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228A -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228A
KR20180006228A KR1020160087118A KR20160087118A KR20180006228A KR 20180006228 A KR20180006228 A KR 20180006228A KR 1020160087118 A KR1020160087118 A KR 1020160087118A KR 20160087118 A KR20160087118 A KR 20160087118A KR 20180006228 A KR20180006228 A KR 2018000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in body
members
spac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945B1 (ko
Inventor
강준
탁세원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5Vulcanising presses characterised by moulds integral with the presses having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63Mould maintenance, e.g. cleaning, washing, repa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 영역이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과 대응되는 이격 영역을 갖는 중간부, 상기 본체부의 면 중 상기 중간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Support module for assembling tire vulcanizing mol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탄성 및 유연성이 있는 재질 또는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반제품을 만들고, 이 반제품들을 성형하여 그린타이어(Green Tire)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여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가류 공정은 그린 타이어를 타이어 가류 금형 및 기타 부재들의 사이에 넣고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류 공정은 타이어의 제조에 있어서 핵심적 단계라 할 수 있어 가류 공정을 위한 준비 단계는 중요하다.
특히 가류 공정을 위한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은 타이어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바 중요하다.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은 다양한 부재들이 이용되고 타이어 가류 금형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뉘는 경우가 있어 공정 진행의 효율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타이어 가류 금형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어서 이러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의 특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 영역이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과 대응되는 이격 영역을 갖는 중간부, 상기 본체부의 면 중 상기 중간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중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각각에 대응된 복수의 컨택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각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컨택 부재의 각 컨택 부재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체결 영역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는 제1 체결 영역 및 제2 체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일 연결 부재는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 부재의 일 체결 부재는 복수의 체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일 컨택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 후 상기 일 컨택 부재의 복수의 체결 영역 중 하나는 상기 일 연결 부재의 체결공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의 일단에는 두께가 줄어든 형태의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컨택부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얼라인 확인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이용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에 대한 조립 공정을 진행 시에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 중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컨택부와 접하고 컨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에 대한 조립 공정은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과 컨테이너를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은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베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연결부의 일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컨택부의 일 컨택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이용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100, 이하 "지지 모듈")은 베이스부(110), 본체부(130), 중간부(120), 연결부(140) 및 컨택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베이스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베이스부(110)는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 영역이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부(110)는 하면이 평탄면(FS)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하면은 지면 또는 작업 공간의 바닥에 대응되고 이 때 베이스부(110)의 평탄면(FS)을 통하여 베이스부(110)가 안정적으로 작업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지지 모듈(100)의 비정상적 이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10)는 속인 빈 형태, 즉 내부에 공간(110a)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110)는 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속이 빈 원형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모듈(100)의 무게를 감소하고 작업 위치를 정할 때 지지 모듈(1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지지 모듈(100)을 브릿지와 유사한 작업대에 올려놓고 작업자가 베이스부(110)의 아래에서 내부 공간을 통하여 들어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10)는 속이 모두 찬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도 있고, 원이 아닌 다각형 기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13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30)는 내부에 원과 유사한 형태의 공간(130a)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30)는 내부에 원의 형태의 공간(130a)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본체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30a)을 통하여 작업자는 원하는 공정, 즉 타이어 가류 금형 관련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체부(130)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가류 금형의 조립 공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부(120)는 베이스부(110)와 본체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110)와 본체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120)는 적어도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부의 공간과 대응되는 이격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술한 대로 작업자가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작업을 진행 시 중간부(120)를 통한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120)는 복수, 예를들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중간 부재(121, 122, 123, 12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인접한 중간 부재들(123, 124)간에는 서로 간격(W)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W)을 통하여 작업자는 중간부(120)의 내부의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고,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자유로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120)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간부(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130)가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시 받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120)의 복수의 중간 부재(121, 122, 123, 124)들은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중간 부재(121, 122, 123, 124)들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기둥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130)가 받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받고, 작업자가 이동 시 부상을 감소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상기 본체부(130)의 면 중 상기 중간부(1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연결 부재(141, 142, 143, 14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연결부(140)의 일 연결 부재(14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다른 연결 부재(141, 143, 144)도 일 연결 부재(142)와 동일하므로 연결 부재(14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연결 부재(142)는 본체부(1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2)는 본체부(130)에 배치 시 본체부(130)와 이격된 영역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수용부(GA)를 포함한다. 즉, 수용부(GA)는 연결 부재(142)의 홈 또는 그루브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수용부(GA)는 연결 부재(142)의 일 측면에서 이와 마주보는 측면을 모두 관통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후술할 컨택부(150)의 컨택 부재(152)의 수용 및 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수용부(GA)는 폭(WG)와 높이(HG)를 갖는다. 이는 후술할 컨택 부재(152)의 적어도 일 영역의 수용을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컨택 부재(152)의 최대 폭(WS) 및 최대 두께(HS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내용은 컨택 부재(152)의 설명 시 하기로 한다.
