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870A -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870A
KR20180006870A KR1020170165148A KR20170165148A KR20180006870A KR 20180006870 A KR20180006870 A KR 20180006870A KR 1020170165148 A KR1020170165148 A KR 1020170165148A KR 20170165148 A KR20170165148 A KR 20170165148A KR 20180006870 A KR20180006870 A KR 2018000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weight
mixed
amou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555B1 (ko
Inventor
정진욱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7016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5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방수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작업을 하기 보다는 특수석분을 제조하여 살포하는 방법으로 개발하였는데 이러한 도포방법을 응용하여 가축 몸에 일시적으로 부착시켜 외부기생충인 이와 진드기 등을 박멸하는 도포재로 개발하고 이를 살포할 때 무척추생물들이 기피하는 금속물질을 가축에게 해롭지 않는 정도의 함량의 액상으로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점성을 갖도록 하는 축산분야의 피부도포재로 제조하는 신소재개발에 속하는 기술이다,
그동안 다양한 약제로 살포하거나 사료에 첨가하여 먹이로 급여한 후 몸에서 피부를 통해 혈관의 피를 빨아 먹을 때 피부기생충에 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 가축을 육류나 알을 먹을 때 사람에게도 위해하다는 식품분야의 경고에 의해 사용 금지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한 신소재 제품에 관한 특허출원이다,
이미 많은 발명으로 유통되고 있는 각종 화학제품이 사용 금지됨으로 인하여 가축, 특히 사육조류에 더 이상 사료, 또는 몸에 살포할 수 없어 양계업체에서 포기할 위기를 해소시켜줌으로 인하여 새롭게 시도되는 가축 몸체에 무해한 도포재로 곽광 받으면서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색인어]
도포재료(塗布材料), 박멸(撲滅), 용해(溶解),
용융석분(熔融石粉), 진드기, 거머리,
피부기생해충구제(皮膚奇生害蟲驅除), 살포(撒布),

Description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The liniment for the parasitic vermin on the animals' skins or barns, thereof its productive method}
본 발명은 제약부분으로 제조해 온 피부 및 축사 내의 도포재료나 화학적으로 제조된 피부도포재료가 인체는 물론 가축에 살포하면 생체에 축적되거나 신진대사에 악영향으로 가축 몸에 기생하는 이나 진드기의 살충보다는 숙주의 몸에 해롭다는 이유로 사용을 기피하면서 보건당국도 사용금지를 하므로 대체품목이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시점에 살충제 대신에 사료첨가제로 사용되는 미량광물질을 먹이기보다 피부 또는 축사 내외에 도포하면 이나 진드기 등이 도망을 가거나 맥을 쓰지 못하고 떨어져 축출하게 하는 새로운 살포제개발에 따라 개발된 무공해 기생충 퇴치분야의 제조기술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논에 기생하며 농부의 정강이에 붙어 피를 빨아먹는 흡혈충인 거머리가 미나리에 섞여 있을 때 일일이 찾기가 어려워 물그릇에 담은 미나리 속에 구리 관을 담으면 모두 도망가는 사례를 보고 무척추생물의 생리를 이용하여 구리 뿐만 아니라 아연과 망간을 포함하여 액상을 피부에 도포할 때 도포용 막을 형성해주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제올라이트와 흑운모와 실리카 등을 용해시켜 미세분말로 가공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면 진드기 등이 더 이상 붙어있지 못하고 떨어질 것이라는 추리에 의거한 형장실험으로 확인된 제품제조기술로서 축산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의 배경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장에서 건축물 외벽에 방수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장을 위한 피복도포재료인 석분을 용융시키고 작은 덩어리로 냉각시킨 후 미세분말로 가공하고 이를 수용성 미량광물질로 녹여 점성을 갖도록 하여 가축 몸에 부착시키는 기술로 전환시키므로 건축분야와 도장분야를 혼합한 기술을 승화시켜 축사 내외 및 피부기생 해충박멸을 위한 제품으로 제조한 후 가축 몸에 살포하거나 축사 내외에 도포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혼용 응용하는 기술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생약성분을 함유하여 피부미용을 위한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조성물에 관한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44267호(2002.06.15,)와 제10-1998-0002226호(1996.06.29.)