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710A - 다목적 의복 - Google Patents

다목적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710A
KR20180009710A KR1020170090280A KR20170090280A KR20180009710A KR 20180009710 A KR20180009710 A KR 20180009710A KR 1020170090280 A KR1020170090280 A KR 1020170090280A KR 20170090280 A KR20170090280 A KR 20170090280A KR 20180009710 A KR20180009710 A KR 2018000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knitting
garment
right sleeve
lef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980B1 (ko
Inventor
남기연
Original Assignee
남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연 filed Critical 남기연
Publication of KR2018000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8C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10Polyurethanes polyu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다목적 의복은 하나의 이상의 재료 조각으로 형성되는 긴 몸체 및 오른쪽 소매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긴 몸체는 상부 및 하부의 수직 모서리, 상부 및 하부의 수평 모서리로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실시 예에서 다목적 의복은 몸체와 소매 사이에 가시적인 솔기가 없는 니트-인(knit-in technique) 기술을 사용하는 평면 베드 편직기(flat bed knitting machine)에 의해 제작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의복 {MULTIPURPOSE GARMENT}
본 발명은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숄은 착용자를 따뜻하게 해주고, 편안함과 아늑함을 느끼게 해주며, 감각적인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해준다. 전통적인 숄은 단순 장식용 사각형의 니트 또는 편직된 직물에서부터 더 많은 따뜻함을 제공하는 정교한 니트 패턴까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숄은 의료시설에서 사용하기 위해 목화, 양모, 아크릴 등으로 만들어진 실용적인 의복일 수 있으며, 다른 일부는 매우 고가의 의복일 수 있다.
스타일을 불문하고, 숄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 걸칠 수 있으며, 중력과 마찰력에 의해 착용자에게 고정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숄은 심각한 결점이 있다. 중력과 마찰력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에서 완전히 벗겨지거나 미끄러지기 쉽고, 움직이거나 활동적인 다른 일을 할 때 한 손으로 옷을 고정하여야 하여 활동적인 일에 대한 착용자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숄은 일반적으로 앞면이 개방된 상태로 걸쳐 사용되기 때문에 의복의 보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앞쪽부분은 손으로 고정하며, 스타일 연출을 위해 원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다만, 이러한 형태가 정하여 지지 않은 이유로 특히 실크와 새틴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스카프, 네커치프 또는 이와 유사한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다.
숄과 관련된 의복으로는 드레이프-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이 있다. 이는 전통적인 소매가 있는 앞면 개방형 스웨터로, 도 1에서 이러한 카디건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드레이프-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은 면, 양모부터 좀 더 품격 있는 실크 및 새틴 천까지 숄과 같은 재료 또는 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카디건은 전통적인 숄보다 좀 더 우아한 외관을 가질 수 있고, 착용자에게 단단히 고정되는 추가적 이점이 있다. 숄과는 달리, 드레이프-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은 소매가 있어 안전적이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며, 착용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드레이프-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도 심각한 결점이 있다. 숄과 같이 걸쳐져 착용자의 앞면이 개방되어 의복의 보온성이 감소되고, 유행에 맞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레이프-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은 숄과 달리 추가적으로 착용자의 팔을 소매에 삽입하여 스웨터와 같이 착용해야 하고, 다양하게 사용하기 사용하기 어려우며,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리된 소매부와 이와 연결된 몸체부가 있는 전통적인 숄과 소매가 통합된 하나의 의복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러한 제안에도 여전히 심각한 결점이 있다.
