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223B1 -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223B1
KR102090223B1 KR1020190067134A KR20190067134A KR102090223B1 KR 102090223 B1 KR102090223 B1 KR 102090223B1 KR 1020190067134 A KR1020190067134 A KR 1020190067134A KR 20190067134 A KR20190067134 A KR 20190067134A KR 102090223 B1 KR102090223 B1 KR 10209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block chain
information
hash value
fo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환
임대근
Original Assignee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7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으로서, 웹페이지화면이 보여지는 브라우저가 제공되는 UI/UX 클라이언트(100)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을 포함하는 UI/UX 서버(2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동되며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블록체인로그DB(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UI/UX development system applying blockchain for preventing data forgery/falsification and data forgery/falsification ve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등장한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에 저장된 정보의 진위 여부와 위변조 여부의 검증이 가능하고, 특정 기록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삭제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블록체인의 기술을 도입하여 블록체인의 강점을 활용하려는 의지가 높으나, 이미 사용하고 있는 레거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기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도가 높아서 시도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성공사례도 찾아보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최근 블록체인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세계 블록체인 시장은 향후 5년간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글로벌 IT 개발 분야 내 블록체인 기술 적용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조차도 대폭 증가하고 있는 일반 수요에 반해 블록체인 기술 적용에 대한 공급이 전문가 그룹에 한정되어 있어 시장 내에서는 기업이나 기관의 다양한 업무 시스템에 보다 쉽게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적정 솔루션이 없는 상태이다.
국내를 보더라도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한 사회/제도적 필요성이 국가 중앙 부처를 중심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기관들의 적용 수요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볼 때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기관 IT 실무개발자의 이해도가 낮고, 실무 적용 관점에서 볼 때 또한 실질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적용하기가 용이 하지 않은 환경에 처해있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도, 기업이나 기관의 업무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정보의 변조를 막아 위변조 해킹 위협 및 내부자의 정보 조작으로부터 서비스 시스템의 투명성, 신뢰성, 안전성, 보안성을 제고 및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즉, 인사/구매/입찰 비리 등에 대한 데이터 조작 문제 발생에 따른 내부 관리 시스템 내 모든 리포트에 대한 투명성 입증을 위한 기술기반 서비스가 필요하며, 내부자의 의도적인 DB 변경으로 인한 주요 문서 데이터 위변조 방지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종래 데이터 위변조 방지나 데이터 위변조 여부 검증을 위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84219호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에 대한 위변조 검증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존 제증명서류발급을 위한 기존 금융기관의 레거시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변경이 필요하므로 기술적 관점에서 금융기관업무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쉽게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유사하게,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8227호는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전체 데이터가 블록체인 데이터 상에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합의된 관리 품질을 만족하는 일부 데이터만이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게 하여 블록체인 노드의 스토리지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면서도 효율적인 데이터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기술적 관점에서 기존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쉽게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56506호는 HTML언어를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저작 편이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도구 및 저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UI 저작장치를 통해 웹페이지화면의 UI를 구성하는 기능만을 포함할 뿐 데이터 위변조방지나 데이터 위변조검증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4219호 (2016년12월29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8227호 (2019년05월09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456506호 (2014년02월17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 인식하여,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으로서, 웹페이지화면이 보여지는 브라우저가 제공되는 UI/UX 클라이언트(100)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을 포함하는 UI/UX 서버(2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동되며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블록체인로그DB(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한 UI 컴포넌트(122)를 포함하는 UI/UX 통합개발환경(120, 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120, IDE)은,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기 위한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관리하는 통합로그관리부(510)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서비스부(520)와. 상기 연동된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블록체인관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로그관리부(510)는,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모듈(512)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로그저장모듈(514)과,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대상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모듈(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상기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은 퍼블릭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또는 프라이빗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상기 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이 보관되는 가상지갑을 관리하는 지갑관리모듈(524)과,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거래소모듈(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관리부(530)는,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모듈(532)과,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권한관리모듈(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는, 상기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으로써,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상기 UI/UX 서버(200)로 전송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전송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에서 전송받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제1해시값을 생성하는 제1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제1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저장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제1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함께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이용해 제2해시값을 생성하는 제2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이용해 상기 제1해시값을 반환받고,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위변조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 전에,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위변조예비검증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위변조검증단계는, 상기 위변조예비검증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정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는, 고유식별자(KEY),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 상기 로깅대상,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 및 상기 로깅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UI/UX 