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811A - 수직형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811A
KR20180007811A KR1020160089202A KR20160089202A KR20180007811A KR 20180007811 A KR20180007811 A KR 20180007811A KR 1020160089202 A KR1020160089202 A KR 1020160089202A KR 20160089202 A KR20160089202 A KR 20160089202A KR 20180007811 A KR20180007811 A KR 20180007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gion
contact region
alo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이은
김선영
윤장근
조후성
허성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811A/ko
Publication of KR2018000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1155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7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 H01L27/11548
    • H01L27/11556
    • H01L27/11575
    • H01L27/11578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5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region and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콘택 영역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1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워드라인 컷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배선구조의 자유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형 메모리 장치{Vertical memory device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수직형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 메모리 장치의 고집적화를 위해 기판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메모리 셀들이 적층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은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콘택 영역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1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계단 영역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3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2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이웃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버퍼 영역,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버퍼 영역이 바로 위의 상기 적층 구조물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돌출된 폭인 제3폭은 상기 버퍼 영역마다 서로 다르고, 상기 제3 폭 중 가장 작은 폭은 이웃한 상기 게이트 전극간에 돌출된 폭인 제1 폭에 대해 상기 제1 폭 중 가장 큰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적층 구조물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워드라인 컷을 포함하되, 상기 워드라인 컷은 상기 제3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배선의 자유도가 증가된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워드라인 컷을 배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뢰성이 향상된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하여 각각 순서대로 도 3의 절단선 A-A`, B-B`및 C-C`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c에서, 기판(1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제1 방향(z방향), 상기 기판 상면에 평행하면서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을 각각 제2 방향(x방향) 및 제3 방향(y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방향(x방향) 및 상기 제3 방향(y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x방향) 및 제3 방향(y방향)은 실질적으로 제1 방향(z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들이다.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도면상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과 이의 반대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방향에 대한 정의는 이후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하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게르마늄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110)에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p 형 웰(well)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110)은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셀 영역(CAR)과 엣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엣지 영역이 상기 셀 영역(CAR)의 일측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엣지 영역은 셀 영역(CAR)의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 방향인 도면상 ±x방향 측면에, 그리고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반대 방향인 도면상 ±y방향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셀 영역(CAR)은 상기 엣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상에 상기 제1 방향(z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122) 및 절연막 패턴들(121)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1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110) 바로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 패턴(121)은 다른 절연막 패턴들(121)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판(110) 바로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 패턴(121)은 다른 절연막 패턴들(121)과 같은 두께, 혹은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들(121)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산탄화물(SiOC) 혹은 실리콘 산불화물(SiOF)과 같은 산화물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패턴들(121)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은 상기 제1 방향(x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은 그라운드 선택 라인, 워드라인들 및 스트링 선택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상에 그라운드 선택 라인, 워드라인들 및 스트링 선택 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하층의 