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261A -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261A
KR20230020261A KR1020210102146A KR20210102146A KR20230020261A KR 20230020261 A KR20230020261 A KR 20230020261A KR 1020210102146 A KR1020210102146 A KR 1020210102146A KR 20210102146 A KR20210102146 A KR 20210102146A KR 20230020261 A KR20230020261 A KR 2023002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hot air
heat
c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572B1 (ko
Inventor
문창섭
Original Assignee
세이프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이프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572B1/ko
Priority to PCT/KR2022/011184 priority patent/WO2023013988A1/ko
Priority to EP22853366.7A priority patent/EP4302594A1/en
Publication of KR2023002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 내부 전체로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켜 축사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방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축사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와, 상기 열원공급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열분배기와, 상기 열분배기에 연결되어 열분배기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수평열이송관과, 상기 축사 내부에 상,하로 구비되어 천정 부근의 열풍을 바닥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상하열송풍관과, 상기 열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HOT AIR DISINFECTION SYSTEM FOR MULTI STAGE/ROW CAGE POULTRY HOUSE}
본 발명은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 내부 전체로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켜 축사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방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축산업은 대규모 공간인 무창축사에서 밀폐 사육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산란계 또는 육계 무창축사는 외부로부터 세균, 바이러스, 해충이 내부 진입을 어렵게 하는 반면, 산란계 또는 육계 축사 내부에 들어온 세균, 바이러스, 해충은 외부의 자외선, 천적 또는 경쟁관계의 생물체의 공격과 경쟁을 방어해주는 역할도 있어서 각종 전염성 질병의 원인이 된다.
열에 의한 살균, 살충은 근대 과학의 높은 성과로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살균, 살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열풍을 이용한 방역은 열에 의하여 단백질이 응고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40℃ 이상이 되는 경우 단백질이 응고되기 시작하며, 60℃ 정도에서는 대부분 단백질이 응고되는 특징을 이용하는 방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균, 바이러스, 해충에 높은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활용되고 있으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대한 통제가 어렵고 뜨거워진 고열의 열풍이 천장 부근에 집중되면서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 내에 설치된 각종 배터리, 전자 부품, PE 전선 등 열에 약한 각종 구축물에 대한 손상 및 화재의 위험성이 높다.
또한, 열원이 일부 지역에 한정되거나 천장 부근은 온도가 높은 반면 바닥 인근은 40℃ 이하가 되어서 방역효과가 떨어지고, 열 손실로 인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열풍 화재 위험, 각종 장비 손실 및 낮은 열 효과로 농축수산 사업체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산란계 또는 육계 사육을 위한 대표적인 축사는 길이 102미터, 내부 폭 11미터, 높이 8.8미터에 이르는 대형 구축물이며, 폭 1.5미터의 4열 8단의 철제 케이지가 96미터 길이로 조성되어 열원의 소통을 크게 방해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공급되는 열원은 위와 같은 산란계 또는 육계 케이지의 경우 열원 공급 시점에서 케이지 길이방향 10미터 이내에 정체되어 고온에 의한 화재 위험이 존재하고, 축사 내의 공간에 따른 온도 불균일에 의한 방역 효과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되 열풍의 온도가 천정과 바닥부분 및 앞.뒤부분의 축사 전체에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기를 재순환시키게 됨으로써 방역 및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은 축사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와, 상기 열원공급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열분배기와, 상기 열분배기에 연결되어 열분배기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수평열이송관과, 상기 축사 내부에 상,하로 구비되어 천정 부근의 열풍을 바닥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상하열송풍관과, 상기 열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와 축사 사이에 연결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관에는 축사 내부의 부유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는 축사 외부에 설치되어 사료빈과 공기 흡입창이 있는 축사의 앞 부분 출입구 또는 뒤쪽 출입구를 통하여 열분배기와 연결되어 열분배기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풍공급유량은 시간(hour)당 축사 전체 체적의 5.5 ~ 7.2배의 용량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열분배기는 열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각각의 수평열이송관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되, 수평열이송관과 연결되는 출구쪽 공기온도는 60 ~ 8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열이송관은 열분배기에 복수개로 연결되되 공급되는 열풍이 축사 바닥면과 수평열이송관의 주변 공기 및 케이지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축사 외벽과 케이지 사이 또는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열이송관이 상기 열분배기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평열이송관의 내부에는 열풍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열이송관은 열분배기로부터 공급되는 초기 열풍 온도는 50 ~ 70℃로 공급하고 끝단의 열풍 온도는 45 ~ 6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축사가 층분리가 안된 경우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에 설치되고, 층분리가 된 경우에는 케이지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하열송풍관을 설치하여 바닥 근처까지 내려온 다음 바닥근처에서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의 공간으로 나오도록 설치되어 천정 