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694A -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694A
KR20180014694A KR1020177032974A KR20177032974A KR20180014694A KR 20180014694 A KR20180014694 A KR 20180014694A KR 1020177032974 A KR1020177032974 A KR 1020177032974A KR 20177032974 A KR20177032974 A KR 20177032974A KR 20180014694 A KR20180014694 A KR 2018001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frequency resource
information
tim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휴안칭 젱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을 제출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지국은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타입 통신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시키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본 발명은 2015년 5월 29일에 출원한 발명의 명칭이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인 제201510292277.0호 선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출원의 내용을 인용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 병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주로 사람과 사람 간의 음성 통신을 대상으로 하며,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의 도입은 전통적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5G로 칭할 수 있음)는 사람을 서비스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인 음성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외에 각종 시나리오에서의 MTC 응용, 예를 들어, 공업, 농업, 지능형 교통, 스마트 홈, 스마트 미터 및 지진 해일 화재 모니터링 등 각종 스마트 모니터링 등을 포함할 것이다.
대규모 응용의 MTC는 응용 시나리오가 전통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과 매우 다르므로 무선 통신 기술에 일련의 신규 요구를 제출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센서 타입의 장치는 배치 수량이 크고 대부분 배터리로 전력을 제공하므로, 저비용, 저전력 소모, 큰 주기 작은 데이터 패킷 전송, 시간 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등 특성이 있다. 공업 생산,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 지능형 교통 등 시나리오의 머신 통신은 통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도록 극히 작은 시간 지연, 고신뢰성 및 고가용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신규 특성은 5G 시스템이 일련의 신규 기술을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신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전문 기술을 사용하거나 성숙된 2/3/4G 통신 모듈을 사용한다. 전문 기술의 모듈을 사용하는 것은 규모적 효익을 얻기 어렵다.
일부 기술은 4G 이동 통신 기술의 기초상 개진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머신 통신 장치를 그루핑(grouping)하여 자원을 공유하는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방안은 여전히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시스템 배치의 유연성을 낮추며, 일부 단말기 전력 소모가 커져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키기 쉬우며,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무선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이 상대적으로 많은 등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2/3/4G 이동 통신 기술은 설계 초기에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을 필요 요소로 고려하지 않았기에 복잡도 및 전력 소모 등 측면에서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머신 타입 통신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은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은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은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과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 유닛; 및
상기 할당 유닛이 할당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제4 측면은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송신 유닛이 송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제5 측면은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과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할당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제6 측면은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지국은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타입 통신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설명 중의 첨부 도면이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임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럭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럭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전부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TC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으로 불리우기도 하지만 MTC는 머신 간의 통신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인간-기기 상호작용 통신도 포함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지국은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3G) 중의 NodeB,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4G)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미래 5G에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노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단말기는 MTC 단말기를 가리키며, MTC 장치로 불리울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미터, 스마트 착용형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은 기지국(10), 단말기(20) 및 네트워크 장치(30)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30)는 무선 접속망, 사용자 식별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사용자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인증 서버 및 MTC 서비스 주문 서버(MTC service subscription server)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 기지국(10)은 방송(broadcast)의 형식으로 셀 방송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상기 셀 방송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 방송 정보는 셀의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셀의 기본 파라미터는 셀 식별자(ID), 셀 주파수 포인트, 셀 주파수 대역폭, 안테나 수, 셀 전송 환경 유형, 셀 자원 사용률,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셀 방송 정보가 방송을 진행하는 시각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 전송 환경 유형은 실내(indoor), 고밀도 도심지역(dense urban), 도심지역(urban), 교외(sub-urban), 시골(rural)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프레임은 시간 상 길이가 같거나 같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가 같지 않은 경우, 제R-i(i=1, 2, …, R-1)번째 시스템 프레임 중의 시스템 정보는 제R 번째 시스템 프레임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는 단말기의 신뢰성 있는 수신을 보장하기 위하여, 번호가 R-i 내지 R-1인 시스템 프레임에서 1차 내지 i-1차 방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셀 방송 정보는 복수 개 가중치(가중 계수로도 불리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 가중치와 복수 개 판단 근거(judgment basis)는 일일이 대응하며, 판단 근거는 단말기(20)가 등록을 개시(Initiate)하겠는지를 판단하는 근거이다. 여기서, 복수 개 가중치는 기지국(10)이 MTC 서비스 특성, 시스템 자원 사용 정황 등 요소에 의해 확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중치 및 단말(20)이 등록을 개시하겠는지를 판단하는데 관한 내용은 후속 S103 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셀 방송 정보는 기지국(10)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전용 주파수 상에서 사전 설정한 송신 전력보다 낮지 않은 송신 전력으로 방송하여 송신한 것일 수 있다. 여기의 전용 주파수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대, 예를 들어 기존의 2/3/4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최저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대일 수 있다. 여기의 사전 설정한 송신 전력은 기존의 2/3/4G 시스템 중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최대 송신 전력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딥 커버리지(deep coverage, 실내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음)를 구현할 수 있고, 실제 데이터 서비스를 책임진 셀(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작음)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셀이 직접 조정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셀 방송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 또는 시스템 중앙/지역 스케줄러 등이 복수 개 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큰 지역 내에서 송신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는, 이해할 것은, 셀 방송 정보는 기지국(10)이 운영업체에서 사전 설정한 주파수에서 사전 설정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한 주파수는 150M Hz이고, 사전 설정한 송신 전력은 25W이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10)이 위치한 셀 내의 단말기는 상기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상기 기지국(10)이 위치한 셀 밖의 단말기도 상기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부팅된 후 셀 방송 정보를 검색하며, 단말기(20)는 복수 개 기지국에서 각각 송신한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는 수신된 셀 방송 정보에 따라 후속 메시지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셀 방송 정보는 폴링 명령의 송신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후속 상기 송신 위치에서 폴링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S102: 기지국은 폴링(polling) 명령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 주기적으로, 방송의 형식으로 상기 폴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폴링 명령은 기지국(10)이 셀 자원의 사용 정황, 머신 타입 통신의 서비스 요구 등 요소에 따라 확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셀 자원의 사용 정황은 셀 부하, 셀 액세스 자원의 사용 정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S101에서 셀 방송 정보에 폴링 명령의 송신 위치가 포함되면, S102에서 단말기(20)는 상기 송신 위치에서 상기 폴링 명령을 수신한다.