소매부가 단순히 형성되어 부착되는 의복의 경우는 분리된 두 개의 소매가 착용자를 감싸는 것을 방해하여 숄로서 사용할 수 없으며, 분리된 소매들은 의복을 패션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소매들을 숄에 형성하여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공정이 필요로 하다. 소매들을 제작 후 다시 의복에 부착시켜야 하는 부가적인 공정에 따라 제품 가격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편직 공정은 일반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암홀(armholes)과 같은 구성요소와 통합된 숄과 같이 하나의 의복을 솔기 없이 하나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웨터의 기능과 숄의 기능이 결합되어 있으며,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다목적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구나 다목적 물품은 스웨터와 숄 각각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스웨터와 숄이 결합된 물품은 깨끗하고 세련된 외관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의 다목적 의복은 제1 및 제2 수평 서리와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외쪽 소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오른쪽 소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의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가시적인 솔기를 형성하지 않고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형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 예는 상기 몸체와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를 관형 편직 기술(tubular knitt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편직하고, 다른 일부 실시 예는 상기 왼쪽 소매와 상기 오른쪽 소매를 상기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서 인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와 가시적인 솔기를 형성하며 봉제하고, 또 다른 일부 실시 예는 상기 몸체,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를 솔기를 형성하지 않는 편직기술(seamless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전체 의복과 함께 제작한다.
일부 실시 예의 다목적 의복은 긴 제1 몸체 내에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몸체는 적어도 두 변이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 예는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가 각각 적어도 일 말단이 폐쇄되어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는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의 말단이 벙어리 장갑 또는 장갑과 통합되어 있다.
일부 실시 예의 상기 의복은 양모, 면, 린넨, 실크와 같은 천연 섬유,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 예는 상기 다목적 의복에 프린지(fringe), 프릴(ruffles), 자카드(jacquard), 인따르시아(intarsia), 케이블 뜨개질(cable knitting) 또는 포인텔 텍스쳐 스티치(pointelle textured stitch)와 같은 장식용 패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 예의 다목적 의복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몸체와 상기 평면 몸체에 형성된 왼쪽 소매 및 오른쪽 소매를 포함하며, 일부 실시 예는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 몸체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 모서리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일부 실시 예는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를 관형 편직 기술(tubular knitt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상기 평면 몸체와 일체형으로 단일 공정에 의해 제작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는 전통적인 숄의 형태인 사각형으로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 보온성을 유지하고, 몸체에 소매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팔을 소매에 삽입시켜 미끄러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양손 모두를 사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는 두 변이 몸체에 연결되고, 투입공이 형성된 제2 몸체를 더 포함하여 스웨터와 같이 착용하거나, 투입공에 연통된 소매를 더 포함하여 의복의 보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소매는 몸체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목도리나 스카프로 활용 시 방해하지 않으며, 세련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소매의 일 말단을 폐쇄하거나 장갑과 통합하여 다목적 의복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의복은 관형 편직 기술(tubular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솔기를 형성하지 않고 몸체와 소매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별도고 편직하고 연결 편직 기술(linking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솔기를 형성하며 연결하여 하나의 의복으로 제작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드레프트-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의 착용도
도 2는 도 1의 드레프트-프론트 카디건(drape-front cardigans)이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의복의 착용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착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의복의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 시 정면도
도 11는 도 10의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목적 의복의 소매들은 관형 편직 기술에 의해 몸체와 일체형으로 편직 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표명 SHUGG™하에 팔릴 수 있다.
도 3은 사용상태의 다목적 의복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목적 의복(300)은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320,330)와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340,350)로 한정되고, 하나 이상의 재료의 조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3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10)의 직사각형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에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나, 상기 몸체(3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착용자를 덮기 충분하고, 원하는 스타일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 예로는 직사각형의 상기 몸체(310)는 긴 모서리가 수평선과 나란히 정렬되거나, 긴 모서리가 수직선과 나란히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및 다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왼쪽 소매(360) 및 오른쪽 소매(370)는 상기 다목적 의복 내에 형성된다. 상기 왼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는 상기 제1 수평 모서리(320)에 따라 정의되고, 상기 왼쪽 소매(360)와 상기 오른쪽 소매(370)는 거울에 비친 것과 같이 서로 반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왼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는 착용자의 외쪽과 오른쪽 팔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되었으며, 길이는 상기 다목적 의복의 사이즈(예., S, M, L, XL) 또는 착용자의 평균 크기에 기초하여 연장 가능하다. 상기 왼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의 말단은 개방되어 있어 착용자의 손이 돌출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말단을 폐쇄할 수 있으며, 벙어리 장갑 또는 장갑 일체로 형성하여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의복(300)의 상기 몸체(310), 상기 왼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울 스웨터 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면, 린넨, 실크 또는 다른 직조된 직물이 활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은 상기 외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다목적 의복은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의복(300)에는 감각적인 부가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320,330)에는 프린지(fringe)와 같은 장식용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몸체(310), 상기 왼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 모두 자카드(jacquard), 케이블(cable). 또는 포인텔 텍스쳐 스티치(pointelle textured st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및 사용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착용자의 팔이 상기 외쪽 소매(3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370)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1 수평 모서리(340)에 의해 착용자의 어깨가 단단히 감싸 숄 형태의 사용(4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 형태의 상기 다목적 의복은 착용자의 팔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착용자의 몸에서 미끄러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다목적 의복의 고정을 위해 착용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아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착용자의 앞면이 개방되어 사용되는 상기 다목적 의복(900) 착용 상태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사용 상태보다 상기 다목적 의복(900)은 좀 더 자유롭게 걸쳐지며, 착용자에게 단단히 고정 유지되어 양손은 자유롭다.
