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586A - 길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586A
KR20180005586A KR1020160165192A KR20160165192A KR20180005586A KR 20180005586 A KR20180005586 A KR 20180005586A KR 1020160165192 A KR1020160165192 A KR 1020160165192A KR 20160165192 A KR20160165192 A KR 20160165192A KR 20180005586 A KR20180005586 A KR 2018000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le
support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970B1 (ko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이명아
Publication of KR2018000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곽을 구성하는 캡과,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누름편과 잠금편이 각각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과, 누름편의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일단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단속편이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잠금편이 단속편에 단속되거나 개방홀을 통과하여 누름버튼의 잠금 또는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잠금버튼을 포함하는 헤드; 캡과 체결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캡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 고정샤프트와, 고정샤프트에 내장되고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는 레버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직경이 확장 형성된 내주면을 갖고 1개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에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장착된 고정편과, 레버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고 하단부에 직경이 확장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고정키를 구비한 잠금샤프트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메인폴대의 내외로 폴대관이 인출입되되, 내부에 내장된 지지샤프트와, 지지샤프트에 내장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이동샤프트의 내측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1차 신장폴대; 및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상단부에 잠금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본 발명은 길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편리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스틱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등산은 산에 오르는 것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 행위를 말하고, 현재는 레저나 스포츠로 이용하거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도 겸하여 위험한 산을 등정하기도 하는데,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최근에는 산행가들에게 있어 등산용 스틱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등산용 스틱은 단순한 지팡이의 역할을 넘어 두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상당 부분 분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해 준다.
즉, 등산로의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하산 시 무릎의 충격을 덜어주는 그야말로 안전산행의 일등 도우미인 것이다. 이때, 등산용 스틱의 길이는 이를 잡고 섰을 때 팔꿈치 관절의 각도는 90°도가 이상적이고, 경사로나 언덕을 오를 때에는 10~15㎝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등산용 스틱은 스틱을 지칠시에 노상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로서 최하측부에 구비되는 지침부(1)와, 상기 지침부(1)가 고정되는 하측폴대(2c)가 상측폴대(2a)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조절됨과 동시에 조절 완료후에는 너트(2b)로서 조임 고정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2)과, 상기 상측폴대(2a)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5)에 내설되어지고 일정부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누름부(3a)의 접속유무에 따라 동작되는 경음기(3)와, 상기 상·하측폴대(2a, 2c)를 둘러서 장식하게 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야광띠(4)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등산용 스틱은 높낮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여성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건장한 남성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할 수 없으며, 시간도 많이 소요됨은 물론, 등산용 스틱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8호(2001.04.02. 공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정키의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보관이나 사용중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안티쇽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누름버튼의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스틱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스틱을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길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곽을 구성하는 캡과,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누름편과 잠금편이 각각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과, 누름편의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일단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단속편이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잠금편이 단속편에 단속되거나 개방홀을 통과하여 누름버튼의 잠금 또는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잠금버튼을 포함하는 헤드; 캡과 체결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캡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 고정샤프트와, 고정샤프트에 내장되고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는 레버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직경이 확장 형성된 내주면을 갖고 1개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에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장착된 고정편과, 레버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고 하단부에 직경이 확장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고정키를 구비한 잠금샤프트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메인폴대의 내외로 폴대관이 인출입되되, 내부에 내장된 지지샤프트와, 지지샤프트에 내장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이동샤프트의 내측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1차 신장폴대; 및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상단부에 잠금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편의 외주에 누름버튼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고, 레버샤프트 하측의 잠금샤프트 외주면에 리턴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샤프트의 상측에는 서포트링과 상부홀더가 지지샤프트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서포트링과 상부홀더의 사이에 안티쇽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은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상부 