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157A - 천자침 장치 - Google Patents

천자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157A
KR20180014157A KR1020187000072A KR20187000072A KR20180014157A KR 20180014157 A KR20180014157 A KR 20180014157A KR 1020187000072 A KR1020187000072 A KR 1020187000072A KR 20187000072 A KR20187000072 A KR 20187000072A KR 20180014157 A KR20180014157 A KR 2018001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alternatively
elastic
bar
shap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435B1 (ko
Inventor
얄링 마오
Original Assignee
겜티어 메디컬 (상해) 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81814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73013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939839.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64970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53157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583137A/zh
Application filed by 겜티어 메디컬 (상해) 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겜티어 메디컬 (상해) 인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1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5/1626Needle protec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1Right-angle needle-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자침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천자침 장치는 침기부, 침두,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포함하고; 제1구조물, 제1구조물은 침기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침기부와 매치되고, 제1구조물과 침기부사이에 제1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제1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2구조물, 제2구조물은 제1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제1구조물과 매치되고,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사이에 제2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제2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은 침두의 연장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침두를 제2구조물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사용시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하며 환자의 피부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고, 사용후 재빠르게 침기부 상방의 구조물로 침두를 덮을수 있고, 구조물과 침기부사이의 연결이 견고하여 구조물이 쉽게 빠지지 않기에, 상품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제고할수 있다.

Description

천자침 장치
본 발명은 천자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15년 11월 23일인 중국특허출원 CN201510818147.6,출원일이 2015년 11월 23일인 중국특허출원 CN201520939839.1, 출원일이 2016년 7월 7일인 중국특허출원 CN201610531579.3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상술한 중국특허출원의 전문을 인용한다.
기존의 정맥침류와 같은 천자침 장치는 보통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후 천자침 장치를 의료페품으로 간주하고 버려야한다. 천자침 장치를 버릴시, 천자침 장치의 침두가 사람 혹은 물품을 찌르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침기부에 침덮개를 설치한다. 하지만 기존의 천자침 장치는 침덮개가 쉽게 빠지는 결함이 존재하며, 이로인해 침두가 쉽게 노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천자침 장치의 침덮개가 쉽게 빠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자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 서술하는 수단을 통하여 위에서 서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천자침 장치로, 상기 천자침 장치는 침기부, 침두,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포함하고; 침기부, 사용시 피부에 접근되는 제1측면을 구비하고; 침두, 상기 침기부와 연결되는 제1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침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고; 제1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침기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침기부와 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침기부사이에 제1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2구조물,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제1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제1구조물과 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사이에 제2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은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침두의 상기 제1단면과 상대적인 제2단면을 상기 제2구조물의 내부에 수납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1리미트기구는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기구는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고정위치까지 이동할시 상기 제1리미트구조와 상기 제2리미트구조는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을 상기 침기부에 상대적으로 고정시킨다.
가급적이면, 상기 침기부의 윗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리미트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제1구조물에 용치공간을 설치하고, 상기 용치공간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미트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제1리미트구조가 상기 용치공간의 내벽과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자유단면사이에 이동할시,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가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고정단면으로 이동하는것을 제어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각각 상기 막대기형 홈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각각 상기 막대기형 홈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자유단면사이의 거리는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고정단면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전부 상기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상기 돌기부는 2개이며, 두 상기 돌기부는 각각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과 서로 매치되며;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이 4개이며, 그중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다른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막대기형 홈의 다른 한측에 위치한다.
가급적이면, 침기부가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상기 침기부와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상기 제1리미트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2리미트구조는 탄성리미트부분이고,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상기 제1리미트구조의 경사면에서 상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상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는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상기 요홈에 고정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혹은,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이동할시, 상기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제1구조물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하고; 혹은,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3리미트구조는 상기 제1구조물에 형성된 돌기구조이며,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상기 돌기구조는 상기 제1구조물의 외표면과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상기 돌기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상기 제4리미트구조 탄성버튼이고,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상기 탄성버튼은 탄성버튼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상기 돌기구조의 경사면에서 상기 탄성버튼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탄성버튼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상기 탄성버튼 체결구는 상기 탄성버튼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상기 돌기구조의 요홈에 고정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일 제1블로킹부분, 일 제2블로킹부분, 일 제3블로킹부분과 일 탄성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로킹부분과 상기 제2블로킹부분은 상기 제1구조물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튼은 상기 제2구조물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블로킹부분은 상기 제2구조물의 아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버튼이 제1블로킹부분의 전방까지 이동할시, 상기 제2블로킹부분은 상기 제3블로킹부분의 이동을 제어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1구조물은 제1슬리브부분이고, 상기 제1슬리브부분은 상기 침기부를 덮으며; 상기 제2구조물은 제2슬리브부분이고, 상기 제2슬리브부분은 상기 제1슬리브부분을 덮으며; 혹은, 상기 침기부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상기 제1구조물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상기 제2구조물의 길이는 2mm보다 길다.