서버(200)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상이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변조확인정보를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기존 레거시시스템에 대한 변경 없이 UI/UX 개발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함으로써 기업이나 기관의 업무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기관이나 기업의 웹기반 업무를 위한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한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와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존 데이터베이스(DB)와 별도로 저장하는 블록체인로그DB를 포함하고 블록체인연동정보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레거시시스템에 대한 영향 없이 입력데이터 조작과 같은 데이터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UI/UX 개발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UI/UX 개발시스템의 구성 및 상호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UI/UX 개발시스템의 블록체인로그DB에 저장되는 로그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 UI/UX 개발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UI/UX 개발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UI/UX 개발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으로서, 웹페이지화면이 보여지는 브라우저가 제공되는 UI/UX 클라이언트(100)와, UI/UX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UI/UX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을 포함하는 UI/UX 서버(200)와;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300)와; UI/UX 서버(200)와 연동되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블록체인로그DB(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UI/UX 개발시스템은, 업무의 종류에 관계 없이 기업이나 기관의 모든 업무를 웹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으로서, 예로서, 웹표준 HTML5 UI/UX 개발 및 운영 솔루션일 수 있다.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후술하는 UI/UX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UI/UX 서버(2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입출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UI/UX 서버(20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데스크톱에 해당할 수 있고, UI/UX 서버(20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에는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이 보여지는 브라우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웹기반의 UI/UX 개발을 위한 UI/UX 통합개발환경(120)을 포함할 수 있고, UI/UX 통합개발환경(120)을 통해 웹페이지화면의 소스코드(예로서, HTML, Java Script 등의 언어로 작성)가 작성/수정/변경될 수 있다.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를 통한 UI/UX 개발은 코딩, 디버그, 컴파일 등 UI/UX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은, 위지윅(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방식의 개발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멀티브라우저/멀티디바이스/멀티플랫폼을 지원하여 모든 브라우저와 운용체계(OS), 디바이스에서 호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는,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한 UI 컴포넌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 컴포넌트(122)는, 웹페이지화면 상의 드롭다운리스트, 리스트박스, 콤보박스, 라디오버튼, 체크박스, 토글버튼, 슬라이더 등과 같은 웹페이지화면의 입력항목 및 컨트롤을 위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종래 UI/UX 개발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UX 클라이언트 단(프론트엔드)에서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한 UI 컴포넌트(122) 만을 제공하나, 본 발명에 따른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은,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기 위한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은, 개발된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개발대상이 되는 업무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는, 산업분야별/업무대상별 표준화된 템플릿포맷으로, 채용평가, 입찰평가, 각종계약, 회계장부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를 통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는, 본 발명의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특정영역이미지),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은, UI/UX 클라이언트(100)에서 선택된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의 템플릿포맷을 폼제너레이터(126)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IDE, 120)은,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을 통한 블록체인연동을 위한 셋업용 위자드 컴포넌트(WIZARD component, 12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UX 서버(200)는, UI/UX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UI/UX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로,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 네트워크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UI/UX 개발 및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기 및 메모리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관리자는 실행기에 의하여 읽히거나 또는 기록되는 메모리에 있는 메모리영역들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UI/UX 서버(200)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UI/UX 클라이언트(100)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UX 서버(200)는,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연동모듈(500)가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정보는 UI/UX 클라이언트(100)에서 정의된 블록체인연동정보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모듈(500)는,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된 정보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은,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관리하는 통합로그관리부(510)와, 블록체인연동정보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서비스부(520)와. 연동된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블록체인관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로그관리부(510)는,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받은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모듈(512)과, 블록체인연동정보를 후술하는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로그저장모듈(514)과, 해시값을 기초로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대상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모듈(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시모듈(512)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해시값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시모듈(512)은, 블록체인연동정보,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연관된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를 조합하여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로그저장모듈(514)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후술하는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로그저장모듈(514)은,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후술하는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로그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식별자(KEY),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 블록체인연동정보의 로깅대상, 블록체인저장위치(TX-ID), 로깅정보(블록체인연동정보), 및 기타 검증을 위한 기초정보들(IP, 맥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는, 블록체인의 트랜젝션 해시(Transaction hash)로서,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 고유의 ID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16)은,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을 기초로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대상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검증모듈(516)의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는,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하여 블록체인과 연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체인에 해시값이 저장되면 해당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는 UI/UX 서버로 반환되며 로그저장모듈(514)을 통해 로그데이터 형태로 후술하는 블록체인로그DB에 저장(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데이터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컴퓨팅기술 기반의 분산데이터저장기술이다.
