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722B1 -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722B1
KR101366722B1 KR20130106161A KR20130106161A KR101366722B1 KR 101366722 B1 KR101366722 B1 KR 101366722B1 KR 20130106161 A KR20130106161 A KR 20130106161A KR 20130106161 A KR20130106161 A KR 20130106161A KR 101366722 B1 KR101366722 B1 KR 10136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ap
locking
push butt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filed Critical 이명아
Priority to KR201301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722B1/ko
Priority to PCT/KR2014/007164 priority patent/WO2015034182A1/ko
Priority to CN201480024250.7A priority patent/CN10516381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 작동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헤드(100), 메인폴대(200), 1차 신장폴대(300) 및 2차 신장폴대(400)를 포함한 높낮이 조절 장치(S)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버튼의 설치로 보관시 또는 사용 중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조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쇽업스프링 및 복귀스프링 등의 다양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용 스틱, 자전거 안장, 책상 다리 등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편리한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스틱, 자전거 안장, 책상 다리 등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등산은 산에 오르는 것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 행위를 말하고, 현재는 레저나 스포츠로 이용하거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도 겸하여 위험한 산을 등정하기도 하는데,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최근에는 산행가들에게 있어 등산용 스틱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등산용 스틱은 단순한 지팡이의 역할을 넘어 두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상당 부분 분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해 준다.
즉, 등산로의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하산 시 무릎의 충격을 덜어주는 그야말로 안전산행의 일등 도우미인 것이다. 이때, 등산용 스틱의 길이는 이를 잡고 섰을 때 팔꿈치 관절의 각도는 90°도가 이상적이고, 경사로나 언덕을 오를 때에는 10~15㎝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등산용 스틱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8호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스틱을 지칠시에 노상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로서 최하측부에 구비되는 지침부(1)와, 상기 지침부(1)가 고정되는 하측폴대(2c)가 상측폴대(2a)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조절됨과 동시에 조절 완료후에는 너트(2b)로서 조임 고정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2)과, 상기 상측폴대(2a)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5)에 내설되어지고 일정부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누름부(3a)의 접속유무에 따라 동작되는 경음기(3)와, 상기 상·하측폴대(2a, 2c)를 둘러서 장식하게 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야광띠(4)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높낮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여성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건장한 남성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할 수 없으며, 시간도 많이 소요됨은 물론, 등산용 스틱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금키의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버튼의 설치로 보관시 또는 사용 중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조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쇽업스프링 및 복귀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누름버튼의 단순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조절너트의 잠금 또는 개방과, 고정레버의 회동 및 알루미늄링의 압착으로 폴대를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지지력이 우수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설치되되, 외곽을 형성하는 캡과, 상기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잠금편이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장공이 형성된 캡홀더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내측관과 외측관이 구비되되, 상기 외측관은 상기 캡홀더와 연결되어 승강 이동하고 하단에 잠금키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내측관은 상단에 형성된 단공에 고정핀이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에 볼이 장착된 잠금척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이동샤프트를 고정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상기 캡홀더와 함께 상기 외측관이 승강 이동하여 상기 잠금키의 이동샤프트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는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내·외관의 2중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외주면에 길이 조절용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1차 신장폴대; 및 상기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스파이크가 형성된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되, 일단은 상기 캡홀더의 상부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중간에 단속홀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단속홀이 상기 잠금편에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잠금 또는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잠금버튼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은 하부 중앙에 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홈에 상기 캡홀더의 상부가 삽입 연결되며, 상기 캡홀더의 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캡은 상기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설치홀과, 상기 캡홀더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설치홀과,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폴대의 상단 내측과 결합되는 결합구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버튼의 일부가 인출되는 버튼인출공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척은 상기 잠금키의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단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단의 상측 외주면에 리턴스프링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1차 신장폴대는, 상단에 탑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탑홀더의 하부에 상기 내관의 상부를 감싸 커버하는 커버홀더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탑홀더는 하단에 상기 내관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홀더는 내부에 쇽업스프링이 수용되어 상기 내관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이동샤프트는 외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뭉치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뭉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뭉치는 상기 1차 신장폴대의 최대 신장시 상기 메인폴대의 내측관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고, 상기 하부뭉치는 상기 1차 신장폴대의 내관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2차 신장폴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압축스프링은 복수 개의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고, 각 스프링편 사이에 회전방지부재가 연결 설치되어 압축스프링이 압축될 때 회전이 방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폴대는 하단에 제1폴캡이 결합되고, 상기 제1폴캡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조절너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상기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1차 신장폴대는, 일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제2폴캡이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알루미늄링이 삽입 설치되며, 타측에 연결볼트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일단에 고정레버가 회동나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버튼의 설치로 보관시 또는 사용 중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조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쇽업스프링 및 복귀스프링 등의 다양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버튼의 단순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다.