가급적이면, 상기 침기부는 적어도 설치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분은 상기 침기부중 상기 제1구조물과의 슬라이드 매치과정에서 상기 제1구조물에 커버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지 않는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에서 오픈되었고; 혹은, 상기 설치부분은 상기 제1측면과 상대적으로 사용시 피부와 멀리되는 일 상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상기 제1구조물은 사용시 피부와 접근되는 일 하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상기 제1구조물의 하단표면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과 상기 설치부분의 상단표면사이에 위치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개구구조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상기 개구구조의 가장자리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구조물의 하방에 일 클램핑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클램핑부분에 맞물리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 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을 포함한 상기 제2구조물은 일체형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두와 상기 쿠션의 밑부분의 수직거리는 0.05mm보다 길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은 슬리브 피스이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평저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은 슬리브 피스이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평저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이며;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의 외부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볼록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볼록부분사이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연질구조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밑부분구조의 내벽은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다.
가급적이면,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가 형성되고; 혹은,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레일과 제1슬라이드트랙이고, 혹은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트랙과 제1슬라이드레일이고; 상기 제3연결구조와 상기 제4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레일과 제2슬라이드트랙이고, 혹은 상기 제3연결구조와 상기 제4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트랙과 제2슬라이드레일이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2구조물의 윗 표면에 일 직신부분을 설치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한개이며, 상기 날개부분은 상기 침기부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날개부분은 각각 상기 침기부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를 덮으며 연결되고, 혹은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혹은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에 맞물리며 연결되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은 일 휜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휜부분은 상기 날개부분과 상기 침기부사이에 설치된다.
가급적이면,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은 전부 홈모양이고; 혹은, 상기 천자침 장치는 여러개의 제1구조물을 포함하고, 여러개의 제1구조물은 겹겹으로 설치되고 서로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서로 매치된 제1구조물사이에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은 상기 침기부와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가장 외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은 제2구조물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혹은, 상기 천자침 장치는 정맥침, 혈액수집침, 유치침 혹은 주사침이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에 부합되는 기초하에서, 상술한 각 바람직한 특징은 임의로 조합되여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예를 형성한다.
본 발명이 제공한 천자침 장치는 사용시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하며 환자의 피부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고, 사용후 재빠르게 침기부 상방의 구조물로 침두를 덮을수 있고, 구조물과 침기부사이의 연결이 견고하여 구조물이 쉽게 빠지지 않기에, 상품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제고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 조립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구조물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구조물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구조물의 저면도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후 조감도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후 저면도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후 쿠션을 설치하지 않았을시 저면도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핸들이 설치부분을 덮으며 연결될때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휠수 있는 작동핸들을 구비했을때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두 겹겹이 설치된 제1구조물을 구비했을때의 구조설명도이다.
아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며,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부터 도 10까지의 제시에 의하면, 천자침 장치로, 상기 천자침 장치는 침기부 10, 침두 20,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을 포함하고; 침기부 10, 사용시 피부에 접근되는 제1측면 101과 제1측면 101과 상대적인 제2측면 102을 구비하고; 침두 20, 침기부 10와 연결되는 제1단면 201을 구비하고, 침두 20는 제1측면 101의 연장부분과 평행되고; 제1구조물 30, 제1구조물 30은 침기부 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침기부 10와 매치되고, 제1구조물 30과 침기부 10사이에 제1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제1구조물 30이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침기부 10와 분리되는 것을 제어하고; 제2구조물 40, 제2구조물 40은 제1구조물 30의 외부에 설치되며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제1구조물 30과 매치되고,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사이에 제2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제2구조물 40이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구조물 30과 분리되는 것을 제어하고;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은 침두 20의 연장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침두 20의 제1단면 201과 상대적인 제2단면 202을 제2구조물 40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침두 20의 제2단면 202을 보호하여, 침두 20의 제2단면 202이 의료진을 찌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리미트기구는 침기부 10와 제1구조물 30에 각각 형성되는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제1구조물 30이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침기부 10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조물 30이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고정위치까지 이동할시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매치를 통하여 제1구조물 30을 침기부 10에 상대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침기부 10의 윗 표면에 일 제1리미트구조를 설치하고, 제1구조물 30에 일 용치공간 31을 설치하고, 용치공간 31내에 탄성리미트부분 32을 설치하고, 제1리미트구조가 용치공간 31의 내벽과 탄성리미트부분 32의 자유단면사이에 이동할시, 탄성리미트부분 32은 제1리미트구조가 탄성리미트부분 32의 고정단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용치공간 31의 내벽의 한측은 고정리미트부분 38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 11이고, 용치공간 31은 쓰루 홀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1구조물 30과 침기부 10사이의 연결이 견고해지며, 제1구조물 30이 리바운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구조물 30에 막대기형 홈 35이 더 설치되고, 막대기형 홈 35은 용치공간 31과 연통되며, 막대기형 홈 35은 돌기부 11의 상방에 위치한다. 탄성리미트부분 32은 2개이며, 두 탄성리미트부분 32은 각각 막대기형 홈 35의 양측에 위치하였다. 두 탄성리미트부분 32의 자유단면사이의 거리는 두 탄성리미트부분 32의 고정단면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탄성리미트부분과 돌기부는 각각 2개일 수 있으며, 두 탄성리미트부분은 전부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두 돌기부는 각각 두 탄성리미트부분과 서로 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돌기부에 대한 제어를 제고할 수 있어 제1구조물이 리바운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리미트부분이 4개일수도 있으며, 그중 두 탄성리미트부분은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다른 두 탄성리미트부분은 막대기형 홈의 다른 한측에 위치하였다. 탄성리미트부분이 증가됨에 따라 돌기부에 대한 제어가 더 한층 제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침기부가 침두의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제1리미트구조는 침기부와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제1리미트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제1구조물이 침두의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제2리미트구조는 탄성리미트부분이고,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제1리미트구조의 경사면에서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탄성리미트부분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는 탄성리미트부분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요홈에 고정된다.
