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650B1 -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1650B1 KR101801650B1 KR1020160011349A KR20160011349A KR101801650B1 KR 101801650 B1 KR101801650 B1 KR 101801650B1 KR 1020160011349 A KR1020160011349 A KR 1020160011349A KR 20160011349 A KR20160011349 A KR 20160011349A KR 101801650 B1 KR101801650 B1 KR 101801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pole
- hole
- inner tub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푸쉬버튼 및 푸쉬봉을 포함하는 헤드; 외부관과, 내부관과,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고정핀에 의해 장공에 고정 결합되며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어 메인폴대의 내외로 출입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압축스프링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지지된 채 내장된 신장폴대; 및 외부관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에 복수개의 장홀과 잠금홀이 형성된 고정캡과, 고정캡의 하부에 연결되어 신장폴대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캡과, 고정캡의 외주에 설치되고 장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통하여 내부관의 하단부와 결합된 조절캡과, 잠금홀에 장착되고 조절캡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며 걸림홈에 걸림되어 신장폴대를 고정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폴대캡을 포함하되, 푸쉬버튼을 누르면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된 내부관과 조절캡이 장홀에 가이드되어 함께 하강하고, 스토퍼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신장폴대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스틱, 자전거 안장, 책상 다리 등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등산은 산에 오르는 것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 행위를 말하고, 현재는 레저나 스포츠로 이용하거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도 겸하여 위험한 산을 등정하기도 하는데,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최근에는 산행가들에게 있어 등산용 스틱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등산용 스틱은 단순한 지팡이의 역할을 넘어 두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상당 부분 분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해 준다.
즉, 등산로의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하산 시 무릎의 충격을 덜어주는 그야말로 안전산행의 일등 도우미인 것이다. 이때, 등산용 스틱의 길이는 이를 잡고 섰을 때 팔꿈치 관절의 각도는 90°도가 이상적이고, 경사로나 언덕을 오를 때에는 10~15㎝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여러 가지 상황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등산용 스틱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을 참고하면 특허문헌 1에는 스틱을 지칠시에 노상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로서 최하측부에 구비되는 지침부(1)와, 상기 지침부(1)가 고정되는 하측폴대(2c)가 상측폴대(2a)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조절됨과 동시에 조절 완료후에는 너트(2b)로서 조임 고정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2)과, 상기 상측폴대(2a)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5)에 내설되어지고 일정부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누름부(3a)의 접속유무에 따라 동작되는 경음기(3)와, 상기 상·하측폴대(2a, 2c)를 둘러서 장식하게 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야광띠(4)를 포함하는 스틱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높낮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여성이나 노약자가 쉽게 조작할 수 없으며, 시간도 소요됨은 물론,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푸쉬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장치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신장시킬 수 있고, 원하는 길이만큼 신축시킨 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다양한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그 조절된 길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작동되는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홀이 형성된 손잡이와, 내부홀에 장착되고 복귀스프링이 설치된 푸쉬버튼과, 푸쉬버튼의 하부로 연장되어 승강 이동하고, 장공이 형성된 푸쉬봉을 포함하는 헤드; 헤드의 하부에 연결된 외부관과, 외부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푸쉬봉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내부관과,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푸쉬봉에 삽입된 채 고정핀에 의해 장공에 고정 결합되며, 하단부가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어 메인폴대의 내외로 출입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압축스프링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지지된 채 내장된 신장폴대; 및 외부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에 복수개의 장홀과 잠금홀이 형성된 고정캡과, 고정캡의 하부에 연결되어 신장폴대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캡과, 고정캡의 외주에 설치되고, 장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통하여 내부관의 하단부와 결합된 조절캡과, 잠금홀에 장착되고, 조절캡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며, 걸림홈에 걸림되어 신장폴대를 고정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폴대캡을 포함하되, 푸쉬버튼을 