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422A -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 Google Patents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422A
KR20180011422A KR1020160093424A KR20160093424A KR20180011422A KR 20180011422 A KR20180011422 A KR 20180011422A KR 1020160093424 A KR1020160093424 A KR 1020160093424A KR 20160093424 A KR20160093424 A KR 20160093424A KR 20180011422 A KR20180011422 A KR 2018001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ement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sh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기
김옥규
박준모
박길범
서유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도영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도영종합건설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422A/ko
Publication of KR2018001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뜬바닥 구조물은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옥상바닥층의 상부에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멘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단열재; 시멘트 페이스트와 메쉬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탕바름제층; 상기 바탕바름재층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축팽창조절부; 및 상기 수축팽창조절부가 형성된 바탕바름재층의 상부에는 도포되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FLOATING FLOOR AND HYBRID MEHOD OF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성능의 보강 및 방수 시공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를 전후로 하여 건축된 소규모 저층 건축물의 옥상(평 슬래브)은 하절기 및 동절기의 극심한 온도차와 건습의 반복작용 등으로 인해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고 방수층 표면이 파괴되어 누수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들 건축물이 건축되던 시기의 단열성능기준은 최근 기준(2013년 0.18W/K)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1987년 지붕 0.41W/K)이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미미하여 에너지 낭비가 매우 심하였다.
또한, 소규모 저층 건축물은 주로 영세업체에 의해 지어지는 관계로 미흡한 설계와 오시공으로 인해 옥상 슬래브와 보 등의 주요 구조부에서 단열재 설치가 누락된 경우가 흔하며, 우각부에서도 열교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건축물은 유지관리에 있어서 단열 성능 개선은 거의 없이 방수 작업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건물주의 전문성 부족 및 비용적인 부담 때문에 예방적 조치가 행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렇듯 단열 성능이 미흡한 건축물의 옥상에 대해 기존과 동일하게 방수 작업만 할 경우, 하절기 고온에 노출된 옥상 슬래브에서 발생한 기포로 인해 방수층이 파괴되어 균열, 핀홀, 들뜸과 같은 하자가 재발하여 누수 문제가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5677호 (2006.04.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건축물의 노후된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시공함으로써 크리프 현상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후화된 옥상에 대해 단열성능의 보강 및 방수 시공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은,
옥상바닥층의 상부에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멘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단열재; 시멘트 페이스트와 메쉬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탕바름제층; 상기 바탕바름재층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축팽창조절부; 및 상기 수축팽창조절부가 형성된 바탕바름재층의 상부에는 도포되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탕바름제층은,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직접 도포되는 제 1시멘트층; 상기 제 1시멘트층 위에 설치되는 메쉬층; 및 상기 메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 2시멘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축팽창조절부는 줄눈부를 형성하고, 상기 줄눈부에 실리콘 방수액을 충진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은,
옥상 바닥층을 정리하고 청소하는 옥상 바닥층 정리단계; 옥상바닥층에서 배수관쪽으로 어떻게 구배를 잡을 것인가를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한 구배잡기 단계; 시멘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옥상바닥층에 우레탄 재질의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 부착단계;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바탕바름제층을 형성하는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 상기 바탕바름제층에 조절 줄눈을 통해 단열재의 거동을 조절하여 수축팽창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수축팽창조절부를 형성하는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 및 상기 수축팽창조절부가 형성된 바탕바름제층의 상부에 우레탄 방수액을 도포하는 우레탄 방수층 시공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재 부착단계는,
시멘트 접착제의 높이를 달리해서 단열재가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옥상바닥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는,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제 1시멘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시멘트층 위에 메쉬층을 설치하며, 상기 메쉬층 위에 제 2시멘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는,
상기 바탕바름제층을 핸드 그라인더로 메쉬층까지만 절단하여 줄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줄눈부의 내부에 실리콘 방수액을 충진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의 노후된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시공함으로써 크리프 현상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기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후화된 옥상에 대해 단열성능의 보강 및 방수 시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의 반영구적인 보호가 가능하며 동시에 단열시공을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및 차음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있어서, 바탕바름제층 시공을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있어서, 수축팽창조절부 시공을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축팽창조절부를 완성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있어서, 우레탄 방수층 시공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열층, 보강층 및 방수층으로 이루어진 보드 형태의 단열 및 방수 복합 패널을 시멘트계 바탕바름제와 시멘트를 혼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옥상 슬래브에 뜬바닥 구조 형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열층을 형성하는 우레탄보드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대상 건물의 옥상층 단열성능을 소비자가 요구하는 만큼 발현시킬 수 있고, 공기층을 제공함으로써 우레탄보드 이외에도 추가적인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층 위에 섬유보강 메쉬 및 시멘트계 바탕바름제를 미장함으로써 단열층의 보호와 사람의 보행이 가능할 정도의 경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은 크게, 옥상 바닥층 정리단계(S1), 구배잡기 단계(S2), 단열재 부착단계(S3),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S4),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S5), 및 우레탄방수층 시공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옥상 바닥층 정리단계(S1)는 일반적인 공정으로서 바닥층에 부착된 레이턴스나 모래먼지 등을 정리하고 청소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은 기계솔이나 각종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배잡기 단계(S2)는 옥상바닥층(1)에서 배수관(3)쪽으로 어떻게 구배를 잡을 것인가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으로서, 배수관(3)쪽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고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전단계 공정인 것이다.