제1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드될시,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를 통하여 제1리미트구조의 경사면에서 슬라이드되며, 탄성리미트부분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가 제1리미트구조의 요홈내까지 슬라이드될시, 탄성리미트부분은 탄성회복을 통하여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를 요홈에 고정시켜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가 요홈에서 빠져나가는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1구조물과 침기부사이의 연결이 견고해지며, 제1구조물이 리바운드되는 상황을 방지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리미트기구는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제2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한다.
제2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이동할시,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제2구조물이 제1구조물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혹은, 제3리미트구조는 제1구조물에 형성된 돌기구조이며, 침두의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돌기구조는 제1구조물의 외표면과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돌기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제4리미트구조 탄성버튼이고,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탄성버튼은 탄성버튼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돌기구조의 경사면에서 탄성버튼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탄성버튼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탄성버튼 체결구는 탄성버튼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돌기구조의 요홈에 고정된다.
제2구조물이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드될시, 탄성버튼은 탄성버튼 체결구를 통하여 돌기구조의 경사면에서 슬라이드되며, 탄성버튼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탄성버튼 체결구가 요홈내까지 슬라이드될시, 탄성버튼은 탄성회복을 통하여 탄성버튼 체결구를 요홈에 고정시켜 탄성버는 체결구가 요홈에서 빠져나가는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2구조물과 제1구조물사이의 연결이 견고해지며, 제2구조물이 리바운드되는 상황을 방지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부터 도 6까지의 제시에 의하면, 제2리미트기구는 일 제1블로킹부분 33, 일 제2블로킹부분 34, 일 제3블로킹부분 42과 일 탄성버튼 41을 포함하고, 제1블로킹부분 33과 제2블로킹부분 34은 제1구조물 30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탄성버튼 41은 제2구조물 40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제3블로킹부분 42은 제2구조물 40의 아래 표면에 설치되며, 탄성버튼 41이 제1블로킹부분 33의 전방까지 이동할시, 제2블로킹부분 34은 제3블로킹부분 42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2구조물 40과 제1구조물 30사이의 연결이 견고해지며, 제2구조물 40이 리바운드되는 상황을 방지할수 있다.
제1블로킹부분 33은 두 막대기형 부분 331을 포함하고, 막대기형 부분 331은 제1구조물 30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두 막대기형 부분 331은 서로 평행되며, 막대기형 부분 331은 제3블로킹부분 42의 슬라이딩레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조물 30은 제1슬리브부분이고, 제1슬리브부분은 침기부를 덮으며; 제2구조물 40은 제2슬리브부분이고, 제2슬리브부분은 제1슬리브부분을 덮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침기부 10는 적어도 설치부분 13을 포함하고; 설치부분13은 침기부 10 중 제1구조물 30과의 슬라이드 매치과정에서 제1구조물 30에 커버되는 부분이다. 설치부분 13는 침기부 10의 일부분이며 침기부 10와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분리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제1구조물 30은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을 넘지 않는다. 제1구조물 30은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에서 오픈되였다. 제2구조물 40은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즉 제2구조물 40은 제2측면 102으로부터 제1측면까지의 방향에 따라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다.
침두 20를 외부로 뽑을시, 제2구조물 40을 누르고, 제2구조물 40의 밑부분구조를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지탱하면 쉽게 침두 20를 외부로 뽑을수 있으며, 밑부분구조는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과 피부사이에 일정한 거리 혹은 장애를 산생하기에, 부드럽게 설치부분 13을 뽑아낼수 있으며, 장시간동안 설치부분 13과 피부가 접촉되여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침두 20를 뽑을때 설치부분 13이 피부를 끌어당겨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조물 30이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을 넘지 않기에, 제1구조물 30은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과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에 위치한 제2구조물 40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최대한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과 제2구조물 40사이의 거리를 감소하며, 최대한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이 압축시 설치부분 13의 직경을 짧게 하며, 최대한 침두 20와 피부사이의 경사각을 작게 하여, 수액시 환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수 있다.