즉, 블록체인은 '블록'에 저장된 정보의 진위 여부와 위변조 여부의 검증이 가능하고, 특정 기록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삭제하는 행위가 불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를 통해 연동되는 블록체인은, 퍼블릭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예로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또는 프라이빗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예로서 하이퍼레저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블릭블록체인은, 작업증명에 의한 채굴(마이닝) 과정을 통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보상으로 가상화폐(코인)을 지불하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지는 블록체인으로, 가상화폐(코인)을 저장하기 위한 가상지갑(구체적으로, 대상이 되는 가상화폐(코인)을 위한 고유키(개인키, Private Key)를 보관하는 전자지갑, 또는 디지털지갑)과 가상지갑에 대한 접근권한, 고유키(개인키, Private Key), 잔고관리, 가상화폐거래(구매)를 위한 관리가 요구된다.
퍼블릭블록체인의 경우, 누구나 작업증명만 통과하면 승인권한을 가지므로 거래처리용량이 커져 거래속도가 프라이빗 블록체인 대비 상대적으로 느리므로, 같은 빠른 처리가 요구되거나 짧은 주기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예로서, 이체와 같이 트랜잭션이 자주 일어나는 업무)의 경우, 퍼블릭블록체인이 아닌 프라이빗블록체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빗블록체인의 경우, 네트워크의 운영주체(Validator)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에 한정되어 거래의 승인을 주는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에 참여할 자격에도 제한을 두고 있는 바, 퍼블릭블록체인과 같은 작업증명을 통한 채굴 과정이 불필요하고, 그에 따라 더욱 빠른 처리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빗블록체인의 경우 퍼블릭블록체인과 같이 거래소를 통한 가상화폐(코인) 구매는 불필요함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이 보관되는 가상지갑을 관리하는 지갑관리모듈(524)과,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거래소모듈(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갑관리모듈(524)는, 퍼블릭블록체인의 가상화폐(코인)을 보관하는 가상지갑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갑관리모듈(524)는, 개발시스템 상 업무별 또는 조직별로 가상화폐(코인)을 위한 지갑을 할당하고 각 가상지갑에 대한 접근권한, 잔고, 및 고유키(개인키, Private Key)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거래소모듈(526)는,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퍼블릭블록체인의 거래소를 통한 거래(구매)를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블록체인이 프라이빗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인 경우, 가상화폐(코인) 구매를 위한 거래소모듈(526)은 불필요 하며, 단지 지갑관리모듈(524)을 통해 개발시스템 상 업무별 또는 조직별로 프라이빗블록체인을 위한 가상지갑이 할당되어 관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블록체인관리부(530)는, 블록체인서비스부(520)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모듈(532)과, UI/UX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권한관리모듈(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모듈(532)은, 블록체인서비스부(520)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으로, 블록체인서비스부(520)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연동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집약하여 모니터링가능하게 하는 대시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권한관리모듈(534)은, UI/UX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UI/UX 클라이언트(100)의 블록체인서비스모듈(520)로의 접근권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로그DB(400)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블록체인관리부(530)는, 가상지갑 내의 블록체인의 잔고에 따른 거래(구매)를(가상화폐(코인) 구매)하기 위한 구매관리부(536)과, 블록체인의 노드를 관리하기 위한 노드관리부(53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관리부(536)은, 할당된 가상지갑에 잔고가 부족한 경우 거래소모듈(526)을 통해 가상화폐(코인)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UX 서버는, UI/UX 클라이언트(100)로 요청된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을 제공하기 위한 템플릿엔진과,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를 통한 블록체인연동을 위한 셋업용 위자드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UI/UX 서버와 연결되는 데이터집합체로 테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는, UI/UX 서버(200)와 연결되어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시스템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연동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로그데이터 중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으로부터 UI/UX 서버로 반환되며 로그저장모듈(514)을 통해 로그데이터 형태로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는, 자체보안을 위하여 데이터가 암호화되거나 또는, 개발시스템 상 업무별 또는 조직별로 분리되어 업무별 또는 조직별 접근권한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로그DB(400)에 대한 접근권한은 상술한 사용자권한관리모듈(534)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상기 UI/UX 서버(200)로 전송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전송단계(S410)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에서 전송받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제1해시값을 생성하는 제1해시값생성단계와(S420),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제1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저장단계(S430)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제1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함께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S440)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S450)하면,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이용해 제2해시값을 생성하는 제2해시값생성단계(S460)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이용해 상기 제1해시값을 반환받고,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위변조검증단계(S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전송단계(S410)은, UI/UX 클라이언트(100)가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UI/UX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변조검증방법은, UI/UX 클라이언트(100)가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정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해시값생성단계(S420)는, UI/UX 서버(200)가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받은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제1해시값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UI/UX 서버(200) 중 해시모듈(51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해시모듈(512)는, 블록체인연동정보,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연관된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를 조합하여 제1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저장단계(S430)는, UI/UX 서버(200)가 제1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UI/UX 서버(200) 중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는 UI/UX 서버(200)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S440)는, UI/UX 서버(200)가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제1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함께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UI/UX 서버(200) 중 로그저장모듈(51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그저장모듈(514)은, 고유식별자(KEY),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 블록체인연동정보의 로깅대상, 블록체인저장위치(TX-ID), 로깅정보(블록체인연동정보), 및 기타 검증을 위한 기초정보들(IP, 맥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정보 등)을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S460)는, UI/UX 서버(200)가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S450)하면,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이용해 