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483A -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483A
KR20180007483A KR1020160088565A KR20160088565A KR20180007483A KR 20180007483 A KR20180007483 A KR 20180007483A KR 1020160088565 A KR1020160088565 A KR 1020160088565A KR 20160088565 A KR20160088565 A KR 20160088565A KR 20180007483 A KR20180007483 A KR 2018000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main server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529B1 (ko
Inventor
조재영
이상욱
이만희
Original Assignee
(주)누리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봄 filed Critical (주)누리봄
Priority to KR102016008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9/44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와,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UI/UX를 작성하는 UI/UX 작성부와,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앱을 배포하는 앱 배포부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메인 서버;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 사항이 존재할 경우에 데이터베이스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및 메인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되, 메인 서버로 유니버셜 앱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UI/UX를 다운로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A DYNAMIC UI DISTRIBUTING SYSTEM USING TERMINAL NATIVE UI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배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해 IT 환경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데스크탑에 대해 적용되던 웹 서비스 방식도 현재는 다양한 스마트폰 디바이스로 확대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모바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제공 도구는 모바일 웹(Mobile Web), 웹(Web) 기반 앱(App), 네이티브 앱(Native App)등이 있다.
모바일 웹은 일반적인 PC에서 사용하는 웹을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별도로 제작한 웹으로서, 스마트폰 내에 구비된 모바일 웹 브라우져를 통하여 볼 수 있다. 네이티브 앱은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된 앱으로서, C 또는 C++ 등의 네이티브 코드로 작성되어 컴파일된 소프트웨어 로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직을 포함함.), 데이터 등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실행시 플랫폼에 기반하여 바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안드로이드 SDK를 이용해 JAVA언어로 만드는 안드로이드앱과 iOS SDK를 이용해 Objective-C언어로 만드는 대부분의 아이폰 앱이 네이티브 앱에 해당된다. 웹 앱은 모바일 웹과 네이티브 앱을 결합한 형태로 모바일 웹의 특징을 가지면서, 모바일 웹보다는 조금 더 모바일에 최적화된 앱이다.
웹(Web) 기반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CSS(Cascading Style Sheets) 등과 같은 웹 코드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명령을 입력할 경우 브라우저 엔진(browser engine)을 통해 해석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웹 앱도 모바일 웹처럼 일반적인 웹 기술로 개발되고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실행되지만 풀 브라우징 방식이 아닌 단일 페이지 방식으로 화면을 전화해 모바일 웹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웹은 네이티브 앱에 비해 로딩 속도가 느리며,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이 작기 때문에 특정한 정보를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화면을 확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 네이티브 앱은 모바일 웹에 비하여 로딩 속도가 빠르며, 단말기의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컨텐츠가 제작되었기 때문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구성이 모바일 웹에 비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기 쉽게 구성되므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를 할 필요가 없다. 모바일 웹의 가장 큰 한계는 앱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데이터 로딩 속도이다. 앱에서는 스마트폰에 이미 최적화된 필요한 컨텐츠만을 서버에서 바로 받아와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원래 데스크 탑에 제공될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웹 페이지는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로딩을 하는데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
웹 앱 또한 모바일 웹과 마찬가지로, 웹 브라우저 및 인터넷 연결을 요구하므로, 웹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네이티브 앱과는 달리, 동작 속도가 셀 신호의 품질 및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의 속도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다.
웹 앱과 네이티브 앱의 또 다른 차이점은 하드웨어 접근성이다. 네이티브 앱의 경우에는 특정 하드웨어에 액세스 가능하지만, 웹 앱은 하드웨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앱은 카메라를 시작시킨다든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을 불러온다든지, 블루투스에 연결한다든지 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웹 앱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종래의 동적 UI를 표방하는 앱은 HTML 기술을 사용하는 웹 앱이 대다수이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이티브 앱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하드웨어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앱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을 때, 소정 카테고리에 대해 다양한 주체가 배포한 앱들을 다운로드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앱 컨텐츠 업데이트 과정이 간편하여, 클라이언트, 서비스 관리자, 고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메인 서버는,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UI/UX를 작성하는 UI/UX 작성부; 및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앱을 배포하는 앱 배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UI/UX를 작성하는 UI/UX 작성부와,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앱을 배포하는 앱 배포부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메인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 사항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되, 상기 메인 서버로 상기 유니버셜 앱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UI/UX를 다운로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은,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UI/UX를 작성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작성된 상기 UI/UX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소작의 조작은, 로그인 이벤트, QR 코드 입력, 화면에서의 선택을 위한 터치 또는 푸쉬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앱 이용에 있어 하드웨어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다양한 주체의 앱들을 다운로드할 필요없이,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의 앱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앱 컨텐츠 업데이트 과정이 간편하므로, 클라이언트는 보유 앱의 유지 보수나 컨텐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마다 매번 새로운 앱을 업데이트해서 배포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며, 사용자 또한 앱 컨텐츠 업데이트마다 앱을 재설치 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생성되는 앱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a) 및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앱 사용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및 사용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의 블록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생성되는 앱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앱 사용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및 사용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은, 클라이언트 서버(10), 메인 서버(20), 및 단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단말(30)은 설명의 편의상 한 개씩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 서버(10) 및/또는 단말(30)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서버(1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메인 서버(20), 메인 서버(20)와 단말(30),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단말(30)은 통신망(5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통신망(50)에는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메인 서버(20), 메인 서버(20)와 단말(30), 및 클라이언트 서버(10)와 단말(30)은 상호 간에 이더넷 등의 유선 통신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및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각 클라이언트별 UI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후 상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앱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서버(10)는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30)은 메인 서버(2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40)와 연동하여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30)과 메인 서버(20), 단말(30)과 데이터베이스(40), 또는 메인 서버(20)와 데이터베이스(40)는 통신망(5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을 구성하는 메인 서버(20)의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20)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 UI/UX 작성부(24), 및 앱 배포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는 클라이언트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수집한다. 