폴링 명령은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 개 액세스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자원은 등록 시간 주파수 자원 또는 등록 원도우로 불리울 수도 있으며, 기지국(10)이 할당한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등록 원도우를 가리킨다. 이해할 것은, 등록 원도우의 위치는 곧 액세스 자원의 위치이다.
등록 원도우의 구체적인 위치와 등록 원도우 내에서 단말기가 등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자원의 수량 및 유형은 폴링 명령에 의해 지시된다. 액세스 자원은 슬롯(slot)으로도 불리우며, 기지국(10)은 단말에서 기지국까지의 거리의 멀고 가까움, 무선 신호 전송 경로 소모 등에 따라 크기가 다른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크기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상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 액세스 자원 중의 각 액세스 자원은 위치 정보와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유형에 따라 액세스 자원에 대해 번호를 매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것을 긴 액세스 자원(long slot으로 불리우기도 함), 일반적인 액세스 자원을 일반 액세스 자원(normal slot으로 불리우기도 함)으로 부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 액세스 자원은 복수 개 긴 액세스 자원과 복수 개 일반 액세스 자원을 포함한다. 또한, 폴링 명령이 지시한 액세스 자원은 아래 방식에 따라 번호를 매길 수 있다. 즉, long slot: 1…L, normal slot: 1…N. L는 긴 액세스 자원의 수량을 가리키고, N은 일반 액세스 자원의 수량을 가리킨다.
이 외에, 액세스 자원의 위치 정보와 번호 정보는 대응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와 번호는 어떤 방식으로 관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동일한 타이밍에 주파수 상 인접하거나 간격을 두며, 또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시간 상 연속되거나 간격을 두며, 또는 시간/주파수가 2차원 분포를 나타내는바, 예를 들어 스태거드(staggered) 방식 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 및 번호 정보에 따라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의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폴링 명령은 지난번 폴링의 액세스 자원의 수량과 자원 사용 정황을 더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사용 정황은 전부 사용(FULL), 고도 사용(HIGH), 중도 사용(MEDIUM) 및 저도 사용(LOW) 중의 하나일 수도 있고, 사용 자원의 백분비 또는 나머지 자원의 백분비일 수도 있다.
이 외에, 폴링 명령은 피드백 자원을 더 지시할 수 있으며 등록을 진행하지 않는 단말기가 피드백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폴링 명령은 전용 액세스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기가 상기 전용 액세스 자원을 사용하여 액세스하는데 사용된다.
S103: 단말기(20)는 상기 폴링 명령에 따라 등록을 진행한다.
폴링 명령이 전용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단말기(20)가 서비스 우선순위(단말기의 서비스 구독 정보에 의해 결정)가 높은 단말기이면, 단말기(20)는 상기 전용 액세스 자원을 직접 사용하여 등록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S102에서 단말기(20)가 복수 개 기지국이 송신한 폴링 명령을 수신하면, 단말기(20)는 먼저 복수 개 기지국에서 하나의 기지국을 선정하여 등록을 진행하여야 하며 선정된 하나의 기지국을 기지국(10)라고 가정한다.
이해할 것은, 단말기(20)가 S101에서 복수 개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 개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S102에서 복수 개 기지국이 송신한 복수 개 폴링 명령을 수신하면, S103에서 단말기(20)는 상술한 정보에 따라 복수 개 기지국 중의 각 기지국과의 전송 경로 소모를 계산하고 또한 복수 개 기지국 중의 각 기지국과의 전송 경로 소모에 따라 상기 복수 개 기지국에서 하나의 기지국을 선정하여 등록을 진행한다.
단말기(20)가 기지국(10)과의 전송 소모를 계산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단말기(20)와 기지국(10)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시 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이다.