밑부분구조의 내벽과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은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였다. 설치부분 13으로부터 제2구조물 40의 밑부분구조의 내벽까지의 거리를 없애고, 최대한 설치부분 13과 환자의 피부사이의 거리를 감소하면서, 더 효과적으로 침두 20와 피부사이의 경사각을 작게 하여, 수액시 환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수 있다. 더 좋게는, 밑부분구조가 연질구조로서, 환자의 피부와 더 어울리게 하여, 환자에게 더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자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조물 30은 설치부분 13을 덮도록 설치되고, 제1구조물 30은 판상구조 혹은 임의의 형태의 홈구조이며, 좋게는 n모양 혹은 c모양이며, 최대한 침두 20을 싸매여 사용자가 침두 20와 접촉하여 다치는 상황을 방지하였다. 동시에 설치부분 13으로부터 피부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에서 개구구조이고; 개구구조를 지닌 제1구조물 30은 침두 20방향으로 뽑은뒤 침두 20의 주변을 부분적으로 커버하기에, 효과적으로 침두 20와 의료진의 접촉을 방지하여, 병균의 전파를 방지할수 있다. 즉, 제1구조물 30중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과 제2구조물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부분을 제거하여, 설치부분 13의 제1측면 101과 피부사이의 거리를 감소한다. 제2구조물 40은 제1구조물 30을 덮도록 설치한다. 천자침 장치를 사용시,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을 설치부분 13에 설치하고, 사용한후 제2구조물 40을 눌러 침기부 10와 침두 20을 밖으로 뽑아내고, 설치부분 13을 제1구조물 30에서 뽑아내고, 제1구조물 30을 제2구조물 40에서 뽑아내며, 제2구조물 40이 침두 20와 제1단면 201과 상대적인 제2단면 202을 커버도록 하여, 천자침의 회수과정에서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과정에서도 환자의 체험에 영향주지 않는다. 제2구조 물40은 임의의 형태의 홈구조이다.
설치부분 13은 제1측면 101과 상대적으로 사용시 피부와 멀리되는 일 상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제1구조물 30은 사용시 피부와 접근되는 일 하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제1구조물 30의 하단표면은 설치부분13의 제1측면101과 설치부분13의 상단표면사이에 위치하였다. 설치부분13의 상단표면은 설치부분13의 제2측면102이며, 즉 제1구조물30의 하단표면은 제1측면101과 제2측면102사이에 위차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제1구조물30이 설치부분13의 제1측면101과 제2구조물사이의 거리에 완전히 영향주지 않게 하고, 더 나아가 사용과정에서 환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부분13의 제1측면101에서 제2구조물40은 개구구조이고, 밑부분구조는 제2구조물40의 개구구조의 가장자리이며; 가장자리는 피부에 지탱되며, 설치부분13과 피부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구조물40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45이 설치되어 있고, 밑부분구조는 쿠션45이며, 쿠션45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즉 평저쿠션45이고, 설치부분13과 제1구조물30은 제2구조물40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였다. 평저쿠션45은 피부에 지탱되여 설치부분13과 피부사이에 저애가 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평저쿠션45은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여, 환자의 피부가 눌리울때 환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수 있다. 쿠션45은 제2구조물40과 피부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편안함을 더 향상시키고, 누를때 제2구조물40로 인한 통증을 줄일수 있다. 설치부분13과 제1구조물30은 쿠션45을 포함한 제2구조물40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된다. 쿠션45과 제2구조물40의 기타부분은 분리하였다가 재조립할수도 있고, 이때 제2구조물40의 하방에 일 클램핑부분401을 설치하고, 쿠션45은 클램핑부분401에 맞물린다. 이외에도, 쿠션45과 제2구조물40의 기타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수도 있다. 좋게는 침두20와 쿠션45의 밑부분의 수직거리는 0.05mm보다 길며, 더 좋게는 0.1mm이다. 이러한 구조는 침두20와 인체의 피부사이 거리를 더 가깝게 할수 있고, 사용시 편안함을 줄수 있다. 쿠션45을 포함한 제2구조물40은 원통모양이거나 절단면이 다변형인 통모양일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구조물40은 슬리브 피스이고, 설치부분13의 제1측면101에서 제2구조물40은 평저이고, 밑부분구조는 제2구조물40의 평저부분이다.
