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456A -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456A
KR20180012456A KR1020160095279A KR20160095279A KR20180012456A KR 20180012456 A KR20180012456 A KR 20180012456A KR 1020160095279 A KR1020160095279 A KR 1020160095279A KR 20160095279 A KR20160095279 A KR 20160095279A KR 20180012456 A KR20180012456 A KR 2018001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image
value
brightness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769B1 (ko
Inventor
최의선
백윤길
백상욱
이상훈
이철희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769B1/ko
Priority to CN201710595105.XA priority patent/CN107665537B/zh
Priority to US15/657,908 priority patent/US10318802B2/en
Publication of KR2018001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7Detecting defacement or contamination, e.g. di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05Testing spectral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8Quantising the image, e.g. histogram thresholding for discrimination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06V10/993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08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re-processing, e.g. de-blurring, averaging, normalisation or ro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75Setting acceptance levels or para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폐 이미지의 각 픽셀들을 영상의 밝기 분포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밝기 평균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를 통해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에 따라 지폐수납고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할 수 있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Soiled banknote discrimination method and the ATM the method applied thereto}
본 발명은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폐 이미지의 각 픽셀들을 영상의 밝기 분포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밝기 평균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를 통해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에 따라 지폐수납고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할 수 있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 ATM)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카드나 통장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현금(지폐)의 인출(출금), 또는 예입(입금) 등의 거래를 고객 자신의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회사들이 주 5일제 시행으로 사람들이 직접 은행에 가는 경우 보다는 ATM이나 CD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의 설치가 점점 확대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현재,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주요 업무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까지 함께 고려하여 구현되고 있는 중이고, 계속해서 은행 경쟁력 향상 및 고객 만족을 위해 금융자동화기기를 개발중인 추세이다.
통상, 금융자동화기기에는 고객으로부터 투입되는 지폐의 권종, 진위 및/또는 지폐의 손상여부 등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감별부에서의 감별 결과에 따라 투입된 지폐를 분류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지폐 보관용 카세트에 수납하여 보관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 상기 입출금부(1)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 상기 반송로(2) 상에 설치되어 반송되는 지폐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매체감별부(3), 상기 매체감별부(3)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거래 성립시까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임시저장부(4),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지폐카세트(5), 상기 고객이 투입한 지폐 중 손상이 심하거나 낡은 지폐를 회수하는 리젝트박스(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객이 투입한 지폐가 손상이 심하거나 낡은 경우, 지폐는 다시 환류되지 않도록 리젝트박스에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77671호에는 투입된 지폐를 인식하여 권종, 위폐여부 및 훼손 여부 등을 파악하고, 인식결과에 따라 배출부에 구비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적재 포켓들에 분리되어 배출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776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투입된 지폐에 초음파 센서를 통해 지폐에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등의 훼손 여부와, 컨텍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찢어지거나 구멍난 지폐를 검출하거나, 자외선 센서를 통해 물에 빠진 지폐를 검출하거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낙서가 되어 있는 지폐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훼손지폐를 식별하였다.