S101에서 기지국(10)이 송신한 셀 방송 정보는 다운링크 송신 전력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셀 총 송신 전력과 어느 한 시각, 주파수 위치에서 이미 알고 있는 내용과 시간 길이의 서열(예컨대 공통 참조 신호 또는 beacon 신호)의 송신 전력이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서로 다른 기지국은 서로 다른 시간, 주파수 위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서열을 송신하며, 이는 서로 다른 기지국 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기지국은 서로 다른 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20)는 기지국(10)의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할 때 수신 전력 추정을 진행하여 단말기(20)가 상기 셀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실제 수신 전력을 확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 전력 및 상기 실제 수신 전력에 따라 단말기(20)와 기지국(10) 간의 전송 경로 소모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 전력과 상기 실제 수신 전력의 차이값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전송 경로 소모의 계산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기(20)는 셀 방송 정보를 여러 차 수신하고 여러 차 추정한 전송 경로 소모를 평활화(Smoothing)한다. 또는, 단말기(20)는 수신된 기지국(10)과 인접한 다른 한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의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산출된 전송 경로 소모에 대해 간섭 제거를 진행하여 정확도를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단말기(20)는 기지국(10)과의 전송 경로 소모에 따라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유형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경로 소모가 사전 설정한 소모 임계치보다 크면,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유형을 긴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고, 아니면 일반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한다.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유형을 긴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면, 단말기(20)는 그 후 복수 개 긴 액세스 자원(전술한 바와 같이, L개)에서 하나의 액세스 자원을 선정한다.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유형을 일반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면, 단말기(20)는 그 후 복수 개 일반 액세스 자원(전술한 바와 같이, N개)에서 하나의 액세스 자원을 선정한다. 선정된 하나의 액세스 자원을 제1 액세스 자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후 단말기(20)는 상기 제1 액세스 자원에서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20)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셀 방송 정보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폴링 명령을 수신한 타임 스탬프에 따라, 상기 복수 개 긴 액세스 자원 또는 상기 복수 개 일반 액세스 자원에서 상기 제1 액세스 자원을 선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20)는 상기 단말기의 ID, 셀 방송 정보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폴링 명령을 수신한 타임 스탬프에 따라 해싱 함수(Hashing function)의 방법을 이용하여 특징 서열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특징 서열에 따라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액세스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단말기의 ID는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코드(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일 수 있다. 해싱 함수는 해시(HASH) 함수, 예를 들어 MD5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싱 함수의 방법을 이용하고 후속 처리를 거쳐 특징 서열을 생성할 수 있다. 후속 처리는 순환 시프트, 랜덤 시프트, 다른 서열과의 배타적 논리합(XOR) 등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확정된 유형이 긴 액세스 자원이면, 단말기(20)는 상기 특정 서열의 2진법 형식의 마지막 비트의 수치에 따라 상기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은 올림을 나타내고, 은 상기 긴 액세스 자원의 수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L=16이면, 마지막 4 비트는 '1111b'이고, L=14이면, '1101b'이다. 전술한 확정된 유형이 일반 액세스 자원이면, 단말기(20)는 상기 특정 서열의 2진법 형식의 마지막 비트의 수치에 따라 상기 사용할 액세스 자원의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으며, 는 올림을 나타내고, 은 상기 긴 액세스 자원의 수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가 선정한 액세스 자원이 시간과 주파수 상에서 유일하며, 서로 다른 단말기 간의 등록 과정 충돌 확율이 매우 낮도록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S102 후에 단말기(20)는 먼저 등록을 개시하겠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S102 중의 폴링 명령이 위치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 단말기가 부팅될 때 검색된 시스템 프레임 번호, S102 중의 폴링 명령이 지시하는 액세스 자원의 수량, S102 전의 지나번 폴링의 자원 사용 정황 등에 따라, 등록을 개시하겠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가 부팅될 때 검색된 시스템 프레임 번호는 셀 방송 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20)는 복수 개 판단 근거를 설정하고 각 판단 근거에 대응하는 값을 계산하여 판단 근거의 특성값으로 부를 수 있다. 다음, 단말기(20)는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에 따라 판단 특성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판단 특성값의 크기에 따라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하겠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등록을 개시하는 것은 액세스 요청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 특성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면,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할 것을 확정한다. 판단 특성값이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하지 않을 것을 확정한다. 제1 임계치는 제2 임계치보다 크다.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는 기지국(10)이 현재 셀 상태에 따라 확정하고 폴링 명령에 포함시켜 단말기(20)에 송신한 것일 수 있다. 기지국(10)이 폴링 명령에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를 송신하지 않았으면, 단말기(20)는 셀 방송 정보 및 셀 자원의 사용 정황 등에 따라 자체로 계산하여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201 중의 상기 폴링 명령이 위치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와 상기 단말기가 부팅될 때 검색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 사이의 차이값의 절대치를 제1 판단 근거의 특성값으로 할 수 있다. S102 중의 폴링 명령이 지시한 액세스 자원의 수량을 제2 판단 근거의 특성값으로 할 수 있다. S102 전의 지난번 폴링의 자원 사용 비례의 역수를 제3 판단 근거의 특성값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20)에 단말기(20)의 등록 지연을 나타내는 횟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카운터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등록을 지연한 횟수(카운터의 값)를 제4 판단 근거의 특성값으로 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상기 폴링 명령이 위치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와 상기 단말기가 부팅될 때 검색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 사이의 차이값의 절대치가 클수록, 단말기(20)가 등록 못한 시간이 긴 것을 설명하며, 단말기(20)가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할 우선순위가 높다. 등록을 지연한 횟수가 많을 수록, 즉 카운터의 값이 클수록, 단말기(20)가 등록하지 못한 폴링 횟수가 많은 것을 설명하며, 단말기(20)가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할 우선순위가 높다.