상기 단열재 부착단계(S3)는 옥상바닥층(1)에 우레탄 재질의 단열재(1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압착 시멘트에 적당히 물을 혼합해서 반죽하여 시멘트 접착제(5)를 제조한 다음에, 상기 시멘트 접착제(5)를 단열재(1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붙여서 최종적으로는 옥상바닥층(1)에 위치시켜서 고무망치 등으로 가볍게 두드리면서 접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멘트 접착제(5)의 높이는 상기 구배잡기 단계(S2)에서 측정한 기울기에 맞도록 단열재가 시공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수관(3) 쪽에 설치되는 단열재(10)의 높이는 낮아야 하기 때문에, 시멘트 접착제(5)의 높이가 낮아야 되고, 배수관(3)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단열재(10)의 높이는 높아야 하기 때문에, 시멘트 접착제(5)의 높이가 높아야 된다.
이렇게 해서, 단열재(10)가 상기 옥상바닥층(1)에 설치되면 상기 단열재(10)와 옥상바닥층(1) 사이에는 공기층(7)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공기층(7)의 형성을 통해서 단열효과가 크게 증대되고, 층간소음을 크게 절감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S4)는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재(10)의 상부면에 제 1시멘트층(2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시멘트층(21) 위에 메쉬층(23)을 설치하며, 그 위에 다시 한번 제 2시멘트층(2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시멘트층(21)과 제 2시멘트층(23)은 시멘트 페이스트로서, 시멘트, 물 및 본드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제 1시멘트층(21)과 제 2시멘트층(23)은 약 3mm 정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층(23)은 유리섬유나 유리솜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바탕바름제층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S5)는 조절 줄눈을 통해 단열재의 거동을 조절하여 수축팽창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탕바름제층(20)을 핸드 그라인더로 메쉬층(23)까지만 절단하여 줄눈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줄눈부(41)의 내부에 실리콘 방수액(43)을 충진하여 건조시키는 것이다. 상기 줄눈부(41)는 3∼5m X 3∼5m 간격을 두고 격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팽창조절부(40)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레탄 방수층 시공단계(S6)는 수축팽창조절부(40)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우레탄 방수액을 도포하는 것으로서, 약 3mm정도의 두께로 하도층(31), 중도층(32) 및 상도층(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도층, 중도층 및 상도층은 단열과 관련한 크기 또는 두께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뜬바닥 구조물은 옥상바닥층(1)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옥상바닥층(1)의 상부에 공기층(7)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멘트 접착제(5)를 이용하여 이격시켜서 단열재(1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10)의 상부에는 시멘트 페이스트와 메쉬층으로 구성된 바탕바름제층(20)이 형성된다.
상기 바탕바름재층(20)은 단열재(10)의 상면에 직접 도포되는 제 1시멘트층(21), 상기 제 1시멘트층(21) 위에 설치되는 메쉬층(23) 및 상기 메쉬층(23)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 2시멘트층(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탕바름재층(20)은 격자 형상으로 수축팽창조절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수축팽창조절부(40)는 줄눈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줄눈부(41)에 실리콘 방수액을 충진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다.