부근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의 상단부는 케이지의 상부 끝단보다 높게 위치하되, 축사 바닥면부터 지지구조물까지의 높이의 85% 이상에서 지지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축사의 출입구 반대쪽 후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송풍량에 따라 수평열이송관과 연결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사의 천정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천정 온도가 70도 이상 시 제어부의 제어로 열원공급부를 정지시키고 공기만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축사 벽체나 바닥에 열풍을 방역하기 전 건조현상에 의해 진드기를 사멸시킬 수 있도록 실리카(이산화규소)를 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에 의하면, 축사 외부 또는 내부에 마련되는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열분배기를 거쳐 축사 외벽과 케이지 사이 또는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열이송관을 통해 축사의 앞부분 출입구에서 뒷부분으로 이송시키고 수평열이송관에 상,하로 천정 부근까지 상하열송풍관을 연결시켜 천정 부근의 공기를 밑으로 송풍시키게 됨으로써 축사 전구간의 온도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방역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수평열이송관이 열분배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수평열이송관이 열분배기와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는 하나의 예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축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길이 102m, 내부 폭 11m, 케이지 상단 위에 위치하는 지지구조물까지 높이가 7m, 지붕 상단까지 높이가 8.8m 이고, 폭 1.5m 철제 케이지가 4열 8단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축사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동일한 축사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이와 유사한 다열 다층의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이 구비된 축사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수평열이송관이 열분배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수평열이송관이 열분배기와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시스템은 열원공급부(100)와, 열분배기(200)와, 수평열이송관(300)과, 상하열송풍관(400)과,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100)는 축사(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전기나 목재, 석유 등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는 버너를 사용하되 석유버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원공급부(100)는 버너를 이용하여 가동 초기에 시간당 100,000㎉ ~ 200,000kcal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원공급부(100)는 축사 내부에 온도가 상승하면서 축사 내부가 목표하는 온도에 접근하면서 열공급량을 축소하게 되고, 온도감지센서(600)에 의한 축사 내부의 온도가 타겟온도가 도달한 이후에는 열공급을 멈추고,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열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버너의 용량은 시간당 100,000kcal급일 수도 있고, 작은 용량의 버너를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100)의 열풍량은 48,000㎥/h ~ 64,000㎥/h로 공급하되 계절, 날씨, 밀폐 특성을 고려하여 가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풍량은 하나 이상의 버너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풍공급유량은 시간(hour)당 축사 전체 체적의 5.5 ~ 7.2배의 용량을 공급하고, 1시간(1hour)에 축사의 단위입방미터당 열에너지 공급량은 가동초기에 13 ~ 26㎉/(㎥h) 만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예로서 시간당 100,000kcal 버너 2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열원공급부(100)의 하나의 버너를 통해 얻게 되는 열풍의 양과 온도는 자체적인 온도 150℃에 5,000㎥/h가 적합하며, 이 열풍은 3배의 축사(10) 내부 공기를 강제로 혼합시켜서 20,000㎥/h 수준의 공기량으로 만들 경우 60 ~ 80℃의 열풍을 얻을 수 있으며, 2대의 버너를 열원공급부(100)로 사용할 경우 40,000㎥/h 수준의 열풍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원공급부(100)는 축사(10)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사료빈과 공기 흡입창이 있는 축사(10)의 앞 부분 출입구 또는 뒤쪽 출입구를 통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원공급부(100)는 높은 열에 의해 화재 발생 위험이 있어 축사(10) 외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원공급부(100)와 축사(10) 사이에는 축사(10) 내부의 공기를 재가열하여 순환시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공기순환관(110)이 연결될 수 있다. 축사(10) 내부의 이미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열원공급부(100)에서 소모되는 연료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축사 내부에 부유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공기순환관(110)으로 유입되게 되고, 이렇게 유입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열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화염이나, 열에 의해서 태워져서 제거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공기순환관(110)에는 지속적인 공기의 재사용으로 축사 내부 부유물 등이 열원공급부(100)에서 연소되면서 탄화되어 발생되는 그을음을 방지하고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12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20)은 공기순환관(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공기순환관(110)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순환관(110)과 연결됨 없이 별도로 축사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발생되는 그을음을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열원공급부(100)를 석유버너로 사용할 경우 토출구 철판 온도는 200 ~ 300℃이고 전기열풍기를 사용할 경우 150℃ 이상이며, 상기 열원공급부(100)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 공기 온도는 50 ~ 200℃이지만, 50 ~ 8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200℃가 넘을 경우 화재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열원공급부(100)에 의해 배출된 열원은 100℃ 이상이 되므로 단열 배관을 통해 축사(10)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분배기(200)는 열원공급부(100)에 연결되고 각각의 수평열이송관(300)을 연결시켜 열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각각의 수평열이송관(300)을 통해 축사(10) 내부의 케이지(20) 사이로 분배 공급할 수 있다.