더불어,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조절너트의 잠금 또는 개방과, 고정레버의 회동 및 알루미늄링의 압착으로 폴대를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지지력이 우수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외관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신장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헤드의 단면도, 도 3b는 헤드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a는 메인폴대의 전체 단면도, 도 4b 내지 도 4e는 메인폴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1차 신장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는 1차 신장폴대의 전체 단면도, 도 5b 내지 도 5e는 1차 신장폴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차 신장폴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신장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잠금버튼의 잠금과 오픈 작동을 나타낸 상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폴캡의 가압과 해제 작동을 나타낸 상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길이 신장의 조절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길이 고정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S)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 작동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헤드(100), 메인폴대(200), 1차 신장폴대(300) 및 2차 신장폴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100)는 그 외곽을 형성하는 캡(110)과, 상기 캡(110)에 장착되어 잠금편(122)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120)과, 상기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캡홀더(130)와, 상기 캡홀더와 연결되어 상기 누름버튼(120)을 잠금 또는 오픈시키는 작용을 하는 잠금버튼(140) 및 상기 캡홀더(130)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누름버튼(120)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110)은 상부에 상부 설치홀(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설치홀(112)이 상기 상부 설치홀(111) 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설치홀(111)에는 상기 누름버튼(1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설치홀(112)에는 상기 캡홀더(130)가 결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캡(110)의 하부에는 결합구(113)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3)는 메인폴대(200)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나사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110)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버튼(140)이 설치되어 그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버튼인출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120)은 상기 캡(110)에 장착되고, 하부 중앙에 내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내홈(121)에 상기 캡홀더(130)의 상부가 삽입 연결되며, 하측으로 잠금편(12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캡홀더(130)는 내부에 수용공간(131)이 형성되어 내측관(230)의 상부가 상기 수용공간(131)으로 삽입되고, 하부에 장공(132)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230)이 고정핀(232)에 의해 상기 장공(132)에 고정 결합되며, 연결볼트(133)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120)과 결합된다.
상기 잠금버튼(140)은 일단에 연결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캡홀더(130)의 상부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타단에 조작편(142)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인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편(142)을 회전시켜 조작하게 되며, 중간에 일측이 개방된 단속홀(143)이 형성되고 상기 단속홀(143)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조작편(14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속홀(143)이 상기 잠금편(122)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편(122)을 단속하므로, 상기 잠금편(122)을 구비한 상기 누름버튼(120)도 함께 단속이 되고, 이로써 상기 누름버튼(120)의 잠금 작용이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조작편(14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속홀(143)이 상기 누름버튼(120)의 잠금편(12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누름버튼(120)의 오픈 작용이 발생하여 누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귀스프링(150)은 상기 캡홀더(130)의 상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120)을 원활하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하면, 상기 메인폴대(200)는 상기 헤드(10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되, 메인폴대(200)의 상부의 외관을 커버하는 커버체(210)와, 내부에 외측관(220)과 내측관(230)을 함께 구비하고, 하단에 결합되어 메인폴대(200)의 하단을 1차 신장폴대(3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폴캡(240) 및 조절너트(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체(210)는 상기 메인폴대(200)의 상부의 외관을 커버함과 동시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기능을 한다.
