 논의된 이유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유사한 이점이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 사이에서 뒤꿈치 방향으로의 예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도 10 내지 도 1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플랫 패턴 갑피(300)로 입체적 신발을 형성하는 것은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 사이에 적절한 정합 및 정렬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형성 구멍을 구축할 수 있다. 임의의 갯수의 구멍이 임의의 위치에서 그리고 임의의 크기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3은 구멍들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지만, 더 적은 갯수의 구멍, 상이한 배열의 구멍,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구멍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풋베드 부분(304) 상의 단일 구멍과 갑피 부분(302) 상의 단일 구멍이 플랫 패턴 갑피를 입체적 신발로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예컨대, 풋베드 부분(304)과 관련된 2개의 구멍과 갑피 부분(302)과 관련된 2개의 구멍이 플랫 패턴 갑피를 입체적 신발로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게다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부분과 풋베드 부분 양쪽의 3개 이상의 구멍이 플랫 패턴 갑피를 입체적 신발로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제1 구멍(334), 풋베드 제2 구멍(332), 및 풋베드 제3 구멍(33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갑피 부분(302)은 갑피 제1 구멍(340), 갑피 제2 구멍(338), 및 갑피 제3 구멍(34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풋베드 부분과 갑피 부분의 유사한 명칭의 구멍들이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플랫 패턴 갑피(300)를 적절하게 정렬시키도록 각자의 상대 명칭의 구멍들과 정렬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플랫 패턴 갑피(300)의 부분들을 정렬시키는 데에 유용한 이들 구멍은 이하의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3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플랫 패턴 갑피(300)에는 다른 구멍 타입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갑피 부분(302) 내에 원점(344) 및 제2 원점(346)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점 구멍은 플랫 패턴 갑피(300)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후속 구성요소(예컨대, 오버레이), 피쳐(예컨대, 접착제, 인쇄), 절단, 및/또는 다른 공정을 위한 정렬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예컨대, 핀이 기재의 원점을 통해 연장되고 또한 기재에 대한 오버레이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기 위해 오버레이의 정렬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원점(들)이 오버레이의 물리적 정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점 구멍(들)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 갑피(300) 상의 또는 그 근처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구성에서, 원점 구멍은 운동화의 대향 아이브로(eyebrow) 사이의 목부와 같은 중족 개구 구역[예컨대, 도 9의 중족 개구 구역(901)] 내에 형성된다. 원점(들)을 중족 개구 구역 내에 위치 설정함으로써, 원점(들)은 갑피 부분(302) 내의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중족 개구가 형성될 때에 제거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들)을 하나 이상의 작업 후의 폐기물 스트림으로서 제거될 위치 내에 배치시키면, 원점은 최종 입체적 신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인라인 제조 중에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3의 플랫 패턴 갑피(300)는 본질상 예시적이며,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개념에 관해서 제한적이지 않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제공된 특징들의 범위 내에서 대안적인 크기 설정, 성형, 및 배향이 고려된다.
기준선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복수 개의 예시적인 기준선을 갖는 도 3의 플랫 패턴 갑피(300)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한다. 예시된 기준선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반드시 가시적인 경계는 아니다. 따라서, 인라인 제조 공정에서 플랫 패턴 갑피(300)에는 실제로 도 4의 기준선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고려된다. 대신에, 도 4의 기준선은 아래의 논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갑피 발가락 단부(306)와 갑피 뒤꿈치 단부(348)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 중간선(402)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중간선(402)은 갑피 발가락 단부(306)의 정점을 통해 연장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갑피 중간선(402)은 또한 안쪽 뒤꿈치 교차점(420)과 바깥쪽 뒤꿈치 교차점(422) 사이의 등거리 위치에서 갑피 뒤꿈치 단부(348)를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안쪽 뒤꿈치 교차점(420)은 갑피 뒤꿈치 방향 안쪽 에지(330)와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바깥쪽 뒤꿈치 교차점(422)은 뒤꿈치 방향 바깥쪽 에지(350)와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플랫 패턴 갑피의 형상 및 구성이 스타일들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에, 안쪽 뒤꿈치 교차점(420)은 갑피 부분의 안쪽 측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교차점의 최외측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플랫 패턴 갑피의 형상 및 구성이 스타일들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에, 바깥쪽 뒤꿈치 교차점(422)은 갑피 부분의 바깥쪽 측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교차점의 최외측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안쪽 기준선(404)은 안쪽 뒤꿈치 교차점(420)으로부터 갑피 중간선(402)과 발가락 단부(306)의 교차점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깥쪽 기준선(406)은 바깥쪽 뒤꿈치 교차점(422)으로부터 갑피 중간선(402)과 발가락 단부(306)의 교차점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기준선(408)은 풋베드 부분(304)의 발가락 단부 정점(316)과 뒤꿈치 단부 정점(320)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기준선(410)은 바닥(318)을 통과하면서 제1 기준선(408)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분 교차선(412)은 교차점(322) 및 교차점(324)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부분 교차선(41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부분들이 동연적인 갑피 바깥쪽 측부(313)와 풋베드 바깥쪽 측부(317)를 경계 설정한다. 갑피 안쪽 측부(311) 상에 또한 풋베드 부분의 일부를 갖는 플랫 갑피 패턴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예컨대 제2 부분 교차선(도시 생략)이 갑피의 교차점과 안쪽 측부 풋베드 부분 사이에 제2 부분 교차선(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제3 기준선(414)은 갑피 중간선(402)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교차점(322)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 기준선(418)은 갑피 중간선(402)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풋베드 부분(304)의 바닥(318)을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5 기준선(416)은 갑피 중간선(402)에 수직으로 그리고 제3 기준선(414)과 제4 기준선(4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5 기준선(415)은 라스트 둘레에 형성될 때에 플랫 패턴 갑피(300)의 볼 폭을 따라 연장된다.
형성 구멍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도입된 바와 같이, 플랫 패턴 갑피(300)는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갑피(302)를 풋베드 부분(304)과 정렬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2개 이상의 구멍을 포함한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제1 구멍(334), 풋베드 제2 구멍(332), 및 풋베드 제3 구멍(336)을 포함한다. 갑피 부분(302)은 갑피 제1 구멍(340), 갑피 제2 구멍(338), 및 갑피 제3 구멍(342)을 포함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갯수의 형성 구멍이 고려된다.
풋베드 제1 구멍(334)은 바닥(318) 근처의 안쪽 에지에 근접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구멍(334)은 제5 기준선(416)의 20 밀리미터("mm") 내에 그리고 풋베드 안쪽 에지의 20 mm 내에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구멍은 바닥(318)의 20 mm 내에 있다. 풋베드 제1 구멍(334)의 위치는 라스트 둘레에 형성될 때에 바닥(318)에 대한 근접도로 인해 플랫 패턴 갑피(300)에 인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플랫 패턴 갑피(300) 부분의 허용 가능한 정렬을 제공한다. 또한, 풋베드 제2 구멍(33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기준선(408)과 제2 기준선(410)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2 구멍(332)은 발가락 단부 정점(316)과 바닥(318) 사이에서 풋베드 안쪽 에지에 근접한다. 구체적으로, 풋베드 제2 구멍(332)은 20 mm 미만 만큼 풋베드 부분(304)의 오목한 에지에 근접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2 구멍(332)은 제3 기준선(414)과 제5 기준선(416) 사이에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2 구멍은 제3 기준선(414) 및/또는 제5 기준선(416)의 20 mm 내에 있다. 풋베드 제2 구멍(332)의 위치는 라스트가 라스트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곡선의 정점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입체적 신발의 볼 폭에 근접한 정렬을 제공한다.