즉, 축사(10)의 경우 외부에서 발생된 열원을 공급하여 분배하는 열분배기(200)의 위치는 축사(10) 전면부 3m 이내 즉 축사 길이의 3% 이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를 초과하여 배치하는 경우 열분배 최적화가 어렵게 된다.
상기 열분배기(200)의 자체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150℃이며, 수평열이송관(300)과 연결되는 출구쪽 공기온도는 60 ~ 100℃로 공급되되 60 ~ 80℃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은 열분배기(200)에 연결되어 열분배기(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축사(10) 내부의 케이지(20)와 외벽 사이의 공간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을 케이지(20)과 축사 외벽 사이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주위로 대류 또는 전도에 의한 열전달로 열풍이 축사(10) 바닥면과 수평열이송관(300)의 주변 공기 및 케이지(20)로 열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축사의 철제 케이지(20)가 4열 8단의 폭 1.5m일 때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의 한 라인에 분배되는 열풍의 양은 대략 7,000㎥/h 수준으로 5개 라인으로 각각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의 길이는 축사 길이의 50 ~ 98%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용대상 축사의 하나인 길이가 102m인 경우 수평열이송관(300)의 길이는 51 ~ 100m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분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수평열이송관(300)에 들어오는 초기 공기의 온도는 50 ~ 70℃, 끝단의 열풍 온도는 45 ~ 6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은 50 ~ 70℃ 사이에서 출발하고 출발된 열원은 수평열이송관(300)의 바닥과 주변에 의해 급속하게 열원이 소실되면서 축사(10) 전,후방의 대략 90m 정도를 이동된 경우 45 ~ 60℃ 범위에서 최종 온도가 되고, 이동 과정에서 소실된 열은 바닥과 수평열이송관(300) 주변 및 케이지(20) 온도를 높여서 방역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은 축사(10) 내의 케이지(20)과 축사 외벽 사이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의 바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천이나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이 상기 열분배기(20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의 내부에는 열분배기(2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F)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축사(10) 내부에 상,하로 구비되어 천정 부근의 고온의 열을 하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대략 300 ~ 400㎜의 플렉시블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축사가 층분리가 안된 경우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에 설치되고, 층분리가 된 경우에는 케이지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하열송풍관(400)을 설치하여 바닥 근처까지 내려온 다음 바닥근처에서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의 공간으로 나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설치 위치는 축사(10)의 출입구측 전면부에서 대략 2 ~ 5m 지점에서 상,하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필요시 케이지(20)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의 상단부는 케이지(20)의 상부 끝단보다 높게 형성되되 지붕을 제외한 축사 높이인 지지구조물(11) 위치로부터 1m 이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열송풍관(400)의 상단부 위치를 축사 바닥면에서 지지구조물(11)까지 높이의 85% 이상에서 지지구조물(11) 사이에 위치시키는 경우 볼텍스(vortex) 효과에 의해서 주위 넓은 면적의 더운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하여 수 있다.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의 내부에는 천정 부근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F)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F)은 상하열송풍관(400)의 하단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설치하는데 있어서 용이하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축사(10)의 출입구 반대쪽 후반부 끝단에서 대략 1 ~ 4m 범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20 ~ 80mmAq 정압이 적절하며, 송풍량은 1개당 6,000 ~ 8,000㎥/h가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상하열송풍관(400) 송풍량은 시간당 축사 전체 체적의 0.68 ~ 0.9배의 양으로 송풍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열송풍관(400)은 대략 케이지 1개의 열에 대해서 2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축사 전체에 대해서 상하열송풍관(400)에 의하여 상부 가열공기를 아래로 내리는 송풍량은 시간당 축사 전체 체적의 5.4 ~ 7.2배의 양으로 송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송풍량에 따라 수평열이송관(300)과 연결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케이지 상단 위에 위치하는 지지구조물(11)에 와이어나 연결줄(3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은 케이지(20)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바닥으로 내려와 후단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열원공급부(100)와 연동되어 열원공급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순환관(110), 열분배기(200), 수평열이송관(300), 상하열송풍관(400)과 연결되어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축사(10)의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센서(600)를 설치하여 천정 온도가 70℃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500)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열원공급부(100)를 정지시키고 공기만 순환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풍을 방역하기 전 축사(10) 벽체나 바닥에 건조현상에 의해 진드기를 사멸시킬 수 있도록 실리카(이산화규소)를 뿌릴 수 있다.