의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인체세정조성물과 제10-2010-0065340호(2010.06.16.)의 무척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피라졸 화합물과 제10-1998-0087575호(1998.12.05.)의 양이온광물질을 함유하는 생리활성화용 이온 수용액과 그 제조방법을 종합하여 최근에 케이지사육 산란계에 만연하던 닭의 피부에 기생하는 이를 퇴치하기 위해 사료에 첨가한 약품이 닭은 물론 인체에 위해하다고 사용금지 됨과 동시에 이를 대체할 약품이 없어서 양계사육농가가 양계사육을 포기해야할 처지에 놓인 상태에서 개발하게 된 대용약품이면서 약품 종류에 속하지 않는 살포용 도포재료로 개발하는 제품대체기술에 속한다,
도포용 매체는 피부기생충들이 꺼리는 원적외선방출 석분을 골고루 함유하도록 혼합하고 용융시키고 급속 냉각시켜 미세분말로 가공한 후 역시 피부기생해충들이 기피하는 구리와 아연과 같은 금속성분을 미량으로 함유시켜 가축의 생리촉진을 이끌던 양이온미량광물질을 별도로 제조된 수용성 도포재료를 살포용액으로 혼합하여 가두어 키우는 양계피부에 살포하여 피부기생해충들을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피부살포제로 개발한 제품에 관한 제조기술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무척추동물 중에 진드기와 이 등은 공히 구리성분과 몇 가지 금속이온을 기피하므로 이를 근거로 액상의 이온용액으로 제조한 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토양을 접착용 미세분말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액화재료를 분무장치로 가축피부 및 축사 내외에 도포하면 장시간 가축피부
또는 축사 벽 등에 부착되었다가 피부 및 건물에 기생하는 해충과 함께 떨어지도록 수용제로 제조하는 제품개발에 관한 과제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품개발에 따르는 과제는 첫째 구리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액상용액제조와 이와 같은 액상수가 가축의 피부 및 축사 내외에 장시간 부착되도록 하는 석분재료를 부착재료로 얻는 가공방법에 관한 제조기술이다,
해결할 과제로 선정된 구리 등의 금속 이온용액 제조는 사료로 섭취할 수 있는 생리이온 용액제조 원료를 대상으로 채택하면 몸에 부착은 물론 설사 먹이로 섭취해도 무방할 뿐 아니라 오히려 섭취하는 것을 원하는 제품을 선정하는 과제를 해결수단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액을 가축의 피부는 물론 깃털까지 포함하여 도포될 수 있는 재료의 선택과 접착성을 키울 수 있도록 가공하는 제조방법은 물론 축사 벽과 기둥 등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용도로 개발하는 해결과제의 채택이다,
그동안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는 전염병예방과 축사환경개선을 위해 파리와 모기 등의 방제는 물론 가축 몸에 기생하는 진드기와 이 등을 박멸할 수 있는 제재를 가축은 물론 키우는 사육자를 포함하여 생산물을 식품으로 구입하는 이들까지 무해하며 환경오염이 없는 비 화학물성의 재료로 제조하므로 식품검사에서 배제되는 일 없이 판매할 수 있게 되어 많은 매출을 올리는 효과가 기대된다,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 이와 같이 축사 내외 벼체 등과 인체와 가축의 피부에 부착되어 핥아 먹어도 무해한 피부기생해충을 박멸하는 재제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아니할 뿐 아니라 개발조차 진행되지 아니하는 제품이므로 수출과 함께 국내 축산농가에 기여하는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제품의 재료별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제품의 재료별 배합비도,
도 3은 본 발명제품에 대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두 시험성적표,