누르면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된 내부관과 조절캡이 장홀에 가이드되어 함께 하강하고, 스토퍼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신장폴대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푸쉬버튼은 하측에 잠금편이 형성되고, 손잡이는, 일측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인출공의 내측에 단속링이 설치되며, 단속링의 외주에 잠금레버가 감착 결합되고, 잠금레버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인출공으로 인출되어 회전 조작됨에 따라, 관통홀을 통해 잠금편이 통과되어 푸쉬가 가능하거나, 잠금편이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고 잠금레버에 의해 단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관의 상부에 푸쉬봉의 푸쉬력을 받고 지지대의 상단부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내부링이 설치되고, 내부관의 하부에 고정링이 결합되고, 고정링은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캡의 장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는 하단부에 지지링이 결합되고, 지지링은 신장폴대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메인폴대의 내외로 출입하는 신장폴대에 내장된 상기 압축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조절캡은, 상부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수평으로 관통 결합되고, 외주면에 돌부와 홈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절캡은 중간에 가압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캡의 내측 하부에는 리턴스프링이 고정캡의 외주에 설치되어 푸쉬버튼의 푸쉬에 의해 하강된 조절캡을 상승시켜 리턴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장치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신장시킬 수 있고, 원하는 길이만큼 신축시킨 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다양한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그 조절된 길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푸쉬버튼 해제시 폴대캡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푸쉬버튼 푸쉬시 폴대캡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신장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푸쉬버튼 해제시 폴대캡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푸쉬버튼 푸쉬시 폴대캡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신장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는 푸쉬버튼(13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조절캡(430)이 이동하면서 스토퍼(450)에 대한 잠금과 해제 작동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2와 같이 헤드(100), 메인폴대(200), 신장폴대(300), 폴대캡(400) 및 스파이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f를 참고하면, 헤드(100)는 그 외곽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손잡이(100)를 구비하고, 손잡이(100)의 내측에는 내부홀(120)이 형성되며, 내부홀(120)에는 푸쉬버튼(130)과 푸쉬버튼(13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푸쉬봉(140)이 설치되어 푸쉬버튼(130)의 푸쉬 또는 해제에 따라 푸쉬봉(140)이 승강 이동한다.
이때, 내부홀(120)은 상부에 형성되어 푸쉬버튼(130)이 장착되는 상부홀(121)과, 하부에 형성되어 푸쉬봉(140)이 장착되어 승강 이동하는 하부홀(122)과, 하부홀(122) 옆에 푸쉬버튼(130)의 하측에 연결 형성된 잠금편(131)이 출입하는 출입홈(123)이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110)는 일측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인출공 내측 상부홀(121)의 하부에 단속링(112)이 설치되며, 단속링의 외주에는 단속돌기(112a)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단속돌기(112a)는 서로 마주보는 단속돌기(112a)가 두쌍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푸쉬버튼(130)의 하측에는 잠금편(131)이 연결 형성되고, 잠금편(131)은 푸쉬버튼(130)의 푸쉬 또는 해제에 따라 함께 승강 이동하며, 푸쉬버튼(130)과 단속링(112)의 사이에 복귀스프링(132)이 설치되어 푸쉬버튼(130)이 푸쉬된 후 푸쉬력 해제시 원래대로 자동 복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잠금레버(150)가 상부홀(121)에서 단속링(112)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그 일부에 해당하는 조절돌기(153)가 인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조절돌기(153)를 회전 이동시켜 푸쉬버튼(130)을 잠금 또는 오픈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잠금레버(150)는 내측이 비어 있고 일단부가 개방되며 타단부는 폐쇄되어 조절돌기(153)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내주면에 단속돌기(112a)와 대응되는 수와 형상을 갖는 단속홈(151)들이 형성되어 단속돌기(112a)와 체결되고, 잠금레버(150)가 회전 이동됨에 따라 체결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그리고, 잠금레버(153)의 일단부에는 관통홀(152)이 형성된다. 이로써, 잠금레버(153)의 오픈시 푸쉬버튼(130)을 푸쉬하면 잠금편(131)이 하측에 구비된 잠금레버(153)의 관통홀(152)을 통과하여 출입홈(123)에 삽입되어 푸쉬가 가능해 지고, 잠금레버(153)의 잠금시에는 잠금레버(153)가 회전 이동되어 관통홀(152)의 위치가 다소 틀어지게 되므로 이때 푸쉬버튼(130)을 푸쉬하면 잠금편(131)이 하측에 구비된 잠금레버(153)의 방해를 받아 푸쉬를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푸쉬봉(140)의 하부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장공(141)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핀(142)이 손잡이(110)의 외부와 지지대(23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지지대(230)를 장공(141)에 고정 결합하여 압축스프링(320)을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푸쉬봉(140)은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면, 메인폴대(200)는 헤드(100)의 하부에 외부관(210)의 상단부가 삽입 연결되고, 외부관(210)의 내측에는 내부관(220)이 승강 이동될 수 있게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설치되며, 내부관(220)의 내측에는 지지대(230)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내부관(220)의 상부에는 내부링(221)이 하부홀(122)의 내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푸쉬봉(14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내부링(221)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지지대(230)의 상단부가 통과되어 고정핀(142)에 의해 장공(141)에 고정 연결된다. 