상기 외측관(220)은 상기 캡홀더(130)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상기 캡홀더(130)와 함께 승강 이동한다.
또한, 상기 외측관(220)의 하단에는 잠금키(221)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관(230)은 상단에 단공(231)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단공(231)에 고정핀(232)이 결합되어 상기 캡홀더(130)에 천공 형성된 장공(132)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내측관(230)이 고정된 채로 상기 캡홀더(130)와 연결된 외측관(220)만이 상기 장공(132)의 길이만큼 승강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내측관(230)의 하단에 잠금척(23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잠금척(233)은 내측에 잠금홀(233a)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홀(233a)에는 볼(234)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볼(234)이 상기 외측관(220)의 잠금키(2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샤프트(33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331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누름버튼(120)을 눌러 가압 해제시 상기 잠금키(221)가 아래로 밀리게 되어 볼(234)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샤프트(330)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샤프트(3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볼(234)을 상기 잠금홀(233a) 상에서 외측으로 밀어 내어 높낮이 조절 장치(S)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이고, 구 형태를 갖는 볼(234)을 장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샤프트(3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높낮이 조절 장치(S)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척(233)은 상기 잠금키(221)의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단이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단(235)을 이루고, 상기 확장단(235)의 상측 공간에 리턴스프링(237)이 장착되며, 이러한 리턴스프링(237)은 연장 형성된 상기 잠금척(233)의 외주면에 감착된다.
상기 리턴스프링(237)은 상기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에 의해 상기 잠금키(221)가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누름버튼(120)의 누름을 해제하여 상기 잠금키(221)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좀 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하여 상기 잠금키(221)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나아가, 상기 메인폴대(200)는 하단에 제1폴캡(240)이 결합되고, 상기 제1폴캡(240)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조절너트(2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상기 1차 신장폴대(300)를 조임 고정한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면, 상기 1차 신장폴대(300)는 상기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외관(310)과 내관(320)의 2중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320)의 내측에 이동샤프트(33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샤프트(330)의 외주면에 길이 조절용 압축스프링(340)이 설치된다.
상기 외관(310)의 상측에는 커버홀더(360)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관(320)의 상부를 감싸 커버하고, 상기 커버홀더(360)의 내부에는 쇽업스프링(370)이 수용되어 상기 내관(320)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쇽업스프링(370)은 상기 누름버튼(120)을 눌러 높낮이 조절 장치(S)의 길이를 조절할 때 상기 쇽업스프링(370)의 힘에 의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높낮이 조절 장치(S)가 지면에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홀더(360)의 상측에는 탑홀더(35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탑홀더(350)는 그 하단에 상기 내관(320)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샤프트(330)는 외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331a)이 형성된 몸체(331)와, 상기 몸체(331)의 상부에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상부뭉치(332)와, 상기 몸체(331)의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하부뭉치(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3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부와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홈부가 교번되어 반복 형성되고, 특히 홈부에는 걸림홈(331a)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척(233)의 잠금홀(233a)에 장착된 볼(234)이 상기 걸림홈(331a)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 장치(S)의 길이가 더 이상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단속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뭉치(332)는 상기 1차 신장폴대(300)의 최대 신장시 상기 메인폴대(200)의 내측관(23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36)에 걸림되어 1차 신장폴대(3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뭉치(333)는 상기 1차 신장폴대(300)의 내관(320)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2차 신장폴대(4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20)에 걸림되어 2차 신장폴대(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상기 이동샤프트(33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신축됨으로써 상기 1차 신장폴대(300)가 상기 메인폴대(200)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높낮이 조절 장치(S)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복수 개의 스프링편(341)으로 이루어지고, 각 스프링편(341)의 연결 지점 마다 회전방지부재(342)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340)이 압축될 때 회전을 방지하여, 압축스프링(340)의 신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1차 신장폴대(300)는 일측에 연결공(381)이 형성된 제2폴캡(380)이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공(38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알루미늄링(382)이 삽입 설치되며, 타측에 연결볼트(383)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383)의 일단에 고정레버(385)가 회동나사(384)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고정레버(385)의 회동 및 알루미늄링(382)의 압착으로 2차 신장폴대(400)를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지지력이 우수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2차 신장폴대(400)는 상기 1차 신장폴대(3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상기 1차 신장폴대(300)와 함께 상기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접혀져 보관되며, 상기 2차 신장폴대(400)가 상기 1차 신장폴대(3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20)이 상기 1차 신장폴대(300)의 하부뭉치(333)에 걸림되어 상기 2차 신장폴대(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신장폴대(400)는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스파이크(4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을 구비한 높낮이 조절 장치(S)의 접었을 때 도면과 신장시 도면은 각각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장치(S)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높낮이 조절 장치(S)가 접혀져 보관 중인 상태에서, 먼저 고정레버(385)를 회전하여 오픈시키고 1차 신장폴대(300)에 내재 수용되어 있는 2차 신장폴대(400)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인출시킨다.