상기 게이트 전극(122)은 그라운드 선택라인일 수 있고, 최상층의 상기 게이트 전극(122)은 스트링 선택 라인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c에는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122)에 대응되는 그라운드 선택 라인과 최상층의 게이트전극(122) 스트링 선택 라인 사이에 4 개의 워드라인들이 형성된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그라운드 선택 라인과 스트링 선택 라인 사이에 8 개, 16 개, 32 개, 또는 64 개의 워드라인들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인접한 워드라인들 사이에 각각 절연막 패턴들(121)이 개재된 적층 구조(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선택 라인 및 스트링 선택 라인 역시 각각 두 개 이상의 게이트 전극들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의 적층 수는 회로 설계 디자인 및/또는 상기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각 게이트 전극들(122)은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들(122)은 텅스텐, 텅스텐 질화물,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탄탈륨 질화물, 백금 등의 전기 저항이 비교적 낮은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막 및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전극들(122)은 워드라인 컷 영역(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2) 중 스트링 선택 라인(SSL)은 선택 라인 컷 영역(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워드라인 컷 영역(도시되지 않음)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 소스 라인(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소스 라인(도시되지 않음) 양 측벽에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공통 소스 라인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공통 소스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120)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110)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X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CNT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이웃한 두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 중 제1 방향(Z방향)에 따라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 더 가까운 상기 게이트 전극(122)은 더 먼 상기 게이트 전극(122) 보다 소정의 간격만큼 상기 제2 방향(x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게이트 전극들(122)은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거리가 길어질수록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간격을 제1 간격(x1 내지 x4)이 할 때, 상기 제1 간격들(x1 내지 x4)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Z방향)에 따른 다른 높이에 대해 상기 제1 간격(x1 내지 x4)은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제1 콘택 영역(CNTR)에 워드라인 콘택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 간격들이 가변적인바 종래에 비해 더욱 자유로운 배선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콘택 영역(CNTR)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122)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110)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3 방향(y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ST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 계단 영역은 상기 제3 방향(y방향) 및 상기 제3 방향(y 방향)의 반대 방향(-y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3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2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Z방향)에 따른 다른 높이에 대해 상기 제2 간격들(y1 내지 y5)은 가변적일 수 있다. 전술했듯 상기 제1 콘택 영역(CNTR)에 워드라인 콘택이 형성 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 간격들(y1 내지 y5)이 가변적인바 더욱 자유로운 배선의 구현이 가능하다. 종합하면 상기 제1 콘택영역(CNTR) 및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면적은 가변적일 수 있다.
상술한대로, 제2 방향(X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의 제1 콘택 영역(CNTR)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콘택 영역(CNTR) 상의 각 워드라인에 제3 방향(y방향)을 따라서 제1 계단 영역(STR)이 반복되는 구조를 계단 분할 패턴(Stair divided pattern, 이하 SDP)이라 한다.
상기 SDP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할 때 제1 콘택 영역상에서(CNTR) 하부 워드라인으로 내려갈수록 상기 제1 계단영역들의 상기 제3 방향(y방향) 폭인 상기 제2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x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워드라인 컷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간격들(y1 내지 y5)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워드라인 컷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계단 영역(STR)은 2회 반복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은 상기 제3 방향(y방향)을 따라서 3, 4, 5회 또는 그 이상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은 6개의 층을 지니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제1 계단 영역(STR)은 즉 6개 미만이나 6개를 초과하는 층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제1 계단 영역(STR)의 층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계단 영역의 최상층으로부터 제3 방향(y방향)에 따른 층수와 제3 방향에(y방향) 반대 방향(-y방향)에 따른 층수는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의 형태는 비대칭일 수 있다.