즉, 진드기는 방역시 열풍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틈새나 전선 및 등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어 상기 축사(10) 벽체나 바닥에 실리카(이산화규소)를 뿌려 진드기가 틈새에 숨을 수 없어 이동하지 못하여 사멸될 수 있다.
상기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열원공급부(100)의 작동으로 열풍이 열분배기(200)로 공급되고 상기 열분배기(200)에 축사(10) 내부의 케이지(20)과 축사 외벽 사이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로 연결되는 각각의 수평열이송관(300)을 통해 열풍이 이송되면서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열풍에 의해서 수평열이송관(300) 주위로 열이 대류나 전도에 의해서 전달되어 축사(10) 바닥면과 케이지(20) 주변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사(10)의 앞 부분 출입구 또는 뒤쪽 출입구 쪽에 열분배기(200)를 통해 복수개의 수평열이송관(300)으로 열을 분사시켜 공급함으로써 축사(10) 출입구 쪽에 발생되는 높은 온도(대략 70 ~ 90℃)를 분산시켜 60℃ 이하로 낮출 수 있어 축사(10) 전면에 설치되는 계란 엘리베이터, 사료 공급장치, 계분 이송장치, 급수 장치, 전자 장비 등이 고온에 노출되지 않아 파손 및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사(10)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지(20)과 축사 외벽 사이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에 수평열이송관(300)을 각각 설치하게 되어 상기 수평열이송관(300)을 통과하는 열풍이 축사(10)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축사(10) 전반부와 후반부에 천정 부근에서 바닥의 상,하로 상하열송풍관(400)을 설치함으로써 천정 부근의 고온 열풍을 상기 상하열송풍관(40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F)의 회전에 따라 하방향으로 송풍시켜 천정 부근의 고온의 공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축사(10) 내부의 케이지(20)과 축사 외벽 사이 또는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로 열분배기(200)로 각각 분배된 수평열이송관(300)을 통해 열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공급되고 천정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하열송풍관(400)을 통해 하부로 송풍시켜 축사(10)의 하부와 천정 상부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축사(10) 내부의 방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축사
11 : 지지구조물
20 : 케이지
100 : 열원공급부
110 : 공기순환관
120 : 필터
200 : 열분배기
300 : 수평열이송관
400 : 상하열송풍관
500 : 제어부
600 : 온도감지센서
F : 송풍팬

Claims (15)

  1.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
    상기 열원공급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열분배기;
    상기 열분배기에 연결되어 열분배기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수평열이송관;
    상기 축사 내부에 상,하로 구비되어 천정 부근의 열풍을 바닥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상하열송풍관; 및
    상기 열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와 축사 사이에 연결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관에는 축사 내부의 부유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는 축사 외부에 설치되어 사료빈과 공기 흡입창이 있는 축사의 앞 부분 출입구 또는 뒤쪽 출입구를 통하여 열분배기와 연결되어 열분배기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풍공급유량은 시간(hour)당 축사 전체 체적의 5.5 ~ 7.2배의 용량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기는 열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각각의 수평열이송관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되, 수평열이송관과 연결되는 출구쪽 공기온도는 60 ~ 8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열이송관은 상기 열분배기에 복수개로 연결되되 공급되는 열풍이 축사 바닥면과 수평열이송관의 주변 공기 및 케이지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축사 외벽과 케이지 사이 또는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열이송관이 상기 열분배기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평열이송관의 내부에는 열풍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열이송관은 열분배기로부터 공급되는 초기 열풍 온도는 50 ~ 70℃로 공급하고 끝단의 열풍 온도는 45 ~ 6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축사가 층분리가 안된 경우 케이지(20)와 케이지(20) 사이에 설치되고, 층분리가 된 경우에는 케이지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하열송풍관(400)을 설치하여 바닥 근처까지 내려온 다음 바닥근처에서 케이지와 케이지 사이의 공간으로 나오도록 설치되어 천정 부근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송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열송풍관의 상단부는 케이지의 상부 끝단보다 높게 위치하되, 축사 바닥면부터 지지구조물까지의 높이의 85% 이상에서 지지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축사의 출입구 반대쪽 후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열송풍관은 수평열이송관과 연결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의 천정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천정 