도 7은 상기 다목적 의복(900)을 스카프 형태로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외쪽 소매(9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970)는 상기 몸체(9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카프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소매가 늘어지지 않아 구조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8은 상기 다목적 의복(900)이 상기 왼쪽 소매(9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970)중 어느 하나에만 착용자의 팔이 투입되어 수용되고, 다른 쪽으로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 비대칭적 형태로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의복(900)은 각각의 실시 예와 같이 활용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별도의 의복을 요구하지 않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의복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의복(900)의 상기 몸체(910)는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920,930) 및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940,950)로 정의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하나 이상의 재료로 된 조각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왼쪽 소매(9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970)는 의복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 공정에 따라 제작된 튜브형 니트로 정의된다. 각각의 소매는 착용자의 몸 중심부 쪽의 말단(960´, 970´)은 개방되고, 착용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관이 형성되도록 대응되는 타 말단(960˝, 970˝)도 개방되며,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실시 예에서 관형 니트로 형성된 상기 왼쪽 소매(9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970)는 3차원 편직을 가능하게 하는 관형 니트-인 기술(tubular knit-in technique)을 사용하여 상기 다목적 의복(900)을 편직하는 동안 하나의 공정으로 함께 형성된다.
다만, 상기 왼쪽 소매(960) 및 상기 오른쪽 소매(970)는 후에 링킹 머신(linking machine)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제할 수 있으며, 상기 양 말단(960´,970´,960˝,970˝)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인 상기 다목적 의복은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 예를 가져 다양한 스타일 또는 제작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의복(1000)은 숄의 역할을 하는 제1 몸체(1010)뿐 아니라, 상기 다목적 의복과 일체형으로 편직된 짧은 부분인 제2 몸체(1020)도 포함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의복(1100)은 하나 이상의 재료 조각들로 이루어진 긴 형상의 상기 제1 몸체(1110) 및 팔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1160,1170)가 형성된 제2 몸체(1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1110)는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1120,1120´) 및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1130,1130´)로 정의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몸체(1150)는 상기 다목적 의복(11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1150)는 관형 니트-인 기술(tubular knit-in technique)을 사용하여 제1 몸체(1110)와 같은 재료로 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2 몸체(1150)는 축 방향으로 링킹 머신(linking machine)에 의해 연결되어 부착되거나, 상부에 목부(1150´) 및 하부에 몸통부(1150˝)를 제외하고 양측을 재봉틀에 의해 봉제하는 공정으로 대체될 수 있고, 착용자의 팔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1160,1170)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목적 의복(1100)은 관형 또는 솔기가 형성되지 않는 편직기술(tubular or seamless knitt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단일 공정으로 편직하여 인건비 및 비용을 최소화하고, 좀 더 매력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상업 편직 공정은 이와 같은 의복을 제작하기에 부적합하나, 기계화 된 편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실시 예들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시마 세이키(Shima Seiki)사의 편직기 Mach2XS 및 스톨 니트 앤 웨어(Stoll Knit and Wear)와 같은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편직은 스티치라고 불리는 원사 또는 루프들에 일렬로 연결된 실을 서로 얽는 것을 포함한다. 베드에 정렬되어 있는 바늘들은 위 또는 아래로 미끄러져 원사 또는 실을 이동시킨다. 사용하는 바늘은 곡선 또는 직선일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을 걸기 위한 후크가 포함될 수 있다.