본 발명의 공정은 접착성을 갖는 분말재료 제조와 무척추동물들이 기피하는 구리 등의 금속이온을 띄는 액상재료의 제조로 분할하여 제조한 후 축사 내외벽면과 기둥 및 가축피부에 도포하기 위해 살포할 때 두 재료를 현장에서 큰 용기에 담고 용액으로 교반한 후 혼합물성을 분무기에 담고 가동하여 가축 몸에 살포시키는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용 도포재료라는 제품에 대한 제조방법이다,
우선 접착성을 갖는 분말재료로 제조하려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재료 중에 접착성이 강한 제올라이트와 실리카계통 중 강한 방사를 하는 흑운모와 이산화규소를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배분하여 배합비율로 정하고 이들이 뒤섞이지 않도록 배합하는데 이들을 고온에 용융시키고 분쇄한다면 가장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고스럽지만 용융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먼저 재료의 선택에서 제올라이트(Zeolite, 비석)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규산 산화물의 결합으로 생겨난 음이온이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이 결합되어 있는 광물의 총칭인데 제올라이트는 그 결정구조 내에 있는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불포화 탄화수소나 극성물질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흡착하는 성질과 분자체 효과를 갖으며 일정한 크기의 세공경(細孔經)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신보다 작은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흡착하므로 이성질체를 분리 할 수 있으며 이온교환성을 가질 뿐 아니라 결정구조 내에 교환가능한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른 양이온과 자유롭게 교환되므로 이 성질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의 제거와 유용성분의 농축 및 회수를 할 수 있고 특히 양이온의 일부를 음이온으로 치환하여 항균성을 갖기 때문에 식품의 품질유지용 제재 내지 선도유지제로서 활용되기도 하는 재료들이기도 하다,
실리카는 이산화규소로 불리면서 지각 질량의 59%에 암석의 95% 이상을 이루는 주요구성성분으로, 석영(가장 풍부한 형태)과 트리다이마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의 3가지의 주요결정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흑운모(黑雲母)는 흔한 운모군에 속하는 규산염 광물로서 변성암과 페그마이트와 화강암과 기타 관입 화성암에 풍부하고 겉보기색은 흑색, 갈흑색, 녹흑색 등이 있으며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고 모스 굳기계 에서 굳기는 약 2.5에서 3.0정도로서 분포 지역 역시 매우 넓고 또한 매우 흔하다,
다음은 액상재료를 선정하는 것으로 시중에서 구입하기 수월한 가축용 미량광물질이 유산과 혼합되어 분말로 유통되고 있으므로 이들을 물에 용해시켜 액상을 재조하는데 수분을 배제한 고형성분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제품의 재료별 배합비도'(도 2)와 같이 정하고 액상으로 제조할 때 물과의 비율은 물 90%에 상기 두 재료의 합계가 10%로 되는 용액으로 배합한 후 분무기로 닭이나 소 피부에 살포한다,
이와 같이 액상재료와 분말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소 복잡한데 먼저 석분재료부터 확보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구입하여 제조한다,
석분원료(제1-2단계)를 구입하려면 '본 발명제품의 재료별 배합비도(도 2)'의 배합비율에 의거하여 이산화규소 40 내지 50중량%와 흑운모 25 내지 35중량%와 제올라이트 20 내지 30중량%로 산정하여 구입하고 칭량하여 용기에 담아 혼합한 후 용융공정(제2-2단계)에서 큰 전기도가니에 담고 고온의 전기로에서 1,800℃로 60 내지 90분간 용융시키고 용융이 완성되었으면 응축공정(제3-2단계)에서 냉각수조에 흘러내리게 하면 물에 닿자마자 작은 물방울형상의 덩어리로 냉각되면서 수조 바닥에 가라않아 급속냉각이 이루어진다,
냉각된 작은 덩어리들을 물에서 건저 내어 건조시킨 다음 분쇄공정(제4-2단계)에서 볼밀(Ball mill)에 담고 분쇄하면서 집진장치로 흡입시켜 얻는 분말공정으로 얻은 미세분말을 소포공정(제5-2단계)에서 100그램 단위로 포장하면 액상재료와 혼합하기 쉬운 단위로 포장이 된다,
다음은 액상원료(제1-1단계)의 구입과 액상재료 제조인데 구입할 재료는 사료판매상에서 판매되는 미량광물질사료 중에 유화철과 유산동과 유산망간 및 유산마그네슘이로 구성되어 있으면 다소 성분이 '본 발명제품의 재료별 배합비도'(도 2)와 달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거의 상기 배합비도와 유사하다.
