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63A -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63A
KR20180012663A KR1020160096497A KR20160096497A KR20180012663A KR 20180012663 A KR20180012663 A KR 20180012663A KR 1020160096497 A KR1020160096497 A KR 1020160096497A KR 20160096497 A KR20160096497 A KR 20160096497A KR 20180012663 A KR20180012663 A KR 2018001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tail gate
tailg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666B1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이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주 filed Critical 이헌주
Priority to KR102016009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66B1/ko
Priority to CN201710200450.9A priority patent/CN107663986A/zh
Publication of KR2018001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acous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음성인식방법,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되는 문자나 그림 정보의 이용, 그리고 센서들의 센싱 방향성을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구동에 필요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들이 구성되고, 이러한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OF AUTO TAILGATES}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폐 명령, 그리고 센서들의 센싱 방향성에 따라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는 짐 등을 싣기 위한 트렁크가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트렁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직접 트렁크(즉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아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양손에 가득 짐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짐을 차량의 근처 바닥에 내려놓은 후 트렁크를 열고 짐을 실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는 차량에 실린 다량의 짐을 다른 장소로 옮기는 과정도 마찬가지이다. 즉 짐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트렁크를 닫아야 했다. 이는 일반 승용차뿐만 아니라 MPV(Multi-Purpose Vehicle) 및 SUV(Sports Utility Vehicle) 등과 같은 레저용 차량(RV)에도 동일한 문제점으로 적용된다.
상기 문제점은 트렁크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의 개발로 이어졌다. 상기 오토 테일 게이트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조건에서도 트렁크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기술로서 그만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테일 게이트는 현재 획일화되거나 정형화된 방법으로만 개방하고 닫는 구동방식이 채택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에 마련된 도어 개방/닫힘 버튼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차량용 원격 시동 키이에 마련된 버튼 조작을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로는 운전자의 기대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단순한 버튼 조작만으로 테일 게이트를 조작하는 단순함 때문일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도어 개방/닫힘 버튼이나 원격 시동 키이에 마련된 버튼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건 등을 들고 있어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테일 게이트의 오토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때는 짐을 내려놓고 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원래의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의 이러한 단순한 조작의 범위에서 벗어나서 운전자에게 다른 방식의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는 구동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처럼 새로운 방식으로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음성인식방법, 통신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센서의 센싱 방향성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구동에 필요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들; 상기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eable) 시키는 선택 스위치;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인에이블(eable) 된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음성정보, 스마트폰에서 전달되는 문자나 그림 정보, 그리고 센서의 방향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인에이블 상태인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테일 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방 신호는, 아이콘, 이모티콘, 문자 메시지 중 하나이고, 상기 개방 신호에 테일 게이트의 닫힘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고 닫는 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음성,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그리고 차량에 장착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를 개방 또는 닫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의 구동 방식의 다양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절대적인 조건에서도 테일 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어, 종래 오토 테일 게이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테일 게이트가 제공된 차량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그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고 닫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테일 게이트의 개방/닫힘 동작에 사용되는 아이콘의 실시 예 도면