캠(cams)은 니들 베드에 정렬된 바늘들을 상하운동하게 해주며, 캐리지(carriage)는 니들 베드를 가로지르며, 원하는 패턴에 맞추어 바늘들을 올리고 내린다. 직물 또는 의복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루프는 기존 루프들을 통과하여 당겨지고 이러한 과정은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캠(cams)에 의해 올라가는 바늘의 후크는 아래를 향하여 실 한 부분을 지나간 후, 실의 한 부분 걸어 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바늘의 걸쇠는 실을 잡아 그 자리에 고정하여 다른 움직이는 실의 한 부분이 이전의 루프 또는 스티치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바늘을 다시 올려 현재 루프 또는 스티치를 위로 움직인다. 현재 루프들은 ‘활성 루프’로 다른 루프가 현재 루프를 통과하여 스티치가 완성될 때까지 바늘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다목적 의복을 솔기 없이 제작하는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기계는 스티치를 하나의 베드에서 다른 베드로 옮길 수 있으며, 베드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특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능력은 주머니 및 측면 소매와 같은 구성을 의복과 일체형으로 편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다목적 의복은 그 구성요소(예, 소매)는 별도로 편직되고(상기 다목적 의복의 나머지 부분은 관형 또는 솔기를 형성하지 않는 편직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다목적 의복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공정은 의복의 각 부분이 평면 베드 편직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 의해 편직 된 후 함께 솔기를 형성하거나, 부착하는 방법으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할 것이 요구되고, 의복 전체가 편직되는 경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연결 공정에서, 두 편직물을 연결하기 위해 실의 루프들은 연결 기계에 의해 느슨하게 형성된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항에서 공개된 다른 특성들의 조합과 같이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용이하며,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또한, 통상적으로 청구 범위에 구성요소의 한 개의 사용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경우까지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다목적 의복: 300,400,900
몸체: 310,910 제1 수직 모서리: 320,920
제2 수직 모서리: 330,930 제1 수평 모서리: 340,940
제2 수평 모서리: 350,950 왼쪽 소매: 360,960
오른쪽 소매: 370,970 왼쪽 소매의 양 말단: 960´,960˝
오른쪽 소매의 말단: 970´,970˝
다목적 의복: 1000,1100
제1 몸체: 1010,1110 제1 수직 모서리: 1020,1120
제2 수직 모서리: 1120´ 제1 수평 모서리: 1130
제2 수평 모서리: 1130´ 재2 몸체: 1150
목부: 1150´ 몸통부: 1150˝
왼쪽 개구부: 1160 오른쪽 개구부: 1170

Claims (20)

  1.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왼쪽 소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오른쪽 소매;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상기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며 상기 수직 모서리 방향으로 위치하는 관형으로, 상기 몸체와 가시적인 솔기를 형성하지 않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가 솔기를 형성하지 않는 니트-인 관형 스티치 편직기술(seamless knit-in plain tubular stitch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일체형으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왼쪽 소매와 상기 오른쪽 소매가 별개로 편직 후, 연결 편직기(linking knitting machine)에 의해 상기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며, 상기 수직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가시적인 연결 솔기를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왼쪽 소매와 상기 오른쪽 소매가 별개로 편직 후, 상기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며, 상기 수직 모서리 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가시적인 봉제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각각 적어도 일 말단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각각의 말단에 벙어리 장갑 또는 장갑이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의복은 양모, 면, 린넨, 실크, 레이온,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패턴은 프린지(fringe), 프릴(ruffles), 자카드(jacquard), 인따르시아 편직(intarsia knitting), 케이블 뜨개질(cable knitting), 또는 포인트 스티치(point sti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0.