온도가 70℃ 이상 시 제어부의 제어로 열원공급부를 정지시키고 공기순환관의 공기만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벽체나 바닥에 열풍을 방역하기 전 건조현상에 의해 진드기를 사멸시킬 수 있도록 실리카(이산화규소)가 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KR1020210102146A 2021-08-03 2021-08-03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KR10251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46A KR102512572B1 (ko) 2021-08-03 2021-08-03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PCT/KR2022/011184 WO2023013988A1 (ko) 2021-08-03 2022-07-29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EP22853366.7A EP4302594A1 (en) 2021-08-03 2022-07-29 Disease prevention system using hot air for poultry barn having multi-row multi-layered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46A KR102512572B1 (ko) 2021-08-03 2021-08-03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61A true KR20230020261A (ko) 2023-02-10
KR102512572B1 KR102512572B1 (ko) 2023-03-21

Family

ID=8515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46A KR102512572B1 (ko) 2021-08-03 2021-08-03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02594A1 (ko)
KR (1) KR102512572B1 (ko)
WO (1) WO202301398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954A (ko) 2007-10-17 2009-04-22 이상범 멸균 온풍기
KR101350974B1 (ko) * 2013-05-23 2014-01-14 김경태 실내 공기 순환 장치
KR101784653B1 (ko) * 2017-04-06 2017-10-12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방역 축사
KR20180006870A (ko) * 2017-12-01 2018-01-19 정진욱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1058A (ko) * 2017-03-31 2018-10-11 (주)비오지노키 진드기 방제용 슬러리 조성물 분출 장치
KR20200099322A (ko) * 2019-02-14 2020-08-24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및 항온 겸용 축사용 공기 공급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368A (ja) * 2001-12-13 2003-07-03 Kano Seisakusho:Kk 農業用熱暖房装置
DE202012008814U1 (de) * 2012-09-14 2014-01-09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Klimaregelungsvorrichtung für ein Reinraumstallgebäu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954A (ko) 2007-10-17 2009-04-22 이상범 멸균 온풍기
KR101350974B1 (ko) * 2013-05-23 2014-01-14 김경태 실내 공기 순환 장치
KR20180111058A (ko) * 2017-03-31 2018-10-11 (주)비오지노키 진드기 방제용 슬러리 조성물 분출 장치
KR101784653B1 (ko) * 2017-04-06 2017-10-12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방역 축사
KR20180006870A (ko) * 2017-12-01 2018-01-19 정진욱 축사 및 피부기생 해충구제 도포재료와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9322A (ko) * 2019-02-14 2020-08-24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 및 항온 겸용 축사용 공기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988A1 (ko) 2023-02-09
KR102512572B1 (ko) 2023-03-21
EP4302594A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914B1 (en)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of circulation
US20200390056A1 (en) Ventilation system for pig-raising facilities
KR101752268B1 (ko) 양식장이 부설된 2중 에어하우스
CN205040427U (zh) 一种适于蛋鸡雏鸡的多功能脱温鸡舍
CN205912711U (zh) 一种智能化育蝇房
KR102512572B1 (ko) 다열 다층 케이지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CN105961341A (zh) 一种智能化育蝇房
CN204132159U (zh) 立式控温热循环蛋鸡育雏舍
KR101483983B1 (ko) 지렁이 사육을 활용한 조사료 재배 하우스
CN104705211A (zh) 养殖大棚
KR20240018121A (ko) 열원공급 실내 배치형 다열 다층 구조를 갖는 가금류 축사의 열풍 방역 시스템
KR101475446B1 (ko) 농축산 생육시설의 내부환경 조절 시스템
CN202328774U (zh) 水暖通氧锅炉
CN106818537A (zh) 一种水系统鹦鹉孵化器
CN105145404B (zh) 一种室内养鸡用地暖通风方法及系统
CN213548924U (zh) 温度处理场房
CN205546846U (zh) 中央集中管理动物房舍
CN105766693B (zh) 笼养禽舍设备及笼养禽舍通风降温调节方法
CN212876929U (zh) 温室送风管道
CN207639383U (zh) 一种养殖场用畜牧饲养圈
CN211983169U (zh) 一种具有温度控制装置的猪舍
KR100885702B1 (ko)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사용 에너지 절약형 온풍 난방기
KR101176303B1 (ko) 농축산용 온풍난방형 열회수형 환기장치
JP2547407B2 (ja) 小動物飼育用ウインドレス畜舎の換気装置
Fairchild Basic introduction to broiler housing environment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