본 발명은 음성인식방법, 통신매체를 이용한 방법, 홍채나 안면 영상 등의 특정 영상정보, 센서들의 센싱 방향성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고 닫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요지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테일 게이트가 제공된 차량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110)가 마련된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110)는 승용차 및 SUV 차량 등에서 짐을 싣고 내릴 수 있는 공간(즉 트렁크)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말한다. 그리고 테일 게이트(110)를 구동하는 구동력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소정 용량의 구동모터에 의해 제공되며, 반면 MPV 및 SUV와 같은 차량은 오일 쇼바 혹은 직선운동 모터 등에 의해 제공된다. 도면부호 112는 이러한 구동모터 및 오일 쇼바를 나타내며, 차량 종류에 따라 구동모터 또는 오일쇼바가 적용되어 테일 게이트(110)을 구동함은 의미한다.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110)의 구동(개방/닫힘)에 필요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120)가 마련된다. 이러한 음성 입력부(120)는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음성 입력부(120)가 외부에 설치되더라도 정당한 운전자만이 테일 게이트(11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음성 성문분석을 이용하면 된다. 또는 다른 예로 운전자의 홍채 또는 안면 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제3자가 부정하에 테일 게이트(110)를 구동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음성 입력부(120)에는 필터부(122)가 연결된다. 필터부(122)는 사람의 음성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즉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음성 입력부(120)가 음성을 입력받을 때 음성 이외의 신호도 함께 입력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를 통해 순수한 음성신호만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필터부(122)가 미리 설정된 명령단어 또는 문장만이 인식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 열어주세요', '문 닫아 주세요'와 같은 음성만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음성 입력부(120)에 연결된 필터부(122)는 명령어의 성문을 분석하여 미리 입력된 사람의 음성에만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는 스마트폰(10)과 연동하는 통신부(130)가 포함된다. 통신부(130)는 스마트폰(10)과 블루투스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10)과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근래 출시되는 차량에는 휴대단말기와 근거리에서 통신하는 블루투스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차량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142)(144)가 장착된다. 센서(142)(144)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되는데, 통상 적외선 센서나 열 감지 센서, 영상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이의 센서들(142)(144)을 이용해서 테일 게이트(110)를 조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센서(142)(144)는 차량의 후방 범퍼에 장착되는 것이 좋으나, 이외의 위치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테일 게이트(110) 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거나, 후방 글래스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110)의 조작과 관련된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성된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한 음성 입력부(120), 통신부(130) 및 센서(142)(144)들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이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저장부(160)를 액세스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닫거나 개방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저장부(160)는 상기한 음성정보, 또는 스마트폰(10)에서 전달되는 문자나 그림 정보, 그리고 센서의 방향성 정보, 특정 영상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음성 입력부(120), 통신부(130) 및 센서들(142)(14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테일 게이트(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음성 입력부(120), 통신부(130), 센서(142)(144)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이용하도록 하는 선택스위치(170)가 마련된다. 이는 둘 이상의 구성이 동시에 동작할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선택스위치(170)에 의해 어느 동작이 수행할 수 있는지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180)도 마련된다. 이러한 선택스위치(170)나 표시부(180)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스위치나 버튼 타입의 이미지가 표시되면 이를 조작하여 선택하고, 그 선택된 결과가 표시부에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차량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은 차량 내부에 탑재되어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거나, 휴대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를 말한다.
다음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120), 통신부(130) 및 센서들(142)(144)을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열거나 닫히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운전자는 선택스위치(170)를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구성만을 인에이블(enable) 한다(s100). 그리고 선택스위치(170)에 따른 인에이블된 구성은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차량 내에 구비된 표시부(즉 멀티미디어 단말의 표시장치가 될 수 있음)(18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첫 번째로는 음성 입력부(120)가 인에이블된 경우(s110)부터 설명한다.
운전자가 테일 게이트(110)를 열기 위해 직접 '문 열어 주세요'의 음성을 출력한다(s112). 그러면 출력된 음성은 음성 입력부(120)를 통해 필터부(122)로 전달된다. 이에 필터부(122)는 음성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들 중 노이즈는 제거하고 '문 열어 주세요'의 명령 음성만을 추출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s114). 또한 필터부(122)는 음성의 성분분석을 통하여 특정인의 목소리에만 반응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추출된 음성신호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6). 확인 결과 제118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60)에 저장된 경우 구동모터 또는 오일 쇼바를 제어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시킨다. 만약 저장부(160)에 없는 경우라면 테일 게이트(110)는 미작동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필터부(122)가 필터링 한 음성신호를 그대로 인식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구동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테일 게이트(110)의 닫힘 동작은 제어부(150)가 '문 닫아 주세요'와 같은 음성 신호를 전달받으면 수행한다.