먼저 기능재료로 유화철 40중량%와 유산동 30중량%와 유산망간 15중량%와 유산마그네슘 15중량%로 칭량하거나, 또는 구입한 혼합미량광물질을 용해공정(제2-1단계)에서 큰 용기에 물을 붓고 상기 재료도 넣고 1 내지 2시간을 교반시켜 용해되었으면 1차적으로 여과방법은 거친 포대에 담아 용해된 것만 수거하고 다시 2차적으로 고운 여과제로 응축되지 않도록 여과시킨 후 용기에 담아 뚜껑을 덮고 숙성공정(제3-1단계)에서 어둡고 찬 실내에서 2 내지 3일간 숙성시킨다,
숙성공정(제3-1단계)이 끝나면 여과공정(제4-1단계)에서 비단처럼 고운 여과포로 반복하여 여과한 후 추가재료인 아크릴 에멀전과 소포제를 첨가하여 10중량% 함유 용액으로 제조된 액상재료를 소분공정(제5-1단계)에서 준비된 소량함유 액상용기에 담아 분말재료와 함께 공급할 소분포장을 한다,
본 발명의 효능을 실험해 보기 위해 소량으로 제조한 후 문제가 된 양계농장에 제공하여 상태를 조사한 결과 닭의 몸에 살포한 결과 몸에 기생하던 닭의 이가 사멸되지 않고 힘없이 떨어져 케이지 계사 밑에 서서히 궤사되어 가고 있었다,
또한 살포 후 축사 내의 항균시험과 탈취시험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두 시험성적표(도 3)의 도면 3-1과 같이 60분이 경과하면서부터 절반 이상으로 축소되고 지속적으로 암모니아농도가 축사 내에서 유지되었으며 상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두 시험성적표(도 3)의 도면 3-2와 같이 대장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시험에서도 획기적인 감소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액상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액상원료(제1-1단계)에서 유화철 40중량%와 유산동 30중량%와 유산망간 15중량%와 유산마그네슘 15중량%로 구성된 사료용 미량광물질을 10중량%를 큰 용기에 담고 물 90중량%로 채워 용해공정(제2-1단계)에서 교반을 거쳐 용해시킨 후 큰 항아리에 담아 뚜껑을 닫고 숙성공정(제3-1단계)을 위해 차고 어두운 실내에서 3일간 숙성시킨 후 여과공정(제4-1단계)에서 미처 용해되지 못하거나 응집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해 거친 여과포로 여과하고 재차 고운 여과포로 다수차례 여과시킨 미량광물수용액재료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재료로 첨가하는 아크릴 에멀전 13.5중량%와 소포제 1.5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재료로 제조하였는데 상기 아크릴 에멀전이나 소포제는 무공해제품을 채용하였고 용기도 화학변화가 없도록 질그릇을 사용하였다,
완성된 액상재료를 소분공정(제5-1단계)에서 미리 확보한 플라스틱제로 제조된 1리터용 소형 액상용기에 담아 무공해 액상재료를 확보하였다,
한편 별도공정으로 석분원료(제1-2단계)에서 이산화규소 45중량%와 흑운모30중량%와 제올라이트 25중량%를 큰 용기에 담아 혼합한 후 용융공정(제2-2단계)에서 큰 도가니에 담고 1,800℃의 전기로에 넣고 60분간 용융을 시켰다,
실험용 소량이라 시간이 많이 단축되었고 용융석분 용융도가니를 집게로 꺼내어 가림 막을 한 드럼통에 물을 담고 두꺼운 장갑을 끼고 용접 안경모자로 안전을 기하면서 응축공정(제3-2단계)을 시행하고자 흘러내리도록 기울려 조금씩 물에 떨어뜨리며 급랭을 시켰다,
급랭된 덩어리들을 꺼내어 소쿠리에 담아 건조시킨 다음 량이 얼마 되지 아니하여 분쇄공정(제4-1단계)에서 볼밀 대신에 쇠절구로 어렵게 분쇄를 하여 겨우 얻은 분말만 회수하였는데 회수된 량도 얼마 되지 아니하여 소포공정(제5-2단계)을 거치지 않고 비닐봉투에 담아 보관하였다,
회수된 량에서 750그램을 분말재료로 칭량하고 액상재료도 250그램으로 칭량하여 혼합하면서 반죽을 한 후 물을 추가하여 혼합공정(제6단계)을 수행하고 분무기로 살포할 수 있게 희석하여 케이지 양계장에서 위아래를 거치며 층층이 3단으로 올린 20줄의 산란계의 피부와 깃털에 살포하고자 살포공정(제7단계)에서 준비된 분무장치에 담고 상기 장치의 동력을 작동시켜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3단 케이지의 20줄에 사육되는 산란계의 깃털과 몸에 뿌리고 흠뻑 젖은 산란계의 동태를 살폈다,