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제1 및 제2 수직 모서리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몸체에 적어도 두 변이 연결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의복의 수평축과 평행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부에 목부와 하부에 몸통부를 포함하고, 팔이 투입되는 왼쪽 개구부 및 오른쪽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와 솔기 형성하지 않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왼쪽 개구부와 상기 오른쪽 개구부 각각에 연통 되는 소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솔기를 형성하지 않는 니트-인 관형 스티치 편직기술(seamless knit-in plain tubular stitch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일체형으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별도로 편직 후, 연결 스티치 기술(linked-on stitch technique)을 사용하는 연결 편직기(linking knitting machin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의복은 양모, 면, 린넨, 실크, 레이온,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장식용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패턴은 프린지(fringe), 프릴(ruffles), 자카드(jacquard), 인따르시아 편직(intarsia knitting), 케이블 뜨개질(cable knitting), 또는 포인트 스티치(point sti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7. 하나 이상의 모서리를 갖는 평면 몸체;
    상기 평면 몸체에 연결되는 왼쪽 소매; 및,
    상기 평면 몸체에 연결되는 오른쪽 소매;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는,
    상기 평면 몸체의 중심 수직축에 인접하며 상기 평면 몸체의 모서리 방향으로 위치하는 관형으로,
    상기 평면 몸체와 일체형으로 관형 편직 기술(tubular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하나의 공정으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평면 몸체와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가 솔기를 형성하지 않는 니트-인 관형 스티치 편직기술(seamless knit-in plain tubular stitch knitting technique)에 의해 일체형으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왼쪽 소매와 상기 오른쪽 소매가 편직기에 의해 별도로 편직 후, 연결 스티치 기술(linked-on stitch technique)을 사용하는 연결 편직기(linking knitting machine)에 의해 가시적인 연결봉제선이 형성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평면 몸체와 상기 왼쪽 소매 및 상기 오른쪽 소매가 가시적인 봉제선이 형성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복.
KR1020170090280A 2016-07-19 2017-07-17 다목적 의복 KR102309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13,888 US10117471B2 (en) 2016-07-19 2016-07-19 Multipurpose garment
US15/213,888 2016-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710A true KR20180009710A (ko) 2018-01-29
KR102309980B1 KR102309980B1 (ko) 2021-10-07

Family

ID=609894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280A KR102309980B1 (ko) 2016-07-19 2017-07-17 다목적 의복
KR1020180068120A KR20180137417A (ko) 2016-07-19 2018-06-14 패브릭에 부착되는 방수 탐지 표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20A KR20180137417A (ko) 2016-07-19 2018-06-14 패브릭에 부착되는 방수 탐지 표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7471B2 (ko)
KR (2) KR102309980B1 (ko)
CN (2) CN107625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11508C (en) * 2013-05-29 2020-10-27 Exxel Outdoors, Llc Quilt
USD937542S1 (en) * 2016-02-02 2021-12-07 Camilo Arturo Whyte Arm celebration instrument
US10477906B2 (en) * 2016-10-24 2019-11-19 Christine L. Mangnall-Schwarz Winged cape for children's play
US11147318B2 (en) * 2018-03-07 2021-10-19 KNITit Swaddling garment
USD901840S1 (en) * 2018-07-20 2020-11-17 Beibamboo Oy Infant support top
US20200085120A1 (en) * 2018-09-13 2020-03-19 Wrist Wash LLC Towel with cuffs
US11930868B2 (en) * 2021-09-30 2024-03-19 Tara A. Zlotkin Wearable blanket usable as a blanket, towel, wrap, and worn fashionably as a ski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24Y1 (ko) * 2006-05-22 2006-08-16 조점화 어깨와 허리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숄 구조