설치홈과, 고정샤프트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설치홈과,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폴대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버튼의 일단부가 인출되는 인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은 일측에 웨빙홈이 형성되어 웨빙스트랩이 결합되고, 웨빙스트랩은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이동샤프트를 고정하고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레버샤프트와 잠금샤프트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을 매개로 고정키의 이동샤프트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차 신장폴대는 하단부에 폴대캡이 결합되되, 폴대캡은, 중간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면에 단속홈이 형성된 외부링과, 외부링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단속돌기가 단속홈에 삽입되어 2차 신장폴대의 회전을 단속하며 1개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내부링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홈에 장착되는 잠금링과, 일측이 개방된 외부링의 양 끝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잠금 강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 및 조절너트와, 조절너트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링을 가압하여 잠금링이 외부로 인출된 2차 신장폴대의 잠금홈에 밀착되어 잠금을 발생시키는 잠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키의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보관이나 사용중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안티쇽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버튼의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스틱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스틱을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접었을 때 외관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폈을 때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버튼의 잠금과 오픈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폴대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5b 내지 도 5c는 메인폴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신장폴대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7b는 지지샤프트와 이동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신장폴대와 지지부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8b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대캡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대캡의 가압과 해제 작동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신장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은 등산용 스틱, 자전거 안장, 책상 다리 등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헤드(100), 메인폴대(200), 1차 신장폴대(300) 및 2차 신장폴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100)는 그 외곽을 형성하는 캡(110)이 구비된다. 캡(110)은, 상부에 상부 설치홈(111)이 형성되어 누름버튼(120)이 삽입 설치되고, 하부에 하부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고정샤프트(21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며, 일측에 인출공(113)이 형성되어 잠금버튼(130)이 캡(110)에 결합된 후 일단부가 인출되고, 일측에 웨빙홈(114)이 형성되어 웨빙스트랩(15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볼트(115)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캡(110)의 하부에 체결부(116)가 형성되어 메인폴대(200)가 체결부(116)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나사 방식일 수 있다.
캡(110)에는 누름버튼(120)이 장착되는데, 누름버튼(120)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부면이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기능을 하고, 하측을 향하여 누름편(121)과 잠금편(122)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누름편(121)은 잠금편(122)보다 길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누름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누름편(121)이 직하에 설치된 레버샤프트(230)에 힘을 가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잠금버튼(130)은 중간에 연결홀(131)이 관통 형성되어 누름편(121)의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일단부에 조작편(132)이 형성되어 인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켜 조작하게 되며, 타단부에 개방홀(133a)이 형성된 단속편(133)이 구비되어 조작편(132)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잠금편(122)이 단속편(133)에 의해 누름버튼(120)의 누름이 단속되거나 잠금편(122)이 개방홀(133a)을 하측으로 통과하여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4의 (a)를 참고하면 조작편(13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속편(133)이 회전하게 되고, 단속편(133)의 위에 잠금편(122)이 위치하게 되므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이 단속된다. 반대로 조작편(13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속편(133)이 회전하게 되고, 오픈 상태인 개방홀(133a)의 위에 잠금편(122)이 위치하게 되므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복귀스프링(140)은 누름편(121)의 외주에 복쉬스프링(140)이 설치되어 눌려진 누름버튼(120)이 상측으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한다.
웨빙스트랩(150)은 양측의 스트랩끈(151)이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각 스트랩끈(151)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등의 조절부(162)가 형성되어 등산용 스틱을 잡은 상태에서 잡은 손이 오른손이던 왼손이던 관계없이 웨빙스트랩(15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웨빙스트랩(150)의 일단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볼트(115)를 통해 웨빙홈(114)에 결합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메인폴대(200)는 헤드(100)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고정샤프트(210)가 내장되며, 고정샤프트(210)는 상단부가 캡(11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고정샤프트(210)의 하단부에는 고정편(220)이 형성된다. 고정편(220)은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중간에 관통홀(221) 보다 직경이 점차 확장 형성되도록 경사진 내주면(222)을 가지며, 내주면(222)의 하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내주 확장부(223)가 형성된다. 내주면(222)과 내주 확장부(223)에 걸쳐서 수평 방향으로 1개 이상의 고정홀(224)이 형성되고, 고정홀(224)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홀(224)에는 원호 형상의 고정볼(225)이 장착된다. 대략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인 고정볼(225)이 이동샤프트(320)의 걸림홈(321)에 걸림되어 밀착되므로 밀착 면적이 증가하여 잠금력이 강하게 되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이동샤프트(3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등산용 스틱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레버샤프트(230)는 고정샤프트(210)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측에 설치된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된다.