상기 수축팽창조절부(40)는 기후 변화에 따른 시멘트의 수축 및 팽창 시에 단열층의 거동을 조절함으로써, 바탕바름재층(20)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축팽창조절부(40)가 형성된 바탕바름재층(20)의 상부에는 우레탄 방수층(30)이 설치된다. 상기 우레탄 방수층(30)은 하도층(31), 중도층(32) 및 상도층(33)과 같이 3단계로 약 3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구성 증진을 통해서 전생애주기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도 크게 상승시켜서 건물의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옥상 바닥층 3: 배수관
5: 시멘트 접착제 7: 공기층
10: 단열재 20: 바탕바름제층
21: 제 1시멘트층 23: 메쉬층
25: 제 2시멘트층 30: 방수층
40: 수축팽창조절부 41: 줄눈부
43: 실리콘 방수액

Claims (7)

  1. 옥상바닥층 위에 설치되는 뜬바닥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옥상바닥층의 상부에 공기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멘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단열재;
    시멘트 페이스트와 메쉬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탕바름제층;
    상기 바탕바름재층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축팽창조절부; 및
    상기 수축팽창조절부가 형성된 바탕바름재층의 상부에는 도포되는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바름제층은,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직접 도포되는 제 1시멘트층;
    상기 제 1시멘트층 위에 설치되는 메쉬층; 및
    상기 메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 2시멘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팽창조절부는 줄눈부를 형성하고, 상기 줄눈부에 실리콘 방수액을 충진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
  4.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에 있어서,
    옥상 바닥층을 정리하고 청소하는 옥상 바닥층 정리단계;
    옥상바닥층에서 배수관쪽으로 어떻게 구배를 잡을 것인가를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한 구배잡기 단계;
    시멘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옥상바닥층에 우레탄 재질의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열재 부착단계;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재의 상부에 바탕바름제층을 형성하는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
    상기 바탕바름제층에 조절 줄눈을 통해 단열재의 거동을 조절하여 수축팽창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수축팽창조절부를 형성하는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 및
    상기 수축팽창조절부가 형성된 바탕바름제층의 상부에 우레탄 방수액을 도포하는 우레탄 방수층 시공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부착단계는,
    시멘트 접착제의 높이를 달리해서 단열재가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옥상바닥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바름제층 시공단계는,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제 1시멘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시멘트층 위에 메쉬층을 설치하며, 상기 메쉬층 위에 제 2시멘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팽창조절부 시공단계는,
    상기 바탕바름제층을 핸드 그라인더로 메쉬층까지만 절단하여 줄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줄눈부의 내부에 실리콘 방수액을 충진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뜬바닥 구조물을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KR1020160093424A 2016-07-22 2016-07-22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KR20180011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24A KR20180011422A (ko) 2016-07-22 2016-07-22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24A KR20180011422A (ko) 2016-07-22 2016-07-22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422A true KR20180011422A (ko) 2018-02-01

Family

ID=6123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24A KR20180011422A (ko) 2016-07-22 2016-07-22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961A (zh) * 2019-11-22 2020-02-2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保温金属墙板的孔洞封堵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961A (zh) * 2019-11-22 2020-02-2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保温金属墙板的孔洞封堵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2261A (zh) 严寒大风地区聚苯乙烯板薄抹面外墙保温施工方法
CN105756222A (zh) 一种抗风保温eps板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US10294669B2 (en) Method of waterproofing building roofs and building panels
US7730687B2 (en) Multilayer decoupling system
CA2516135A1 (en) Fiberglass reinforced spray foam roof construction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US20150021315A1 (en) Combined decoupling and heating system
KR20180011422A (ko) 뜬바닥 구조물 및 그를 활용한 단열 및 방수 복합공법
KR101928041B1 (ko)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5089290A (zh) 一种屋面维修的方法
EP1905920B1 (de) Fußboden mit Fußbodenheizung
KR100330989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231910B1 (ko) 휨 및 표면충격 강도가 강화된 건축용 패널및 그 제조방법
CN104929322A (zh) 屋面刚性防水层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00066163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JP3872272B2 (ja) 既設木造建築物の気密断熱改修工法
CN109610743B (zh) 一种传统建筑屋面的防水保温做法
KR20010007922A (ko)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885422B2 (ja) 和風便器の改修における埋設構造および埋設工法
CN205530808U (zh) 一种抗风保温eps板外墙结构
KR20060101368A (ko) 옥상 철판 방수 공법
JP5212764B2 (ja) 屋根下葺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331506B1 (ko) 콘크리트건물 옥상의 방수시공 방법
JP7366475B1 (ja) 断熱層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