이해할 것은, S102 중 폴링 명령이 지시한 액세스 자원의 수량이 많을 수록, 또는 S102 전의 지난번 폴링의 자원 사용 비례가 작을 수록, 금번 폴링 중의 가용 자원이 많은 것을 설명하며, 단말기(20)가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진행하는 성공률이 높다.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의 합을 판단 특성값으로 하거나, 단말기(20)는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의 가중치 합을 판단 특성값으로 할 수 있다.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의 가중치(가중 계수로도 불리움)는 기지국(10)이 셀 방송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기(20)에 송신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MTC 서비스 특성, 셀의 자원 사용률 등 요소에 따라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셀 방송 정보에 포함된 가중치는 서로 다를 수 있음), 이는 시스템의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고 단말기의 액세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셀 방송 정보에 가중치가 포함되지 않으면, 가중치(가중 계수로도 불리움)는 단말기(20)가 MTC 서비스 특성 등 요소에 따라 확정할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판단 특성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면,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할 것을 확정한다. 단말기(20)는 등록을 개시할 것을 결정한 후,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등록에 성공한 후, 카운터(등록을 지연한 횟수)를 클리어(clear)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20)는 등록에 성공한 후, 등록을 수행할 때의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판단 특성값이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하지 않을 것을 확정한다. 그 후, 단말기(20)는 카운터(등록을 지연한 횟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바, 즉 카운터에 1을 가한다. 단말기(20)는 각 판단 근거의 특성값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해할 것은, 단말기(20)가 기지국(10)에 송신한 제4 판단 근거의 특성값은 업데이트 후의 카운터의 값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단말기(20)는 산출된 기지국(10)과의 전송 경로 소모에 따라, 폴링 명령이 지시한 복수 개 액세스 자원에서 하나의 액세스 자원(제2 액세스 자원으로 가정)을 선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20)는 기지국(10)으로 하여금 단말기(20)의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개시하지 않는 결정을 알도록, 제2 액세스 자원에서 피드백 메시지를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메시지는 제2 액세스 자원의 특정 부호(symbol)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특정 신호, 예를 들어 '1' 또는 다른 짧은 서열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원을 절약하고 피드백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후속 기지국의 처리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102 중의 폴링 명령이 피드백 자원도 지시하면, 단말기(20)가 등록을 개시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 경우, 피드백 자원에서 피드백 메시지를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피드백 메시지는 단말기(20)가 등록을 진행하지 않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속 기지국(10)은 피드백 메시지에 따라 네트워크 최적화를 진행하여 다음번 폴링 중 단말기(20)가 등록하는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0)는 복수 개 액세스 자원에서 하나의 액세스 자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제3 액세스 자원으로 가정하며, 단말기(20)는 상기 제3 액세스 자원의 앞부분의 일부 시간을 먼저 보류하고 그 후 상기 보류된 시간에서 감시할 수 있으며, 단말기(20)가 상기 보류된 시간에 특징 서열이 존재함을 발견하면, 단말기(20)는 등록을 지연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20)는 피드백 메시지를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단말기(20)가 등록을 지연한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보류된 시간에 감시된 특징 서열은 다른 이미 등록한 단말이 송신한 것이며, 다시 말하면, 단말기(20)가 금번 폴링에서 등록을 진행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 것은 다른 단말기와 상기 제3 액세스 자원에서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10)은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 후, 피드백 메시지에 따라 추가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은 복수 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복수 개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0)은 복수 개 피드백 메시지의 신호의 분포 및 전력에 따라 '액세스 포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 수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현재 셀 무선 자원 할당 정황 등 정보를 결합하여 다음번 폴링의 시간 및 할당한 액세스 자원을 확정하여 MTC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되도록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은 피드백 메시지에 따라 다음번 송신할 폴링 명령이 지시하는 액세스 자원의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20)가 기지국(10)에 송신한 피드백 메시지는 단말기(20)가 등록을 개시하지 않는 원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인이 현재 셀의 나머지 무선 자원이 부족하여 등록하지 않은 단말의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음을 지시하면, 기지국(10)은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비스 업체에서 용량 확장 등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네트워크 및 MTC 서버에 리포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은 상기 기지국이 후속 용량 확장을 진행하도록 경보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단말기(20)가 등록을 개시하지 않는 과정, 및 기지국(10)이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등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말기(20)가 등록을 진행하는 과정을 가정한다.
S104: 단말기(20)는 등록 정보를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일예로, 단말기(20)는 전술한 산출된 기지국(10)과의 전송 경로 소모 그리고 셀 방송 정보 중의 셀 전송 환경 유형에 따라, 단말기(20)와 기지국(10)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여 단말기(20)가 상기 등록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 어드밴스 량(time advance value)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104에서, 단말기(20)는 상기 시간 어드밴스 량에 따라 등록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한 예로, 단말기(20)는 전술한 산출된 기지국(10)과의 전송 경로 소모 그리고 메시지를 리포팅하는 변조 및 코딩 방식에 따라, 기지국(10)이 리포팅 정보를 정확히 복조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 기초상 적당한 허용치(allowance)를 추가하여 업링크 송신 전력으로 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두 예의 결합으로서, 단말기(20)는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을 이용하고, 상기 시간 어드밴스 량을 이용하여 등록 정보를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104 후에, 단말기(20)가 사전 설정한 시간 내에 기지국(10)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기(20)는 상기 등록 정보를 재전송한다. 단말기(20)는 특정한 시간에 상기 등록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는 ACK 또는 NACK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후 여전히 기지국(10)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기(20)는 휴면 상태에 들어 간다. 최대 재전송 횟수는 사전 설정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5회이다.
여기서, 등록 정보는 단말기의 ID 및 단말기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ID는 IME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유형은 단말기의 속도 정보,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의 유형은 단말기의 능력, 예를 들어 단말기의 시간 지연 요구 정보, 단말기의 에너지 절약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05: 단말기(20)는 네트워크 장치(30)와 인가 인증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가 초기 등록을 완성한 후, 네트워크 장치(30)는 기지국(10)을 통해 단말기(20)에 대한 인가 지시 정보를 단말기(20)에 송신하여 단말기(20)가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리포팅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단말기 신원은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일 수 있다. 그 후, 단말기(20)는 상기 단말기 신원과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10)에 송신하며, 기지국(10)은 인가 인증을 완성하도록 상기 단말기 신원과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30)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20)는 단말기(20)의 배터리 용량 정보 및 단말기(20)의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기지국(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기지국(10)은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단말기(20)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기지국(10)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이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복조하는데 실패하면, 기지국(10)은 명령 정보를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 정보는 단말기(20)가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향상하도록 지시한다.
S106: 기지국(10)은 단말기(20)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인가 인증을 완성한 후,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기(20)를 위해 리포팅 방식을 할당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팅 방식은 주기적이거나 비주기적일 수 있다(여기서 비주기적인 것은 구성된 또는 스케줄링 기반으로 불리울 수도 있음).
리포팅 방식은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속 단말기(20)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리포팅할 수 있다.
