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23B1 - 길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23B1
KR101720123B1 KR1020160097178A KR20160097178A KR101720123B1 KR 101720123 B1 KR101720123 B1 KR 101720123B1 KR 1020160097178 A KR1020160097178 A KR 1020160097178A KR 20160097178 A KR20160097178 A KR 20160097178A KR 101720123 B1 KR101720123 B1 KR 10172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ball
pol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이명아
Priority to KR102016009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과 누름버튼 및 잠금버튼으로 이루어진 헤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된 레버샤프트와, 레버샤프트에 내장되고 이동홀이 형성된 고정샤프트와, 레버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상부 신장스프링과, 고정볼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상부볼커버와,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상부볼바디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1차 이동샤프트와, 1차 이동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하부 신장스프링과,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하부볼바디와, 하부볼바디의 외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하부볼커버를 포함하는 1차 신장폴대;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되는 2차 이동샤프트를 구비한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본 발명은 길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 조절 장치는 등산용 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편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도 1을 참고하면, 특허문헌 1에는 스틱을 지칠시에 노상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로서 최하측부에 구비되는 지침부(1)와, 상기 지침부(1)가 고정되는 하측폴대(2c)가 상측폴대(2a)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조절됨과 동시에 조절 완료후에는 너트(2b)로서 조임 고정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2)과, 상기 상측폴대(2a)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5)에 내설되어지고 일정부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누름부(3a)의 접속유무에 따라 동작되는 경음기(3)와, 상기 상·하측폴대(2a, 2c)를 둘러서 장식하게 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야광띠(4)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의 길이 조절 장치는 길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여성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건장한 남성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할 수 없으며, 시간도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제품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8호(2001.04.02. 공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누름버튼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상·하부에 각각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개재된 볼커버와 볼바디를 설치하여 1·2차 신장폴대에 대한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안티쇽스프링의 작용으로 길이 조절시 지면에 대해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용되는 길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나의 누름버튼 조작만으로 상·하부 신장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되고,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장치를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여러가지 사용환경에서 신속히 대응하여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길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곽을 구성하는 캡과,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장공 형상의 누름공이 형성된 누름편과 하측으로 연장된 잠금편이 각각 구비된 누름버튼과, 누름편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잠금 또는 오픈 작동되도록 하는 잠금버튼을 포함하는 헤드; 캡과 체결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누름버튼과 연결되어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된 레버샤프트와, 레버샤프트에 내장되고 상단부가 캡에 삽입되어 고정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누름공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된 고정샤프트와, 레버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상부 신장스프링과, 레버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상부볼커버와, 고정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상부볼바디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메인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형성된 핀홀에 이동핀이 결합되어 레버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이동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되는 1차 이동샤프트와, 1차 이동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하부 신장스프링과, 1차 이동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하부볼바디와, 하부볼바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부볼커버의 푸쉬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하부볼커버를 포함하는 1차 신장폴대; 및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되는 2차 이동샤프트를 구비한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캡은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상부 설치홈과, 고정샤프트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설치홈과,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폴대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버튼의 일단부가 인출되는 인출공과, 일측에 형성되어 웨빙스트랩이 결합되는 웨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빙스트랩은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볼커버와 상부볼바디의 사이 및 하부볼커버와 하부볼바디의 사이에 각각 리턴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홈과 고정볼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할 수 있고, 1차 신장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2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차 신장폴대는 2차 이동샤프트의 상단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2차 신장폴대가 인출된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차 신장폴대는 2차 이동샤프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장공 형상의 하단홀이 형성된 지지홀더와, 상부의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홀에 안티쇽스프링이 설치되며 삽입홀에 지지홀더가 삽입되어 안티쇽스프링 상에 완충 지지되고 고정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하단홀에 고정 결합된 지지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버튼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상·하부에 각각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개재된 볼커버와 볼바디를 설치하여 1·2차 신장폴대에 대한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안티쇽스프링의 작용으로 길이 조절시 지면에 대해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누름버튼 조작만으로 상·하부 신장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되고,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장치를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여러가지 사용환경에서 신속히 대응하여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길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외관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 신장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버튼의 잠금과 오픈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폴대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메인폴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에 의한 잠금과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에 의한 잠금과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신장폴대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1차 신장폴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신장폴대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2차 신장폴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를 접었을 때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의 신장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등산용 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편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헤드(100), 메인폴대(200), 1차 신장폴대(300) 및 2차 신장폴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헤드(100)는 그 외곽을 형성하는 캡(110)이 구비되고, 캡(110)의 상부에 상부 설치홈(111)이 형성되어 누름버튼(120)이 삽입 설치되며, 캡(110)의 하부에 하부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고정샤프트(22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인출공(113)이 형성되어 잠금버튼(130)이 캡(110)에 결합된 후 일단부가 인출되고, 일측에 웨빙홈(114)이 형성되어 웨빙스트랩(14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볼트(115)에 의해 결합된다. 캡(110)의 하부에 체결부(116)가 형성되어 메인폴대(200)가 체결부(116)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나사 방식일 수 있다.