여기서 테일 게이트(110)를 닫을 때 타이머(도면 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기 위해 운전자가 '문 열어 주세요'를 말하면서 '몇 초 후에 문을 닫아 주세요'를 함께 말하면, 제어부(150)는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는 시점부터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그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별도의 음성 신호 없이도 테일 게이트(110)를 닫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두 번째, 선택 스위치(170)에 의해 통신부(130)가 인에이블 된 경우(s120)이다. 이는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과 차량의 멀티미디어 단말이 블루투스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운전자가 스마트폰(10)을 조작하여 테일 게이트(110)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s120)(s122). 상기 신호로는 개방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아이콘, 이모티콘, 문자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1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호를 전달받고, 이러한 신호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 제118단계로 진행되고, 이에 상기 신호들이 저장부(160)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150)는 구동모터 또는 오일 쇼바를 제어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시킨다. 물론 저장부(160)에 상기 신호가 없는 경우라면 테일 게이트(110)는 미작동상태가 된다.
통신부(13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의 블루투스 기능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외부에서도 스마트폰(10)을 조작하여 상기의 이미지나 아이콘, 이모티콘, 문자 메시지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는 무선 통신망이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개방 상태인 테일 게이트(110)를 닫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소정의 이미지나 이모티콘, 문자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150)는 테일 게이트(110)를 닫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두 번째 예에서도 테일 게이트(110)를 닫기 위한 이미지나 아이콘, 이모티콘, 문자메시지를 별도로 발생하지 않고,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할 때 닫힘 동작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이모티콘, 문자메시지를 미리 전송하여 그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로,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이와 동일한 아이콘이 저장부(160)에 있는지 액세스하고, 정해진 명령에 따라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고 10초 이후에 테일 게이트(110)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세 번째, 센서(142)(144)가 인에이블된 경우(s130)이다. 이는 센서(142)(144)의 감지방향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미리 센서(142)(144)의 감지 방향성에 따라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닫는 동작을 셋팅할 필요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센서 중 제1 센서(또는 좌측 센서)(142)에서 제2 센서(또는 우측 센서)(144)로 움직임이 감지되면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고, 반대로 제2 센서(144)에서 제1 센서(142)로 움직임이 감지되면 테일 게이트(110)를 닫도록 한다.
따라서, 센서(142)(144)가 인에이블 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s132), 감지정보는 상/하/좌/우 방향일 수 있다(s134). 여기서는 좌에서 우방향,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의 움직임이다. 그래서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의 액세스 결과에 따라 그러한 움직임 정보가 제1 센서(142)에서 제2 센서(144)로 감지된 경우와 일치하면 제어부(150)는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시킨다. 반대로 운전자가 제2 센서(144)에서 제1 센서(142)로 감지된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부(150)는 테일 게이트(110)를 닫도록 제어한다.
센서(142)(144)의 방향성은 좌/우 방향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센서(142)(144)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움직임이 감지될 때 테일 게이트(110)를 개방하거나 닫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닫거나 여는 동작을 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110)의 구동에 다른 예를 적용하여 충분히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홍채나 안면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 경우는 영상 카메라를 센서로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영상 카메라에 의해 운전자의 홍채 또는 안면 영상과 같은 특정 영상이 촬영되고, 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테일 게이트(110)를 구동시킨다.