풋베드 제3 구멍(33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구멍(334)과 풋베드 뒤꿈치 단부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풋베드 제3 구멍(336)은 풋베드 안쪽 측부의 20 mm 내에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3 구멍(33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바닥(318)과 풋베드 부분(304)의 안쪽 측부에 근접한 뒤꿈치 단부 정점(320)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3 구멍(336)은 제1 기준선(408)과 제2 기준선(410)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앞서 도입된 갑피 부분(302) 상의 형성 구멍은 갑피 제1 구멍(340), 갑피 제2 구멍(338), 및 갑피 제3 구멍(342)을 포함한다.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갯수의 형성 구멍이 플랫 패턴 갑피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2개의 형성 구멍이 제1 측부(예컨대, 갑피 부분의 안쪽 측부) 상에 존재하고 2개의 대응하는 형성 구멍이 대향하는 제2 측부(예컨대, 풋베드 부분의 안쪽 측부) 상에 존재하는 것이 고려된다.
갑피 부분(302)의 형성 구멍은 도 3의 안쪽 플랩(328)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쪽 플랩(328)은 발가락 단부 정점(316)과 뒤꿈치 단부 정점(320) 사이의 풋베드 부분(304)의 부분과 중첩하도록 갑피 부분(302)의 안쪽 측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풋베드 부분 안쪽 에지의 볼록한 구역 내에 중첩함으로써, 안쪽 플랩(328)은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착용자 발의 아치 구역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 구역에서 기재의 중첩은 사용자에게 최소로 검출 가능될 수 있어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사용자의 볼 또는 뒤꿈치로 플랩이 연장되는 경우보다 큰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갑피 제1 구멍(340)은 안쪽 에지에 근접한 갑피 부분(302) 상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제1 구멍(340)은 도 3의 안쪽 플랩 에지(329)에 근접한 안쪽 플랩에 위치 설정된다. 예컨대, 갑피 제1 구멍(340)은 안쪽 에지의 20 mm 내에 있다. 갑피 제1 구멍(340)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5 기준선(416)에 근접한다. 갑피 제1 구멍(340)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5 기준선(416)의 20 mm 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갑피 제2 구멍(338)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안쪽 에지에 근접한 갑피 부분(302) 상에 그리고 갑피 제1 구멍(340)과 갑피 발가락 단부(306)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갑피 제2 구멍은 도 3의 안쪽 플랩 에지(329)에 근접한 안쪽 플랩 상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갑피 제2 구멍(338)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3 기준선(414)과 제5 기준선(416)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갑피 제2 구멍(338)은 도 3의 안쪽 플랩 에지(329)와 같은 외측 에지의 20 mm 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갑피 제3 구멍(342)은 안쪽 에지에 근접한 갑피 상에 그리고 갑피 제1 구멍(340)과 갑피 발가락 단부(306)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제3 구멍(342)은 갑피 제1 구멍(340)으로부터 뒤꿈치 방향으로 안쪽 플랩 상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갑피 제3 구멍(342)은 갑피 부분(302) 안쪽 에지의 20 mm 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다양한 형성 구멍을 에지의 적어도 20 mm 내에 있게 하면, 형성 구멍과 에지 사이에서 충분한 기재 재료가 연장되어 중첩되는 기재 재료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형성(예컨대, 라스팅) 공정 중에 기재 재료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지지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20 mm 이상에 있는 형성 구멍이 이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형성 구멍과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재 재료는 갑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의 결합(예컨대, 접착, 스티칭, 용접) 후에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형성 구멍의 이용은 갑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을 결합시켜 입체적 신발을 라스트 또는 다른 성형체 둘레에 형성하도록 이하의 도 10 내지 도 13에서 예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갑피 부분(302) 안쪽 측부가 풋베드 부분(304) 안쪽 측부와 근접되어 제1 구멍들에 의해 정렬될 때에, 플랫 패턴 갑피(300)가 대략 라스트로 형성하도록 갑피 제1 구멍(340)과 풋베드 제1 구멍(334)의 위치가 위치 설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유사하게, 이용에 따라, 갑피 부분(302) 안쪽 측부가 풋베드 부분(304) 안쪽 측부와 근접되어 제2 구멍들에 의해 정렬될 때에, 플랫 패턴 갑피(300)가 대략 라스트로 형성하도록 갑피 제2 구멍(338)과 풋베드 제2 구멍(332)이 위치 설정된다. 갑피 제3 구멍(342)과 풋베드 제3 구멍(336)의 위치는 플랫 패턴 갑피(302)를 입체적 신발로 적절하게 형성하도록 유사하게 위치 설정된다.
형성 구멍이 기재 재료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원형 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형성 구멍은 임의의 구조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형성 구멍은 기재를 통해 연장되는 홀도 아니며, 그 대신 정렬 핀[예컨대, 도 10의 제1 정렬 핀(1002)]이 기재를 통해 연장되어 구멍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형성하는 곳을 나타내는 마킹이다. 따라서, 형성 구멍은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플랫 패턴 갑피 부분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는 정합 공구의 역할을 한다.
원점
도 3에 이미 도입된 바와 같이, 원점(344)은 공정 및/또는 구성요소가 적절한 위치 설정 및/또는 정렬을 보장하도록 배향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버레이(500)가 기재 재료 상에 제공된다. 오버레이(500)의 위치는 오버레이(500)의 정렬 구멍(345)와 원점(344)의 물리적 정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2개 이상의 원점 구멍의 조합이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층들 간에 위치적 및 회전적 정렬을 모두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원점(344) 구멍 등의 원점이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될 위치 안내를 제공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원점과의 기계적 상호 작용 및/또는 원점의 광학 검출을 통해, 로봇 부재가 플랫 패턴 갑피(300)의 하나 이상의 부품 상에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공정(예컨대, 절단, 재봉, 접착, 용접, 위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갑피 발가락 단부(306)와 갑피 뒤꿈치 단부(348) 사이에서 기재 상에 원점(344)이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갑피 중간선(402)의 10 mm 내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10 mm의 공차는 원점(344)이 플랫 패턴 갑피(300)로부터 나중에 제거되는 중족 개구 구역[예컨대, 도 9의 중족 개구 구역(901)] 내에 유지되게 한다. 그 결과, 원점(344)은, 이 예에서, 완성된 입체적 신발의 가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플랫 패턴 갑피(300)의 형성에 기능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제3 기준선(414)의 뒤꿈치 방향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제4 기준선(418)의 발가락 방향에 위치 설정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은 제3 기준선(414)과 제4 기준선(418)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원점(344)은 갑피 중간선(402)과 제5 기준선(416) 사이의 교차점의 10 mm 내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원점(344)이 발가락 대 뒤꿈치 방향에서 제3 기준선(414)과 제4 기준선(418)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안쪽 대 바깥쪽 방향에서 안쪽 기준선(404)과 바깥쪽 기준선(406)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제2 원점(34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멍(344)과 갑피 뒤꿈치 단부(348)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제2 원점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갑피 중간선(402)의 10 mm 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원점이 발가락 대 뒤꿈치 방향에서 원점(344)과 갑피 뒤꿈치 단부(348)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안쪽 대 바깥쪽 방향에서 안쪽 기준선(404)과 바깥쪽 기준선(406)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제2 원점(346)은 도 9의 중족 개구 구역(901)과 같은 중족 개구 구역 내에서 플랫 패턴 갑피(300) 상에 위치 설정된다.