이때, 고정레버(385)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켜 제2폴캡(380)을 가압하면 복수 개의 알루미늄링(382)이 2차 신장폴대(400)를 압착하여 2차 신장폴대(3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누름버튼(120)를 아래로 누르면, 캡홀더(130)가 장공(132)의 길이 범위 내에서 하강하고, 캡홀더(130)와 연결된 외측관(220)이 함께 하강하게 되며, 외측관(220) 하단의 잠금키(221)도 아래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볼(234)이 외측관(220)의 잠금키(2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샤프트(33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331a)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가, 잠금키(221)가 아래로 밀리면서 볼(234)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볼(234)이 잠금홀(233a) 상에서 외측으로 밀려 볼(234)과 이동샤프트(330)의 걸림홈(331a)의 잠금 결합이 풀어지게 되고, 이동샤프트(330)가 하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압축스프링(340)이 신장되므로, 1차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높낮이 조절 장치(S)의 길이가 더 신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쇽업스프링(370)이 기능하여 쇽업스프링(370)의 힘에 의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높낮이 조절 장치(S)가 지면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11을 참고하면 높낮이 조절 장치(S)가 사용자 자신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로 조절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가 누름버튼(12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누름버튼(120)이 복귀스프링(150)의 도움을 받아 위로 복귀하면서 캡홀더(130)와 외측관(22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잠금키(221)도 리턴스프링(237)의 도움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하여 잠금키(221)의 볼(234)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져 볼(234)이 이동샤프트(330)의 걸림홈(331a)에 삽입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1차 신장폴대(300)를 잡아 당기거나 힘을 가해도 더 이상 당겨지거나 신장되지 않고 잠금 고정되는 것이다.
더하여, 이 상태에서 조절너트(2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너트(25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조절너트(250)가 가압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300)를 조임 고정하도록 한다.
물론, 1차 신장폴대(300)를 먼저 인출시킨 후에 2차 신장폴대(400)를 인출시키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아울러, 도 8을 참고하면 잠금버튼(140)의 조작편(14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하여 잠금버튼(140)의 단속홀(143)이 잠금편(122)에 끼움 연결되어 잠금편(122)이 단속되어 누름버튼(120)에 대한 잠금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높낮이 조절 장치(S)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접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잠금버튼(140)의 조작편(14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버튼(140)의 단속홀(143)이 잠금편(1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누름버튼(120)을 오픈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조절너트(2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너트(25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잠금키(221)의 이동샤프트(33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이동샤프트(33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높낮이 조절 장치(S)의 하단을 눌러 신장되었던 압축스프링(340)을 압축시키면서 1차 신장폴대(300)를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을 해제하여 누름버튼(120)을 위로 복귀시켜 다시 잠금키(221)를 잠금 작동시킨다.
다음에, 고정레버(385)를 회전하여 오픈시킨 상태에서 2차 신장폴대(400)를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로 밀어 넣어 신장되었던 높낮이 조절 장치(S)를 접게 되는 것이다.
