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101A -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101A
KR20180014101A KR1020180001731A KR20180001731A KR20180014101A KR 20180014101 A KR20180014101 A KR 20180014101A KR 1020180001731 A KR1020180001731 A KR 1020180001731A KR 20180001731 A KR20180001731 A KR 20180001731A KR 20180014101 A KR20180014101 A KR 2018001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eel plate
load cell
steel sheet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956B1 (ko
Inventor
김지훈
서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산
Priority to KR102018000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9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08B1/002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24B1/04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subjecting the grinding or polishing tools, the abrading or polishing medium or work to vibration, e.g. grinding with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강판에 대한 연마를 하는 동안 상부 롤과 하부 롤이 강판에 대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좌우 경계부까지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강판을 통과시켜 강판의 표면을 연마 또는 세척하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이 설치되는 롤 프레임과,ㅌ 상기 롤 프레임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오실레이션 모터와, 상기 이동 가이드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로 전송하는 강판 단부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BRUSH APPARATUS FOR STEEL PLATE GRINDING}
본 발명은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강판 연마 중 자동으로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강판을 제조하고 연마, 세척할 때는 상부 롤(Brush roll)을 상부에 설치하고 하부에는 주로 고무나 금속 재질로 된 하부 롤(Back up roll)을 설치하여 서로 압착, 회전시키고, 그 사이로 강판이 통과할 때에 상부 롤(Brush roll)이 강판의 표면을 연마 또는 세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 롤과 하부 롤이 일정한 위치에서만 회전하게 되면, 상부 롤은 강판의 표면과 접촉하는 중앙 부분만 마모된다. 따라서 강판의 표면과 접촉하는 상부 롤의 중앙 부분의 직경은 작아지고 강판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부 롤의 양단 부분은 마모되지 않게 되므로 원 상태의 직경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렇게 상부 롤이 마모되어 직경이 작아지면 상부 롤과 강판의 표면과의 압축력이 약하게 되어 세척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상부 롤을 강판에 압착시키면서 가동을 하게 되고, 오래 가동하면 상부 롤의 양단 부분은 마모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상부 롤의 절곡량이 많아져서 조기에 상부 롤의 양단부분이 부러져 파손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강판의 양단 부분에 대한 세척 능력이 불량하게 되어 고품질의 강판 생산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367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강판에 대한 연마를 하는 동안 상부 롤과 하부 롤이 강판에 대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좌우 경계부까지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강판을 통과시켜 강판의 표면을 연마 또는 세척하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이 설치되는 롤 프레임과, 상기 롤 프레임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오실레이션 모터와, 상기 이동 가이드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로 전송하는 강판 단부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에 위치되는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로드셀을 향하여 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기와, 상기 로드셀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한 무게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로드셀이 상기 물 분사기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통해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물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흐름이 강판에 의해 단절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통해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셀은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 설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본체와, 상기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로드셀 본체를 그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드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상기 이동 가이드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레이저로 감지하여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로 전송하는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 상단에 위치되는 상단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투사하는 레이저 센서 모듈과, 상기 레이저 센서 모듈에 연결되어 강판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선택적으로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로드셀과 물 분사기를 이용하여 강판을 감지하거나,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레이저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강판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상기 롤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 프레임과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와, 이 이동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잭을 포함하고,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는 상기 볼 스크류 잭에 연결되어 볼 스크류 잭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따르면, 강판에 대한 연마를 하는 동안 상부 롤과 하부 롤이 강판에 대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좌우 경계부까지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롤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강판 단부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의 무게 감지 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의 무게 감지 센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에 의해 강판의 단부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에 의해 강판의 단부가 감지된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강판 단부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의 무게 감지 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의 무게 감지 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에 의해 강판의 단부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적용된 강판 단부 감지기에 의해 강판의 단부가 감지된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오실레이션 모터(12)와, 이 오실레이션 모터(12)에 연결되는 볼 스크류 잭(13)과, 이 볼 스크류 잭(1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이동 가이드(14)와, 이 이동 가이드(14)에 설치되는 롤 프레임(15)과, 이 롤 프레임(15)에 설치되는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롤(16)은 브러쉬 롤이며, 상기 하부 롤(17)은 브러쉬 롤일 수도 있고, 백업 롤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롤(16)은 상기 롤 프레임(15)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롤 프레임(15)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롤(16)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 몸체의 둘레에 식재되어 강판(S)을 연마하는 다수의 연마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롤(17)은 상기 롤 프레임(15)의 하측에 설치되며, 롤 프레임(15)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롤(17)은 주로 고무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은 롤 구동용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의 사이로 강판(S)이 통과하게 되면, 상기 상부 롤(16)에 의해 강판(S)이 연마되거나 세척된다.