주기적 방식의 경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주기적 방식의 경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은 시드 값(Seed value)에 의해 생성한 2차원 시간 주파수 위치 서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어떤 종류의 근거를 이용하고 어떤 종류의 수학적 계산 방법을 거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된 근거는 데이터를 리포팅하는데 점용한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존의 셀 자원 할당 정황, 셀 정보, 단말기의 로컬 ID 또는 단말기가 최초 시스템 동기화를 진행한 시각(타임 스탬프), 또는 전술한 몇몇의 결합 등일 수 있다. 수학적 계산 방법은 hash 함수 또는 서열 함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포팅 주기는 고정된 시간 간격일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머신 타입 통신의 서비스 수요에 따라 확정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몇 초일 수도 있고 몇 일일 수도 있다.
비주기적 방식의 경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한다. 리포팅 횟수를 K라고 가정하면, K는 임의의 정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K=1 또는 K=10이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은 다음번 또는 다음 K번째 리포팅에 사용할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단말기(20)에 알려 준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단말기(20)에 유일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이 서로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는 서로 다르다. 또는, 기지국(10)은 공간 분리 등 특성을 이용하고 단말기에 대해 투명한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 MIMO)의 방식으로 복수 개 단말기에 동일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이 단말기(20)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기지국(10)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용량을 향상할 수 있으며, 배치 위치가 고정된 MTC 시스템에 대해 페어링(pairing)에 적합한 복수 개 MTC 단말기를 찾기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효과도 더 좋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예로, 기지국(10)은 다른 복수 개 기지국이 산출한 단말기(20)에 대한 복수 개 수신 전력 소모를 획득할 수 있으며, 기지국(10)은 기지국(10)의 수신 전력 소모 및 상기 복수 개 수신 전력 소모 그리고 기지국(10)과 다른 복수 개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전송 특성에 따라, 단말기(20)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20)의 위치에 따라, 단말기(20)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10)은 단말기(20)와 각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단말기(20)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지역의 전송 특성은 디지털 맵 및/또는 셀 소재지의 전송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S107: 기지국(10)은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단말기(20)에 송신한다.
S107 전에, 기지국(10)은 단말기(20)를 위해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연결은 단말기(20)가 연결(RRC_CONNECTED) 상태가 되도록, 무선 자원 연결(Radio Resource Connection, RRC)일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10)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선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기(20)가 장기간 휴면 상태에 들어가더라도 기지국(10)은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지 않으며, 이는 대량의 MTC 단말기 연결 상태 전환으로 인한 현저한 신호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할 것은, 후속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0) 또는 단말기(20)가 송신한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30) 또는 단말기(20)가 종료 요청을 송신하는 원인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30)는 MTC 서비스 임대계약이 만료되거나 체불 시 종료 요청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는 배터리 전력이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보다 작을 때, 경보 정보를 송신하고 종료 요청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는 단말기(20)의 배터리 용량의 5% 또는 3%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예로, S107 전에, 기지국(10)은 단말기(20)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를 S107 전 또는 후에, 또는 S107과 동시에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의 길이는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상기 식별자의 길이는 단말기의 ID의 길이보다 작다.
이해할 것은, 이때 기지국(10)은 로컬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ID의 일부 문자를 상기 유일한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ID가 hash 함수 등을 거쳐 생성된 상대적으로 짧은 문자를 상기 유일한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bit 식별자는 65535개 단말기를 대표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10)은 상기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하여 단말기(20)를 위해 주소 코딩을 진행하고, 단말기(20)를 호출하는 과정에 단말기(20)의 ID 대신 모두 상기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식별자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ID를 대체하여, 전송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단말기(20)의 배터리 소모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IPv4 패킷 헤더 길이가 24 바이트이므로 ROHC 등 헤더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도 극히 적은 량의 데이터를 리포팅하는 MTC 응용에 있어서 여전히 매우 큰 오버헤드이며 장치 배터리 수명을 엄청나게 단축시킨다. 따라서, S107 전에, 기지국(10)은 단말기(20)에 로컬 짧은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30)에 송신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로컬 짧은 주소는 IP 주소의 형식, 예를 들어 10.x.x.x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로컬 짧은 주소는 ID 형식일 수도 있으며, ID 형식의 로컬 짧은 주소는 기지국의 용량에 따라 설정한 것이거나 단말기의 ID(예컨대 IMEI)보다 많이 짧은 수치, 예를 들어 12 비트의 2진법 수자로 지시하는 0 내지 4095의 번호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로컬 짧은 주소는 다른 형식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10)은 식별자와 로컬 짧은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이해할 것은, 후속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기지국(10)은 주소 번역의 작업을 책임진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단말기(20)가 송신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식별자를 포함한다. 기지국(10)은 상기 식별자를 상기 로컬 짧은 주소로 대체한 후 네트워크 장치(30)에 송신한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은 단말기(20)가 네트워크 장치(30)에 송신한 데이터 패킷에 식별자와 대응하는 로컬 짧은 주소를 추가하여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데이터 패킷의 송신측 주소로 한다.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0)가 송신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에 할당한 로컬 짧은 주소를 포함한다. 기지국(10)은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식별자로 대체한 후 단말기(20)에 송신한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0)가 단말기(20)에 송신한 데이터 패킷을 언패킹하고, 데이터 패킷 중의 부하(payload) 부분에 식별자를 추가한 후 단말기(20)에 송신한다.
또는, 다른 한 실시예로서, 단말기(20)와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로컬 IP 주소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0)과 네트워크 장치(30)는 로컬 짧은 주소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로컬 IP 주소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또한, 후속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기지국(10)은 단말기(20)의 로컬 IP 주소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의 두 개 주소의 번역 작업을 책임진다.