잠금샤프트(240)는 레버샤프트(2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고, 하단부에 고정키(241)가 형성된다. 고정키(241)는 직경이 점차 확장 형성된 외주면(242)을 가지며, 외주면(242)의 하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외주 확장부(243)가 형성된다. 레버샤프트(230) 하측의 잠금샤프트(240) 외주면에 리턴스프링(244)이 설치되고, 리턴스프링(240)은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에 의해 고정키(241)가 하측으로 이동한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을 해제하여 고정키(241)가 상승 복귀할 때 좀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로써, 고정볼(225)이 걸림홈(321)에 걸림되어 이동샤프트(320)를 고정하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레버샤프트(230)와 잠금샤프트(240)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225)을 매개로 고정키(241)의 이동샤프트(320)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6(a)와 같이 고정볼(225)이 고정키(24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샤프트(32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가, 도 6(b)와 같이 누름버튼(120)을 누르면 레버샤프트(230)와 연결된 잠금샤프트(240)를 하강시키고, 잠금샤프트(240)가 하강되면 고정키(241)도 하강하여 고정볼(225)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고정볼(225)이 걸림홈(321)에서 이탈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홀(224)에 삽입되므로 등산용 스틱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을 중지하면 복귀스프링(140)의 작용에 의하여 눌려진 누름버튼(120)이 상측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도 6(a)와 같이 잠금샤프트(240)가 다시 상승하여 고정키(241)가 고정볼(225)을 가압하여 고정볼(225)이 걸림홈(321)에 밀착되어 조절된 길이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메인폴대(200)의 하단부에는 결합구(250)가 구비되고, 결합구(250)의 외측에는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회전너트(260)가 연결되며, 회전너트(2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300)를 조임 고정하므로, 메인폴대(200)의 하단부를 1차 신장폴대(3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1차 신장폴대(300)는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내부에 지지샤프트(310)가 설치되며, 지지샤프트(310)의 내부에는 이동샤프트(320)가 설치되고, 이동샤프트(320)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지지샤프트(310)와 이동샤프트(320)는 상·하단부에서 각각 상·하부블록(311,312)에 함께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함께 승강 이동하게 된다.
이동샤프트(320)는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32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고정편(220)의 고정홀(224)에 장착된 고정볼(225)이 걸림홈(321)에 삽입되어 이동샤프트(320)가 고정되므로 등산용 스틱의 길이가 더 이상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단속되는 것이다.
압축스프링(330)은 이동샤프트(320)의 내측 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어 신축됨으로써 1차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등산용 스틱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압축스프링(330)은 복수 개의 스프링편(미도시)으로 이루어지고 각 스프링편은 연결 지점 마다 회전방지부재(미도시)를 연결하여 압축스프링(330)이 압축될 때 회전을 방지하여 압축스프링(330)의 신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샤프트(310)의 상측에는 안티쇽스프링(360)이 설치되는데, 안티쇽스프링(360)은 지지샤프트(3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서포트링(35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서포트링(350)의 상측에 상부홀더(340)가 지지샤프트(3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안티쇽스프링(360)의 상부를 지지하며, 이로써 누름버튼(120)을 눌러 등산용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때 안티쇽스프링(360)의 힘에 의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등산용 스틱이 지면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1차 신장폴대(300)는 하단부 외주면에 폴대캡(370)이 결합된다. 폴대캡(370)은 그 중간에 1개 이상의 외부링(371)이 설치되고, 외부링(371)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이고 대략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단(371a)과 타측단(371b)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부링(371)의 내면에는 단속홈(371c)이 형성된다.