형성 구멍과 관련하여, 원점(들)은, 기재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원형 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대신에 임의의 형상 또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원점은 정렬 핀이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의 정렬을 위해 연장되는 시각적 마킹일 수 있다. 기재를 통과하는 정렬 핀의 연장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시각적 마팅으로서 형성된 원점의 위치에 기초한 시각적 정렬이 고려된다. 또한, 임의의 갯수의 원점이 임의의 형태로 그리고 임의의 위치에 사용되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양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오버레이 및 가려진 재료들의 사전 절단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오버레이(500)가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는 기재 재료 상에 위치 설정된다.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형상, 배향, 크기, 및/또는 위치로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편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시트형 또는 필름형 재료로 형성된다. 오버레이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완충 요소, 인장 요소, 플라스틱 요소, 고무 요소, 또는 임의의 재료 또는 기능적 부분일 수 있다.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합성 재료 또는 천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폴리버 기반 재료, 무명 기반 재료, 양모 기반 재료, 가죽 기반 재료, 및 신발의 구성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면들은 예시 목적을 위해 실선 주변부를 갖는 플랫 패턴 갑피(300)를 나타낸다. 그러나, 플랫 패턴 갑피가 연속적 방식으로 기재로부터 형성되면, 플랫 패턴 갑피(300) 기재 재료의 주변 요소들 일부는 하나 이상의 공정(예컨대, 오버레이들의 결합, 인쇄, 중족 개구의 절단, 재봉)이 기재 재료에 수행되지 않을 때까지 형성(예컨대,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플랫 패턴 갑피(300)의 기재 부분을 더 큰 기재 소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지연시키면, 앞서 논의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통과함에 따라, 플랫 패턴 갑피가 더 큰 기재 재료의 공지된 상대 위치에 남게 된다.
그러나, 재료가 기재와 같은 다른 재료 상에 층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등의 공정은 처리 대상 재료를 가리기 전에 수행된다. 예컨대, 도 5는 기재가 오버레이(5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실선 주변부 마킹을 갖는 플랫 패턴 갑피(300)의 기재 재료 부분을 도시한다. 그러나, 오버레이의 적층(overlaying)과 중첩에 의해 가려진 기재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뒤꿈치 방향 안쪽 에지(330), 발가락 방향 안쪽 에지(326), 발가락 방향 바깥쪽 에지(352), 뒤꿈치 방향 바깥쪽 에지(350), 및 갑피 부분과의 교차점[예컨대, 교차점(322, 324)]으로부터 연장되는 풋베드 바깥쪽 에지의 부분 모두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오버레이(500)를 기재 재료 상에 배치하기 전에, 뒤꿈치 방향 안쪽 에지(330), 발가락 방향 안쪽 에지(326), 발가락 “‡향 바깥쪽 에지(352), 뒤꿈치 방향 바깥쪽 에지(350), 및 풋베드 바깥쪽 에지의 부분들의 점선에서 기재를 절단하도록 절단 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고려된다. 플랫 패턴 갑피(300)는 연속적인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통해 실질적으로 편평한 방식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려진 재료 부분의 절단은 오버레이를 정렬한 후에 정렬을 방해할 수 있는 오버레이를 변위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레이를 배치하고 잠재적으로 고정하기 전에, 아래에 있는 재료(예컨대, 기재)의 가려진 부분은 아래에 있는 재료 상에 일단 정렬되면 오버레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절단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700)를 예시하는 도 17을 간단히 참조한다. 제1 블록(1702)에서, 제1 컷은 상부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갖는 제1 재료에 행해진다. 제1 컷은 상부면과 바닥면을 통해 연장된다. 제1 재료는 기재 또는 플랫 패턴 갑피 상의 다른 층(예컨대, 추가 오버레이)과 같은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컷은 기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는 상부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모두 갖는다. 제1 컷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나이프, 다이, 펀치, 레이저, 워터 젯, 에어 젯, 매체 젯, 고온 에지 등과 같은 임의의 수단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컷은 풋베드 부분의 주변부 또는 갑피 부분의 주변부와 같은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것과 같이 선형일 수 있다. 컷은 원점 또는 형성 구멍과 같은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컷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플랫 패턴 갑피의 내부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컷은 플랫 패턴 갑피의 주변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블록(1704)에서, 제1 재료를 통해 제1 컷을 절단한 후에, 오버레이가 제1 재료 상부면 상에 결합된다. 오버레이는 제1 재료 상부면 상의 제1 컷 위에서 연장되어 제1 컷을 가린다. 그 결과, 제1 컷이 오버레이가 제1 재료 상에 위치 설정된 다음에 행해지도록 의도되면,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오버레이를 또한 절단하는 일 없이 제1 컷을 행하기 위해 제1 재료에 엑세스하도록 위치 조정되거나 달리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오버레이의 대응하는 적층 부분을 또한 절단하지 않으면서 절단되도록 의도된 제1 재료의 부분은 오버레이를 제1 재료 상에 배치하기 전에 절단된다. 제1 재료에 대한 오버레이의 결합은 오버레이를 제1 재료와 결합하는 재봉, 접착, 용접, 기계적 체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컷은 도 5의 교차점(322) 및/또는 교차점(324)에 형성된 예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앞서 도 3에 제공된 바와 같이, 예각은 기재의 의도치않은 변형, 주름, 및/또는 구김을 피하면서 풋베드 부분과 갑피 부분이 라스트와 같은 공구 둘레에 적절하게 형성하게 하는 플랫 패턴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오버레이(500)와 같은 오버레이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성형된 신발에 대해 심미적으로 의도된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교차점(322 및/또는 324)에서 예각을 가리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재료에 대한 오버레이의 결합은 제1 컷에서 오버레이와 제1 재료의 연결/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1 재료는 제1 컷에서 오버레이와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버레이(500)가 적용되기 전에 사전 절단되는 기재의 부분은 사전 전달된 부분이 라스트 둘레에서 연장되어 라스트 둘레에 기재를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라스트 둘레에 고정 및 정렬하는 기재와의 간접을 제한하기 위해, 오버레이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절단된 부분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추가 양태에서, 흐름도(1700)에 도시된 방법은 선택적으로 제2 컷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되며, 제2 컷은 제1 재료와 오버레이를 통해 연장된다. 제2 컷은 블록(1702) 다음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컷은 블록(1704) 전에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컷은 도 5의 오버레이 상부면(502) 위에서 연장되는 제2 오버레이 및 블록(1702)의 제1 재료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 선택적인 양태에서, 제2 오버레이는 오버레이와 결합되는 것이 고려된다. 결합은 재봉, 용접, 접착 등과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 될 수 있다.