S108: 단말기(20)는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확정한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에 따라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선정할 수 있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에 따라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S109: 단말기(20)는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는 S108이 확정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10)에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S107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가 포함되면, 단말기(20)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10)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한 횟수는 상기 리포팅 횟수일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20)는 이벤트 트리거를 기반으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벤트 트리거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팅 우선순위는 전술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른 리포팅보다 높을 수 있다. 주의할 것은, 기지국(10)은 단말기(20)가 이벤트 트리거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팅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구비함을 알도록, 전술한 셀 방송 정보 또는 폴링 명령에 우선순위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단말기(20)가 기지국(10)에 송신한 메시지에는 우선순위의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10)은 고 우선순위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때에 처리하고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트리거를 기반으로 하는 리포팅은, 운동 센싱 센서가 운동 물체를 검출하거나 위험 화학품 센서가 누설을 검출한 등 일 수 있다.
주의할 것은, S109에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이 부족하면, 즉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이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용납하기에 부족하면, 기지국(10)이 상기 단말기(20)에 적합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을 다시 할당하도록, 단말기(20)는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10)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109 후에, 단말기(20)는 휴면 상태에 들어 갈수 있다. 즉, 단말기(20)는 업링크 데이터 패킷의 리포팅 과정이 종료된 후 휴면 상태에 들어 가며 다음번 스케줄링 시간까지 유지하며, 이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말기(20)를 위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20)의 로컬 클럭 소스의 정밀도가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고, 단말기(20)의 휴면 시간 또한 흔히 매우 길기 때문에, 예를 들어 몇일, 상기 단말기(20)는 휴면에서 깨여난 후, 먼저 시간 보정(time calibration)을 진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은 로컬에서 하나의 상대적 시간 오프셋(relative time offset)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지국(10)은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방송의 형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또는 정시로 송신할 수 있다.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이다. 이해할 것은, 여기의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절대시간이 아닐 수 있다.
단말기(20)는 휴면 상태에서 깨여 난 후, 기지국(10)이 송신한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감시하며 저장된 시간 기준 및 상대적 시간 오프셋에 따라 시간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0)는 리포팅 시각 전의 하나 또는 몇 개 SFN 주기에 깨여나 SFN 정보를 감시하고, 그 전에 상기 단말기(20)가 등록 시 또는 기지국(10)이 시간 동기화를 개시할 때 저장된 시간 기준과 비교하여, 시간 편차를 확정하고 시간 보정을 진행한다. 시간 기준은 수신된 SFN에 비해 x 마이크로 초 편이할 수 있다. 기지국(10)에 있어서, 기지국(10)은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예컨대 시스템 프레임 번호)만 유지하면 되며, 기지국(10)은 위치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 등을 통해 절대시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더하면 단말기(20)가 리포팅한 구체적인 시각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20)가 등록을 완성하면, 기지국(10)은 시간 조절 명령을 개시하여 시간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 후 단말기(20)는 휴면에서 깨여날 때마다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통해 기지국(10)과 시간을 다시 일치시키며, 이에 따라 정확한 시각에 리포팅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보장한다.
단말기가 배치 후 즉시 정지를 유지하고 기지국이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무선 전송 경로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전송 딜레이도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으며, 이러한 시간 보정 방법은 정밀도가 충분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필요하면(예를 들어, 리포팅 정보의 불완전 수신 등),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해 시간 동기화를 개시하여 시간 보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은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 등록 및 스케줄링 과정이 간단하고 일치하여, 머신 타입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소모 그리고 시스템 자원의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미래 대규모 무선 기기 통신 시스템의 응용에 유리하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한다.
S202: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한다.
S203: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한다.
S204: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지국은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01 전에 단말기가 등록을 진행하고 인가 인증을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등록한 후,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등록 과정은 도1의 실시예 중 S102 내지 S104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인가 인증 과정 및 S201은 전술한 도1의 실시예의 S105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 외에, S201 전 또는 후에, 또는 S201과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복조하는데 실패하면, 명령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명령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업링크 송신 전력을 향상하도록 지시한다.
이해할 것은, S202에서, 기지국은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단말기 신원과 대응하는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한다.
선택적으로, S202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기지국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02는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6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203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다. 이에 상응하여, 이해할 것은, 이 후,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종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03은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7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로컬 짧은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S105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107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포함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식별자를 로컬 짧은 주소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로컬 짧은 주소를 포함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상기 식별자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포워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04는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9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 외에, 단말기가 데이터 패킷 전송을 완성한 후 휴면하므로, 상기 단말기가 휴면에서 깨여난 후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진행하도록, 기지국은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방송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지국은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단말기는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한다.
S302: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한다.
S303: 상기 단말기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301 전에, 단말기는 등록을 진행하고 인가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기 등록 과정은 도1의 실시예 중 S102 내지 S104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인가 인증 과정 및 S301은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5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301 전 또는 후에, 또는 S301과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도록,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 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S301 중의 단말기 신원은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해 식별을 진행하는데 사용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S302 전에, 상기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연결은 RRC일 수 있다. 도3의 실시예 후,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이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기지국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도록, 경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종료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302 중의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기지국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302는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7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에 상응하여, S303에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가 포함되면, 단말기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가 포함되면, 단말기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한 횟수는 상기 리포팅 횟수일 수 있다.
이 외에, S303 전에,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가 S303에서 송신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303은 전술한 도1의 실시예 중 S109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303 후, 단말기는 휴면 상태로 들어 갈 수 있다. 그 후, 단말기는 상기 휴면 상태에서 깨여 난 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감시하며 저장된 시간 기준 및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에 따라 시간 보정을 진행한다.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럭도이다. 도4에 도시된 기지국(400)은 수신 유닛(401), 할당 유닛(402) 및 송신 유닛(40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401)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과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한다.
할당 유닛(402)은 수신 유닛(401)이 수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한다.
송신 유닛(403)은 할당 유닛(402)이 할당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한다.
