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018A -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018A
KR20180006018A KR1020160086547A KR20160086547A KR20180006018A KR 20180006018 A KR20180006018 A KR 20180006018A KR 1020160086547 A KR1020160086547 A KR 1020160086547A KR 20160086547 A KR20160086547 A KR 20160086547A KR 20180006018 A KR20180006018 A KR 2018000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sand
liquid
waterproof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018A/ko
Publication of KR2018000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 및 마감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모래층에서 흡음과 완충 및 축열 작용으로 층간소음을 줄이면서 장기간 열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 건축시 모래층의 모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감소 및 유지관리의 비용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The bottom portion of the building with sa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을 형성하여 모래층에서 흡음과 완충 및 축열 작용으로 층간소음을 줄이면서 장기간 열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이나 복층 건축물의 방, 거실의 바닥은 콘크리트 슬래브 층에 기포콘크리트 및 난방배관과 함께 시멘트 몰탈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바닥마감재로 마감하여 방진 및 단열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포콘크리트 및 시멘트 몰탈층으로 형성된 방 및 거실의 바닥이 항상 딱딱하고 냉기의 영향으로 차가워 좌석식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층에 기포콘크리트 및 시멘트 몰탈층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자체 하중을 증가시켜 내구연한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196호에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단열재층과 최종 마감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형성되는 단열층은, 재 건축시, 흙으로 분해시킬 수 없어 환경오염의 주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단열층을 마운트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의 증가로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196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을 형성하여 흡음과 완충 및 축열 작용으로 장기간 열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 및 마감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재 건축시 모래층의 모래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형성되는 액상방수층과;
상기 액상방수층에 다수의 지지부재로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형성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 상면에 박히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접착제로 결합고정되어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부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기포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액상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상방수층에 다수의 지지부재로 난방배관을 받쳐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배관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래층 상면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보강리브가 모래층에 박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판넬 일측의 모래층 상면에 인접하는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에 박히면서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을 형성하여 흡음과 완충 및 축열 작용으로 장기간 열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하여 유지관리의 비용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모래층 및 마감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재 건축시 모래층의 모래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방수판넬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시공과정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방수판넬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방수판넬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100)는, 콘크리트 슬래브층(110)에 형성되는 액상방수층(120)이 구성되고, 상기 액상방수층(120)에 다수의 지지부재(131)로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난방배관(130)이 구성되며, 상기 난방배관(130)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120)에 모래를 투입하여 형성되는 모래층(140)이 구성되고, 상기 모래층(140)에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가 액상방수층(120)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넬(151) 2변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 2변의 안착돌기(151c)가 접착제로 결합고정되어 형성되는 마감층(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수판넬(151)는, 판상으로 서로 인접한 2변은 안착홈(151b)이 형성되고, 나머지 2변은 안착돌기(151c)가 형성되는 몸체(151a)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1a)의 저면에 돌출되어 보강하면서 모래층(140)에 박히는 보강리브(151d)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51a)를 받쳐 지지하도록 몸체(151a) 저면에 형성되는 다리부재(151e)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151b)과 안착돌기(151c)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홈(151b)에는 결합홈(151b')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151c)에는 결합돌기(151c')가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10)에 기포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액상방수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액상방수층(120)에 난방배관(130)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131)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31)에 보일러(미도시)와 연결되는 난방배관(130)을 안착시킨다.
상기 난방배관(130)이 다수의 지지부재(131)에 안착되면, 상기 난방배관(130)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120)에 모래를 투입하여 모래층(140)을 형성하고, 상기 모래층(140)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감한다.