캡(110)은 누름버튼(120)이 장착되는데, 누름버튼(120)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부면이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기능을 하고, 하측을 향하여 누름편(121)과 잠금편(122)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누름편(121)은 잠금편(122)보다 길게 형성되고, 장공 형상의 누름공(121a)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누름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누름편(121)이 직하에 설치된 레버샤프트(210)에 힘을 가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잠금버튼(130)은 중간에 연결홀(131)이 관통 형성되어 누름편(121)의 외주면에 감착 연결되고, 일단부에 조작편(132)이 형성되어 인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켜 조작하게 되며, 타단부에 개방홀(133a)이 형성된 단속편(133)이 구비되어 조작편(132)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잠금편(122)이 단속편(133)에 의해 누름버튼(120)의 누름이 단속되거나 잠금편(122)이 개방홀(133a)을 하측으로 통과하여 오픈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4의 (a)를 참고하면 조작편(13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속편(133)이 회전하게 되고, 단속편(133)의 위에 잠금편(122)이 위치하게 되므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이 단속된다. 반대로 조작편(13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속편(133)이 회전하게 되고, 오픈 상태인 개방홀(133a)의 위에 잠금편(122)이 위치하게 되므로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누름편(121)의 외주에 복쉬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눌려진 누름버튼(120)이 상측으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웨빙스트랩(140)은 양측의 스트랩끈(141)이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각 스트랩끈(141)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등의 조절부(142)가 형성되어 길이 조절 장치를 잡은 상태에서 파지한 손이 오른손이던 왼손이던 관계없이 웨빙스트랩(14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웨빙스트랩(140)의 일단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볼트(115)를 통해 웨빙홈(114)에 결합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메인폴대(200)는 헤드(100)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속이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레버샤프트(210)와 고정샤프트(220) 및 상부 신장스프링(230)이 내장되며, 고정샤프트(220)는 상단부가 캡(11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샤프트(210)는 메인폴대(200)에 내장되고, 누름버튼(120)과 연결되어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 조작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2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캡(110)의 체결부(116)의 내측에 속이 빈 연결편(212)이 누름편(121)의 하부와 접촉되게 설치되고, 레버샤프트(210)의 상단부에는 누름대(213)가 형성되며, 누름대(213)는 연결편(212)의 하부와 접촉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버튼(120)을 누르면 누르는 힘이 연결편(212)과 누름대(213)를 통하여 레버샤프트(210)에 전달되어 레버샤프트(210)가 누름공(121a)의 길이 만큼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고정샤프트(220)는, 레버샤프트(210)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221)이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에 핀고정대(222)가 형성되고, 핀고정대(222)에는 핀홀(222a)이 관통 형성된다. 핀고정대(222)가 캡(110)에 삽입되어 고정핀(223)이 핀홀(222a)을 관통하여 누름공(121a)에 고정 결합되므로 고정샤프트(220)는 항상 캡(110)에 고정 결합된 상태가 유비된다.