블록(1706)에서, 제1 컷을 갖는 제1 재료는 입체적 신발로 형성된다. 앞서 언급하고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1 컷이 행해질 수 있는 플랫 패턴 갑피가 입체적 신발로 형성된다. 입체적 신발의 형성은 기재 재료를 래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컷이 라스트 또는 다른 성형 공구 둘레에서 연장된다. 제1 컷은 기재의 주변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를 전달하는 일 없이 기재가 더 큰 기재 소스(예컨대, 기재의 연속적인 라인)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따라서, 기재가 라스트 둘레에 형성하도록 절단될 수 있는 반면에, 오버레이(들)는 아래에 있는 기재의 소기의 성형에 의해 강요되지 않는 소기의 심미적 마감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일한 위치에서 전달될 필요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버레이(500)는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는 기재 상에 위치 설정된다. 플랫 패턴 갑피(300)에 대한 오버레이의 적절한 위치 설정은 원점(344), 그리고 이 예에서, 제1 정렬 구멍(345) 및 제2 정렬 구멍(347)과 각각 정렬되는 제2 원점(346)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정렬 구멍(345)은 오버레이(500)를 통해 연장되고 오버레이(500) 상에 위치 설정되어 아래에 있는 재료(예컨대, 기재)에 대한 적절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 제2 정렬 구멍(347)은 오버레이(500)를 통해 연장되고 오버레이(500) 상에 위치 설정되어 아래에 있는 재료(예컨대, 기재)에 대한 적절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344)과 제1 정렬 구멍(345)이 정렬된다. 도 5에는 또한 제2 정렬 구멍(347)과 정렬하는 제2 원점(346)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 구멍과 정렬 구멍의 사용은 인라인 제조 공정 중에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기계적 정렬을 제공한다. 그러나, 연속적인 기재(예컨대, 롤형 제품)가 플랫 패턴 갑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대안적인 양태에서 원점 구멍과 정렬 구멍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 예에서, 연속적인 기재의 공지된 위치는 기재 상에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를 정렬하기에 충분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600)를 예시하는 도 16을 간단히 참조한다. 블록(1602)에서, 플랫 패턴 갑피의 갑피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원점이 형성된다. 원점은 신발의 중족 개구 구역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은 절단, 스탬핑, 연소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블록(1604)에서, 정렬 구멍을 갖는 오버레이는 기재 재료와 같은 갑피 부분과 결합된다. 오버레이는 정렬 구멍과 원점이 정렬되도록 갑피 부분과 정렬됨으로써, 공통 부재가 원점과 정렬 구멍 각각을 통해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레이는 재봉, 접착,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블록(1606)에서, 중족 개구 구역은 원점 구멍을 갖는 갑피 부분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9의 중족 개구 구역(901)과 같은 중족 구역은 원점 구멍을 포함하고 오버레이가 일단 아래에 있는 재료(예컨대, 기재)와 결합되면, 원점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중족 개구 구역 재료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블록(1608)에서, 오버레이가 결합되고 중족 개구 구역이 제거된 갑피 부분이 입체적 신발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플랫 패턴 갑피(300)와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오버레이, 즉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오버레이(500)의 상부면(502)에 결합된다. 그러나, 오버레이는 기재 자체와 같이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재료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는 적절한 위치, 배향, 및 회전을 달성하도록 원점(344) 및 제2 원점(346)과 정렬되는 정렬 구멍을 포함한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가죽 또는 폴리머 기반 재료(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내구성 재료로 형성된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하나 이상의 아이릿이 신발끈 구조를 위해 형성되는 보강 재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인라인 제조된 신발에서 기능적 재료의 공학적 배치를 증명한다. 또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의 위치는 위에서 제공된 플랫 패턴 갑피(300) 상의 위치에 원점(344)을 갖는 이점을 강조하고, 이에 따라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는 중족 개구 구역에 근접한 구성요소를 위한 위치 안내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여전히 제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6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 위에 위치 설정되는 중족 오버레이(700)가 도시되어 있다. 인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랫 패턴 갑피(300)는 원하는 결과의 플랫 패턴 갑피(300)를 형성하도록 위치 설정되고, 고정되며, 정렬되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 및 중족 오버레이(700)는 아래에 있는 재료(예컨대, 기재)에 아직 영구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대신에, 결합 공정이 수행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적절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오버레이를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오버레이는 다른 오버레이가 적용되기 전에 아래에 있는 재료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족 오버레이(700)가 적용되기 전에 오버레이(500)와 결합될 수 있다.
중족 오버레이(7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아이브로우 마감 재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족 오버레이(700)는 일단 제거되면 중족 개구의 주변부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중족 오버레이는 내포된 설포(810)의 상단 에지(812)에서 내포된 설포(810)의 마감 재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오버레이는 플랫 패턴 갑피(300)의 구성에서 다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오버레이(500),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도시 생략), 중족 오버레이(700), 및 칼라 라이너(800)를 포함하는 플랫 패턴 갑피(300)가 도시되어 있다.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오버레이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는 사용자의 발목이 접촉할 수 있는 편안한 표면을 제공하는 편직물 또는 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칼라 라이너(800)는 중족 개구(및 발목 개구)를 통해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으로 연장되어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랫 패턴 상태로부터 입체적 신발 상태로 천이되도록 뒤집힐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또한 내포된 설포(810)용 설포 라이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이, 플랫 패턴 갑피(300)의 구성, 형상, 크기는 예시적이고 양태는 내포된 설포(81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쳐를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 예에서, 칼라 라이너(800)는 내부면이 아래에 있는 재료의 반대쪽에 있고 외부면(804)(도 8에는 도시되지 않고 도 15에 도시됨)은 아래에 있는 재료를 향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내부면(802)은 기재의 바닥면과 같은 플랫 패턴 갑피의 바닥면을 향한다. 입체적 신발로 형성될 때에 외부면(804)은 이하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 신발의 발 접촉면을 형성한다.
칼라 라이너(800)는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와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 근처로부터 발가락 “‡향으로 연장된다. 칼라 라이너(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족 개구 구역의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는 도 8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족 오버레이(700)의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지만 발가락 방향 단부에 이르는 전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지는 않는다. 칼라 라이너(800)는 안쪽 대 바깥쪽 방향에서 동연적인 방식으로 플랫 패턴 갑피의 갑피 부분의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안쪽 대 바깥쪽 방향에서의 이 연장 폭은 발목 개구에서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의 내부 측벽 아래로 충분한 칼라 라이너 재료가 연장되게 한다. 이는 칼라 라이너(800)가 입체적 신발의 칼라 라이너의 역할을 하게 한다.