제2구조물40의 평저부분의 외부에는 제1측면101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볼록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볼록부분사이에는 제1측면101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오목부분이 형성된다.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의 구조는 제2구조물40이 피부에 달라붙지 않게 할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기부10와 제1구조물30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제1구조물30과 제2구조물40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가 형성된다.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는 각각 침두20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레일12과 제1슬라이드트랙36이고, 혹은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는 각각 침두20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트랙36과 제1슬라이드레일12이고;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는 각각 침두20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레일37과 제2슬라이드트랙43이고, 혹은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는 각각 침두20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트랙43과 제2슬라이드레일37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침기부 10의 양측에 각각 제1슬라이드레일12을 설치하고, 제1구조물30에 제1슬라이드레일12과 매치되는 제1슬라이드트랙36을 설치하고; 제1구조물30의 양측에 각각 제2슬라이드레일37을 설치하고, 제2구조물40에 제2슬라이드레일37과 매치되는 제2슬라이드트랙43을 설치한다. 레일과 트랙의 설치는 침기부10, 제1구조물30과 제2구조물40사이 상대적 슬라이드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제1구조물30과 제2구조물40은 전부 홈모양일 수 있다. 침기부10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제1구조물30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제2구조물40의 길이는 2mm보다 길다.
제2구조물 40의 윗 표면에 일 직신부분 44을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천자침 장치를 사용한후, 사용자는 제2구조물 40의 직신부분 44을 눌러 용이하게 제2구조물 40을 슬라이드시킬수 있다.
사용시 편리함을 위하여, 침기부 10에 일 작동핸들 50을 설치하고, 작동핸들 50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 51을 설치한다. 날개부분 51은 한개일 수 있고, 날개부분 51은 침기부 10의 한측에 위치하였다. 또 날개부분 51은 2개일 수도 있으며, 두 상기 날개부분 51은 각각 침기부 10의 양측에 위치하였다. 작동핸들 50과 침기부 10사이의 연결방식은 다종다양하며, 작동핸들 50은 침기부 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도 6의 제시와 같이, 작동핸들 50은 침기부 10에 맞물리며 연결될 수도 있고; 혹은, 도 9의 제시와 같이, 작동핸들 50은 침기부 10를 덮으며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의 제시와 같이, 작동핸들 50은 일 휜부분 52을 더 포함하고, 휜부분 52은 날개부분 51과 침기부 10사이에 설치된다. 휜 작동핸들 50은 더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다.
천자침 장치를 사용한후, 제2구조물 40을 누르고, 침기부 10를 뒤로 빼내여, 침두 20가 인체피부를 벗어나게 한다. 침기부 10를 뒤로 빼내는 과정에서, 제1구조물 30은 침기부 10를 따라 뒤로 슬라이드하고, 제2구조물 40은 움직이지 않는다. 탄성리미트부분 32이 돌기부 11를 용치공간 31내에 제어할시, 침기부 10과 제1구조물 30이 맞물린다. 제2블로킹부분 34이 제3블로킹부분 42을 제어할시, 제1구조물 30은 더 이상 뒤로 슬라이드하지 않으며, 제1블로킹부분 33가 탄성버튼41을 제어하여 제1구조물 30이 앞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은 침기부 10 상의 침두 20를 커버한다. 제1구조물 30과 제2구조물 40은 리바운드되지 않으며, 침두 20를 막아 침두 20가 사람이나 물건을 찌르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 45은 평평한 표면으로서, 직접 인체피부와 접촉되기에, 사용시 피부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해주며, 사용시 환자에게 주는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제공한 천자침 장치는 사용시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하며 환자의 피부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고, 사용후 재빠르게 침기부 10 상방의 구조물로 침두 20를 덮을 수 있고, 구조물과 침기부 10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여 구조물이 쉽게 빠지지 않기에, 상품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도 11의 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자침 장치는 여러개의 제1구조물 301,302을 포함하고, 여러개의 제1구조물은 겹겹으로 설치되고 서로 침두20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서로 매치된 제1구조물 301,302사이에 침두 20의 연장방향에 따라 분리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한다. 여러개의 제1구조물 301,302중 하나는 침기부 10와 연결되고,다른 하나는 제2구조물 40과 연결되고,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 301은 침기부 10와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가장 외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 302은 제2구조물 40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여러개의 제1구조물 301,302은 침기부 10의 제1측면 101을 넘지 않으며, 여러개의 제1구조물 301,302을 설치하여 침기부 10부분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벌어진 후 침두 20를 완전히 커버하여 침두 2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자침 장치는 정맥침, 혈액수집침, 유치침, 주사침 혹은 기타 천자침이다. 사용시 환자에게 주는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서술중,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맨위”, ”맨밑”, ”내”, ”외” 등 방향 혹은 위치관계를 제시하는 기술 용어는 도면에서 제시한 방향 혹은 위치관계이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서술의 편리화를 위한 것이지, 서술한 장치나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지니거나 특정된 방위로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천자침 장치로, 상기 천자침 장치는 침기부, 침두,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을 포함하고;
    침기부, 사용시 피부에 접근되는 제1측면을 구비하고;
    침두, 상기 침기부와 연결되는 제1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침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고;
    제1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침기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침기부와 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침기부사이에 제1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2구조물,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제1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제1구조물과 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사이에 제2리미트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은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침두의 상기 제1단면과 상대적인 제2단면을 상기 제2구조물의 내부에 수납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미트기구는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기구는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1리미트구조와 제2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침기부와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제1고정위치까지 이동할시 상기 제1리미트구조와 상기 제2리미트구조는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1구조물을 상기 침기부에 상대적으로 고정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부의 윗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리미트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제1구조물에 용치공간을 설치하고, 상기 용치공간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리미트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제1리미트구조가 상기 용치공간의 내벽과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자유단면사이에 이동할시,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가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고정단면으로 이동하는것을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각각 상기 막대기형 홈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각각 상기 막대기형 홈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자유단면사이의 거리는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고정단면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전부 상기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상기 돌기부는 2개이며, 두 상기 돌기부는 각각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과 서로 매치되며;