외부링(371)의 내면에는 내부링(372)이 밀착되어 설치되는데, 내부링(372)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이고, 일측에 단속돌기(372a)가 돌출 형성되어 단속홈(371c)에 삽입되기 때문에 인출되어 있는 2차 신장폴대(4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하고, 내측에 1개 이상의 삽입홈(372b)이 형성된다.
내부링(372)의 삽입홈(372b)에는 잠금링(373)이 장착되는데, 잠금링(373)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이다.
외부링(371)의 일측단(371a) 및 타측단(371b)은 각각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일측단(371a)의 체결구멍에 조절볼트(374)가 관통되고, 타측단(371b)의 체결구멍에 조절너트(375)가 관통되며, 조절볼트(374)는 조절너트(375)와 체결된다. 조절볼트(374)를 이용하여 잠금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너트(375)의 선단부에 회전축(376a)이 결합되고, 회전축(376a)에는 잠금레버(37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링(371)을 가압하거나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잠금레버(376)을 외부링(371) 쪽으로 회전시켜 외부링(371)을 가압하면 삽입홈(372b)에 장착된 잠금링(373)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인 2차 신장폴대(400)의 잠금홈(410)에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2차 신장폴대(40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력이 우수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가압이 가능며 조작도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2차 신장폴대(400)는 1차 신장폴대(3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1차 신장폴대(300)와 함께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접혀져 보관될 수 있다.
또한, 2차 신장폴대(400)는 상단부에 걸림돌부(420)가 형성되고 걸림돌부(420)는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에서 하단부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2차 신장폴대(400)의 상단부에서 걸림돌부(420)의 하측에 잠금홈(410)이 형성되고, 2차 신장폴대(400)가 1차 신장폴대(30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잠금홈(410)에 폴대캡(370)의 잠금링(373)이 밀착되어 2차 신장폴대(400)가 고정된다.
이러한 잠금링(373)은 대략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이어서 밀착 면적이 증가하여 잠금력이 강하게 되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게 된다.
도 8b를 참고하면 2차 신장폴대(400)의 하단부가 지지부(500)와 결합된다.
지지부(500)는 2차 신장폴대(400)의 하단부가 지지팩(5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팩(510)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지팩(51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날개(521)가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윙(520)이 체결되어 지면으로부터 돌이나 흙이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팩(510)의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패드(5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지지패드(530)는 하부면에 복수 개의 지지돌기(531)가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측부에 복수 개의 지지홈(532)이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2a와 같이 등산용 스틱이 접혀져 보관 중인 상태에서, 먼저 잠금레버(376)를 회전하여 오픈시키고 1차 신장폴대(300)에 수용되어 있는 2차 신장폴대(400)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인출시킨다.
이때, 잠금레버(376)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켜 폴대캡(370)을 가압하면 외부링(371)이 내부링(372)에 장착된 잠금링(373)을 가압하여 2차 신장폴대(400)에 밀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누름버튼(120)를 누르면, 레버샤프트(230)와 잠금샤프트(240)가 하상하고, 고정키(241)도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볼(225)이 고정키(24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샤프트(320)의 걸림홈(321)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가, 고정키(241)가 아래로 밀리면서 고정볼(225)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고정볼(235)이 고정홀(224)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볼(225)과 걸림홈(321)의 잠금 결합이 풀어지게 되어 이동샤프트(3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압축스프링(330)도 함께 신장되므로, 1차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등산용 스틱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티쇽스프링(360)이 기능하여 안티쇽스프링(360)의 힘에 의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등산용 스틱이 지면에 작용하게 된다.