칼라 라이너는 플랫 패턴 갑피(300)의 아래에 있는 재료와, 예컨대 스티칭, 용접 및/또는 접착을 통해 결합된다. 결합 위치(806)(예컨대, 이음매)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 위치(806)는 칼라 라이너(800)를 발목 개구 구역 및 중족 개구 구역 근처에서 플랫 패턴 갑피(300)와 결합시킨다. 결합 위치(806)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목 개구의 주변부 및 중족 개구의 일부를 획정하는 이음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에지(814)와 상단 에지(812)를 갖는 선택적인 내포된 설포(810)는 또한 설포 결합부(805)를 따라 칼라 라이너(800)와 결합될 수 있다. 설포 결합부는 발목 개구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된 칼라 라이너(800)의 부분을 상단 에지(812)에 근접한 내포된 설포(810)에 고정시킨다. 이 방식에서, 칼라 라이너는 입체적 신발에 통합될 때에 내포된 설포를 위한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칼라 라이너(800)와 중족 오버레이(700)의 일부를 함께 결합되는 상단 에지에 갖는 내포된 설포(810)는 설포 결합부(805) 근처의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바닥 에지(814)는 뱀프 구역(vamp region)(예컨대, 중족 개구의 발가락 방향 영역)과 고정될 수 있고 상단 에지(812)는 입체적 신발의 발목 개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발목 개구 구역(902), 중족 개구 구역(90), 및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제거되는 내포된 설포(810)를 갖는 플랫 패턴 갑피를 도시한다. 결합 위치(806)는, 중족 개구(901)로 연장되는 새롭게 형성된 발목 개구(902)에 근접한 아래에 있는 재료와 칼라 라이너(800)가 고정되는 곳을 나타내는 점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원점(344') 및 제2 원점(346')은 중족 개구(901)와 발목 개구(902)로부터 제거되는 재료의 일부로서 제거되기 때문에 예시 목적으로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344)과 제2 원점(346)의 위치는, 재료들의 결합 후에, 원점 구멍이 제거되어 입체적 신발의 기능 및/또는 심미감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발목 개구(902)와 중족 개구 구역(901)은 부분적으로 바깥쪽 개구 에지(904)와 안쪽 개구 에지(906)에 의해 획정된다. 바깥쪽 개구 에지(904)와 안쪽 개구 에지(906)는 발목 개구(902)에서 재료를 제거하는 절단 작업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바깥쪽 개구 에지(904)와 안쪽 개구 에지(906)는 칼라 라이너(800)가 입체적 신발의 칼라 라이너를 형성하도록 뒤집혀질 때에 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플랫 패턴 갑피에 통합된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800)를 예시하는 도 18을 간단히 참조한다. 블록(1802)에서, 상부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갖는 플랫 패턴 갑피가 형성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 형성은 절단 및 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 부분을 형성하는 예는,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1804)에서, 칼라 라이너는 블록(1802)에서 형성된 갑피 부분 상에 적층된다. 칼라 라이너는 내부면과 외부면을 갖는다. 칼라 라이너는 편평한 구성으로 있을 때에 칼라 라이너 외부면이 갑피 부분 상부면을 향하도록 갑피 부분 상에 위치 설정된다.
블록(1806)에서, 칼라 라이너는 갑피 부분과 고정되어 칼라 라이너 이음매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은 용접, 접착, 시침질(tacking), 재봉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롱 아암 퀼팅 기계(long-arm quilting machine)와 같은 컴퓨터 제어 기계가 칼라 라이너 및 갑피 부분을 형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를 칼라 이음매에서 함께 재봉할 수 있다.
블록(1808)에서, 칼라 이음매 근처의 갑피 부분과 칼라 라이너의 일부가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제거된다. 예컨대, 발목 개구 구역 및 중족 개구 구역의 재료가 갑피 부분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되고, 예컨대 절단될 수 있다. 재료의 제거는 성형되는 입체적 신발의 발목 개구 및 중족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거된 재료는 입체적 신발에 포함하도록 나중에 처리될 수 있는 내포된 설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블록(1810)에서, 칼라 라이너는 갑피 부분에 대해 뒤집힌다. 이 공정은 (이하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를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와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와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에 대응하는 칼라 라이너의 에지들이 또한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은 버트 지그재그 스티치(butt zigzag stitch)와 같은 다수의 시밍(seaming)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접착 등과 같은 다른 기술이 고려된다. 칼라 라이너 부분이 이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힐 수 있어, 칼라 라이너의 외부면은 결합 위치(예컨대, 칼라 이음매)로부터 먼 위치에서 아래에 있는 재료의 상부면을 등지도록 천이된다. 이러한 뒤집힘은 칼라 라이너가 성형된 입체적 신발에 라이너를 형성하게 한다. 달리 말해서, 칼라 라이너의 뒤집힘은 칼라 라이너가 입체적 신발의 외측이 되는 것으로부터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으로 연장되게 한다.
블록(1812)에서, 뒤집힌 칼라 라이너를 갖는 갑피 부분은 도 14에 도시된 신발과 같은 입체적 신발로 형성된다.
입체적 신발의 형성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정렬 공구(1000)가 도시되어 있다. 정렬 공구(1000)는 특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렬 공구는 2개 이상의 형성 구멍을 정렬시키는 데에 충분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정렬 공구(1000)는 제1 정렬 핀(1002), 제2 정렬 핀(1004), 및 제3 정렬 핀(100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렬 핀의 갯수, 위치, 및 크기는 달라질 수 있고 도 10의 도시는 제한이 아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풋베드 제1 구멍(334), 풋베드 제2 구멍(332), 및 풋베드 제3 구멍(336)을 통해 각각 연장되는 정렬 핀(1004, 1002, 1006)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이미 논의된 풋베드 부분(304)의 형성 구멍은 정렬 핀과 형성 구멍의 기계적 맞물림을 통해 정렬 공구(1000) 상에 정렬된다.
도 1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안쪽 뒤꿈치 단부(308)와 갑피 바깥쪽 뒤꿈치 단부(310)는 이음매(309)로서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음매(309)는 재봉, 밀봉, 접착, 용접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음매(309)는 갑피 부분(302)의 제1 부분(예컨대, 안쪽 측부)을 수직 이음매(309)에서 갑피 부분(302)의 제2 부분(예컨대, 바깥쪽 측부)과 결합시키지만, 갑피 부분(302)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결합은 발가락 단부, 바깥쪽 측부, 안쪽 측부, 다수의 구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곳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이음매는 비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결합 이음매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발가락 방향 또는 뒤꿈치 방향에서 중족 개구(901) 및/또는 발목 개구(902)로부터 외측 에지(예컨대, 안쪽 또는 바깥쪽 주변부)를 향해 각도를 이루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는 발목 개구(902)에 근접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양태들에서, 칼라 라이너는 또한 이음매(309)에 근접하거나 근접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층(예컨대, 기재, 오버레이, 자체)과 고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칼라 라이너(800)는 성형될 발 수용 공동 내로 연장하도록 아직 뒤집힐 필요는 없다. 그러나,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음매(309)를 형성하기 전에, 정렬 공구(1000)와의 정렬 전에, 및/또는 이하의 도 12의 도시 전에 뒤집힐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의 형성 구멍이 정렬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정렬 공구(1000) 둘레를 래핑하는 갑피 부분을 도시한다. 예컨대, 제2 정렬 핀(1004)은 풋베드 제1 구멍(334)과 갑피 제1 구멍(340)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정렬 핀(1002)은 풋베드 제2 구멍(332)과 갑피 제2 구멍(338)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제3 정렬 핀(1006)은 풋베드 제3 구멍(336)과 갑피 제3 구멍(342)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정렬 공구에 의해 제공되는 정렬에 기초하여, 안쪽 플랩(또는 갑피 부분의 다른 부분)이 풋베드 부분과 결합된다. 예컨대, 일단 정렬 공구(1000)가 제거되면 형성 구멍이 허용 가능한 상대 위치에 남아 있도록 부분들을 함께 결합하는 데에 용접 또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와 관련한 도 11의 논의와 유사하게, 칼라 라이너(800)는 입체적 신발의 성형되는 내부 공동 내로 뒤집히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시된 단계에서의 칼라 라이너(800)는 입체적 신발의 발 수용 공동의 역할을 하게 되는 내부 공동 내로 뒤집힐 수 있다. 