제2해시값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UI/UX 서버(200)의 해시모듈(512)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시모듈(512)은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이용해 로그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체인연동정보,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연관된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를 조합하여 제2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변조검증단계(S470)는, UI/UX 서버(200)가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이용해 제1해시값을 반환받고,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블록체인연동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로서, UI/UX 서버의 검증모듈(516)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해시값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해시값으로, 블록체인로그DB(400)의 로그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이용해 UI/UX 서버(200)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16)은,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동일한 경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요청한 블록체인연동정보(검증대상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상이한 경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요청한 블록체인연동정보(검증대상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UI/UX 서버(200),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모듈(516)은, 위변조검증단계(S470)에서,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상이한 경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변조확인정보를 UI/UX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UI/UX 클라이언트(1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그모듈(512)이 블록체인로그DB(400)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기존 레거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 300)에도 블록체인연동정보를 포함한 개발되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술한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이용한 위변조검증단계(S460, S470) 전에,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데이터와 기존 레거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300, 업무용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웹페이지 위변조여부를 판단하는 위변조예비검증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변조예비검증단계는, 제2해시값생성단계(S460) 전에, UI/UX 서버(200)가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S450)하면,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블록체인연동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블록체인연동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위변조예비검증단계에서, 블록체인연동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가 위변조되었음이 확인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블록체인에 저장된 해시값을 이용한 검증단계는 불필요하며 위변조여부검증단계가 완료된다.
즉,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위변조검증단계는, 위변조예비검증단계에서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기존 데이터베이스(300)를 활용한 위변조예비검증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경우(위변조예비검증단계에서 데이터의 위변조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만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변조검증을 포함한 2단계의 위변조검증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웹페이지의 데이터 위변조여부 검증단계를 부분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한 2중 검증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블록체인의 무결성 특성을 활용하여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데이터 조작이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UI/UX 클라이언트(100)의 현재 화면 상에 나타난 결과값에 대한 위변조여부를 검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계약, 입찰, 채용, 각종 대민서비스, 금융, 의료, 콘텐츠, 물류, 유통 등 데이터위변조 방지가 요구되는 다양한 업무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UI/UX 클라이언트 200: UI/UX 서버
300: 데이터베이스(DB) 400: 블록체인로그DB

Claims (16)

  1.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으로서,
    웹페이지화면이 보여지는 브라우저가 제공되는 UI/UX 클라이언트(100)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하여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을 포함하는 UI/UX 서버(2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300)와;
    상기 UI/UX 서버(200)와 연동되며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되는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UI/UX 서버(200)와 연결되는 블록체인로그DB(40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연동모듈(500)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관리하는 통합로그관리부(510)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블록체인과 연동시키는 블록체인서비스부(520)와. 상기 연동된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블록체인관리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는, 상기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는,
    웹페이지화면 개발을 위한 UI 컴포넌트(122)를 포함하는 UI/UX 통합개발환경(120, ID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I/UX 통합개발환경(120, IDE)은,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기 위한 블록체인연동템플릿(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로그관리부(510)는,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모듈(512)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로그저장모듈(514)과, 상기 해시값을 기초로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대상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검증모듈(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상기 해시모듈(512)에서 생성된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인터페이스(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퍼블릭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또는 프라이빗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는, 상기 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이 보관되는 가상지갑을 관리하는 지갑관리모듈(524)과,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거래소모듈(5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관리부(530)는, 상기 블록체인서비스부(520)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연관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모듈(532)과,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권한관리모듈(5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10. 삭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으로써,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정보 중 블록체인과 연동된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상기 UI/UX 서버(200)로 전송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전송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에서 전송받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기초로 제1해시값을 생성하는 제1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제1해시값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저장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제1해시값이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함께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를 이용해 제2해시값을 생성하는 제2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를 이용해 상기 제1해시값을 반환받고,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의 위변조여부를 검증하는 위변조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 전에, 상기 UI/UX 서버(200)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에 대한 반환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위변조예비검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해시값생성단계와 상기 위변조검증단계는, 상기 위변조예비검증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된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은,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UI/UX 개발시스템을 이용해 개발된 웹페이지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 상기 웹페이지화면과 연관된 트랜잭션데이터, 및 첨부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로깅대상으로 하는 로깅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로 정의하는 블록체인연동정보정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로그DB저장단계는,