이로써, 푸쉬버튼(130)을 푸쉬했을 때 푸쉬봉(140)이 내부링(221)을 가압하면 내부링(221)의 하부에 결합된 내부관(220)이 하강하게 되고, 푸쉬버튼(130)의 푸쉬를 해제하면 내부링(221)과 내부관(220)이 함께 상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내부관(220)의 하부에는 고정링(222)이 결합되고, 고정링(222)은 그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고정홈(222a)이 형성되며, 이로써 후술할 고정캡(410)의 장홀(411)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440)가 선단부가 고정홈(222a)에 체결되어 조절캡(430)과 내부관(220)이 결합되어 함께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대(230)는, 상단부가 푸쉬봉(140)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에 단공(231)이 관통 형성되어 단공(231)에 고정핀(142)이 관통되어 푸쉬봉(140)의 장공(141)에 고정 결합되며, 하단부에 지지링(232)이 결합되고, 지지링(232)은 신장폴대(3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출입함에 따라 신장폴대(300)에 내장되어 신축되는 압축스프링(320)을 지지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신장폴대(300)는 듀랄루민과 같은 가볍고 경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관(220)의 내측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게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설치되고, 지지대(230)와는 이격되어 설치되며,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출입된다.
이때, 신장폴대(300)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상단캡(310)이 연결되고, 상단캡(31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캡(310)의 직경은 신장폴대(30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이루어져 내부관(22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신장폴대(300)가 유연하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장폴대(300)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320)이 지지링(232)에 지지된 채 내장되고, 신장폴대(3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330)이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폴대캡(400)은 메인폴대(200)와 신장폴대(30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관(210)의 하부에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고정캡(410)이 고정 결합된다. 이때, 고정캡(410)은 상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외부관(21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복수개의 장홀(4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홀(411)의 하측에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잠금홀(41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캡(410)의 하부에는 하부캡(420)이 연결되고, 하부캡(420)은 외주면에 테이퍼면(421)이 형성되어 승강 이동하는 신장폴대(300)의 외주를 감싸서 지지한다.
고정캡(410)의 외주에는 조절캡(430)이 설치되고, 조절캡(430)은 상부에 복수개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 돌부(432)와 홈부(433)가 수평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길이 조절시 파지 및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잠금홀(412)에는 각각 스토퍼(450)가 장착되고, 이때 스토퍼(450)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볼 형태의 스토퍼를 사용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 부재에 찍힘이나 유격 등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호 형상의 스토퍼(450)를 사용함으로써 걸림홈(330)의 넓은 면적을 지지할 수 있고, 강도가 강한 재질이나 걸림홈(330)의 깊이가 깊지 않아도 우수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조절캡(430)은 중간 내면에 가압돌부(43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잠금홀(412)에 장착된 스토퍼(450)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토퍼(450)가 걸림홈(330)에 걸림되도록 하여 신장폴대(300)와의 유격을 방지하고, 신장폴대(3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신장폴대(300)를 원하는 길이만큼 신축시킨 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와 함께, 조절캡(430)은 하부 내측에 리턴스프링(435)이 설치된다. 즉, 리턴스프링(435)은 하부캡(420)의 상측에서 고정캡(410)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어 푸쉬버튼(130)의 푸쉬에 따른 조절캡(430)이 하강하여 신장폴대(300)의 인출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한 후 푸쉬버튼(130)의 푸쉬를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35)의 작용에 의해 조절캡(430)이 원래대로 복귀하여 스토퍼(450)를 가압하여 신장폴대(3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고정볼트(440)는 머리부가 없는 무두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절캡(430)의 고정홀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캡(410)의 장홀(411)을 통과하며, 내부관(220)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링(222)의 고정홈(222a)에 고정 결합된다.