물론, 2차 신장폴대(400)를 먼저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로 삽입한 후 1차 신장폴대(300)를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키와 볼에 의한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버튼의 설치로 보관시 또는 사용 중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조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쇽업스프링 및 복귀스프링 등의 다양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버튼의 단순 누름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가지며, 더불어,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조절너트의 잠금 또는 개방과, 고정레버의 회동 및 알루미늄링의 압착으로 폴대를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지지력이 우수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등산용 스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 책상 다리의 높이 조절 등과 같이 길이 조절을 위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1. 지침부 2. 길이조절수단
2a. 상측폴대 2b. 너트
2c. 하측폴대 3. 경음기
3a. 누름부 4. 야광띠 5. 손잡이
100. 헤드 110. 캡
111. 상부 설치홀 112. 하부 설치홀
113. 결합구 114. 버튼인출공
120. 누름버튼 121. 내홈 122. 잠금편
130. 캡홀더 131. 수용공간
132. 장공 133. 연결볼트
140. 잠금버튼 141. 연결공
142. 조작편 143. 단속홀
150. 복귀스프링 200. 메인폴대
210. 커버체 220. 외측관
221. 잠금키 230. 내측관
231. 단공 232. 고정핀
233. 잠금척 233a. 잠금홀
234. 볼 235. 확장단
236. 걸림턱 237. 리턴스프링
240. 제1폴캡 250. 조절너트
300. 1차 신장폴대 310. 외관
320. 내관 330. 이동샤프트
331. 몸체 331a. 걸림홈
332. 상부뭉치 333. 하부뭉치
340. 압축스프링 341. 스프링편
342. 회전방지부재 350. 탑홀더
360. 커버홀더 370. 쇽업스프링
380. 제2폴캡 381. 연결공
382. 알루미늄링 383. 연결볼트
384. 회동나사 385. 고정레버
400. 2차 신장폴대 410. 스파이크
420. 걸림턱 S. 높낮이 조절 장치

Claims (9)

  1. 상단에 설치되되, 외곽을 형성하는 캡과, 상기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잠금편이 연장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장공이 형성된 캡홀더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내측관과 외측관이 구비되되, 상기 외측관은 상기 캡홀더와 연결되어 승강 이동하고 하단에 잠금키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내측관은 상단에 형성된 단공에 고정핀이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에 볼이 장착된 잠금척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이동샤프트를 고정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상기 캡홀더와 함께 상기 외측관이 승강 이동하여 상기 잠금키의 이동샤프트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는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내·외관의 2중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외주면에 길이 조절용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1차 신장폴대; 및
    상기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스파이크가 형성된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되,
    일단은 상기 캡홀더의 상부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중간에 단속홀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단속홀이 상기 잠금편에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잠금 또는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잠금버튼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하부 중앙에 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홈에 상기 캡홀더의 상부가 삽입 연결되며, 상기 캡홀더의 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누름버튼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설치홀과, 상기 캡홀더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설치홀과,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폴대의 상단 내측과 결합되는 결합구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버튼의 일부가 인출되는 버튼인출공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척은 상기 잠금키의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단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단의 상측 외주면에 리턴스프링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신장폴대는, 상단에 탑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탑홀더의 하부에 상기 내관의 상부를 감싸 커버하는 커버홀더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탑홀더는 하단에 상기 내관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홀더는 내부에 쇽업스프링이 수용되어 상기 내관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샤프트는 외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뭉치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뭉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뭉치는 상기 1차 신장폴대의 최대 신장시 상기 메인폴대의 내측관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고,
    상기 하부뭉치는 상기 1차 신장폴대의 내관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2차 신장폴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복수 개의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고, 각 스프링편 사이에 회전방지부재가 연결 설치되어 압축스프링이 압축될 때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폴대는 하단에 제1폴캡이 결합되고,
    상기 제1폴캡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조절너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상기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신장폴대는, 일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제2폴캡이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알루미늄링이 삽입 설치되며,
    타측에 연결볼트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상기 연결볼트의 일단에 고정레버가 회동나사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장치.