상기 모래는 지름이 0.02~2.0mm 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건조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모래층(140) 일측에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몸체(151a)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가 모래층(140)을 통과할 때, 상기 다리부재(151e)는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좁게 형성되어 모래층(140)으로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액상방수층(120)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보강리브(151d)가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면서 방수판넬(151) 및 모래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넬(151) 일측의 모래층(140)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다리부재(151e)가 액상방수층(120)에 안착되면서 보강리브(151d)가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고, 몸체(151a) 2변에 형성된 안착돌기(151c)가 방수판넬(151)의 2변에 형성된 안착홈(151b)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151b)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51b')으로 안착돌기(151c) 저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51c')가 결합되므로 방수판넬(151)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의 안착돌기(151c)가 용이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151b)과 안착돌기(151c)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51a)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는 몸체(151a)에 나사체결되어 정,역방향 회전하면서 방수판넬(151)(15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방수판넬(151)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의 안착돌기(151c)를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모래층(140)에 다수의 방수판넬이 안착되는 마감층(15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1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10)에 형성되는 액상방수층(120)이 구성되고, 상기 액상방수층(120) 일측에 안착되어 배수배관(132)과 연결되도록 하는 바닥배수구(130')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배수구(13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120)에 모래를 투입하여 형성되는 모래층(140)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배수구(130')와 연통공간(151a')이 연통되도록 모래층(140)에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가 액상방수층(120)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고, 상기 방수판넬(151) 2변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 2변의 안착돌기(151c)가 접착제로 결합고정되어 형성되는 마감층(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수판넬(151)는, 내부에 연통공간(151a')이 관통된 판상으로 서로 인접한 2변은 안착홈(151b)이 형성되고, 나머지 2변은 안착돌기(151c)가 형성되는 몸체(151a)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1a)의 저면에 돌출되어 보강하면서 모래층(140)에 박히는 보강리브(151d)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51a)를 받쳐 지지하도록 몸체(151a)에 형성되는 다리부재(151e)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몸체(151a) 상면에 타일(151f')이 안착되는 타일안착홈(151f)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151b)과 안착돌기(151c)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홈(151b)에는 결합홈(151b')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151c)에는 결합돌기(151c')가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10)에 기포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액상방수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액상방수층(120) 일측에 바닥배수구(1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닥배수구(130')와 배수배관(132)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배수구(130') 상면에 바닥배수구(130') 내부로의 모래 유입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재(133)를 형성하는데, 상기 유입방지부재(133)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직사각판체를 단부가 보강리브(151d)의 간견만큼 이격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방수판넬(151)의 보강리브(151d)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유입방지부재(133)가 바닥배수구(13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유입방지부재(133) 외측의 바닥배수구(130') 자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120)에 모래를 투입하여 모래층(140)을 형성하는데, 상기 모래층(140)은 적어도 80mm 이상으로 유입방지부재(133)와 동일선상으로 형성하면서 모래층(140)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감한다.
상기 모래는 지름이 0.02~2.0mm 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건조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모래층(140)이 형성되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배수구(130')와 연통공간(151a')이 연통되도록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몸체(151a)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가 모래층(140)을 통과할 때, 상기 다리부재(151e)는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좁게 형성되어 모래층(140)으로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액상방수층(120)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보강리브(151d)는 유입방지부재(133) 내부로 이동하면서 바닥배수구(130')에 안착되면서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면서 방수판넬(151) 및 모래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151d) 저면이 바닥배수구(130') 상면에 안착되면, 고정부재(151d')가 보강리브(151d) 내측으로 형성된 보스(151d")를 통해 바닥배수구(130')에 체결고정되면서 보강리브(151d)와 바닥배수구(130') 상면에 위치한 패킹(P)을 가압하여 보강리브(151d)와 바닥배수구(130')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오수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수판넬(151)이 바닥배수구(130') 수용하도록 모래층(140)에 고정되면, 상기 방수판넬(151) 일측의 모래층(140)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을 안착시켜 다리부재(151e)가 액상방수층(120)에 안착되면서 보강리브(151d)가 모래층(140) 상면에 박히고, 몸체(151a) 2변에 형성된 안착돌기(151c)가 방수판넬(151)의 2변에 형성된 안착홈(151b)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151b)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51b')으로 안착돌기(151c) 저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51c')가 결합되므로 방수판넬(151)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의 안착돌기(151c)가 용이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151b)과 안착돌기(151c)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51a)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151e)는 몸체(151a)에 나사체결되어 정,역방향 회전하면서 방수판넬(151)(15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방수판넬(151)의 안착홈(151b)에 인접하는 방수판넬(151')의 안착돌기(151c)를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모래층(140)에 다수의 방수판넬이 안착되는 마감층(150)을 형성한 후, 다수의 방수판넬에 형성된 타일안착홈(151f)에 타일(151f')을 안착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일 사이를 실링재(S)로 마감하여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상기 연통공간(151a')에 서스판덮개(160)를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층(110)에 모래층(140) 및 마감층(15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재 건축시 모래층(140)의 모래를 재사용 함은 물론 모래층(140)에서 흡음과 완충 및 축열 작용으로 층간소음을 줄이면서 장기간 열 에너지를 보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바닥부 110: 콘크리트 슬래브층