아울러, 신장폴대(300)는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스파이크(5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을 구비한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도면과 신장시 도면은 각각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와 같이 높낮이 조절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잠금레버(150)를 회전하여 장치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푸쉬버튼(130)을 누르면 푸쉬봉(140)이 하강하고, 푸쉬봉(140)에 밀린 내부관(220)이 하강하면서 내부관(220)과 고정 결합된 고정볼트(440)가 장홀(41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강한다. 이때, 고정볼트(440)와 결합된 조절캡(430)도 함께 하강하고, 조절캡(430)의 가압돌부(434)도 함께 하강하게 되어 스토퍼(450)가 걸림홈(330)에서 이탈되며, 결국 신장폴대(30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지지대(230)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된 상태로 있던 압축스프링(320)이 신장되면서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장치의 길이가 신장된다. 이때, 스파이크(500)를 지면에 지지한 채 푸쉬버튼(130)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110)를 잡고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장치를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한 후 푸쉬버튼(130))에 대한 푸쉬를 해제하면 조절된 길이로 고정이 유지된다. 또한, 잠금레버(150)를 회전하면 장치가 잠금 상태로 되어 실수로 푸쉬버튼(130)을 잘못 눌러도 장치의 길이가 임의로 신축되지 않는다.
여기서, 푸쉬버튼(130)에 대한 푸쉬를 해제하면 복귀스프링(132)에 의하여 푸쉬버튼(130)과 푸쉬봉(140)이 원래대로 자동 상승 복귀되고, 푸쉬봉(140)에 밀렸던 내부관(220)이 상승하면서 내부관(220)과 고정 결합된 고정볼트(440)가 장홀(41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승한다. 이때, 고정볼트(440)와 결합된 조절캡(430)도 함께 상승하고, 조절캡(430)의 가압돌부(434)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스토퍼(450)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토퍼(450)가 걸림홈(330)에 걸림되며, 결국 신장폴대(300)에 대한 고정력은 유지되고 신장폴대(300) 내부의 압축스프링(320)은 지지대(230)에 의해 지지되어 도 6a와 같이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장치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신장시킬 수 있고, 원하는 길이만큼 신축시킨 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다양한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고, 또한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그 조절된 길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리턴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등산용 스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 책상 다리의 높이 조절 등과 같이 길이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기술
1. 지침부 2. 길이조절수단
2a. 상측폴대 2b. 너트
2c. 하측폴대 3. 경음기
3a. 누름부 4. 야광띠
5. 손잡이
*본 발명
100. 헤드 110. 손잡이
112. 단속링 112a. 단속돌기
120. 내부홀 121. 상부홀
122. 하부홀 123. 출입홈
130. 푸쉬버튼 131. 잠금편
132. 복귀스프링 140. 푸쉬봉
141. 장공 142. 고정핀
150. 잠금레버 151. 단속홈
152. 관통홀 153. 조절돌기
200. 메인폴대 210. 외부관
220. 내부관 221. 내부링
222. 고정링 222a. 고정홈
230. 지지대 231. 단공
232. 지지링 300. 신장폴대
310. 상단캡 320. 압축스프링
330. 걸림홈 400. 폴대캡
410. 고정캡 411. 장홀
412. 잠금홀 420. 하부캡
421. 테이퍼면 430. 조절캡
432. 돌부 433. 홈부
434. 가압돌부 435. 리턴스프링
440. 고정볼트 450. 스토퍼
500. 스파이크
1. 지침부 2. 길이조절수단
2a. 상측폴대 2b. 너트
2c. 하측폴대 3. 경음기
3a. 누름부 4. 야광띠
5. 손잡이
*본 발명
100. 헤드 110. 손잡이
112. 단속링 112a. 단속돌기
120. 내부홀 121. 상부홀
122. 하부홀 123. 출입홈
130. 푸쉬버튼 131. 잠금편
132. 복귀스프링 140. 푸쉬봉
141. 장공 142. 고정핀
150. 잠금레버 151. 단속홈
152. 관통홀 153. 조절돌기
200. 메인폴대 210. 외부관
220. 내부관 221. 내부링
222. 고정링 222a. 고정홈
230. 지지대 231. 단공
232. 지지링 300. 신장폴대
310. 상단캡 320. 압축스프링
330. 걸림홈 400. 폴대캡
410. 고정캡 411. 장홀
412. 잠금홀 420. 하부캡
421. 테이퍼면 430. 조절캡
432. 돌부 433. 홈부