한편, 상기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이 일정한 위치에서만 회전할 경우의 상부 롤(16)의 일정 부분만이 과도하게 마모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판(S)에 대한 연마 또는 세척을 하는 동안 상기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이 강판(S)에 대해 좌측 경계부(W)와 우측 경계부(D) 사이에서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오실레이션 모터(12)와, 볼 스크류 잭(13)과, 수평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 가이드(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10)에서 모터(12)가 구동하게 되면, 볼 스크류 잭(13)에 의해 이동 가이드(1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의 롤 프레임(1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강판(S)을 압착하는 상부 롤(16)과 하부 롤(17)도 상기 롤 프레임(15)과 더불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의 표면이 강판(S)의 표면과 고르게 접촉하게 되어 상부 롤(16)의 편중된 마모가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고품질의 강판 생산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 롤(16) 및 상기 하부 롤(17)의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S)의 단부를 감지하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롤(16)과 상기 하부 롤(17)이 좌측 경계부(W)와 우측 경계부(D) 내에서 자동으로 오실레이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 단부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15)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에 위치되는 보조 프레임(18)에 설치되며,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100)과, 이 로드셀(100)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로드셀(100)을 향하여 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기(200)와, 상기 로드셀(100)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100)에 의한 무게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12)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의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이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부 상면에 설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본체(120)와, 상기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하고 상기 로드셀 본체(120)를 그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로드셀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강판 단부 감지기를 설치하여 적용할 경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S)이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의 경계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로드셀(100)이 상기 물 분사기(2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무게를 계속적으로 감지하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경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300)는 표시부(310)에 숫자 '5'를 출력하면서 이에 따른 신호를 오실레이션 모터(12)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12)는 정해진 일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볼 스크류 잭(13)과 이동 가이드(14)에 의해 롤 프레임(15)은 좌우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예컨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강판(S)을 압착하는 상부 롤(16)과 하부 롤(17)도 상기 롤 프레임(15)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S)이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물 분사기(200)에서 분사되는 물의 흐름이 강판(S)에 의해 단절된다. 그러면 로드셀(100)에서 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경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300)는 표시부(310)에 숫자 '1'을 출력하면서 이에 따른 신호를 오실레이션 모터(12)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12)는 정해진 다른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볼 스크류 잭(13)과 이동 가이드(14)에 의해 롤 프레임(15)은 좌우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예컨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강판(S)을 압착하는 상부 롤(16)과 하부 롤(17)도 상기 롤 프레임(15)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가 에러 작동을 할 경우 보조할 수 있는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는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롤(16) 및 상기 하부 롤(17)의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S)의 단부를 감지하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롤(16)과 상기 하부 롤(17)이 좌측 경계부(W)와 우측 경계부(D) 내에서 자동으로 오실레이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다만,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는 상기 상부 롤(16)과 하부 롤(17)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S)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레이저로 감지한다는 점에서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와는 다르다. 이처럼 강판 단부 감지기와 더불어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를 추가로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가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 분사기(200)의 노즐이 막힐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는 상기 롤 프레임(15)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 상단에 위치되는 상단 보조 프레임(19)에 설치되며, 레이저 빔(420)을 투사하는 한 쌍의 레이저 센서 모듈(410)과, 상기 레이저 센서 모듈(410)에 연결되어 강판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센서 모듈(410)로는 거리 측정용 센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는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300)를 공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의 구체적인 작동은 물 대신 레이저를 이용하는 점만 다를 뿐 앞서 설명한 강판 단부 감지기의 작동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강판 단부 감지기와 더불어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는 제어기 등의 작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의 로드셀(100)과 물 분사기(200)를 이용하여 강판(S)을 감지하거나,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400)의 레이저 센서 모듈(410)을 이용하여 강판(S)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감지기가 에러 작동을 하는 경우에도 수리를 위해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강판(S)의 단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따르면, 강판에 대한 연마를 하는 동안 상부 롤과 하부 롤이 강판에 대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좌우 경계부까지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롤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고품질의 강판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오실레이션 모터