US7587769B1 (en) * 2007-08-23 2009-09-15 Mcdermott Julie Swaddling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44A (en) * 1934-11-19 1935-12-10 Johnson James Herbert Combination cape, mat, and bag
US2140797A (en) * 1938-05-02 1938-12-20 Meyer A Hammerman Garment
US2676319A (en) * 1951-03-10 1954-04-27 William B Davidson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flash burns
US2727240A (en) * 1953-10-07 1955-12-20 Riley W Marshall Barber's apron
US4051665A (en) * 1976-01-14 1977-10-04 Hayden/Arn Productions Limited Operating switch and retainer for digital watch cases
US4316288A (en) * 1980-10-06 1982-02-23 Henrickson Mary J Invertible outerwear garment
US4774642A (en) * 1986-08-15 1988-09-27 Michael Janko Illuminated article
US5131096A (en) * 1991-12-16 1992-07-21 Olson Debra K Versatile child's garment
US5245717A (en) * 1992-09-29 1993-09-21 Rudy Christopher J Relaxation article with a book podium
US5611095A (en) * 1995-12-12 1997-03-18 Schneider; Dena Multi-function baby wrap
US5875492A (en) * 1997-11-14 1999-03-02 Moss; Jennifer E. Water-resistant combination blanket and coat
USD417767S (en) * 1998-01-12 1999-12-21 Pamela Ann Newhaller Reading blanket
US5901375A (en) * 1998-07-24 1999-05-11 Davis; Burl W. Multi-use convertible garment
US6006356A (en) * 1998-12-24 1999-12-28 Song; Kevin K. Wraparound garment
EP1232404B1 (en) * 1999-11-15 2015-07-08 BLUELON ApS An object detection system
US6408439B1 (en) * 2000-05-19 2002-06-25 Julia R. Garforth-Crippen Garment for use in a child car seat
US20020129445A1 (en) * 2001-03-13 2002-09-19 Deering Diane L. Pillow blanket
US6349411B1 (en) * 2001-07-09 2002-02-26 Vicky Tyler Body garment
US6513164B1 (en) * 2001-09-14 2003-02-04 Renee Burnadette Hearns Baby blanket assembly
US6817033B2 (en) * 2001-10-17 2004-11-16 Angel Hugs Llc Garment for an infant
US6735781B1 (en) * 2001-11-30 2004-05-18 E Wayne Fulmer Personal hunting blind
US6868566B2 (en) * 2002-07-31 2005-03-22 Michael Dean Gatten Swaddling blanket
US20040198382A1 (en) * 2002-10-15 2004-10-07 Hammond Wong GPS children locator
US6708343B1 (en) * 2002-11-27 2004-03-23 Gloria Ceron Combination cushion, carry device, and garment apparatus
US6851127B1 (en) * 2003-08-20 2005-02-08 Avais Khan Multipurpose blanket
WO2005032288A2 (en) * 2003-09-29 2005-04-14 Sheerworks Llc Hosiery-type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US6859942B1 (en) * 2004-01-21 2005-03-01 Steven R. Cratty Protective poncho type outer garment
US20050262613A1 (en) * 2004-05-25 2005-12-01 Ron Panek Cold weather garment
US7065810B2 (en) * 2004-08-03 2006-06-27 Robinson Barbara A Reversible blanket (with attached pants)
US7222371B2 (en) * 2004-09-30 2007-05-29 Claire Houghton Shawl
US20080028518A1 (en) * 2006-07-19 2008-02-07 Sam Miotke Covering with pocke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202006016307U1 (de) * 2006-10-23 2007-01-04 Sulentic, Darko Wärmedecke
CA2569150A1 (en) * 2006-11-22 2008-05-22 Elena Galkov Multifunctional convertible article
US20080172788A1 (en) * 2007-01-22 2008-07-24 John Morrison Rosen Beach towel with arm slots
US8225422B1 (en) * 2007-10-18 2012-07-24 Mcsparron Erin J Car seat coat
US20090165206A1 (en) * 2007-12-26 2009-07-02 Davis Margaret A Blanket for placement upon an infant secured in a seat and method of use
US8118364B2 (en) * 2007-12-26 2012-02-21 Davis Margaret A Blanket for placement upon an infant secured in a seat and method of use
JP5099502B2 (ja) * 2007-12-31 2012-12-19 純子 臼井 衣服