434. 가압돌부 435. 리턴스프링
440. 고정볼트 450. 스토퍼
500. 스파이크
Claims (8)
- 내부홀이 형성된 손잡이와, 내부홀에 장착되고 복귀스프링이 설치된 푸쉬버튼과, 푸쉬버튼의 하부로 연장되어 승강 이동하고, 장공이 형성된 푸쉬봉을 포함하는 헤드;
헤드의 하부에 연결된 외부관과, 외부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푸쉬봉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내부관과,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푸쉬봉에 삽입된 채 고정핀에 의해 장공에 고정 결합되며, 하단부가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내부관의 내측에 설치되어 메인폴대의 내외로 출입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압축스프링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지지된 채 내장된 신장폴대; 및
외부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에 복수개의 장홀과 잠금홀이 형성된 고정캡과, 고정캡의 하부에 연결되어 신장폴대의 외주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캡과, 고정캡의 외주에 설치되고, 장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통하여 내부관의 하단부와 결합된 조절캡과, 잠금홀에 장착되고, 조절캡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며, 걸림홈에 걸림되어 신장폴대를 고정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폴대캡을 포함하되,
푸쉬버튼을 누르면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된 내부관과 조절캡이 장홀에 가이드되어 함께 하강하고, 스토퍼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신장폴대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내부관의 상부에 푸쉬봉의 푸쉬력을 받고 지지대의 상단부가 통과하도록 구비된 내부링이 설치되고, 내부관의 하부에 고정링이 결합되고, 고정링은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캡의 장홀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푸쉬버튼은 하측에 잠금편이 형성되고,
손잡이는, 일측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인출공의 내측에 단속링이 설치되며, 단속링의 외주에 잠금레버가 감착 결합되고,
잠금레버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부가 인출공으로 인출되어 회전 조작됨에 따라, 관통홀을 통해 잠금편이 통과되어 푸쉬가 가능하거나, 잠금편이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고 잠금레버에 의해 단속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하단부에 지지링이 결합되고, 지지링은 신장폴대의 상단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메인폴대의 내외로 출입하는 신장폴대에 내장된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조절캡은, 상부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수평으로 관통 결합되고, 외주면에 돌부와 홈부가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조절캡은 중간에 가압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조절캡의 내측 하부에는 리턴스프링이 고정캡의 외주에 설치되어 푸쉬버튼의 푸쉬에 의해 하강된 조절캡을 상승시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퍼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349A KR101801650B1 (ko) | 2016-01-29 | 2016-01-29 | 높낮이 조절 장치 |
PCT/KR2017/000753 WO2017131398A1 (ko) | 2016-01-29 | 2017-01-23 | 높낮이 조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349A KR101801650B1 (ko) | 2016-01-29 | 2016-01-29 | 높낮이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0684A KR20170090684A (ko) | 2017-08-08 |
KR101801650B1 true KR101801650B1 (ko) | 2017-11-27 |
Family
ID=5939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1349A KR101801650B1 (ko) | 2016-01-29 | 2016-01-29 | 높낮이 조절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650B1 (ko) |
WO (1) | WO201713139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0961B1 (ko) * | 2021-09-10 | 2021-10-07 | 김현옥 | 접이식 테이블용 다리 지지대 |