수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지국은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400)은 상기 단말기를 위해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기지국(400)은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401)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종료 요청을 수신한다. 해제 유닛은 수신 유닛(401)이 수신한 상기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접속망, 사용자 식별 데이터 서버(예를 들어 HLR), 인증 서버 및 MTC 서비스 주문 서버 중의 어느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상기 할당 유닛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가 휴면에서 깨여난 후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진행하도록, 송신 유닛(403)은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기지국(400)은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할당 유닛(402)은 또한 상기 단말기에,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에 로컬 짧은 주소를 할당한다. 구축 유닛은 상기 식별자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송신 유닛(403)은 또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송신 유닛(403)은 또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로컬 짧은 주소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송신 유닛(403)은 또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상기 식별자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포워딩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기지국(400)은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수신한다. 확정 유닛은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복조하는데 실패하면, 송신 유닛(403)은 또한 명령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명령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업링크 송신 전력을 향상하도록 지시한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401)은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신 유닛(403)은 송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할당 유닛(402), 구축 유닛, 해제 유닛 및 확정 유닛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500)은 프로세서(501), 수신기(502), 송신기(503) 및 메모리(50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프로세서(501)가 수행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500)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505)을 통해 함께 커플링되며, 버스 시스템(505)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기지국(400) 또는 도5에 도시된 기지국(500)은 전술한 도1 및 도2의 실시예의 기지국으로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6에 도시된 단말기(600)는 송신 유닛(601) 및 수신 유닛(602)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601)은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 유닛(602)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 유닛(601)이 송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 유닛(601)은 또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이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며, 이러한 스케줄링 과정은 간단하고 일치하며 머신 통신 단말기의 복잡도와 전력 소모, 및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점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MTC 시스템의 배치 비용을 저감하고 배터리 전력 공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602)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한 횟수는 상기 리포팅 횟수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송신 유닛(601)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도록,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단말기(600)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휴면 상태에 들어 가는데 사용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602)은 또한 상기 휴면 상태에서 깨여 난 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감시하는데 사용된다. 처리 유닛은 또한 저장된 시간 기준 및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에 따라 시간 보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한 실시예로서, 송신 유닛(601)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이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기지국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도록, 경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종료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602)은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신 유닛(601)은 송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700)는 프로세서(701), 수신기(702), 송신기(703) 및 메모리(70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상술한 시간 기준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01)가 수행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단말기(700)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705)을 통해 함께 커플링되며, 버스 시스템(705)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단말기(600) 또는 도7에 도시된 단말기(700)는 전술한 도1 및 도3의 실시예 중의 단말기로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상술한 방법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응용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해독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 완성되거나 해독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 플래시, 롬, 피롬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메모리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는 롬(Read-Only Memory, ROM), 피롬(Program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캐시로 기능한다. 예시적이지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여러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정적 램(Static RAM, SRAM), 디램(Dynamic RAM, DRAM), 에스디램(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에스디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에스디램(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디램(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디램(Direct Rambus RAM, DR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고자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한 각 실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로 수행할 것이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할 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근거한다. 당업자는 각 특정 응용에 대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리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제공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논리 기능적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을 간략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토론한 상호 간의 커플링,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정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이룰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시,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을 이바지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방안의 부분에 대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 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48)

  1. 머신 타입 통신(MTC)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를 위해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접속망, 사용자 식별 데이터 서버, 인증 서버 및 MTC 서비스 주문 서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거나,
    또는,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휴면에서 깨여난 후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진행하도록,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로컬 짧은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자를 상기 로컬 짧은 주소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상기 식별자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복조하는데 실패하면, 명령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명령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업링크 송신 전력을 향상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머신 타입 통신(MTC)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송신한 횟수는 상기 리포팅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도록,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후, 휴면 상태에 들어 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휴면 상태에서 깨여 난 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감시하는 단계; 및
    저장된 시간 기준 및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에 따라 시간 보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이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기지국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도록, 경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종료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신원과 서비스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 유닛; 및
    상기 할당 유닛이 할당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축 유닛은 상기 단말기를 위해 무선 연결을 구축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연결을 능동적으로 해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해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종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접속망, 사용자 식별 데이터 서버, 인증 서버 및 MTC 서비스 주문 서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9.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0.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상기 할당 유닛이 다른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가 휴면에서 깨여난 후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진행하도록,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3.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할당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에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며,
    상기 할당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에 로컬 짧은 주소를 할당하며,