    혹은,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돌기부이고, 상기 용치공간은 쓰루 홀이고; 상기 제1구조물에 막대기형 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용치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막대기형 홈은 상기 돌기부의 상방에 위치하였고;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이 4개이며, 그중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막대기형 홈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다른 두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은 상기 막대기형 홈의 다른 한측에 위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침기부가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1리미트구조는 상기 침기부와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상기 제1리미트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제1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상기 제2리미트구조는 탄성리미트부분이고,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상기 제1리미트구조의 경사면에서 상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상기 탄성리미트부분 체결구는 상기 탄성리미트부분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상기 요홈에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혹은,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이동할시, 상기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제1구조물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하고;
    혹은,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형성되는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를 포함하고, 제3리미트구조와 제4리미트구조는 서로간의 매치를 통하여 상기 제2구조물이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구조물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3리미트구조는 상기 제1구조물에 형성된 돌기구조이며,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접근하는 일측에서 상기 돌기구조는 상기 제1구조물의 외표면과 접합되는 경사면이고, 상기 돌기구조의 윗부분에는 요홈이 구비되였으며; 상기 제4리미트구조 탄성버튼이고, 상기 침두의 상기 제2단면과 멀리하는 일측에서 상기 탄성버튼은 탄성버튼 체결구가 구비되였으며; 상기 돌기구조의 경사면에서 상기 탄성버튼 체결구의 슬라이드를 통하여 상기 탄성버튼이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하며, 상기 탄성버튼 체결구는 상기 탄성버튼의 탄성회복을 통하여 상기 돌기구조의 요홈에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미트기구는 일 제1블로킹부분, 일 제2블로킹부분, 일 제3블로킹부분과 일 탄성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로킹부분과 상기 제2블로킹부분은 상기 제1구조물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튼은 상기 제2구조물의 윗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블로킹부분은 상기 제2구조물의 아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버튼이 제1블로킹부분의 전방까지 이동할시, 상기 제2블로킹부분은 상기 제3블로킹부분의 이동을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은 제1슬리브부분이고, 상기 제1슬리브부분은 상기 침기부를 덮으며; 상기 제2구조물은 제2슬리브부분이고, 상기 제2슬리브부분은 상기 제1슬리브부분을 덮으며;
    혹은, 상기 침기부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상기 제1구조물의 길이는 2mm보다 길고, 상기 제2구조물의 길이는 2mm보다 긴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부는 적어도 설치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분은 상기 침기부중 상기 제1구조물과의 슬라이드 매치과정에서 상기 제1구조물에 커버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에서 오픈되였고;
    혹은, 상기 설치부분은 상기 제1측면과 상대적으로 사용시 피부와 멀리되는 일 상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상기 제1구조물은 사용시 피부와 접근되는 일 하단표면을 구비하였고, 상기 제1구조물의 하단표면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과 상기 설치부분의 상단표면사이에 위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개구구조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상기 개구구조의 가장자리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구조물의 하방에 일 클램핑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클램핑부분에 맞물리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을 포함한 상기 제2구조물은 일체형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의 밑부분에는 일 쿠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쿠션이며, 상기 쿠션의 밑부분은 평평한 표면이며, 상기 설치부분과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구조물에 에워쌓여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침두와 상기 쿠션의 밑부분의 수직거리는 0.05mm보다 길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은 슬리브 피스이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평저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제2구조물은 슬리브 피스이고,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제2구조물은 평저이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이며; 상기 제2구조물의 평저부분의 외부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볼록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볼록부분사이에는 상기 제1측면의 연장부분과 평행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밑부분구조는 연질구조이며;
    혹은, 상기 제2구조물은 상기 설치부분의 제1측면을 넘는 밑부분구조를 구비하였고; 상기 밑부분구조의 내벽은 상기 설치부분의 상기 제1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가 형성되고;
    혹은, 상기 침기부와 상기 제1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1연결구조와 제2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각각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된 제3연결구조와 제4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레일과 제1슬라이드트랙이고, 혹은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슬라이드트랙과 제1슬라이드레일이고; 상기 제3연결구조와 상기 제4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레일과 제2슬라이드트랙이고, 혹은 상기 제3연결구조와 상기 제4연결구조는 각각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2슬라이드트랙과 제2슬라이드레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물의 윗 표면에 일 직신부분을 설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한개이며, 상기 날개부분은 상기 침기부의 한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날개부분은 2개이며, 두 상기 날개부분은 각각 상기 침기부의 양측에 위치하였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를 덮으며 연결되고, 혹은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혹은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침기부에 맞물리며 연결되고;
    혹은, 상기 침기부에 일 작동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핸들은 일 휜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휜부분은 상기 날개부분과 상기 침기부사이에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은 전부 홈모양이고;
    혹은, 상기 천자침 장치는 여러개의 제1구조물을 포함하고, 여러개의 제1구조물은 겹겹으로 설치되고 서로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서로 매치된 제1구조물사이에 상기 침두의 연장방향에 따라 분리되는것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은 상기 침기부와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가장 외부에 위치한 제1구조물은 제2구조물과 슬라이딩 되도록 매치되고;
    혹은, 상기 천자침 장치는 정맥침, 혈액수집침, 유치침 혹은 주사침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침 장치.