즉,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서버(10)로부터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집하는데, 클라이언트 정보에는 각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UI/UX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는 수집한 클라이언트 정보를 UI/UX 작성부(24)로 전송할 수 있다. UI/UX 작성부(24)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UI/UX를 작성한다. UI/UX 작성부(24)에 의해 작성된 각 클라이언트별UI/UX 는 추후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단말(3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22)는 수집한 클라이언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앱 배포부(26)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유니버셜 앱을 앱 마켓 또는 사용자에게 배포한다. 여기서, 유니버셜 앱은 네이티브 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니버셜 앱"은,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앱으로 정의된다. 앱 배포부는, 앱을 앱 마켓에 업로드가능한 형태 또는 사용자에게 직접 배포 가능한 형태로 패키징하는 앱 패키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앱 패키징부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앱의 경우에는 ".apk"형태로 패키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1)을 구성하는 단말(30)의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단말(30)은 무선 통신부(31), 입력부(32), 센싱부(33), 출력부(34), 인터페이스부(35), 메모리(36) 및 제어부(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31)는, 단말(30)과 메인 서버(20) 사이, 단말(30)과 데이터베이스(40) 사이, 단말(30)과 다른 단말(3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3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30)은 예를 들어,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예를 들어, QR 코드)에 기초하여, 단말(30)에 특정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단말(30)에 다운로드된 특정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센싱부(33)는 단말(30) 내 정보, 단말(3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41), 음향 출력부(342), 햅팁 모듈(343), 광 출력부(3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5)는 단말(3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36)는 단말(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6)는 단말(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36)는 UI/UX 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7)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3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3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앱을 다운로드하도록 단말(30)을 제어하거나, UI/UX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단말(3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한다(S100). 이 때,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정보는 각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UI/UX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UI/UX를 작성한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서버는 적어도 하나이며, 클라이언트 서버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UI/UX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단말이,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한다(S120).
도면에서는,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0)와, 메인 서버가 UI/UX를 작성하는 단계(S110) 이후에, 단말이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0)와, 메인 서버가 UI/UX를 작성하는 단계(S110)와, 단말이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하는 단계(S120)의 순서는 상기 예와 다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이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하는 단계(S120)는, 다음 단계인,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인 서버로부터 UI/UX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S130) 이전에만 수행되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인 서버로부터 UI/UX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S130).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입력 신호, 마이크로폰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 신호, 및/또는 터치키 등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로그인 이벤트, QR코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30)에 생성되는 앱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30)에 생성되는 앱 화면은 메뉴 리스트(302), 선택 버튼(304), 기타 버튼(306) 등과 같은 네이티브 컨트롤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시된 앱 화면은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앱 화면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앱 화면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뉴 리스트(302)와 선택 버튼(304)과 같은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앱의 네이티브 컨트롤을 배치하고, 스타일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스타일을 해당 앱의 네이티브 컨트롤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이벤트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 객체 정보를 앱의 화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클라이언트 측에서, 클라이언트 서버(10)는 메인 서버(20)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전송한다(a).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에는 각 클라이언트가 정의한 UI/UX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 에는, 클라이언트 서버 1(10a) 내지 클라이언트 서버4(10d) 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메인 서버(20)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서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10)로부터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한 메인 서버(20)는,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UI/UX를 작성한다. 도 6의 예에서, 메인 서버(20)는 클라이언트 서버 1(10a) 내지 클라이언트 서버 4(10d)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UI/UX를 작성한다. 즉, 메인 서버(20)는 클라이언트 서버 1 (10a)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서버1 (10a)에 대한 UI/UX를 작성하고, 클라이언트 서버 2(10b)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서버2(10b) 에 대한 UI/UX를 작성하고, 클라이언트 서버 3(10c)으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서버3(10c) 에 대한 UI/UX를 작성하고, 클라이언트 서버 4(10d)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서버4 (10d)에 대한 UI/UX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30)은, 메인 서버(20)로 앱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20)로부터 앱을 다운로드(b)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20)로부터 단말(30)로 다운로드되는 앱은, 유니버셜 앱일 수 있다. 앱 실행에 있어서, 단말(30)은 메인 서버(20)와 클라이언트별 UI DB(40)에 연동하여, UI/UX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c)하여 UI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앱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서버(10)에서 클라이언트별 UI DB(40)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앱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d).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별 UI DB(40)와 연동하는 단말(30)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7(a) 및 7(b) 와 같은 화면 구성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가 직접 자신의 앱에 대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UI 배포 시스템에서, 사용자(고객) 단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사용자는, 유니버셜 앱만을 실행하여, 선택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도 8(a) 및 도 8(b)와 같은 다양한 UI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및 사용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에서, 사용자가 유니버셜 앱을"박물관"앱으로 활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각 박물관 운영 주체일 수 있으며, 각 박물관 서버는 해당 박물관 앱 정보를 메인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①). 이 때, 제공되는 박물관 앱 정보에는, UI/UX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박물관1,2,3으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정보에 각각 기초하여 각 박물관별 앱으로 전달될 UI/UX를 작성한다.