상기 홍채 또는 안면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의 테일 게이트(110) 구동은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예컨대,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홍채나 안면 영상이 일정 거리 안에 들어오면 테일 게이트(110)는 개방되고, 반대로 거리가 멀어지거나 인지되지 않으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눈의 깜박임 동작이나 고개의 끄덕임 동작에 따라 테일 게이트(110)의 개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만을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고 닫는 동작을 수행함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상기 방법 중 둘 이상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테일 게이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입력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통신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 그리고 특정 영상정보 등을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구성들 자체만으로 테일 게이트를 개폐하는 것 이외에,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일정 거리 내에서 스마트 키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구성들에 의한 테일 게이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스마트 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불특정 다수에 의한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시도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10: 테일 게이트 120: 음성 입력부
122: 필터부 130: 통신부
142, 144: 센서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선택스위치
180: 표시부

Claims (7)

  1.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구동에 필요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센서들;
    상기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eable) 시키는 선택 스위치;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인에이블(eable) 된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거나 닫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음성정보, 스마트폰에서 전달되는 문자나 그림 정보, 센서의 방향성 정보, 그리고 특정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에이블 상태인 음성 입력부, 통신부 및 센서들 중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테일 게이트의 개방 신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신호는, 음성정보, 아이콘, 이모티콘, 문자 메시지, 특정 영상정보 중 하나이고,
    상기 개방 신호에 테일 게이트의 닫힘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고 닫는 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특정 단어나 문장을 포함하는 음성정보이거나 또는 특정 성문을 가지는 사람이 말하는 음성정보인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상정보는, 일정 거리 안에 들어오면 상기 테일 게이트는 개방되고, 상기 일정 거리 이외이거나 영상 카메라가 인지하지 못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는 닫히도록 하는 미리 저장된 홍채, 안면 형상 정보인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상정보는, 동작에 따라 상기 테일 게이트가 개폐되도록 제공되는 눈의 깜박임 정보 또는 고객의 끄덕임 정보와 같은 영상 정보인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KR1020160096497A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KR101844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97A KR101844666B1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CN201710200450.9A CN107663986A (zh) 2016-07-27 2017-03-30 汽车自动尾门的驱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97A KR101844666B1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63A true KR20180012663A (ko) 2018-02-06
KR101844666B1 KR101844666B1 (ko) 2018-04-02

Family

ID=6112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497A KR101844666B1 (ko) 2016-07-27 2016-07-27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4666B1 (ko)
CN (1) CN1076639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7798A (zh) * 2018-07-04 2018-11-23 江苏吉厚智能制造有限公司 汽车尾门语音控制系统
CN111591249A (zh) * 2020-05-13 2020-08-28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防止移动智能设备被误锁在车辆的后备箱中的方法和车载系统
CN111734252B (zh) * 2020-06-16 2022-04-19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影像辨识汽车尾门开启的系统及方法
CN111703510B (zh) * 2020-06-22 2021-10-08 潍坊歌尔微电子有限公司 语音采集装置、尾门控制装置及尾门控制方法
CN112096222B (zh) * 2020-09-15 2022-05-20 上海商汤临港智能科技有限公司 后备箱的控制方法及装置、车辆、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110873A (zh) * 2021-03-18 2022-09-27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uwb技术的脚踢感应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61B1 (ko) 2005-03-08 2007-05-30 (주) 엘지텔레콤 차량의 원격 제어시스템
DE102008063366B4 (de) * 2008-12-30 2022-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in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Betätige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es und Kraftfahrzeug
KR20140007566A (ko) * 2012-07-09 2014-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렁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040B1 (ko) * 2013-03-07 2019-02-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2394B1 (ko) * 2013-08-12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CN203559695U (zh) * 2013-10-17 2014-04-23 深圳市辉途致信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尾门控制器
CN104627124B (zh) * 2013-11-12 2017-02-15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尾门自动开启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3986A (zh) 2018-02-06
KR101844666B1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666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의 구동장치
US10510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CN109552340B (zh) 用于车辆的手势和表情控制
JP4305289B2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る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6498970B2 (en) Automatic access to an automobile via biometrics
JP5630318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20100185341A1 (en) Vehicle mode activation by gesture recognition
TW202035846A (zh) 載具及其控制、解鎖與上鎖方法
KR20180100182A (ko) 차량의 외부 표면 상에 콘텐츠를 인터랙티브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
US11364876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423597B (zh) 车载显示装置的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设备、车辆
KR102113344B1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US1154930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947040B1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139925A (zh) 车辆起步控制方法及装置、车辆、存储介质
KR102126021B1 (ko)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6297B1 (ko)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16248996A (zh) 用于车辆的车内摄像头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KR20200076972A (ko)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40102B1 (ko) Obd-ⅱ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7399790B2 (ja) エントリー支援システム、エントリー支援方法、及びエントリー支援プログラム
US20220203935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5071563A (zh) 车辆提示信息生成方法、装置、车门锁控制器及车辆
CN107107756A (zh) 通过检测驾驶员的运动和/或表情控制交通工具功能的人/机界面和方法
JP2004330979A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