하지만, 지폐가 손상되거나 훼손되지 않았더라도, 오랜시간 사용됨에 따라 지폐에 인쇄된 원색의 잉크가 퇴색 및 농도가 옅어지거나 오염된 지폐 역시 고객에게 다시 출금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으나, 지폐의 낡은 정도를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 및 방법이 없어 심하게 낡은 지폐의 경우 위폐 또는 의심권으로 판별되거나 또는 환류가 중지되어야 할 정도의 낡은 지폐도 정상지폐로 처리되어 환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77671호 (공개일 : 2016년 7월 4일)"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폐 이미지의 각 픽셀들을 영상의 밝기 분포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밝기 평균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를 통해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에 따라 지폐수납고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할 수 있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하는 지폐 식별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지폐의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들을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밝은 영역의 밝기값 평균과 상기 어두운 영역의 밝기값 평균을 산출하여, 두 영역의 밝기값 평균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낡은 지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폐의 이미지에서 영상의 밝기 분포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인 두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밝기 평균의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낡은 정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류가 중지되어야 할 정도의 낡은 지폐를 지폐수납고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최근 발행된 새지폐와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헌지폐를 비교하기 위해 새지폐와 헌지폐를 각각 이미지 스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지폐 이미지를 스캔한 데이터로서, 지폐 이미지 스캔의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 픽셀들의 밝기값에 따라 밝은 영역, 중간영역 및 어두운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지폐의 사용기간에 따른 밝기값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낡은 지폐 식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근 발행된 새지폐와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헌지폐의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 픽셀들의 밝기값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최근 발행된 새지폐와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헌지폐를 비교하기 위해 새지폐와 헌지폐를 각각 이미지 스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지폐(a)와 헌지폐(b)를 이미지 스캔하여 비교해 살펴보면, 새지폐(a)에 비해 헌지폐(b)는 오랜시간 사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색이 짙었던 부분은 색 바램 등으로 인해 밝기가 밝아지고, 색이 밝았던 부분은 얼룩, 구김등으로 인해 밝기가 어두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헌지폐는 새지폐에 비해 전체적으로 대조도가 낮아지고, 엣지(edge) 강도 역시 둔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지폐 이미지를 스캔한 데이터로서, 지폐 이미지 스캔의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 픽셀들의 밝기값에 따라 밝은 영역, 중간영역 및 어두운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지폐의 사용기간에 따른 밝기값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픽셀들의 밝기값을 밝은 영역(a)과 중간영역(b) 및 어두운 영역(c)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로 지폐의 사용기간에 따른 밝기값의 변화를 비교해 살펴보면, 지폐의 사용이 오래될수록 밝은 영역(a)에서는 계속되는 지폐의 사용에 따라 얼룩, 구김 등이 발생하여 픽셀들의 밝기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어두운 영역(c)에서는 계속되는 사용에 따라 색 바램 등이 발생하여 픽셀들의 밝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간영역(b)에서는 상대적으로 계속되는 사용에 의해서도 밝기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헌지폐는 새지폐에 비해 기존의 밝은 영역은 상대적으로 밝기가 어두워지고, 기존의 어두운 영역은 상대적으로 밝아짐에 따라, 새지폐와 비교할 경우 전체 밝기의 분산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가 낡을수록 새지폐와 비교하여 밝기의 분산이 작아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폐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픽셀들의 밝기값에 따른 분산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여,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각 픽셀들을 밝기값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평균 밝기 차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낡은 지폐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낡은 지폐 식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낡은 지폐 식별 방법은 먼저 이미지 센서를 통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410).
이어서, 획득된 지폐의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산출한다(S420). 이러한 지폐 이미지의 그레일 스케일 변환은 획득된 지폐 이미지에서 색상 신호를 제거한 휘도 신호만을 추출하여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에서 녹색(Green) 데이터의 휘도 값만을 추출하여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여,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지폐 이미지의 픽셀을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으로 구분한다(S430).
이러한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는데 있어서는, 공지의 오츠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오츠 알고리즘(Otsu Thresholding Algorithm)은 이미지의 히스토그램 형태가 쌍봉형(bimodal)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계곡점(valley)을 찾아서 그 점을 임계값(T)으로 하는 것이다. 