또한, 결합될 수 있는 뒤꿈치 단부 에지들이 도 12에 비결합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플랩의 형성 구멍들이 정렬 핀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뒤꿈치 단부 에지들은 갑피 부분이 정렬 공구(1000) 둘레를 래핑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328)을 풋베드 부분(304)과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용적 내에 삽입된 라스트(1300)를 도시한다. 풋베드 부분(304)과의 결합을 위해 안쪽 플랩(328)을 정렬시키는 정렬 공구(1000)에 의존하는 도 12와 달리, 라스트(1300)는 입체적 신발류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공구이다. 라스트(1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힌 칼라 라이너(800)를 라스트(1300)가 차지하는 공동 내에 위치 설정, 세팅, 및 정렬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칼라 라이너(800)는 발목 개구 및 중족 개구의 일부로부터 라스트(1300)가 차지하는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되도록 뒤집힌다. 이 뒤집힘의 결과로서, 칼라 라이너(800)는 이하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개구의 에지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의 뒤꿈치 단부 에지들(또는 결합될 임의의 에지들)은 라스트(1300)의 삽입 전에 함께 고정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800)를 내부 공동의 위치 설정된 장소에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제가 칼라 라이너(800) 또는 입체적 신발의 내부 부분에 도포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이어서, 플랫 패턴 갑피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라스트(1300)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부분은 열 활성화 제제를 가질 수 있고, 열 활성화 제제는 열에 노출될 때에 이 제제가 도포된 재료(들)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입체적 신발의 앞심 구역에서, 열 활성화 제제가 도포되고 열이 도입되어 삽입된 라스트(1300) 둘레에 앞심 구역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라스트(1300)의 제거 시에, 앞심 구역은 열 활성화 제제가 경화되어 형상을 유지하는 데에 일조하기 때문에 라스트(1300)에 의해 안내된 형상을 유지한다. 열 활성화 제제는 뒤꿈치 구역과 같은 다른 부분에 도포되어 제제가 도포되는 이들 구역에 유사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체적 신발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라스트(1300)가 내부 공동 내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함께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라스트(1300)가 존재하는 동안에, 접착제가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의 주변 부분들을 따라 도포되어 오버레이를 기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재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입체적 신발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플랫 갑피로부터 원하는 형성, 크기, 및 곡률을 갖는 입체적 신발로 형성되게 한다. 다른 예에서, 라스트(1300) 둘레에서 연장되는 발가락 단부 및/또는 뒤꿈치 단부에서 갑피 부분(302)을 형성하는 오버레이(또는 기재)의 부분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1300)를 수용하는 내부 공동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풋베드 부분(30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밑창이 라스팅된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플랫 패턴 갑피는 라스트(1300) 둘레에 형성될 때에 당해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부착된 밑창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3 내지 도 9의 플랫 패턴 갑피로부터 형성된 입체적 신발을 도시한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 라이너(800)는 발목 개구(902)에 근접한 외부 위치로부터 라스트(1300)가 차지하는 내부 공동으로 연장된다. 칼라 라이너는 신발의 내부 발 수용 공동으로 되돌리기 전에 외측 하부 위치(1402)로부터 정점(1400)까지 연장된다. 간소화된 단면이 도 14의 절단선 15를 따라 도 15에 제공된다. 도 15의 단면은 [외측 하부 위치(1402)에 근접한] 결합 위치(806)에서 초기에 오버레이(500)의 상부면(502)을 향하는 칼라 라이너(800)의 외부면(804)을 예시한다. 도 15의 단면은 또한 오버레이(500)의 상부면(502)을 등지도록, 예컨대 정점(1400)에서 천이되는 외부면(804)을 도시한다. 이 구성은 칼라 라이너(800)로 하여금 칼라 라이너를 입체적 신발의 외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에 결합시키는 완성된 이음매와 함께 발목 개구에서 발 수용 공동 뿐만 아니라 상부 에지의 역할을 모두 하게 한다.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의 많은 상이한 배열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한이 아닌 예시의 의도로 설명하였다. 변형예는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를 구현하는 대안의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특정한 피쳐 및 하위 조합이 유용하고 다른 피쳐 및 하위 조합을 참조하는 일 없이 채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 내에서 예상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에 열거된 모든 단계는 설명된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으로서, 볼록한 에지가 있는 발가락 단부 및 대향하는 뒤꿈치 단부, 안쪽 측부 및 대향하는 바깥쪽 측부를 갖는 갑피 부분을 포함하고, 갑피 부분은,
    (1)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선 기준선으로서, 중간선 기준선은 발가락 단부의 볼록한 에지의 정점에서 발가락 단부를 통해 연장되고, 중간선 기준선은 뒤꿈치 단부와 안쪽 측부 사이의 제1 교차선과 뒤꿈치 단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의 제2 교차선 간에 등거리에서 뒤꿈치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인 중간선 기준선; (2)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중간선 기준선의 10 밀리미터 내의 위치에서 신발류 플랫 패턴을 통해 연장되는 원점 구멍; 및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 및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갑피 부분과 결합되는 오버레이를 포함하고, 오버레이는 오버레이를 통해 연장되는 정렬 구멍을 포함하며, 정렬 구멍은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중족 개구 구역 내에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횡단선 기준선 상에 위치 설정되며, 횡단선 기준선은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의 볼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횡단선 기준선 상에 위치 설정되고, 횡단선 기준선은, (1)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2)갑피 부분의 발가락 단부와, 갑피 부분의 발가락 단부와 뒤꿈치 단부 사이의 중간과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부분은 제2 원점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원점 구멍은 중간선 기준선의 10 밀리미터 내에 그리고 원점 구멍과 뒤꿈치 단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는 제2 정렬 구멍을 더 포함하고, 제2 정렬 구멍은 제2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부분은 부직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는 편직물 또는 직물 재료인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부분은 일체형 풋베드 부분과 동연적인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0. 제9항에 있어서, 갑피 부분의 바깥쪽 측부에서 갑피 부분 발가락 단부와 풋베드 부분 발가락 단부의 교차점에 발가락 단부 예각이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제1 기준선의 뒤꿈치 방향에 있고, 제1 기준선은 중간선 기준선에 수직으로 그리고 갑피 부분 발가락 단부와 풋베드 부분 발가락 단부의 교차점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제2 기준선의 발가략 방향에 있고, 제2 기준선은 중간선 기준선에 수직으로 그리고 풋베드 부분의 안쪽 측부의 바닥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은, (1)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 사이에서 갑피 부분의 발가락 대 뒤꿈치 방향으로, 그리고 (2) a)중간선 기준선과 갑피 부분 발가락 단부의 교차점으로부터 갑피 부분 뒤꿈치 단부와 갑피 부분 바깥쪽 측부의 교차점까지 연장되는 바깥쪽 기준선; 및 b)중간선 기준선과 갑피 부분 발가락 단부의 교차점으로부터 갑피 부분 뒤꿈치 단부와 갑피 부분 안쪽 측부의 교차점까지 연장되는 안쪽 기준선 사이에서 갑피 부분의 안쪽 대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원점 구멍은 갑피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제2 원점 구멍은, (1)원점 구멍과 갑피 부분 뒤꿈치 단부 사이에서 갑피 부분의 발가락 대 뒤꿈치 방향으로, 그리고 (2)바깥쪽 기준선과 안쪽 기준선 사이에서 갑피 부분의 안쪽 대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구멍과 제2 원점 구멍은 신발류 플랫 패턴의 중족 개구 구역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플랫 패턴.