KR102327291B1 (ko) | 2020-06-25 | 2021-11-17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캐치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는 지팡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477B1 (ko) * | 2017-10-24 | 2019-03-18 | 이명아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
CN110548262B (zh) * | 2019-08-21 | 2024-07-26 |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 一种自动伸缩杆杖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915A (ja) * | 1999-11-22 | 2001-08-07 | Torina Kk | 歩行補助杖 |
KR101261783B1 (ko) | 2013-01-11 | 2013-05-07 | 이명아 | 높낮이 조절 장치 |
KR101276577B1 (ko) | 2012-04-26 | 2013-06-18 | 김경원 | 등산용 스틱 |
KR101366722B1 (ko) * | 2013-09-04 | 2014-02-25 | 이명아 | 높낮이 조절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633B1 (ko) * | 2008-05-23 | 2008-08-01 | 오성듀랄루민(주) |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
KR20110006520U (ko) * | 2009-12-22 | 2011-06-29 | 박연오 |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
KR20160000076U (ko) * | 2014-06-30 | 2016-01-07 | 김경원 | 등산용 스틱 |
-
2016
- 2016-01-29 KR KR1020160011349A patent/KR1018016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1-23 WO PCT/KR2017/000753 patent/WO201713139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915A (ja) * | 1999-11-22 | 2001-08-07 | Torina Kk | 歩行補助杖 |
KR101276577B1 (ko) | 2012-04-26 | 2013-06-18 | 김경원 | 등산용 스틱 |
KR101261783B1 (ko) | 2013-01-11 | 2013-05-07 | 이명아 | 높낮이 조절 장치 |
KR101366722B1 (ko) * | 2013-09-04 | 2014-02-25 | 이명아 | 높낮이 조절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7291B1 (ko) | 2020-06-25 | 2021-11-17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캐치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는 지팡이 |
KR102310961B1 (ko) * | 2021-09-10 | 2021-10-07 | 김현옥 | 접이식 테이블용 다리 지지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31398A1 (ko) | 2017-08-03 |
KR20170090684A (ko) | 2017-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1650B1 (ko) | 높낮이 조절 장치 | |
KR101366722B1 (ko) | 높낮이 조절 장치 | |
US10912358B2 (en) | Telescopic suitcase handle | |
KR101810192B1 (ko) | 길이 조절 장치 | |
KR101261783B1 (ko) | 높낮이 조절 장치 | |
US9457227B2 (en) | Adjustable push-up apparatus | |
US20130210587A1 (en) | Bouncing apparatus | |
KR20090014939A (ko) |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 |
KR101261788B1 (ko) | 높낮이 조절 장치 | |
WO2006074633A1 (de) | Stock mit einstellbarer griffigkeit | |
KR101850970B1 (ko) | 길이 조절 장치 | |
EP3847922B1 (en) | Length adjustment device | |
US20030123926A1 (en) | Retractable rod-like device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
KR102258526B1 (ko) | 길이 조절 장치 | |
KR101720123B1 (ko) | 길이 조절 장치 | |
KR101707129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 |
KR101720424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 |
US5678843A (en) | Luggage trolley structure | |
KR20140137537A (ko) | 등산용 스틱 | |
RU2014136354A (ru) | Пал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тренировоч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при ходьбе | |
CN209106737U (zh) | 一种婴儿床的床护栏升降装置 | |
JP2004148071A (ja) | 長さ調節自在な杖 | |
CN209270758U (zh) | 高尔夫球袋上用于锁定球杆保护罩的开关锁 | |
KR101325560B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 |
JP2020058625A (ja) | 携帯用歩行補助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