즉, 지폐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하여 밝기값에 따른 그래프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두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분산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을 임계값으로 정하여 그래프를 두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오츠 알고리즘은 특히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임계값을 기준으로 분할된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을 산출하고,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을 산출한 후, 두 영역의 평균 밝기값의 차를 산출하여(S440),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근 발행된 새지폐와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헌지폐의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 픽셀들의 밝기값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이때, 그래프의 X축은 밝기값의 레벨을 0~255로 분할한 값이며, 그래프의 Y축은 밝기값 레벨에 해당하는 이미지 센서 픽셀들의 갯수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새지폐와 헌지폐를 각각 임계값(Tn, To)을 기준으로 나뉘어진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Dn, Do)과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Ln, Lo)의 차를 비교할 경우, 새지폐의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Dn)과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Ln)의 차(Sn)에 비해, 헌지폐의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Do)과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Lo)의 차(So)가 작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헌지폐는 새지폐에 비해 기존의 밝은 영역은 밝기가 어두워지고, 기존의 어두운 영역은 밝아짐에 따라,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에서 나타나는 밝기값의 분산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 이미지의 각 픽셀에서 나타나는 밝기값의 분산이 작아질수록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과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의 차는 작아지게 된다. 이는 곧 지폐가 낡아질수록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과 밝은 영역의 평균 밝기값의 차가 작아짐을 의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 이미지를 스캔한 결과로 얻어지는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에서 나타나는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여,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각 픽셀들을 밝기값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평균 밝기 차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해당 지폐를 낡은 지폐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지폐의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0 ~
Figure pat00001
까지의 총
Figure pat00002
개의 레벨로 분류되는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검출하고,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해 추출된 밝기값 정도의 임계값이
Figure pat00003
인 경우, 밝기값
Figure pat00004
를 갖는 픽셀의 수를
Figure pat00005
라고 하면, 지폐의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평균 밝기값의 차이(
Figure pat00006
)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이와 같이 계산되는
Figure pat00008
를 해당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하는 '낡은 수준 정도값'으로 정의하고, 이를 환류 가능 지폐의 기준 설정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
Figure pat00009
)과 비교 판단함으로써 낡은 지폐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기준값(
Figure pat00010
)은 환류하여 사용가능한 정도의 지폐 판별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수준의 낡은 수준 정도값으로서, 다수의 헌 지폐에 대한 사전 스캔 결과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별한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경우 해당 지폐를 환류를 중지시킬 정도의 낡은 지폐로 판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당 지폐가 낡은 지폐로 판정될 경우, 리젝트박스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한다(S4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방법은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폐의 이미지에서 영상의 밝기 분포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인 두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밝기 평균의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지폐의 낡은 수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낡은 정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류가 중지되어야 할 정도의 낡은 지폐를 지폐수납고에 별도로 분리시켜 수납·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 : 입출금부 2 : 반송로
3 : 매체감별부 4 : 임시저장부
5 : 지폐카세트 6 : 리젝트박스

Claims (9)

  1.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하는 지폐 식별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지폐의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들을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밝은 영역의 밝기값 평균과 상기 어두운 영역의 밝기값 평균을 산출하여, 두 영역의 밝기값 평균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낡은 지폐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에서 색상 신호를 제거한 휘도 신호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에서 녹색(Green) 데이터의 휘도 값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오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츠 알고리즘을 이용한 임계값의 추출은,
    픽셀별 밝기값의 분포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계곡점을 찾아 임계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밝은 영역의 밝기값 평균과 상기 어두운 영역의 밝기값 평균을 산출하여, 두 영역의 밝기값 평균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2]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수학식 2]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밝기값 평균의 차,
    Figure pat00013
    : 밝기값 레벨 수,
    Figure pat00014
    : 임계값,
    Figure pat00015
    : 밝기값,
    Figure pat00016
    : 밝기값
    Figure pat00017
    를 갖는 픽셀의 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차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낡은 지폐를 식별하는 단계에서는,
    환류하여 사용가능한 정도의 지폐 판별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수준의 낡은 수준 정도값을 사전 스캔을 통해 미리 설정하여 기준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산출된 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낡은 지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8. 금융자동화기기에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의 낡은 정도를 파악하는 지폐 식별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지폐 이미지의 픽셀별 밝기값의 분산 정도 파악을 위한 임계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각 픽셀들을 밝기값에 따라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나눈 후, 두 영역의 평균 밝기 차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낡은 지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의 추출은,
    오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픽셀별 밝기값의 분포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계곡점을 찾아 임계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낡은 지폐 식별 방법.