  16. 플랫 패턴으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갑피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원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원점 구멍은 신발류 물품의 중족 개구 구역 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단계;
    정렬 구멍을 갖는 오버레이를 갑피 부분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정렬 구멍은 원점 구멍과 정렬되는 것인 단계;
    원점 구멍을 갖는 갑피 부분의 중족 구역을 갑피 부분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중족 구역을 제거한 다음에,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원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는 1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홀을 갑피 부분을 통해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오버레이를 갑피 부분에 스티칭, 접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 구역을 제거하는 단계는 제거되는 갑피의 중족 구역과 접합된 오버레이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 구역은, (1)라스트 상에 배치될 때에 갑피 부분의 뒤꿈치 아래로 연장되는 중간선 기준선; 및 (2)라스트 상에 배치될 때에 갑피의 볼 구역을 따라 안쪽 대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폭 라인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77037751A 2015-05-29 2016-05-25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63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8639P 2015-05-29 2015-05-29
US62/168,639 2015-05-29
PCT/US2016/034143 WO2016196132A1 (en) 2015-05-29 2016-05-25 Footwear manufacturing with an origi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950A Division KR102209730B1 (ko) 2015-05-29 2016-05-25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182A true KR20180015182A (ko) 2018-02-12
KR102063237B1 KR102063237B1 (ko) 2020-01-07

Family

ID=561375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950A KR102209730B1 (ko) 2015-05-29 2016-05-25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177037751A KR102063237B1 (ko) 2015-05-29 2016-05-25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950A KR102209730B1 (ko) 2015-05-29 2016-05-25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84673B2 (ko)
EP (1) EP3302159B1 (ko)
KR (2) KR102209730B1 (ko)
CN (3) CN109700122B (ko)
MX (1) MX2017015386A (ko)
TW (3) TWM538720U (ko)
WO (1) WO2016196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38720U (zh) 2015-05-29 2017-04-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有平坦圖案的鞋類製品
US20180343958A1 (en) * 2017-05-30 2018-12-06 Nike, Inc. Braided upper for footwear with finished heel axis
US11457685B2 (en) 2017-05-30 2022-10-04 Nike, Inc. Double layer, single tube braid for footwear upper
US10905189B2 (en) 2017-05-31 2021-02-02 Nike, Inc. Braided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lat yarn
TWI712372B (zh) * 2017-05-31 2020-12-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自平坦圖案製造的具有側接縫的鞋類物品及其製造的方法
US11452338B2 (en) 2017-12-13 2022-09-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4450A (en) * 1962-11-18 1970-04-07 Soundwell Investments Ltd Shoe upper assembly
US4741062A (en) * 1985-09-06 1988-05-03 Roger Blanc Last for automated shoe manufacture
US20110088285A1 (en) * 2009-10-21 2011-04-21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40362079A1 (en) * 2011-11-18 2014-12-11 Nike, Inc. Automated 3-D Modeling Of Shoe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13A (en) * 1886-03-02 graff
US328543A (en) * 1885-10-20 John j
US1195825A (en) * 1916-08-22 Moccasijj
US292464A (en) * 1884-01-29 Upper for shoes
US393776A (en) * 1888-12-04 Boot or shoe
US318033A (en) * 1885-05-19 Petee j
US173303A (en) * 1876-02-08 Improvement in shoes
US320468A (en) * 1885-06-23 gillman
US197350A (en) * 1877-11-20 Improvement in shoes
US313635A (en) * 1885-03-10 Pattern for boot or shoe uppers
US440409A (en) * 1890-11-11 Swyny
US300526A (en) * 1884-06-17 Maetik l
US90252A (en) * 1869-05-18 Improved shoe-pattern
US361269A (en) * 1887-04-19 damer
US336214A (en) * 1886-02-16 John h
US567149A (en) * 1896-09-08 Margaretha marz and louisa sack
US761520A (en) * 1902-07-31 1904-05-31 Patrick Millar Matthew Calendering or friction-coating fabrics with rubber.
US1122884A (en) * 1911-12-06 1914-12-29 Eliason Mfg Company Heel-guard.
US1258024A (en) * 1916-10-23 1918-03-05 Charles E Laybourn Overshoe.
US1436463A (en) * 1921-02-05 1922-11-21 Myer S Silver Stocking protector
US1436479A (en) * 1921-02-05 1922-11-21 Codish George Sandal
US1710043A (en) * 1926-10-19 1929-04-23 Perking Campbell Company Art of making shoes
US1814518A (en) * 1929-09-05 1931-07-14 Boston Machine Works Co Shoe lining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1922051A (en) * 1930-11-26 1933-08-15 Charles Miller Shoe
US1956969A (en) * 1931-09-14 1934-05-01 Brown Co Shoemaking
US2034091A (en) * 1931-12-26 1936-03-17 Cambridge Rubber Co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US1947246A (en) * 1932-05-20 1934-02-13 Brauer Bros Inc Process of making shoes
US2027953A (en) * 1934-07-27 1936-01-14 Edwards & Co J Shoe
US2076285A (en) * 1935-05-18 1937-04-06 Holder Wiggin & Folan Inc Article of footwear
US2088158A (en) * 1935-11-20 1937-07-27 Dewey And Almy Chem Comp Method of lining shoe uppers
US2108415A (en) * 1936-03-14 1938-02-15 Louis W Simister Moccasin
US2297027A (en) * 1941-06-10 1942-09-29 Sbicca Frank Shoe
US2444822A (en) * 1946-05-02 1948-07-06 Emma E Griffin Bootee
US2471366A (en) * 1946-09-23 1949-05-24 Cassano Erminio Blank for shoe uppers
US2622052A (en) * 1948-09-02 1952-12-16 United Shoe Machinery Corp Method of making ornamented articles from sheet material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2630636A (en) * 1950-11-17 1953-03-10 Francis M Cockrell Flexible foot-hugging infant's shoe
US2950545A (en) * 1956-08-15 1960-08-30 Lowell Counter Company Shoe wherein the lasting margin of the upper is lasted in rearwardly of the heel breast line, and turned outwardly forwardly of said line and which has an insole which is connected to other parts of the shoe only by the upper lining
US3128567A (en) * 1963-08-23 1964-04-14 Leo A Huard Shoe
US3289330A (en) * 1964-03-05 1966-12-06 Us Shoe Corp Blank for a moccasin shoe
US3665793A (en) * 1970-01-23 1972-05-30 Lyn Flex Ind Inc Innersole forming strip
DE2220983A1 (de) * 1972-04-28 1973-10-31 Alfred Maeli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uhen
US3762075A (en) * 1972-07-27 1973-10-02 D Munschy Disposable shoe
US4031586A (en) 1974-05-09 1977-06-28 Von Den Benken Elisabeth Insole for footwear
US4001954A (en) * 1975-05-19 1977-01-11 Genesco, Inc. Shoe construction
US4149323A (en) * 1977-11-07 1979-04-17 Roy Norman A Footwear upper construction
US4255875A (en) * 1978-12-07 1981-03-17 Gilkerson Francis M Shoe with supportive girdle liner
US4265032A (en) * 1979-06-14 1981-05-05 Betherb, Inc. Expandable article of footwear
US4845862A (en) * 1987-03-11 1989-07-11 Burlington Industries, Inc. Cold weather footwear
US5099588A (en) * 1989-05-31 1992-03-31 Fisher Camuto Corporation Soft shoe with non-snag lining
WO1992022223A1 (de) * 1991-06-17 1992-12-23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formteils aus einer gewebebah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schuhformteil
US5499459A (en) * 1994-10-06 1996-03-19 H. H. Brown Shoe Company, Inc. Footwear with replaceable, watertight bootie