US20090229031A1 (en) * 2008-01-02 2009-09-17 Jackson Julie D Blanket Sleeve
US7685648B2 (en) * 2008-07-22 2010-03-30 Mary Kenney Bath towel bib
US20100059558A1 (en) * 2008-09-11 2010-03-11 Robinson Steven W Combination Blanket, Backpack, Seat Cushion and Hooded Coat
US20100205714A1 (en) * 2009-02-18 2010-08-19 Brad Pollack Cushy Wrap
US8276212B2 (en) * 2009-08-14 2012-10-02 Maamam, llc Apron, towel and bath wrap for infants and toddlers
US8650664B2 (en) * 2010-07-07 2014-02-18 Becky Parr Garment for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US8864544B2 (en) * 2011-04-28 2014-10-21 Infinity Headwear & Apparel, Llc Hooded blanket and stuffed toy combination
US8640262B2 (en) * 2012-03-15 2014-02-04 Anita ROSSI Towel
US8898833B2 (en) * 2012-07-17 2014-12-02 Tailored Technologies, Inc. Infant and preemie swaddling wraps with neck padding
US9775388B2 (en) * 2012-12-07 2017-10-03 Super Blanky, Llc Cover with cape function
US9155341B2 (en) * 2012-12-07 2015-10-13 Super Blanky, Llc Cover with cape function
US9095240B2 (en) * 2012-12-18 2015-08-04 Off Coast Products, Inc. Towel with arm channels
CN203168102U (zh) * 2013-01-14 2013-09-04 沈顺龙 两用围巾
CN103245955A (zh) * 2013-04-03 2013-08-14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卫星导航定位服装及定位信息发送方法
US20140310851A1 (en) * 2013-04-23 2014-10-23 Renee Devon Jones Multifunctional garment
CA2911508C (en) * 2013-05-29 2020-10-27 Exxel Outdoors, Llc Quilt
CN204363001U (zh) * 2014-12-16 2015-06-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多用披肩
KR20170027642A (ko) * 2015-09-02 2017-03-10 남기연 정보 비콘이 내장되는 접착 직물
CN205143546U (zh) * 2015-11-03 2016-04-13 三六一度(中国)有限公司 一种带袖子的披肩
CN105394979A (zh) * 2015-12-31 2016-03-16 宗迎雪 一种带有披肩的被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24Y1 (ko) * 2006-05-22 2006-08-16 조점화 어깨와 허리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숄 구조
US7587769B1 (en) * 2007-08-23 2009-09-15 Mcdermott Julie Swaddl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12837B (zh) 2022-10-14
CN107625213B (zh) 2021-04-30
US10117471B2 (en) 2018-11-06
KR20180137417A (ko) 2018-12-27
US20180020750A1 (en) 2018-01-25
CN109112837A (zh) 2019-01-01
KR102309980B1 (ko) 2021-10-07
CN107625213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980B1 (ko) 다목적 의복
EP1112399B1 (en)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knitted goods
US10480109B2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CN101677635A (zh) 一种袜子及其制造方法
JP5050174B2 (ja) 異なる編組織からなる経編地
US20180317575A1 (en) Multipurpos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01490B2 (ja) 下半身用衣類の製造方法
JP3118655U (ja) 経編による筒編衣料
CN106304837A (zh) 自附接织物及制造自附接织物的方法
CN203735543U (zh) 改进的帽体结构
Buss Big book of knitting
CN203072998U (zh) 一种双层复合式材质的手套结构
CN212014481U (zh) 前后幅两穿针织衫
Capshaw-Taylor Dressed in Knits: 19 Designs for Creating a Custom Knitwear Collection
JP6701491B2 (ja) 下半身用衣類
Ljungdahl smock x knit: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hape in knitwear by looking at theaesthetic properties of smocking, drawing inspiration from sportswear.
CN103015020A (zh) 一种织物织造工艺、织造设备和系统
Allen et al. Color Style: Innovative to Traditional 17 Inspired Designs to Knit
JP2022027342A (ja) 衣類及び衣類の提供方法
JPH05302247A (ja) 横編ニット製品及びその製造法
JP3148186U (ja) リバーシブル衣服
EP3289901A1 (en) Technical knit glove
JP2010270405A (ja) 縦無縫製のデザイン性の生地とその製造方法
Kim Formative Application using Stitch Transfer Knitting Structure-Focused on Making Process of Women's Knitwear
Allen et al. Wrap Sty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