KR1020160095279A 2016-07-27 2016-07-27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KR10183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79A KR101830769B1 (ko) 2016-07-27 2016-07-27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CN201710595105.XA CN107665537B (zh) 2016-07-27 2017-07-20 破旧纸币识别方法及应用该方法的自动柜员机
US15/657,908 US10318802B2 (en) 2016-07-27 2017-07-24 Worn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and AT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79A KR101830769B1 (ko) 2016-07-27 2016-07-27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56A true KR20180012456A (ko) 2018-02-06
KR101830769B1 KR101830769B1 (ko) 2018-02-21

Family

ID=6101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79A KR101830769B1 (ko) 2016-07-27 2016-07-27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18802B2 (ko)
KR (1) KR101830769B1 (ko)
CN (1) CN10766553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831A (ko) * 2018-12-31 2020-07-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낡은 지폐 훼손도 정량화 방법
KR102296357B1 (ko) * 2021-04-13 2021-09-01 비엔피협동조합 모니터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2117A (ja) * 2016-08-23 2018-03-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及び監視装置並びにこれらを含む自動取引システム
US10296800B2 (en) * 2017-04-26 2019-05-21 Ncr Corporation Media validation processing
CN110910561B (zh) * 2018-09-18 2021-11-1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污损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和金融设备
CN109658586B (zh) * 2018-11-20 2021-04-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薄片类可堆叠物体的数量校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2329845B (zh) * 2020-11-03 2024-05-07 深圳云天励飞技术股份有限公司 更换纸币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38809B (zh) * 2021-06-11 2023-08-04 深圳怡化电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助设备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2336B2 (ja) * 1998-12-21 2009-08-2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状態識別装置
KR100393071B1 (ko) * 2001-08-18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히스토그램 평활화 장치 및 방법
KR100464916B1 (ko) 2004-09-09 2005-01-17 이-뱅킹텍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용 데이타베이스 수집장치 및 그방법과 그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위조지폐 및권종식별장치 및 그 방법
JP2006180252A (ja) * 2004-12-22 2006-07-06 Canon Inc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776134B1 (ko) * 2005-12-23 2007-11-1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밝기 분포 조절방법
WO2010023420A1 (en) * 2008-08-28 2010-03-04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Document of value and method for detecting soil level
JP2010277252A (ja)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2011065280A (ja) * 2009-09-15 2011-03-31 Sumitomo Heavy Ind Ltd 画像処理装置、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操作支援システム
CN103606221B (zh) * 2013-12-04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清分机故障自动诊断方法以及装置
CN104008528B (zh) * 2014-05-21 2016-09-07 河海大学常州校区 基于阈值分割的非均匀光场水下目标探测图像增强方法
CN104021774B (zh) * 2014-05-29 2016-06-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装置
US9900519B2 (en) * 2015-03-26 2018-02-20 Skr Labs, Llc Image capture by scene classification
JP6683367B2 (ja) * 2015-03-30 2020-04-2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及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CN104966349A (zh) * 2015-06-30 2015-10-07 新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tm平台的纸币新旧检测方法
US10248883B2 (en) * 2015-08-20 2019-04-02 Align Technology, Inc. Photograph-based assessment of dental treatments and procedures
CN106056559B (zh) * 2016-06-30 2018-08-28 河海大学常州校区 基于暗通道先验的非均匀光场水下目标探测图像增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831A (ko) * 2018-12-31 2020-07-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낡은 지폐 훼손도 정량화 방법
KR102296357B1 (ko) * 2021-04-13 2021-09-01 비엔피협동조합 모니터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2805A1 (en) 2018-02-01
CN107665537B (zh) 2020-01-07
KR101830769B1 (ko) 2018-02-21
US10318802B2 (en) 2019-06-11
CN107665537A (zh)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769B1 (ko) 낡은 지폐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KR101781009B1 (ko) 낡은 지폐 식별 방법
JP5213649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JP4012423B2 (ja) 紙幣取扱装置
KR101554252B1 (ko) 지폐일련번호 인식을 통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JP4286790B2 (ja) 紙葉類識別方法及び紙葉類識別装置
JP2004157624A (ja) 紙幣類取引装置
KR20120033976A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397722B1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KR20070042698A (ko) 불량지폐입금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방법
JP2019106014A (ja) 現金自動預払機、端末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1385358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EP3396642B1 (en) Media validation processing
JP6136766B2 (ja) 現金処理装置
JP2003242549A (ja) 汚損券抽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現金取扱装置
JP2008140262A (ja) 紙葉類取引システム
WO2015029492A1 (ja) 現金処理装置
EP3410409B1 (en) Media security validation
CN108961530B (zh) 一种纸币缺陷识别方法以及系统
JP2015135560A (ja) 入出金装置
JP4401961B2 (ja) 紙葉類処理装置
CN113012337B (zh) 纸币清分方法
JP4626243B2 (ja) 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判別装置
CN116052324A (zh) 一种钞票污渍识别检伪方法
JP4897446B2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