KR1020187000072A 2015-11-23 2016-11-22 천자침 장치 KR102115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18147.6 2015-11-23
CN201520939839.1 2015-11-23
CN201510818147.6A CN106730139B (zh) 2015-11-23 2015-11-23 针刺装置
CN201520939839.1U CN205649700U (zh) 2015-11-23 2015-11-23 针刺装置
CN201610531579.3 2016-07-07
CN201610531579.3A CN107583137A (zh) 2016-07-07 2016-07-07 防针刺穿刺装置
PCT/CN2016/106819 WO2017088737A1 (zh) 2015-11-23 2016-11-22 针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57A true KR20180014157A (ko) 2018-02-07
KR102115435B1 KR102115435B1 (ko) 2020-05-26

Family

ID=5876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072A KR102115435B1 (ko) 2015-11-23 2016-11-22 천자침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020569B2 (ko)
EP (1) EP3269411B1 (ko)
JP (1) JP6691136B2 (ko)
KR (1) KR102115435B1 (ko)
AU (1) AU2016359516B2 (ko)
BR (1) BR112017020577B1 (ko)
CA (1) CA2980490C (ko)
DE (1) DE212016000131U1 (ko)
EA (1) EA034614B1 (ko)
HK (1) HK1243660A1 (ko)
MX (1) MX2017012695A (ko)
MY (1) MY192905A (ko)
PH (1) PH12018500081A1 (ko)
SG (1) SG11201708864RA (ko)
TW (1) TWI713635B (ko)
WO (1) WO2017088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4614B1 (ru) 2015-11-23 2020-02-27 Гэмтиэр Медикал (Шанхай) Инк. Игольное пун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871494B2 (ja) * 2019-05-21 2021-05-12 株式会社ヤスオカ 発色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70A (ja) * 1995-06-07 1997-04-15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カニューレ保護用のインターロック式シーケンスガード部材を備えるカテーテル機構
US20030073956A1 (en) * 2001-10-11 2003-04-17 Hoffman Douglas B. Safety catheter with non-removable retractable needle
US20050137528A1 (en) * 2003-12-17 2005-06-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assive activated safety blood collection set
JP2007151752A (ja) * 2005-12-02 2007-06-21 Nipro Corp 留置針
US20130245564A1 (en) * 2012-03-15 2013-09-19 Ren-Yue Cheng Safety device for a syringe
CN104288866A (zh) * 2014-10-24 2015-01-21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防针刺静脉输液穿刺针
CN204181959U (zh) * 2014-10-24 2015-03-04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防针刺静脉输液穿刺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372A (en) 1987-09-08 1989-02-14 Laico Joseph P Protective sheath for hypodermic needle
US4946447A (en) * 1989-02-14 1990-08-07 Hardcastle Samuel L Protective cover for hypodermic needle
NL9002552A (nl) * 1990-09-05 1992-04-01 Advanced Protective Injection Infusie- of transfusienaaldsamenstel.