    상기 구축 유닛은 상기 식별자와 상기 로컬 짧은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식별자를 상기 로컬 짧은 주소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5.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송신 유닛 또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상기 로컬 짧은 주소를 상기 식별자로 대체하고 상기 대체 후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6.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복조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명령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명령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업링크 송신 전력을 향상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8.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신원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구독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송신 유닛이 송신한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할당한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길이가 사전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식별자를 수신하며,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0.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1.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 및 리포팅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 생성 방법에 따라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서열에서 상기 리포팅 주기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2.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리포팅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는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 및 리포팅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한 횟수는 상기 리포팅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3.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정황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수신 전력 소모를 계산하도록,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 및 상기 업링크 송신 전력 레벨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4. 청구항 38 내지 청구항 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휴면 상태에 들어 가는데 사용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휴면 상태에서 깨여 난 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대적 시간 오프셋을 감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저장된 시간 기준 및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에 따라 시간 보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시간 오프셋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7. 청구항 38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이 사전 설정한 전력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기지국이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을 해제하도록, 경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종료 요청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77032974A 2015-05-29 2016-04-27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20180014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92277.0A CN104936133B (zh) 2015-05-29 2015-05-29 机器类型通信的方法、基站以及终端
CN201510292277.0 2015-05-29
PCT/CN2016/080337 WO2016192490A1 (zh) 2015-05-29 2016-04-27 机器类型通信的方法、基站以及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94A true KR20180014694A (ko) 2018-02-09

Family

ID=5412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974A KR20180014694A (ko) 2015-05-29 2016-04-27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17088B2 (ko)
EP (1) EP3288298B1 (ko)
JP (1) JP6918707B2 (ko)
KR (1) KR20180014694A (ko)
CN (2) CN104936133B (ko)
WO (1) WO2016192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6132B (zh) 2015-05-29 2019-1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机器类型通信的方法、终端以及基站
CN104936133B (zh) 2015-05-29 2019-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机器类型通信的方法、基站以及终端
WO2017052690A1 (en) * 2015-09-24 2017-03-30 Intel Corporation Congestion control for vehicular-to-anything services
WO2017166245A1 (zh) * 2016-03-3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管理方法及相关设备
CN107404372B (zh) * 2016-05-20 2019-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190058387A (ko) 2016-09-23 2019-05-2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설비
CN112235092B (zh) * 2016-09-30 2023-09-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US10966259B2 (en) * 2017-01-26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anagement of different IDS in a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08668367B (zh) * 2017-04-01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
CN109120729A (zh) * 2017-06-23 2019-01-0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地址分配管理方法、6LoWPAN网关和系统
CN110730512A (zh) * 2018-07-16 2020-01-2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资源复用方法、资源复用装置及通信设备
US11902879B2 (en) 2018-08-02 2024-02-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standalone MTC operation
CN109618411B (zh) * 2019-01-21 2023-04-07 高新兴物联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错峰上报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18273B (zh) * 2019-07-09 2024-04-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终端上行数据分流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2954744A (zh) * 2019-11-26 2021-06-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
CN112867168B (zh) * 2019-11-27 2024-03-22 中国移动通信集团陕西有限公司 窄带物联网高并发接入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2398564B (zh) * 2020-11-04 2023-03-31 广东源泉科技有限公司 设备数据的随机上传方法
CN112765057B (zh) * 2020-12-30 2024-04-30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pcie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891322B (zh) * 2021-10-29 2023-07-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通信资源的获取方法、车辆和基站
CN114710757B (zh) * 2022-04-07 2023-07-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0419B1 (en) * 2006-06-07 2017-07-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ver the air address methods and apparatus
US8750145B2 (en) 2009-11-23 2014-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EP2517511A1 (en) 2009-12-22 2012-10-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oup-based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EP2375828A1 (en) * 2010-04-06 2011-10-12 Alcatel Lucent Network node control for facilitating relocation
CN102378302B (zh) * 2010-08-12 2014-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网络的方法和系统
KR20120070443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120071229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20071456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통신 단말을 위한 호 처리 방법
US9661620B2 (en) 2011-02-04 2017-05-23 Sca Ipla Holding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short identifier for resource scheduling
US20120252481A1 (en) * 2011-04-01 2012-10-04 Cisco Technology, Inc.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3024435A1 (en) * 2011-08-15 2013-02-21 Renesas Mobile Corporation Keeping a security context during mode changes for machine - to -machine communications
KR101617557B1 (ko) 2011-09-12 2016-05-02 인텔 코포레이션 M2m 디바이스를 위한 그룹 매체 액세스 제어 메시지 및 그룹 식별자 업데이트 방법
US8937916B2 (en) * 2011-09-26 2015-01-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20130339438A1 (en) * 2011-12-02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based access control of machine to machine devices
WO2014053073A1 (en) 2012-10-03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multicast used for m2m/mtc
WO2013097159A1 (en) 2011-12-30 2013-07-04 Intel Corporation One group paging scheme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9491738B2 (en) * 2012-02-0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ownlink and uplink resourc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s
US9148863B2 (en) 2012-04-06 2015-09-29 Via Telecom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ervice networks, and methods for managing operation of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US9769805B2 (en) 2012-04-12 2017-09-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 radio base station and respective method therein for managing uplink resources within a coverage area of the radio base station
CN103379475B (zh) * 2012-04-25 2018-04-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告警信息传输方法及装置
JP5957782B2 (ja) * 2012-06-18 2016-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6082288B2 (ja) 2012-10-16 2017-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9609632B2 (en) * 2012-11-01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AN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38070B2 (en) * 2012-11-02 2016-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2M devices
JP6471691B2 (ja) 2013-09-27 2019-02-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ビス共通装置、及び判定方法
EP3125612B1 (en) * 2014-03-25 2020-08-12 Sony Corporation Device
EP3289810B1 (en) * 2015-04-30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of remaining battery life for a wireless device
CN104936133B (zh) * 2015-05-29 2019-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机器类型通信的方法、基站以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8298A1 (en) 2018-02-28
US10517088B2 (en) 2019-12-24
CN109561400A (zh) 2019-04-02
EP3288298A4 (en) 2018-10-31
WO2016192490A1 (zh) 2016-12-08
CN104936133B (zh) 2019-01-25
JP6918707B2 (ja) 2021-08-11
US20180092079A1 (en) 2018-03-29
EP3288298B1 (en) 2021-03-17
JP2018516506A (ja) 2018-06-21
CN109561400B (zh) 2021-08-17
CN104936133A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4694A (ko) 머신 타입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US10952138B2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US9319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AC control message in wireless access system
CN102651908B (zh) 一种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US9510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twork entry/reent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522605A (ja) Mtcデバイスへのシステム情報のシグナリング
CN108141712B (zh) 用于处理接入信息的方法、网络节点和无线装置
JP57673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2m装置のレンジング方法及び装置
CN115104371A (zh) 通信系统
CN110268739B (zh) 接入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11716635B2 (en) Creating protocol data unit for early data transmission
KR20230093009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sim들을 포함하는 단말에 의한 페이징 충돌 회피
JP55968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ネットワーク再進入を行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0839228A (zh) 基于信令监听的NB-IoT的D2D通信方法、终端及系统
JP571142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m2m装置の測距方法及び装置
WO2014181439A1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2084395A1 (en) Technique for discovery in proximity services comprising different discovery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