    고유식별자(KEY), 시간변위매개변수(timestamp), 상기 로깅대상, 상기 블록체인저장위치(TX-ID), 및 상기 로깅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로그DB(40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UI/UX 서버(200)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상이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연동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변조확인정보를 상기 UI/UX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KR1020190067134A 2019-06-07 2019-06-07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KR10209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34A KR102090223B1 (ko) 2019-06-07 2019-06-07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34A KR102090223B1 (ko) 2019-06-07 2019-06-07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223B1 true KR102090223B1 (ko) 2020-03-17

Family

ID=7000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34A KR102090223B1 (ko) 2019-06-07 2019-06-07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47A (ko) * 2020-02-21 2021-08-31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경력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4899A (ko) 2020-12-29 2022-07-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위변조 검증 방법 및 장치
KR20220096647A (ko) 2020-12-31 2022-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663831B1 (ko) * 2021-02-02 2024-05-0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ui/ux 협업 개발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623A (ko) * 2012-08-06 2014-02-17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통합 플랫폼 및 그 저작 방법
KR101456506B1 (ko) 2012-08-06 2014-10-31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도구 및 저작 방법
KR101784219B1 (ko) 2016-06-15 2017-10-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483A (ko) * 2016-07-13 2018-01-23 (주)누리봄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9806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6126B1 (ko) * 2017-06-14 2019-05-08 (주)와이에이치 데이타베이스 클라이언트 식별 기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48227A (ko) 2017-10-31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623A (ko) * 2012-08-06 2014-02-17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을 위한 통합 플랫폼 및 그 저작 방법
KR101456506B1 (ko) 2012-08-06 2014-10-31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저작도구 및 저작 방법
KR101784219B1 (ko) 2016-06-15 2017-10-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483A (ko) * 2016-07-13 2018-01-23 (주)누리봄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9806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6126B1 (ko) * 2017-06-14 2019-05-08 (주)와이에이치 데이타베이스 클라이언트 식별 기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48227A (ko) 2017-10-31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47A (ko) * 2020-02-21 2021-08-31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경력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02757B1 (ko) 2020-02-21 2021-09-15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경력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4899A (ko) 2020-12-29 2022-07-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위변조 검증 방법 및 장치
KR20220096647A (ko) 2020-12-31 2022-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663831B1 (ko) * 2021-02-02 2024-05-0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ui/ux 협업 개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llah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blockchain smart contract adoption to manage real estate deals in smart cities
KR102090223B1 (ko) 데이터 위변조방지를 위한 블록체인이 적용된 ui/ux 개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검증방법
Yang et al. Public and private blockchain in construction business process and information integration
US11455685B2 (en) Settlement of securities trades using append only ledgers
Baset et al. Hands-on blockchain with Hyperledger: building decentralized applications with Hyperledger Fabric and composer
US10515409B2 (en) Distributing work load of high-volume per second transactions recorded to append-only ledgers
KR10200800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CN110874739B (zh) 实现高完整性、高带宽、低延迟、安全处理的分布式计算和存储网络
Khan et al. A distributed-ledger consortium model for collaborative innovation
WO2019144745A1 (zh) 生成智能合约的方法及装置
CN110599276B (zh) 票据报销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300353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perledger-based payment transactions, alerts, and dispute settlement, using smart contracts
CN111177275A (zh) 基于区块链的管理方法、终端、装置及存储介质
JP2005276195A (ja) プロジェクト時間および経費
Turjo et al. Smart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the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CN114363327A (zh) 区块链网络中的合规机制
US20220351290A1 (en) Settlement of securities trades using append only ledgers
GB2578168A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signing of transactions
Baset et al. Blockchain Development with hyperledger: build decentralized applications with hyperledger fabric and composer
Hoffman et al. Decentralized security bounty management on blockchain and IPFS
Iqb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s using blockchain
CN110727735A (zh) 基于区块链技术协作完成任务事件的方法、装置及设备
CN114817395A (zh) 数字资产的关联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09639462B (zh) 数据置换安全屋综合服务管理平台
Kabanda Model Structure for Block Chain Technology and Cryptocurrency for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in Zimbabw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