상기 수직형 반도체 장치(100)은 및 게이트 전극들 및 게이트 절연막 및 관통하여 상기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채널(130)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채널(13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컵 형상(또는 바닥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채널(130)의 내측벽 상에 매립 절연막(134)이 채워질 수 있다. 매립 절연막(134)의 상면은 채널(130)의 상면과 동일한 레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채널(130)은 필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매립 절연막(13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채널(130)과 게이트 전극들(122) 사이에 절연막 패턴(132)이 개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절연막 패턴(132)과 게이트 전극들(122) 사이에는 배리어 금속층(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채널(130)은 상기 제3 방향(y방향)을 게이트 전극들(122) 및 절연막 패턴들(121)을 관통하여 연장 될 수 있고, 상기 채널(130) 바닥면이 웰 영역(110)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채널(130)은 상기 제2 방향(x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y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채널(130)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채널(13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컵 형상(또는 바닥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채널(130)의 내측벽 상에 매립 절연막(134)이 채워질 수 있다. 매립 절연막(134)의 상면은 채널(130)의 상면과 동일한 레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채널(130)은 필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매립 절연막(13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채널(130)과 게이트 전극들(122) 사이에 유전막 구조물(132)이 개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전막 구조물(132)과 게이트 전극들(122) 사이에는 배리어 금속층(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10)의 상면 및 상기 채널(130)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턴(도시되지 않음)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채널(130)은 상기 반도체 패턴의 상면상에 구비되며, 유전막 구조물(132)은 상기 반도체 패턴 상면의 주변부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은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반도체 패턴이 채널(130) 및 기판(11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접지 선택 라인(GSL)으로 기능할 수 있는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122)은 상기 반도체 패턴의 외측벽을 감싸면서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122)과 상기 반도체 패턴의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절연막 패턴(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막 구조물(132), 상기 채널(130) 및 상기 채널 매립 절연막(134)상에는 도전성 패드(1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패드(136)는 유전막 구조물(132), 채널(130) 및 매립 절연막(134)을 캡핑(capping)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패드(136)는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또는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P), 비소(As) 등과 같은 n 형 불순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 패드들(136)은 상기 제2 방향(x방향) 및 제3 방향(y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패드들(136)의 배열에 대응하여, 각각 채널(130), 유전막 구조물(132) 및 매립 절연막(134)을 포함하는 복수의 채널 구조들(130)은 상기 제2 방향(x방향) 및 제3 방향(y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도전성 패드들(136)은 벌집구조(honeycomb)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벌집구조라 함은 육각형으로 분할된 평면상에서 각 상기 육각형들의 각 꼭짓점과 중심점에 도전성패드의 중심이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육각형으로 분할된 평면이라 함은 임의의 육각형의 6개의 꼭짓점들이 각각은 인접하여 배치된 같은 크기의 6개의 육각형의 각각의 중심점이 되고, 상기 임의의 육각형의 중심점은 인접한 6개의 육각형에 의해 서로 공유되는 구조를 말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최상층의 상기 절연막 패턴(121)상에는 상부 절연막(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연막(124)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막(124)을 관통하는 상기 도전성 패드들(13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패드들(136) 상에 접촉하는 비트라인 콘택(1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콘택(138)과 상기 비트라인(B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SSL, 즉 최상층의 상기 게이트 전극(122) 상에 형성되는 제1 계단 영역(STR)은 상기 상부 절연막(124)이 식각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 패턴(121)이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에서 상기 절연막 패턴(121)은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워드라인 구조물상에 형성되는 제1 계단영역(STR)은 워드라인, 즉 상기 게이트 전극(122)을 식각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 패턴(121)은 노출되지 않는다.
임의의 두 상기 게이트 전극(122)에 대해 상기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상기 게이트 전극(122)과 연결되는 제1 계단 영역(STR)의 최하층이, 상기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더 가깝게 이격된 게이트 전극(122)과 연결되는 제1 계단 영역(STR)의 최상층 보다 상기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의 최상면과 최하면과의 상기 제1 방향(z방향)에 따른 높이 차는 상기 게이트 전극(122)의 상기 제1 방향(z방향)에 따른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계단 영역(STR)은 연결되는 상기 게이트 전극(122)과 동일 레벨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방향(X 방향)을 따라서 제1 콘택 영역(CNTR)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콘택 영역 및 제1 계단영역이 상기 제2 방향(X 방향)에 대해 반 평행한 방향, 즉 도면상 -x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즉 도면상 yz평면과 평행한 평면중 어느 하나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콘택 영역(CNTR)과 및 제1 계단 영역들(STR)과 거울상(mirror)에 해당하는 제2 콘택 영역(CNTR) 및 제2 계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방향(x 방향)에 대해 반 평행한 방향, 즉 도면상 -x방향을 따라서 제2 콘택 영역 및 제 2계단 영역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상 ±x방향 및±y방향을 따라 총 4개의 콘택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콘택 영역 상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계단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 내지 도 4c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도면은 도 3에 대응되는 평면도 이다.