US5604997A (en) * 1995-02-24 1997-02-25 Nike, Inc.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32056A (en) * 1996-10-15 1999-08-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making stretch leather laminates and finished articles containing such laminates
US6299962B1 (en) * 1998-12-22 2001-10-09 Reebok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US6558784B1 (en) * 1999-03-02 2003-05-06 Adc Composites, Llc Composite footwear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footwear upper
US6449879B1 (en) * 2001-02-02 2002-09-17 Nike, Inc. Sports shoe with integral tongue and lacing system
US20030131498A1 (en) * 2002-01-15 2003-07-17 Liang Ming Tu Waterproof shoe structure
JP4505212B2 (ja) * 2003-01-10 2010-07-21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及びこれに用いるダブルラッセル経編地
US7065820B2 (en) * 2003-06-30 2006-06-27 Nike, Inc. Article and method for laser-etching stratified materials
US6990755B2 (en) *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7347011B2 (en) *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WO2005104891A1 (en) * 2004-04-23 2005-11-10 Curry David R Interchangeable footwear component
US7634831B2 (en) * 2004-06-04 2009-12-22 Nike, Inc. Footwear products, methods for making footwear products, and structures used in making footwear products
US20060112594A1 (en) * 2004-12-01 2006-06-01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60117606A1 (en) * 2004-12-03 2006-06-08 Eddie Chen Shoe having a protective wrap
US20060137223A1 (en) * 2004-12-29 2006-06-29 Jean Ziccarelli Footwear item having a flexible impermeable liner in contact with a foot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footwear item
US7637032B2 (en) * 2005-07-29 2009-12-29 Nike, Inc. Footwear structure with textile upper member
US20070062067A1 (en) * 2005-09-16 2007-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Boot with interchangeable booties
FR2894114B1 (fr) * 2005-12-06 2008-04-18 Salomon Sa Element d'isolation thermique et vetement, chaussure munie d'un tel element
CN101370404A (zh) * 2005-12-13 2009-02-18 阿里斯代尔·考克本 用于具有足跟支撑的露跟式足部装备的装备和方法
US7665229B2 (en) * 2006-03-31 2010-02-23 Converse Inc. Foot-support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7849609B2 (en) * 2006-03-31 2010-12-14 Nike, Inc. Interior and upper member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20070245595A1 (en) * 2006-04-25 2007-10-25 Eddie Chen Shoe with an upper made of a flat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hoe
US7870681B2 (en) * 2006-05-25 2011-01-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US7546698B2 (en) * 2006-05-25 2009-06-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US7543397B2 (en) * 2006-09-28 2009-06-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fencing
US8544191B2 (en) * 2007-04-10 2013-10-0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mooth shoe upp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US9572402B2 (en) * 2007-10-23 2017-02-21 Nike, Inc.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US7987617B2 (en) * 2007-11-13 2011-08-02 Nike, Inc. Self assembled article of footwear with customized designs
WO2010037033A1 (en) 2008-09-26 2010-04-01 Nike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 midsole with heel support
WO2010037032A1 (en) 2008-09-26 2010-04-01 Nike International Ltd. Shoe with a flat formed shoe upper
US20100199406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8321984B2 (en) * 2009-10-21 2012-12-04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34245B2 (en) * 2009-11-09 2013-05-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gral upper and sole
TWI533816B (zh) * 2011-01-20 2016-05-21 Multi - layer composite upper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789295B2 (en) * 2011-02-08 2014-07-29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8925129B2 (en) * 2012-02-24 2015-01-06 Nik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
US9320312B2 (en) 2012-08-30 2016-04-26 Nike, Inc. Composite upper for shoe with selectively disposed bonding agent
US9498023B2 (en) * 2012-11-20 2016-11-22 Nike, Inc.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US20140202034A1 (en) * 2013-01-23 2014-07-24 Nike, Inc. Anti-Stretch Treatment Of Leather For Articles Of Footwear
US9351540B2 (en) * 2013-02-14 2016-05-31 Nike, Inc. Last with retractable pins
US9936757B2 (en) * 2013-03-04 2018-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tegrally knit contoured portion
US8701232B1 (en) * 2013-09-05 2014-04-22 Nike, Inc.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trimmed knitted upper
US10092058B2 (en) * 2013-09-05 2018-10-09 Nike, Inc.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upper with tensile strand
US9220318B2 (en) * 2013-09-27 2015-12-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djustable fitting system
DE102013221018B4 (de) * 2013-10-16 2020-04-02 Adidas Ag Speedfactory 2D
KR101437472B1 (ko) * 2014-04-15 2014-11-04 송수복 신발 갑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발
US9968156B2 (en) * 2014-05-30 2018-05-15 Nike,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of warp knit construction forming a seamless bootie with tucked-in portion
US9877536B2 (en) * 2014-05-30 2018-01-30 Nike,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of warp knit construction forming a seamless bootie with wrap-around portion
FR3024022B1 (fr) * 2014-07-22 2017-04-28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US9877539B1 (en) * 2015-02-03 2018-01-30 Donald Jackrel Method of manufacturing footwear
TWM538720U (zh) * 2015-05-29 2017-04-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有平坦圖案的鞋類製品
US11324282B2 (en) * 2016-05-16 2022-05-10 Adidas Ag Three-dimensionally thermo-molded footwear
US11452338B2 (en) * 2017-12-13 2022-09-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4450A (en) * 1962-11-18 1970-04-07 Soundwell Investments Ltd Shoe upper assembly
US4741062A (en) * 1985-09-06 1988-05-03 Roger Blanc Last for automated shoe manufacture
US20110088285A1 (en) * 2009-10-21 2011-04-21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40362079A1 (en) * 2011-11-18 2014-12-11 Nike, Inc. Automated 3-D Modeling Of Shoe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446A (ko) 2020-01-13
CN109700122B (zh) 2021-06-04
US11771175B2 (en) 2023-10-03
EP3302159B1 (en) 2020-10-21
CN109700122A (zh) 2019-05-03
TWI637702B (zh) 2018-10-11
CN106174879A (zh) 2016-12-07
TW201842862A (zh) 2018-12-16
TWM538720U (zh) 2017-04-01
US11284673B2 (en) 2022-03-29
CN106174879B (zh) 2019-04-12
TWI727198B (zh) 2021-05-11
TW201641038A (zh) 2016-12-01
KR102063237B1 (ko) 2020-01-07
MX2017015386A (es) 2018-03-09
US20170290391A1 (en) 2017-10-12
KR102209730B1 (ko) 2021-01-29
EP3302159A1 (en) 2018-04-11
WO2016196132A1 (en) 2016-12-08
CN205831191U (zh) 2016-12-28
US20220175088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082B1 (ko)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94016B1 (ko) 플랫 패턴 갑피를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63237B1 (ko)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48380B1 (ko) 사전 절단부를 갖는 신발류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