등산용 스틱이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로 조절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누름버튼(12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고 누름버튼(120)이 복귀스프링(140)의 도움을 받아 위로 복귀하면서 레버샤프트(230)와 잠금샤프트(240)가 상승하게 되고, 고정키(241)도 상승하며, 고정키(241)의 고정볼(225)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져 고정볼(225)이 이동샤프트(320)의 걸림홈(321)에 삽입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1차 신장폴대(300)를 잡아 당기거나 힘을 가해도 더 이상 당겨지거나 신장되지 않고 잠금 고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너트(26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너트(26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회전너트(260)가 인출되어 있는 1차 신장폴대(300)를 가압하여 조임 고정이 이루어진다. 물론, 1차 신장폴대(300)를 먼저 인출시킨 후에 2차 신장폴대(400)를 인출시키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잠금버튼(130)의 조작편(13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하여 잠금버튼(130)의 단속편(133)도 회전하여 잠금편(122)이 단속되어 누름버튼(120)에 대한 잠금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등산용 스틱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접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잠금버튼(130)의 조작편(13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버튼(130)의 개방홀(133a)이 잠금편(122)의 직하에 오도록 하여 누름버튼(120)을 오픈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회전너트(2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너트(26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고정키(241)의 이동샤프트(32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이동샤프트(3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등산용 스틱의 하단을 눌러 신장되었던 압축스프링(330)을 압축시키면서 1차 신장폴대(300)를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을 해제하여 누름버튼(120)을 위로 복귀시켜 다시 고정키(241)를 잠금 작동시킨다.
다음에, 잠금레버(376)를 회전하여 오픈시킨 상태에서 2차 신장폴대(400)를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로 밀어 넣어 신장되었던 등산용 스틱을 접게 되는 것이다. 물론, 2차 신장폴대(400)를 먼저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로 삽입한 후 1차 신장폴대(300)를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은 고정키의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보관이나 사용중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안티쇽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으며, 또한 누름버튼의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스틱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스틱을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등산용 스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 책상 다리의 높이 조절, 여행가방의 손잡이의 길이 조절 등과 같이 길이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래기술
1. 지침부 2. 길이조절수단
2a. 상측폴대 2b. 너트
2c. 하측폴대 3. 경음기
3a. 누름부 4. 야광띠
5. 손잡이
*본 발명
100. 헤드 105. 연결볼트
110. 캡 111. 상부 설치홈
112. 하부 설치홈 113. 인출공
114. 웨빙홈 115. 결합볼트
116. 체결부 120. 누름버튼
121. 누름편 122. 잠금편
130. 잠금버튼 131. 연결홀
132. 조작편 133. 단속편
133a. 개방홀 140. 복귀스프링
150. 웨빙스트랩 151. 스트랩끈
152. 조절부 200. 메인폴대
210. 고정샤프트 220. 고정편
221. 관통홀 222. 내주면
223. 확장홀 224. 고정홀
225. 고정볼 230. 레버샤프트
240. 잠금샤프트 241. 고정키
242. 외주면 243. 리턴스프링
250. 결합구 260. 회전너트
300. 1차 신장폴대 310. 지지샤프트
311. 상부블록 312. 하부블록
320. 이동샤프트 321. 걸림홈
330. 압축스프링 340. 상부홀더
350. 서포트링 360. 안티쇽스프링
370. 폴대캡 371. 외부링
371a. 일측단 371b. 타측단
371c. 단속홈 372. 내부링
372a. 단속돌기 372b. 삽입홈
373. 잠금링 374. 조절볼트
375. 조절너트 376. 잠금레버
376a. 회전축 400. 2차 신장폴대
410. 잠금홈 420. 걸림돌부
500. 지지부 510. 지지팩
520. 지지윙 521. 지지날개
530. 지지패드 531. 지지돌기
532. 지지홈

Claims (7)

  1. 외곽을 구성하고 일측에 웨빙홈이 형성되어 양측의 스트랩끈에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웨빙스트랩이 결합된 캡과,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누름편과 잠금편이 각각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과, 누름편의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일단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단속편이 구비된 잠금버튼을 포함하는 헤드; 캡과 체결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캡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 고정샤프트와, 고정샤프트에 내장되고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는 레버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직경이 확장 형성된 내주면을 갖고 1개 이상의 원호 형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에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장착된 고정편과, 레버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고 하단부에 직경이 확장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고정키를 구비한 잠금샤프트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메인폴대의 내외로 폴대관이 인출입되되, 내부에 내장된 지지샤프트와, 지지샤프트에 내장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이동샤프트의 내측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1차 신장폴대;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상단부에 잠금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2차 신장폴대; 및 2차 신장폴대의 하단부가 지지팩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팩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지지팩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날개가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윙이 체결되고, 지지팩의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패드의 내부에 삽입되며, 지지패드는 하부면에 복수 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측부에 복수 개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되,