게이트 전극들(122) 및 절연막 패턴들(121)은 워드라인 컷(WLC)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하였듯이 상기 SDP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할 때 제1 콘택 영역상에서(CNTR) 하부 워드라인으로 내려갈수록 상기 제1 계단영역들의 상기 제3 방향(y방향) 폭인 상기 제2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셀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워드라인 컷(WLC)의 폭을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SDP 구조에서 셀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워드라인 컷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 내지 도 4c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도면은 도 2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300)은 인접한 게이트 전극들(122, 도2 참조)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버퍼 영역(BF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 영역(BFR)의 제2 방향(X 방향)에 따른 폭인 제3 폭(L1, L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 영역(BFR)에는 콘택이 형성되지 않는데 상기 버퍼 영역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워드라인 콘택과 연결되는 배선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상 L1<L2을 만족하는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L1>L2 이거나 L1=L2를 만족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버퍼 영역(BFR)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세 개 이상의 버퍼 영역(BFR)이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x 방향에 따른 폭인 제3폭들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 적층 구조물
122 : 게이트
121 : 절연막 패턴
124 : 상부 절연막
130 : 채널 구조
132 : 유전막 구조물
134 : 매립 절연막
136 : 매립막 패턴
136 : 도전성 패드
138 : 비트라인 콘택
BL : 비트라인
BFR: 버퍼 영역
STR : 계단영역
CNTR : 콘택영역
CAR : 셀 영역

Claims (10)

  1.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콘택 영역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1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계단 영역의 각 층에 대해 이웃한 상기 각 층이 상기 제3 방향에 따라 돌출된 폭인 제2 폭은 상기 각층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3.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이웃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버퍼 영역;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버퍼 영역이 바로 위의 상기 적층 구조물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돌출된 폭인 제3폭은 상기 버퍼 영역마다 서로 다르고, 상기 제3 폭 중 가장 작은 폭은 이웃한 상기 게이트 전극간에 돌출된 폭인 제1 폭에 대해 상기 제1 폭 중 가장 큰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4. 엣지 영역과 셀 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 패턴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상기 엣지 영역 상에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제2 방향을 따라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1 콘택 영역;
    상기 제1 콘택 영역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계단 영역; 및
    상기 적층 구조물 및 상기 제1 콘택 영역을 분리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워드라인 컷을 포함하되,
    상기 워드라인 컷의 상기 제3 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 영역의 최상면과 최하면과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높이 차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레벨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 영역은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복수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1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콘택 영역과 거울상인 제2 콘택 영역; 및
    상기 제2 콘택 영역에서 형성되되,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계단영역과 거울상인 제2 계단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물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콘택 영역에 대해 타측으로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2 콘택 영역; 및
    상기 제2 콘택 영역상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과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계단 구조로 형성된 제2 계단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 영역 및 상기 제2 계단 영역의 최상면과 최하면과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높이 차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1020160089202A 2016-07-14 2016-07-14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20180007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02A KR20180007811A (ko) 2016-07-14 2016-07-14 수직형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02A KR20180007811A (ko) 2016-07-14 2016-07-14 수직형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11A true KR20180007811A (ko) 2018-01-24

Family

ID=6102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02A KR20180007811A (ko) 2016-07-14 2016-07-14 수직형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8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6563B2 (en) 2018-12-24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word line cut
CN113270414A (zh) * 2020-03-23 2021-08-17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在三维存储器件中的阶梯结构及用于形成其的方法
US11145671B2 (en) 2019-01-15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35543B2 (en) 2020-02-20 2023-08-22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DRAM memory device with xtacking architecture
US11812614B2 (en) 2019-08-23 2023-11-07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Vertical memory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6563B2 (en) 2018-12-24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word line cut
US11145671B2 (en) 2019-01-15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12614B2 (en) 2019-08-23 2023-11-07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Vertical memory devices
US11864388B2 (en) 2019-08-23 2024-01-02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Vertical memory devices
US11735543B2 (en) 2020-02-20 2023-08-22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DRAM memory device with xtacking architecture
CN113270414A (zh) * 2020-03-23 2021-08-17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在三维存储器件中的阶梯结构及用于形成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46471B (zh) 形成三维存储器的方法以及三维存储器
US10573651B2 (en) Semiconductor devices
CN107046037B (zh) 垂直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US20230292515A1 (en) Vertic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992180B (zh) 半导体装置
US10991717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KR102433893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20180007811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US10825934B2 (en)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s
US11557603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20180126210A (ko) 수직형 반도체 소자
KR20190010137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20170008198A (ko) 게이트 하단 격리를 가진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11302709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10672789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s
KR20160109989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20200036280A (ko) 수직형 반도체 소자
US11024642B2 (en) Vertical memory device
US1197442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ansistor device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1456254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1239247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0804292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14444A (ko) 반도체 소자
KR20200041460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US2022030215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