한편, 단말(사용자)은,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②). 유니버셜 앱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앱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앱들이 박물관, 전시장, 갤러리 등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되는 예를 도시한다(③). 사용자는, 관심 있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박물관"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박물관"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박물관"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단말은 박물관1, 박물관2, 또는 박물관 3 의 앱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박물관들 중에서 관심있는 박물관에 대해 소정의 조작을 통해 해당 박물관의 UI와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④). 여기서, 소정의 조작이라 함은, 앱 로그인, QR 코드 입력, 및/또는 화면에서의 선택을 위한 터치 또는 푸쉬 입력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말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QR코드 등의 영상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10: 클라이언트 서버
20: 메인 서버
30: 단말
40: 데이터베이스
50: 통신망

Claims (4)

  1.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UI/UX를 작성하는 UI/UX 작성부; 및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앱을 배포하는 앱 배포부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메인 서버.
  2.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UI/UX를 작성하는 UI/UX 작성부와,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UI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앱을 배포하는 앱 배포부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메인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 사항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되, 상기 메인 서버로 상기 유니버셜 앱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UI/UX를 다운로드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3. 클라이언트 서버가 메인 서버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초하여 UI/UX를 작성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유니버셜 앱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작성된 상기 UI/UX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소작의 조작은, 로그인 이벤트, QR 코드 입력, 화면에서의 선택을 위한 터치 또는 푸쉬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네이티브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방법.
KR1020160088565A 2016-07-13 2016-07-13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565A KR102631529B1 (ko) 2016-07-13 2016-07-13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565A KR102631529B1 (ko) 2016-07-13 2016-07-13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83A true KR20180007483A (ko) 2018-01-23
KR102631529B1 KR102631529B1 (ko) 2024-01-31

Family

ID=6107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565A KR102631529B1 (ko) 2016-07-13 2016-07-13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4205A (zh) * 2018-01-30 2018-07-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更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99074A (zh) * 2018-01-30 2018-08-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更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90223B1 (ko) * 2019-06-07 2020-03-1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926A (ko) * 2004-03-12 2007-01-0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업데이트 분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분배를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KR20120067858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50143977A (ko) * 2014-06-13 2015-12-24 (주)라원크리에이티브 휴대 단말용 앱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앱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926A (ko) * 2004-03-12 2007-01-0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업데이트 분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분배를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KR20120067858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50143977A (ko) * 2014-06-13 2015-12-24 (주)라원크리에이티브 휴대 단말용 앱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앱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4205A (zh) * 2018-01-30 2018-07-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更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99074A (zh) * 2018-01-30 2018-08-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更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90223B1 (ko) * 2019-06-07 2020-03-1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529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51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program and application program update deployment to a mobile device
US20210337015A1 (en) Method and system of application development for multiple device client platforms
US8973014B2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TWI528282B (zh) 用於自訂應用程式的啟動之方法
US9372885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11204681B2 (en) Program orche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2893271B (zh) 使用快捷方式的数据上传方法
CN102937999A (zh) 动态浏览器图标
CN109032606A (zh) 原生应用程序的编译处理方法、装置及终端
WO2006086582A2 (en) Systems and method for deploying a software application on a wireless device
US10613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via application
KR20110113232A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00322326A1 (en) Registration process using multiple devices
US10372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rocessing of service requests on an electronic device
CN102752369A (zh) 电视应用服务的提供方法及虚拟化内容服务平台
CN108762845A (zh) 支持笔记记录应用特征的漫游的方法和系统
KR20180007483A (ko)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N111246299A (zh) 通信终端以及应用管理方法
KR20090016320A (ko) 라이센스 다운로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20160033579A (ko)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370342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79031B1 (ko) 접속 중인 고객의 관리를 위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ong et al. Media, Screen, Input, and Context Sharing System for D2D Services in Smart TV 2.0
KR101161847B1 (ko) X 인터넷 기반의 gui 개인 홈페이지 운영 시스템
KR10147401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과 단말기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