JP4477749B2 (ja) 2000-06-19 2010-06-09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安全留置針
US7060053B2 (en) 2002-02-28 2006-06-13 Medikit Co., Ltd. Safety indwelling syringe
AU2003201341A1 (en) * 2002-03-20 2003-10-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assembly
EP1362612A1 (en) 2002-05-16 2003-11-19 Sergio Restelli Safety device for catheter guide needle
CN1788805A (zh) * 2004-12-17 2006-06-21 黄仲荣 具延伸保护盖针头结构
JP4654102B2 (ja) 2005-09-29 2011-03-16 テルモ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針セット
TW200735907A (en) 2006-03-16 2007-10-01 Chang-Ming Yang Safe structure of venous retention needle for once use
US9320459B2 (en) 2006-05-08 2016-04-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Gravity-drop safety holder
JP2007328119A (ja) 2006-06-07 2007-12-20 Hideyuki Ueda 地球儀の型紙
JP2009099070A (ja) 2007-10-18 2009-05-07 Sunallomer Ltd データ変換装置及びデータ変換方法
EP2456485B1 (en) * 2009-07-20 2017-12-20 B. Braun Medical Industries Sdn., Bhd. Safety needle assembly and methods
EP3441096B1 (en) 2010-07-02 2020-03-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afety device for a pre-filled syringe and injection device
CN202590082U (zh) 2012-03-12 2012-12-12 汪贤宗 外套式安全针套
CN202478304U (zh) 2012-03-29 2012-10-10 浙江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静脉输液留置针安全保护套
WO2014033903A1 (ja) * 2012-08-31 2014-03-06 テルモ株式会社 翼状針
PT3093034T (pt) 2014-10-24 2020-03-25 Gemtier Medical Shanghai Inc Agulha de punção para infusão intravenosa anti-acupuntura descartável
CN104307072A (zh) 2014-10-29 2015-01-28 杭州普昂医疗科技有限公司 安全式胰岛素笔针
CN204411424U (zh) * 2015-01-04 2015-06-24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防针刺注射器
CN204411410U (zh) * 2015-01-04 2015-06-24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防针刺双翼静脉穿刺针
CN204410825U (zh) * 2015-01-04 2015-06-24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防针刺安全采血针
CN106730139B (zh) 2015-11-23 2019-06-25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针刺装置
EA034614B1 (ru) 2015-11-23 2020-02-27 Гэмтиэр Медикал (Шанхай) Инк. Игольное пун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336008B2 (ja) * 2015-11-23 2018-06-06 ジェムティア メディカル (シャンハ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針刺し装置
CN205649700U (zh) * 2015-11-23 2016-10-19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针刺装置
CN107583137A (zh) 2016-07-07 2018-01-16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防针刺穿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70A (ja) * 1995-06-07 1997-04-15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カニューレ保護用のインターロック式シーケンスガード部材を備えるカテーテル機構
US20030073956A1 (en) * 2001-10-11 2003-04-17 Hoffman Douglas B. Safety catheter with non-removable retractable needle
US20050137528A1 (en) * 2003-12-17 2005-06-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assive activated safety blood collection set
JP2007151752A (ja) * 2005-12-02 2007-06-21 Nipro Corp 留置針
US20130245564A1 (en) * 2012-03-15 2013-09-19 Ren-Yue Cheng Safety device for a syringe
CN104288866A (zh) * 2014-10-24 2015-01-21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防针刺静脉输液穿刺针
CN204181959U (zh) * 2014-10-24 2015-03-04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防针刺静脉输液穿刺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9411B1 (en) 2024-03-06
TW201722488A (zh) 2017-07-01
WO2017088737A1 (zh) 2017-06-01
CA2980490A1 (en) 2017-06-01
PH12018500081A1 (en) 2018-07-09
AU2016359516A1 (en) 2017-10-05
MX2017012695A (es) 2018-08-15
AU2016359516B2 (en) 2019-05-02
JP2018512955A (ja) 2018-05-24
US11020569B2 (en) 2021-06-01
SG11201708864RA (en) 2017-11-29
JP6691136B2 (ja) 2020-04-28
CA2980490C (en) 2021-01-26
BR112017020577B1 (pt) 2022-12-13
HK1243660A1 (zh) 2018-07-20
US20180200486A1 (en) 2018-07-19
TWI713635B (zh) 2020-12-21
BR112017020577A2 (pt) 2018-07-03
MY192905A (en) 2022-09-14
EA034614B1 (ru) 2020-02-27
DE212016000131U1 (de) 2018-02-01
KR102115435B1 (ko) 2020-05-26
EP3269411A1 (en) 2018-01-17
EA201791926A1 (ru) 2018-03-30
EP3269411A4 (en)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6065B (zh) Needle device
JPH0263012B2 (ko)
KR101367902B1 (ko) 안전 카테터
CN205649700U (zh) 针刺装置
CN111297449A (zh) 一种穿刺支架及活检装置
KR20180014157A (ko) 천자침 장치
CN104921762B (zh) 一种用于气管镜的内镜穿刺取样针
KR102369963B1 (ko)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CN107583137A (zh) 防针刺穿刺装置
JP7100875B2 (ja) 皮内注射用補助具
CN207270341U (zh) 一次性使用采血针和静脉针
CN212650891U (zh) 一种穿刺支架及活检装置
CN111281439A (zh) 一种针槽板、穿刺支架及活检装置
CN205411269U (zh) 一种回缩式穿刺针
KR101520180B1 (ko) 일회용 사혈침기구
CN207886246U (zh) 蒙医放血疗法专用刀
CN211983984U (zh) 一种阴超检测安全裤
CN209564279U (zh) 一种医学用辅助固定装置
EP3903702B1 (en) Puncture support
CN108338796A (zh) 一次性使用采血针和静脉针
CN205287104U (zh) 留置针
KR20150004688A (ko) 견인력 향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메쉬 및 메쉬 삽입장치 그리고 메쉬 삽입방법
KR101452312B1 (ko) 의료용 메쉬 삽입장치
JP3099274U6 (ja) 採血用注射器
CN108339175A (zh) 一次性使用防针刺无菌注射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