    1차 신장폴대는 하단부에 폴대캡이 결합되고, 폴대캡은, 중간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면에 단속홈이 형성된 외부링과, 외부링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단속돌기가 단속홈에 삽입되어 2차 신장폴대의 회전을 단속하며 1개 이상의 원호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내부링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홈에 장착되는 잠금링과, 일측이 개방된 외부링의 양 끝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잠금 강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 및 조절너트와, 조절너트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링을 가압하여 잠금링이 외부로 인출된 2차 신장폴대의 잠금홈에 밀착되어 잠금을 발생시키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누름편의 외주에 누름버튼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고,
    레버샤프트 하측의 잠금샤프트 외주면에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샤프트의 상측에는 서포트링과 상부홀더가 지지샤프트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서포트링과 상부홀더의 사이에 안티쇽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캡은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상부 설치홈과, 고정샤프트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설치홈과,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폴대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버튼의 일단부가 인출되는 인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이동샤프트를 고정하고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레버샤프트와 잠금샤프트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을 매개로 고정키의 이동샤프트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등산용 폴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KR1020160165192A 2016-07-06 2016-12-06 길이 조절 장치 KR101850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63 2016-07-06
KR20160085363 2016-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86A true KR20180005586A (ko) 2018-01-16
KR101850970B1 KR101850970B1 (ko) 2018-04-23

Family

ID=6106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92A KR101850970B1 (ko) 2016-07-06 2016-12-06 길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EP3847922A4 (en) * 2018-09-05 2022-05-18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15Y1 (ko) * 2005-01-31 2005-04-11 최연군 지팡이용 미끄럼 방지구
KR200452258Y1 (ko) * 2008-09-23 2011-02-14 이경석 등산용 스틱
KR101261783B1 (ko) * 2013-01-11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366722B1 (ko) * 2013-09-04 2014-02-25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20150117894A (ko) * 2014-04-11 2015-10-21 염인호 미끄럼 방지용 바스켓 및 이를 구비한 등산용 스틱
KR101548648B1 (ko) * 2014-06-30 2015-08-31 김현길 등산용 지팡이의 안전끈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7922A4 (en) * 2018-09-05 2022-05-18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ER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970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3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50970B1 (ko) 길이 조절 장치
CA2695701C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KR101801650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10092068B2 (en) Length adjustment device
JP2015514536A (ja) 登山用ステッキ
US20200297084A1 (en) Adjustable and retractable rod apparatus
WO2001039715A2 (en) Adjustable support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220229B1 (ko) 등산용 스틱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CA2955102C (en) Apparatus for aiding mobility of a user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KR20140137537A (ko) 등산용 스틱
KR101720123B1 (ko) 길이 조절 장치
JP2004148071A (ja) 長さ調節自在な杖
KR20160141006A (ko) 등산용 스틱
US20100180713A1 (en) Expanding and retracting structure for a control shaft of a bicycle
KR1013255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EP2029246A2 (en) Hand strap assembly for a sports pole
US20030221714A1 (en) Umbrella
KR20220002377U (ko) 텔레스코프 방식 등산용 스틱의 길이조절 자동 잠금장치
JP3363963B2 (ja) 携帯用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