잠시 후 산란계들이 깃털을 털자 깃털도 포함되면서 떨어지는 살포 막에 닭이가 붙어 떨어져 나왔으며 3시간 후에 살펴보니 즐거운 노래로 화답하는 모습으로 보이면서 닭들이 피부를 쪼는 행동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제1-1단계 : 액상원료, 제1-2단계 : 석분원료,
제2-1단계 : 용해공정, 제2-2단계 : 용융공정,
제3-1단계 : 숙성공정, 제3-2단계 : 응축공정,
제4-1단계 : 여과공정, 제4-2단계 : 분쇄공정,
제5-1단계 : 소분공정, 제5-2단계 : 소포공정,
제6단계 : 혼합공정, 제7단계 : 분사공정,

Claims (2)

  1. 유화철과 유산동과 유산망간 및 유산마그네슘으로 구성된 미량광물질을 지정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용해시킨 미량광물질수용액을 뚜껑 덮인 용기에 담아 차고 어두운 실내에 보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키고, 숙성된 미량광물질수용액을 고운 여과포로 다수차례 여과한 상기 미량광물수용액에 아크릴 에멀전과 소포제를 일정량 추가하여 혼합한 후 소량단위로 제작된 액상용기에 포장되는 액상재료와,
    이산화규소와 흑운모와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석분원료를 지정비율로 혼합하여 도가니에 담고 고온의 전기로에 넣어 상기 원료들을 용융시킨 용융용액을 냉각수가 채워진 수조에 소량씩 흘러내리며 급속 냉각시키고 건조시킨 상기 석분입자를 볼밀로 미립자분말로 분쇄하여 소량단위포장지에 포장시킨 분말재료와,
    상기 액상재료에 상기 분말재료를 지정비율로 혼합하고 회석용 물을 지정 량 추가 첨가하고 교반한 후 분무장치에 담아 축사, 가축피부 또는 깃털에 살포하여 해충을 제거시키는 것이 특징인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
  2. 액상원료(제1-1단계)에서 확보한 유화철 16중량%와 유산동 12중량%와 유산망간 6중량%와 유산마그네슘 6중량%로 혼합한 기능재료 10용량%를 90용량%의 물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공정(제2-1단계)으로 용해시킨 미량광물수용액을 여과시켜 뚜껑달린 질그릇용기에 담아 차갑고 어두운 실내에 보관하여 숙성공정(제3-1단계)으로 3일간 숙성시킨 상기 미량광물수용액을 고운 여과포로 다수차례 여과하는 여과공정(제4-1단계)으로 얻은 상기 미량광물수용액에 아크릴 에멀전 13.5중량%와 소포제 1.5중량%를 추가 배합한 상기 미량광물질수용액을 소량용기에 소분공정(제5-1단계)으로 담아 액상재료로 제조하고
    석분재료(제1-2단계)로 확보한 이산화규소 40 내지 50중량%와 흑운모 25 내지 35중량%와 제올라이트 20 내지 30중량%로 혼합하여 도가니에 담은 상기 도가니를 1,800℃의 전기로에 넣고 60 내지 90분간 용융공정(제2-2단계)을 거친 석분용융용액을 냉각수가 담긴 냉각수조에 소량씩 떨어뜨려 응축공정(제3-2단계)으로 급랭시켜 건조된 석분응축덩어리들을 볼밀로 석분미립자분말을 분쇄공정(제4-2단계)에서 제조하고 상기 석분미립자분말을 소량단위포장지에 담아 소포공정(제5-2단계)에서 포장하여 분말재료로 제조하고
    상기 액상재료 25중량%에 상기 분말재료 75중량%로 혼합한 량을 혼합공정(제6단계)에서 상기 액상재료와 상기 분말재료를 합한 량을 10용적%로 칭량하고 물을 90용적%로 혼합한 도포재료를 살포대상인 축사 및 가축의 피부 또는 깃털에 분무장치로 살포공정(제7단계)에서 골고루 도포하여 부착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의 제조방법
KR1020170165148A 2017-12-01 2017-12-01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KR10198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48A KR101987555B1 (ko) 2017-12-01 2017-12-01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48A KR101987555B1 (ko) 2017-12-01 2017-12-01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870A true KR20180006870A (ko) 2018-01-19
KR101987555B1 KR101987555B1 (ko) 2019-09-30