연결 부재(142)는 수용부(GA)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체결공(142H)을 가질 수 있다. 체결공(142H)는 후술할 컨택 부재(152)와 체결할 체결 부재(미도시)가 배치되는 곳으로서, 이러한 체결 부재(미도시)는 체결공(142H)을 통하여 컨택 부재(142)의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142)는 본체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 부재(142)는 제1 체결 영역(142SA) 및 제2 체결 영역(142S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결 영역(142SA) 및 제2 체결 영역(142SB)은 본체부(130)와 체결을 위한 영역으로서 이 영역에 체결 부재, 예를들면 핀, 나사, 못, 스크류 등 다양한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대응하도록 본체부(130)에도 체결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2)의 제1 체결 영역(142SA) 및 제2 체결 영역(142SB)은 수용부(GA)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142)는 서로 이격되고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체결 영역(142SA)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제1 체결 영역(142SA)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142)는 서로 이격되고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 체결 영역(142SB)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제2 체결 영역(142S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142)를 효과적으로 본체부(130)에 결합할 수 있고, 타이어 금형 조립 공정 진행 시 연결 부재(142)의 이탈 및 파손을 감소하고, 연결 부재(142) 및 본체부(13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는 하중을 서로 분산하여 각자가 받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컨택부(150)는 연결부(140)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의 조절이 제어될 수 있다.
컨택부(150)는 본 실시예의 조립 모듈(100)을 이용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진행 시 타이어 가류 금형과 접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을 지지할 수 있다.
컨택부(150)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컨택 부재(151, 152, 153, 15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컨택부(150)는 연결부(140)에 대응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141, 142, 143, 144)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4개의 컨택 부재(151, 152, 153, 15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의 컨택부(150)의 일 컨택 부재(15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컨택 부재(151, 153, 154)도 일 컨택 부재(152)와 동일하므로 컨택 부재(15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컨택 부재(152)는 연결 부재(142)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택 부재(152)는 연결 부재(142)와 본체부(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택 부재(152)는 최대 두께(HS1) 및 최대 폭(WS)을 갖는다. 컨택 부재(152)가S1) 미
미ㅁ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에 수용된 채로,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하도록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도록 컨택 부재(152)의 최대 두께(HS1) 및 최대 폭(WS)은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의 폭(WG) 및 높이(HG)를 넘어서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컨택 부재(152)의 최대 두께(HS1) 및 최대 폭(WS)은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의 폭(WG) 및 높이(HG)보다 작을 수 있다.
컨택 부재(152)는 일단의 영역에 두께가 감소한 단차 영역(STA)을 가질 수 있다. 즉 컨택 부재(152)의 단차 영역(STA)의 두께(HS2)는 최대 두께(HS1)보다 작다. 이러한 단차 영역(STA)은 컨택 부재(152)의 영역 중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진행 시 복잡한 형태를 갖는 타이어 가류 금형을 컨택 부재(152)가 접촉하면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컨택 부재(152)를 분리한 후 연결 부재(142)에 배치 시, 또는 최초에 컨택 부재(152)를 연결 부재(142)에 배치, 컨택 부재(152)의 폭이 작은 단차 영역(STA)부터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의 일단으로 밀어넣고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밀어넣을 수 있어 컨택 부재(152)를 연결 부재(142)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컨택 부재(152)는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을 상면에 구비하고, 즉 적어도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은 연결 부재(142)의 체결공(142H)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컨택 부재(152)는 연결 부재(142)의 수용부(GA)에 수용된 채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컨택 부재(152)는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전진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컨택 부재(152)의 길이가 길어졌다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제어를 통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진행 시 컨택 부재(152)는 다양한 형태, 특히 다양한 크기의 가류 금형과 접하면서 가류 금형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작은 크기의 가류 금형을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 컨택 부재(152)는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전진하여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보다 큰 크기의 가류 금형을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 컨택 부재(152)는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즉 후진하여 본체부(130)의 내부의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길이의 제어 시 컨택 부재(152)의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결 부재(142)의 체결공(142H)에 대응되고 체결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컨택 부재(152)를 연결 부재(142)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컨택 부재(152)의 돌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전진하는 경우 컨택 부재(152)의 체결 영역(152H3)가 연결 부재(142)의 체결공(142H)에 대응되고, 컨택 부재(152)의 돌출된 길이가 감소하도록 후진하는 경우 컨택 부재(152)의 체결 영역(152H1)가 연결 부재(142)의 체결공(142H)에 대응된 후 체결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택 부재(152)가 타이어 금형 조립 공정 시 타이어 금형 기타 컨테이너 등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연결 부재(142)에 전달하여 컨택 부재(152)가 받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컨택 부재(152)가 지나친 하중을 받아 파손되거나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관통공의 형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은 컨택 부재(152)의 두께(HS1)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관통공일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은 그루브 형태, 즉 컨택 부재(152)의 두께(HS1)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그루브 형태일 수 있다.