120: 액상방수층 130: 난방배관
140: 모래층 150: 마감층

Claims (10)

  1.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형성되는 액상방수층과;
    상기 액상방수층에 다수의 지지부재로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형성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 상면에 박히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접착제로 결합고정되어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2.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형성되는 액상방수층과;
    상기 액상방수층 일측에 안착되어 배수배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바닥배수구와;
    상기 바닥배수구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형성되는 모래층과;
    상기 바닥배수구와 연통공간이 연통되도록 모래층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저면으로 돌출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 상면에 박히고, 상기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접착제로 결합고정되어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넬는,
    판상으로 서로 인접한 2변은 안착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2변은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돌출되어 보강하면서 모래층에 박히는 보강리브와;
    상기 몸체를 받쳐 지지하도록 몸체 저면에 형성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넬는,
    내부에 연통공간이 관통된 판상으로 서로 인접한 2변은 안착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2변은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돌출되어 보강하면서 모래층에 박히는 보강리브와;
    상기 몸체를 받쳐 지지하도록 몸체 저면에 형성되는 다리부재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바닥배수구와 연통되는 연통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면에 타일이 안착되는 타일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안착돌기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홈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7.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기포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액상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상방수층에 다수의 지지부재로 난방배관을 받쳐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배관을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래층 상면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보강리브가 모래층에 박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판넬 일측의 모래층 상면에 인접하는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에 박히면서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부의 시공방법.
  8. 콘크리트 슬래브층에 기포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액상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상방수층 일측에 바닥배수구를 안착시키면서 배수배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배수구 상면에 모래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재를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방지부재와 동일선상으로 바닥배수구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액상방수층에 모래를 투입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배수구와 연통공간이 연통되도록 모래층 상면에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보강리브가 모래층에 박히면서 바닥배수구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연통공간이 형성된 방수판넬과 바닥배수구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판넬 일측의 모래층 상면에 인접하는 방수판넬을 안착시켜 다리부재가 액상방수층에 안착되면서 저면이 모래층에 박히면서 인접하는 방수판넬 2변의 안착돌기가 방수판넬 2변의 안착홈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부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닥배수구와 방수판넬의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시공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수판넬의 몸체 상면에 형성된 타일안착홈에 타일을 안착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부의 시공방법.
KR1020160086547A 2016-07-08 2016-07-08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06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47A KR20180006018A (ko) 2016-07-08 2016-07-08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47A KR20180006018A (ko) 2016-07-08 2016-07-08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18A true KR20180006018A (ko) 2018-01-17

Family

ID=610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47A KR20180006018A (ko) 2016-07-08 2016-07-08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01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66A (ko) * 2007-03-27 2008-10-01 동진전자 주식회사 패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패널
KR20100134980A (ko) * 2009-06-16 2010-12-24 이은우 열전도판 조립식 냉난방장치
KR20130027961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비제노바 바닥마감용 조립식 마루판재 및 제조 방법
KR20130128287A (ko) * 2012-05-16 2013-11-26 상 혁 이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528779B1 (ko) * 2014-03-17 2015-06-15 이윤근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20160018122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청완 조립식 욕실 바닥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66A (ko) * 2007-03-27 2008-10-01 동진전자 주식회사 패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패널
KR20100134980A (ko) * 2009-06-16 2010-12-24 이은우 열전도판 조립식 냉난방장치
KR20130027961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비제노바 바닥마감용 조립식 마루판재 및 제조 방법
KR20130128287A (ko) * 2012-05-16 2013-11-26 상 혁 이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528779B1 (ko) * 2014-03-17 2015-06-15 이윤근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20160018122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청완 조립식 욕실 바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986A (en) Masonry end dam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EP2837768A3 (de) Ausbau im Hoch- und Tiefbau
KR200433792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90674B1 (ko)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KR20180006018A (ko) 모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3454B1 (ko)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JP5315208B2 (ja) 排水容器
CN205024824U (zh) 卫生间安装结构
CN212506720U (zh) 一种地下室的防水结构
KR100917448B1 (ko) 온돌마루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200399347Y1 (ko) 지하실 내부 벽체용 패널 구조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00688U (ko)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0167719B1 (ko) 조립식욕실의 방수판 하부에 조립되는 발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욕실의 시공방법
CN214329328U (zh) 防水反坎以及建筑物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JP3245457U (ja) モジュール式排水構造
JP2001323590A (ja) 排水床構造
CN217204251U (zh) 一种管廊沟加固结构
KR200394192Y1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