13 : 볼 스크류 잭
14 : 이동 가이드
15 : 롤 프레임
16 : 상부 롤
17 : 하부 롤
18 : 보조 프레임
100 : 로드셀
200 : 물 분사기
300 :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
400 :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

Claims (1)

  1.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강판을 통과시켜 강판의 표면을 연마 또는 세척하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이 설치되는 롤 프레임;
    상기 롤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상기 롤 프레임이 오실레이션 작동을 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오실레이션 모터;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 및 상기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잭; 및
    상기 이동 가이드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로 전송하는 강판 단부 감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에 위치되는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며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로드셀을 향하여 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기 및 상기 로드셀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한 무게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은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 상면에 설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본체 및 상기 로드셀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로드셀 본체를 그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드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이 상기 상부 롤과 상기 하부 롤의 경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로드셀은 상기 물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무게를 계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는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가 정해진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강판이 상기 상부 롤과 상기 하부 롤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물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흐름이 상기 강판에 의해 단절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는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가 정해진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강판에 대한 연마를 하는 동안 상기 상부 롤과 상기 하부 롤이 강판에 대해 오실레이션 작동를 하되, 오실레이션 작동시 강판의 단부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좌측 경계부와 우측 경계부 사이에서 오실레이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롤과 하부 롤의 사이로 통과하는 강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레이저로 감지하여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션 모터로 전송하는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 상단에 위치되는 상단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는 강판 단부 감지기의 모터 구동용 신호 발생기를 공용으로 이용하고,
    보조 강판 단부 감지기는 상기 롤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의 측부 상단에 위치되는 상단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KR1020180001731A 2018-01-05 2018-01-05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KR10222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31A KR102227956B1 (ko) 2018-01-05 2018-01-05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31A KR102227956B1 (ko) 2018-01-05 2018-01-05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40A Division KR20170089519A (ko) 2016-01-27 2016-01-27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01A true KR20180014101A (ko) 2018-02-07
KR102227956B1 KR102227956B1 (ko) 2021-03-16

Family

ID=6120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31A KR102227956B1 (ko) 2018-01-05 2018-01-05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12B1 (ko) * 2020-03-10 2020-06-16 정동훈 브러쉬 장치
CN112295973A (zh) * 2020-08-28 2021-02-02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板表面自动清洗打磨一体设备及打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359A (ja) * 1992-01-17 1993-08-20 Hotani:Kk ブラシロール左右往復動型ブラシロール機
KR200436730Y1 (ko) 2006-12-12 2007-10-01 주식회사 마산 철판 연마용 브러쉬 롤의 구조
KR101443098B1 (ko) * 2013-04-29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359A (ja) * 1992-01-17 1993-08-20 Hotani:Kk ブラシロール左右往復動型ブラシロール機
KR200436730Y1 (ko) 2006-12-12 2007-10-01 주식회사 마산 철판 연마용 브러쉬 롤의 구조
KR101443098B1 (ko) * 2013-04-29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12B1 (ko) * 2020-03-10 2020-06-16 정동훈 브러쉬 장치
CN112295973A (zh) * 2020-08-28 2021-02-02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板表面自动清洗打磨一体设备及打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956B1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8545B2 (en)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executed in the same
CN107443249B (zh) 研磨机系统
KR100895096B1 (ko) 파이프 가공장치
US6612901B1 (en) Apparatus for in-situ optical endpointing of web-format planarizing machines in mechanical or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of microelectronic-device substrate assemblies
KR20180014101A (ko)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CN102284910B (zh) 研磨垫的修整方法和修整装置
JP7009552B2 (ja) 研磨装置
US67026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olishing plate condition
KR20070060680A (ko) 자동연마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719609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KR20170089519A (ko)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KR101351964B1 (ko) 에지 과도금 제거 장치 및 강판 도금 설비
CN102068070B (zh) 布粘接装置
KR101969090B1 (ko) 초음파기술을 적용한 태양광발전설비 세척장치
CN112790679A (zh) 一种可调节对地压力的清扫机器人
CN111854845A (zh) 一种建筑工程用质量检测装置
JP2002001615A (ja) 鋸刃のドレッシ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204052399U (zh) 可调整开口度的边部吹扫装置
CN208482855U (zh) 研磨装置以及具有其的用于液晶面板的清洁设备
CN211460100U (zh) 一种直线喷头结构以及洗涤装置
KR20070037134A (ko) 용접팁 연마장치의 제어방법
CN210360837U (zh) 一种钢板研磨清洗设备
CN215687510U (zh) 可调节对地压力的清扫机器人
CN219053939U (zh) 一种辊筒模具外壁抛光机机头
CN220533785U (zh) 一种浮动式自动化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