메인폴대(200)의 내부에는 레버샤프트(210)의 외측에 상부 신장스프링(230)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 조작에 따라 신축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해제된 1차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로부터 원활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등산용 스틱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레버샤프트(210)의 하단부에는 상부볼커버(240)가 연결되어 레버샤프트(210)와 함께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260)에 대한 가압력을 작용하거나 고정볼(26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볼커버(240)는 외주면은 직관으로 형성되고 일부 내주면(241)이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더불어, 고정샤프트(220)의 하단부에는 상부볼바디(250)가 연결되고, 내주면은 직관으로 형성되고 일부 외주면(251)이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구비된 외주면(251)에 고정홀(252)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홀(252)에는 고정볼(260)이 장착된다. 이때, 고정홀(252)과 고정볼(260)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1차 이동샤프트(310)의 걸림홈(313)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260)은 대략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1차 이동샤프트(310)의 걸림홈(313)에 걸림되어 밀착 면적이 증가되므로 잠금력이 증대되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1차 이동샤프트(310)의 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길이 조절 장치의 내구성도 증가하게 된다.
상부볼커버(240)와 상부볼바디(250)의 사이에는 리턴스프링(270)이 개재되어 설치되고, 리턴스프링(20)은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에 의해 상부볼커버(240)가 하측으로 이동한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 해제시 상승 복귀할 때 좀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볼(260)이 걸림홈(313)에 걸림되어 1차 이동샤프트(310)를 고정하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레버샤프트(210)와 상부볼커버(240)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260)을 매개로 상부볼커버(240)의 1차 이동샤프트(310)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6a의 (a)와 같이 고정볼(260)이 상부볼커버(240)에 의해 가압되어 1차 이동샤프트(31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가, 도 6a의 (b)와 같이 누름버튼(120)을 누르면 레버샤프트(210)와 연결된 상부볼커버(240)가 하강되고, 상부볼커버(240)가 하강되면 고정볼(26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고정볼(260)이 걸림홈(313)에서 이탈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홀(252)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므로 길이 조절 장치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을 중지하면 눌려진 누름버튼(120)이 상측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도 6a의 (a)와 같이 상부볼커버(240)가 레버샤프트(210)와 함께 다시 상승하여 상부볼커버(240)가 고정볼(260)을 가압하여 고정볼(260)이 걸림홈(313)에 밀착되어 조절된 길이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메인폴대(20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된 결합구(P)가 구비되고, 결합구(P)의 외측에는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회전너트(N)가 연결되며, 회전너트(N)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300)를 조임 고정하므로, 메인폴대(200)의 하단부를 1차 신장폴대(3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1차 신장폴대(300)는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내부에 1차 이동샤프트(310)와 하부 신장스프링(320)이 설치된다.
1차 이동샤프트(310)는 상부블록(314)을 통하여 1차 신장폴대(300)에 고정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함께 승강 이동하여 메인폴대(200)의 내외로 인출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1차 이동샤프트(310)는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313)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부볼바디(250)의 고정홀(252)에 장착된 고정볼(260)이 걸림홈(313)에 삽입되어 1차 이동샤프트(310)가 고정되므로 길이 조절 장치의 길이가 더 이상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단속되는 것이다.