컨택 부재(152)의 복수의 체결 영역(152H1, 152H2, 152H3)의 하나와 연결 부재(142)의 체결공(142H)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미도시)는 다양할 수 있다. 즉, 서로 대응된 영역을 고정할 수 있으면 무방하고, 예를들면, 핀, 나사, 스크류, 볼트, 너트 등 다양한 체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컨택 부재(152) 및 연결 부재(142)가 받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전술한 중간부(120)의 중간 부재(122)는 본체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때에 연결 부재(142)와 중첩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택 부재(152)가 받은 하중을 연결 부재(142)에 전달 시, 연결 부재(142)는 이러한 하중을 본체부(130) 및 중간 부재(122)에 전달할 수 있어서 하중이 비정상적으로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30)는 컨택 부재(152)의 위치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얼라인 확인 부재(AM)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130)는 각 컨택 부재(151,152,153,154)에 대응되는 얼라인 확인 부재(AM)을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확인 부재(AM)는 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를 갖고 컨택 부재(151,152,153,154)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얼라인 확인 부재(AM)를 통하여 연결 부재(142) 및 컨택 부재(152)를 용이하게 형성 및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시, 타이어 가류 금형 및 기타 부재가 컨택 부재(152)에 배치되어 컨택 부재(152)가 보이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연결 부재(142)의 확인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30)의 얼라인 확인 부재(AM)를 통하여 컨택 부재(15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컨택 부재(152)에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시 큰 하중이 가해지므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중에 또는 조립 공정이 진행된 후 가류 금형을 지지 모듈(100)로부터 내려놓아야 할 때, 타이어 가류 금형 및 이에 필요한 기타 컨테이너와 같은 부재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으로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컨택 부재(152)는 부주의한 취급으로 손상되기 쉽고 이 때 타이어 가류 금형의 손상도 우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얼라인 확인 부재(AM)를 통하여 컨택 부재(15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중 또는 공정 후에 가류 금형의 취급을 제어하여 지지 모듈(100)에 비정상적으로 힘이 가해져 파손이나 손상 특히 컨택 부재(152)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이용하여 타이어 금형 조립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본 실시예의 지지 모듈(100)에 타이어 금형 조립 공정을 진행할 부재들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 가류 금형(SM1) 및 컨테이너(CT1)가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가류 금형(SM1)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타이어 가류 금형(SM1) 및 컨테이너(CT1)는 지지 모듈(100)상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SM1)은 컨택부(150)에 놓여지는데, 컨택 부재(151, 153)에 놓여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컨택 부재(152, 154)상에 타이어 가류 금형(SM1)에 놓여질 수 있다.
타이어 가류 금형(SM1)은 최대 폭(WM1)을 가지고 있다.
컨택 부재(151, 153)는 타이어 가류 금형(SM1)과 접하면서 타이어 가류 금형(SM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는 본체부(130)의 내부 공간(130a)을 통하여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중간부(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한 타이어 가류 금형(SM1) 및 컨테이너(CT1)보다 크기가 작은 형태의 타이어 가류 금형(SM2) 및 컨테이너(CT2)가 도시되어 있다.
즉 타이어 가류 금형(SM2)은 최대 폭(WM2)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최대 폭(WM2)은 타이어 가류 금형(SM1)의 최대 폭(WM1)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타이어 가류 금형(SM2)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타이어 가류 금형(SM2) 및 컨테이너(CT2)는 지지 모듈(100)상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SM2)은 컨택부(150)에 놓여지는데, 컨택 부재(151, 153)에 놓여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컨택 부재(152, 154)상에 타이어 가류 금형(SM1)에 놓여질 수 있다.
컨택 부재(151, 153)는 타이어 가류 금형(SM2)과 접하면서 타이어 가류 금형(SM2)를 지지할 수 있다.