KR20130106161A 2013-09-04 2013-09-04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3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161A KR101366722B1 (ko) 2013-09-04 2013-09-04 높낮이 조절 장치
PCT/KR2014/007164 WO2015034182A1 (ko) 2013-09-04 2014-08-04 높낮이 조절 장치
CN201480024250.7A CN105163817B (zh) 2013-09-04 2014-08-04 高低调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161A KR101366722B1 (ko) 2013-09-04 2013-09-04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722B1 true KR101366722B1 (ko) 2014-02-25

Family

ID=5027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161A KR101366722B1 (ko) 2013-09-04 2013-09-04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66722B1 (ko)
CN (1) CN105163817B (ko)
WO (1) WO201503418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9962A (en) * 2015-07-03 2017-01-04 Gullo Paolo Supports of adjustable length
KR101720123B1 (ko) * 2016-07-29 2017-03-27 이명아 길이 조절 장치
WO2017131398A1 (ko) * 2016-01-29 2017-08-03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10192B1 (ko) 2017-01-05 2018-01-18 (주)동인기연 길이 조절 장치
KR101850970B1 (ko) * 2016-07-06 2018-04-23 이명아 길이 조절 장치
CN109185640A (zh) * 2018-11-13 2019-01-11 杨鹏 可折弯控制的伸缩杆
KR102310961B1 (ko) * 2021-09-10 2021-10-07 김현옥 접이식 테이블용 다리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3306A (zh) * 2018-07-11 2018-11-30 河海大学 一种微振双层智能仪器台
EP3847922B1 (en) * 2018-09-05 2023-08-09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ment device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33B1 (ko) 2008-05-23 2008-08-01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101261783B1 (ko) 2013-01-11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8B1 (ko) 2013-03-14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3202B2 (ja) * 1998-09-19 2007-01-24 雄二 墨田 伸縮可能な杖
KR101031537B1 (ko) * 2009-02-12 2011-04-27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절첩구조
CN201815061U (zh) * 2010-08-03 2011-05-04 金兴方 一种能够调节长度的登山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33B1 (ko) 2008-05-23 2008-08-01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101261783B1 (ko) 2013-01-11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8B1 (ko) 2013-03-14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9962A (en) * 2015-07-03 2017-01-04 Gullo Paolo Supports of adjustable length
WO2017131398A1 (ko) * 2016-01-29 2017-08-03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01650B1 (ko) * 2016-01-29 2017-11-2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50970B1 (ko) * 2016-07-06 2018-04-23 이명아 길이 조절 장치
KR101720123B1 (ko) * 2016-07-29 2017-03-27 이명아 길이 조절 장치
KR101810192B1 (ko) 2017-01-05 2018-01-18 (주)동인기연 길이 조절 장치
WO2018128242A1 (ko) * 2017-01-05 2018-07-12 (주)동인기연 길이 조절 장치
US10092068B2 (en) 2017-01-05 2018-10-09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ment device
CN109185640A (zh) * 2018-11-13 2019-01-11 杨鹏 可折弯控制的伸缩杆
KR102310961B1 (ko) * 2021-09-10 2021-10-07 김현옥 접이식 테이블용 다리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182A1 (ko) 2015-03-12
CN105163817A (zh) 2015-12-16
CN105163817B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3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6523707B2 (en) Structure of a tube rack with telescoping function
KR100982703B1 (ko)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US20100254751A1 (en) Telescoping pole system
US10092068B2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20150374081A1 (en) Adjustible walking cane
KR101801650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20229B1 (ko) 등산용 스틱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US9358678B2 (en) Telescopic ratchet wrench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850970B1 (ko) 길이 조절 장치
US10010474B2 (en) Forearm crutch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KR20110094482A (ko) 카메라용 삼각대 겸용 지팡이
KR20140137537A (ko) 등산용 스틱
KR100900265B1 (ko) 압지식이 부가된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절첩구조
KR101160042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KR101720123B1 (ko) 길이 조절 장치
JP3180677U (ja) 伸縮ステッキ傘
JP2004148071A (ja) 長さ調節自在な杖
CN104869483B (zh) 一种快速伸展自动锁定的支架
CN218737587U (zh) 一种户外运动用登山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