Family

ID=6102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148A KR101987555B1 (ko) 2017-12-01 2017-12-01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261A (ko) * 2021-08-03 2023-02-10 세이프케이 주식회사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13B1 (ko) * 1987-06-09 1990-03-12 고려화학 주식회사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KR900001512B1 (ko) * 1987-06-08 1990-03-12 고려화학 주식회사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JPH0632706A (ja) * 1992-05-18 1994-02-08 Shikoku Sogo Kenkyusho:Kk 害虫駆除方法
JP3259865B2 (ja) * 1992-05-18 2002-02-25 尚明 山本 害虫駆除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12B1 (ko) * 1987-06-08 1990-03-12 고려화학 주식회사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KR900001513B1 (ko) * 1987-06-09 1990-03-12 고려화학 주식회사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JPH0632706A (ja) * 1992-05-18 1994-02-08 Shikoku Sogo Kenkyusho:Kk 害虫駆除方法
JP3259865B2 (ja) * 1992-05-18 2002-02-25 尚明 山本 害虫駆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261A (ko) * 2021-08-03 2023-02-10 세이프케이 주식회사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555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9145B2 (en) Dispersible struvite particles
Losic et al. Diatomaceous earth, a natural insecticide for stored grain protection: Recent progress and perspectives
CN1029394C (zh) 一种液体微肥及其制备方法
CN101973822A (zh) 一种既能诱杀害虫、又能促植物生长的无公害药肥及其制备方法
US20150086638A1 (en) Aqueous parasiticidal suspension
US20150147374A1 (en) Parasiticidal Aqueous Suspension
US5480638A (en) Insecticide bait composition
CN105638658B (zh) 生物源除草剂组合物及其应用
CN106665563A (zh) 灭蝇剂及其制备方法
KR20180006870A (ko)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01999401A (zh) 多功能玉米复合颗粒剂
CN107751198A (zh) 一种防水型果蝇引诱缓释剂、制备方法及应用
CN102849746A (zh) 食品级活性硅藻土的制备方法及应用
JP6815003B2 (ja) 消毒剤
KR20180005548A (ko) 식물 추출물과 광물질을 포함하는 토양 유해동물 방제용 입상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JPS5865203A (ja) 水面浮遊性生物活性物質含有組成物
CN104521630B (zh) 一种防治烟田地下害虫的方法
CN104430497B (zh) 一种杀虫组合物及其应用、制剂
CN101548686A (zh) 一种含烯酰吗啉的杀菌剂组合物
CN102197809A (zh) 百菌清干悬浮剂及其制备方法
CN108552213B (zh) 一种含甲基吡啶磷的水分散颗粒剂及其制备方法
JP4901070B2 (ja) 粒状忌避剤の製造方法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CN103651565A (zh) 一种韭菜杀蛆剂
CN109769822A (zh) 一种新型植物保护剂及其防病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