컨택 부재(151, 153)는 도 6과 비교할 때 더 전진되어 본체부(130)의 내부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증가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즉 타이어 가류 금형(SM1)을 지지할 때에 비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SM1)을 지지할 때는 컨택 부재(151, 153)가 더 전진되어 본체부(130)의 내부 공간(130a)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크기가 상이한 타이어 가류 금형(SM1) 및 타이어 가류 금형(SM2)를 하나의 지지 모듈(100)을 통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타이어 가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은 컨택부의 하나 이상의 컨택 부재를 통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을 용이하게 접촉하면서 지지할 수 있어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컨택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하여 돌출된 길이를 제어하여 하나의 지지 모듈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타이어 가류 금형에 대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의 연결 부재가 수용부를 갖도록 하여 컨택 부재들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컨택 부재의 일단에 단차 영역을 갖도록 하여 컨택 부재를 연결 부재의 바깥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택 부재의 취급 및 길이 제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길이 조절 후 연결 부재와 컨택 부재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 공정 시 컨택 부재가 받는 하중에 의하여 컨택 부재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와 중간부의 중간 부재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연결 부재 및 이와 대응된 컨택 부재가 받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110: 베이스부
120: 중간부
130: 본체부
140: 연결부
150: 컨택부

Claims (11)

  1.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 영역이 접촉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과 대응되는 이격 영역을 갖는 중간부;
    상기 본체부의 면 중 상기 중간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중간 부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각각에 대응된 복수의 컨택 부재를 갖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각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컨택 부재의 각 컨택 부재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영역을 갖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체결 영역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는 제1 체결 영역 및 제2 체결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일 연결 부재는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 부재의 일 체결 부재는 복수의 체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일 컨택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 후 상기 일 컨택 부재의 복수의 체결 영역 중 하나는 상기 일 연결 부재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의 일단에는 두께가 줄어든 형태의 단차 영역이 형성된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컨택부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얼라인 확인 부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을 이용하여 타이어 가류 금형에 대한 조립 공정을 진행 시에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 중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컨택부와 접하고 컨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에 대한 조립 공정은 상기 타이어 가류 금형과 컨테이너를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KR1020160087118A 2016-07-08 2016-07-08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KR10186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18A KR101869945B1 (ko) 2016-07-08 2016-07-08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18A KR101869945B1 (ko) 2016-07-08 2016-07-08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228A true KR20180006228A (ko) 2018-01-17
KR101869945B1 KR101869945B1 (ko) 2018-07-19

Family

ID=6102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18A KR101869945B1 (ko) 2016-07-08 2016-07-08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185B2 (en) 2018-12-07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US11516918B2 (en) 2018-12-07 2022-11-2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836A (ja) * 1999-08-27 2001-03-13 Hama Rubber Engineering Kk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セクショナルコンテナ
KR20100119356A (ko) * 2009-04-30 2010-11-09 세화기계 주식회사 타이어 금형 고정 장치
KR20120112514A (ko) * 2010-01-08 2012-10-11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의 가류 장치
JP2013031966A (ja) * 2011-08-02 2013-02-14 Bridgestone Corp 加硫モールドの分解組立装置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836A (ja) * 1999-08-27 2001-03-13 Hama Rubber Engineering Kk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セクショナルコンテナ
KR20100119356A (ko) * 2009-04-30 2010-11-09 세화기계 주식회사 타이어 금형 고정 장치
KR20120112514A (ko) * 2010-01-08 2012-10-11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의 가류 장치
JP2013031966A (ja) * 2011-08-02 2013-02-14 Bridgestone Corp 加硫モールドの分解組立装置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185B2 (en) 2018-12-07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US11516918B2 (en) 2018-12-07 2022-11-2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45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945B1 (ko) 타이어 가류 금형 조립용 지지 모듈
US9243738B2 (en) Overturning machine and workbench thereof
CN103223610B (zh) 绝缘环车削加工工装夹具及其加工方法
US10632698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KR101244944B1 (ko) 공작물 고정용 지그
KR20200006289A (ko) 로봇 그리퍼
KR100835589B1 (ko) 퍼즐몰드와 세미 세그먼트로 형성된 트레드몰드
KR101973682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및 타이어 가류 방법
US10239269B2 (en) Rigid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using same
CN205769413U (zh) 一种用于轮胎模具运输的固定装置
US11097570B2 (en) Tire stabiliz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475328Y1 (ko)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US9656435B2 (en) Tire vulcaniz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825186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및 타이어 가류 방법
KR200378002Y1 (ko)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스토퍼 장치
KR101794089B1 (ko) 금형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가공방법
KR101927089B1 (ko) 아날로그 접속장치 케이스의 가공 고정지그
JP2004230740A (ja) 金具付ゴム部材の金具端面の滑り止め加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加硫金型
JP6724432B2 (ja) 切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イ切断方法
KR101532702B1 (ko) 지그가 개선된 타이어 교체장치
KR101486749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240027991A (ko) 타이어 가류 몰드 세트 및 타이어 가류 장치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1763920B1 (ko) 타이어 가류 모듈
CN210968593U (zh) 一种通用型加工工装
CN216327922U (zh) 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