더불어, 1차 이동샤프트(310)는 상단부에 핀홀(311)이 관통 형성되고, 핀홀(311)에는 이동핀(312)이 결합되며, 이동핀(312)은 레버샤프트(210)의 이동홀(211)과 고정샤프트(220)의 이동홀(221)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이동홀(211,22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1차 이동샤프트(310)는 장공 형상의 이동홀(211,221)이 구비한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1차 신장폴대(300)의 내부에는 1차 이동샤프트(310)의 외측에 하부 신장스프링(320)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 조작에 따라 신축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해제된 2차 신장폴대(400)가 1차 신장폴대(300)로부터 원활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길이 조절 장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1차 이동샤프트(310)의 하단부에는 하부볼바디(340)가 연결되고, 내주면은 직관으로 형성되고 일부 외주면(341)이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구비된 외주면(341)에 고정홀(342)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홀(342)에는 고정볼(350)이 장착된다. 이때, 고정홀(342)과 고정볼(350)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2차 이동샤프트(410)의 걸림홈(411)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350)은 대략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2차 이동샤프트(410)의 걸림홈(411)에 걸림되어 밀착 면적이 증가되므로 잠금력이 증대되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2차 이동샤프트(410)의 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길이 조절 장치의 내구성도 증가하게 된다.
하부볼바디(340)의 외측에는 하부볼커버(330)가 접촉되게 형성되고, 일부 내주면(331)이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게 이루어지며, 상부볼커버(240)의 푸쉬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350)에 대해 가압하거나 가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하부볼커버(330)와 하부볼바디(340)의 사이에는 리턴스프링(360)이 개재되어 설치되고, 리턴스프링(360)은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에 의해 하부볼커버(330)가 하측으로 이동한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 해제시 상승 복귀할 때 좀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볼(350)이 걸림홈(411)에 걸림되어 2차 이동샤프트(410)를 고정하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상부볼커버(240)에 의해 푸쉬되거나 리턴스프링(360)에 의해 복귀되는 하부볼커버(330)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350)을 매개로 하부볼커버(330)의 2차 이동샤프트(410)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6b의 (a)와 같이 1차 신장폴대(300)와 2차 신장폴대(400)가 모두 접혀져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350)이 하부볼커버(330)에 의해 가압되어 2차 이동샤프트(41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가, 도 6b의 (b)와 같이 누름버튼(120)을 누르면 레버샤프트(210)와 상부볼커버(240)가 하강되고, 상부볼커버(240)의 하강에 따라 푸쉬된 하부볼커버(330)가 하강하게 되어 고정볼(350)에 대한 가압력에 해제되어 고정볼(350)이 걸림홈(411)에서 이탈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홀(342)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므로 하부 신장스프링(230)의 도움을 받아 2차 신장폴대(400)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볼커버(330)가 밀리는 거리가 상부볼커버(240)가 밀리는 거리보다 짧도록 설계하여 하부볼커버(330)에 의한 잠금 상태가 상부볼커버(240)에 의한 잠금 상태보다 먼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2차 신장폴대(400)가 먼저 인출되어 길이 조절을 하고, 나중에 1차 신장폴대(300)가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되도록 하여 1·2차 신장폴대 모두에 대한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동을 중지하면 눌려진 누름버튼(120)이 상측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도 6b의 (a)와 같이 상부볼커버(240)가 상승하고, 하부볼커버(330)도 리턴스프링(360)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하부볼커버(330)가 고정볼(350)을 가압하여 고정볼(350)이 걸림홈(411)에 밀착되어 조절된 길이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1차 신장폴대(30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된 결합구(P)가 구비되고, 결합구(P)의 외측에는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회전너트(N)가 연결되며, 회전너트(N)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2차 신장폴대(400)를 조임 고정하므로, 1차 신장폴대(300)의 하단부를 2차 신장폴대(4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2차 신장폴대(400)는 1차 신장폴대(300)의 내외로 인출입되고, 내부에 2차 이동샤프트(410)가 설치된다.
2차 이동샤프트(410)는 2차 신장폴대(400)에 고정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함께 승강 이동하여 1차 신장폴대(300)의 내외로 인출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2차 이동샤프트(410)는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411)이 서로 이격 형성되어 하부볼바디(340)의 고정홀(342)에 장착된 고정볼(350)이 걸림홈(411)에 삽입되어 2차 이동샤프트(410)가 고정되므로 길이 조절 장치의 길이가 더 이상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단속되는 것이다.
2차 이동샤프트(410)는 상단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412)가 형성되어 2차 신장폴대(400)가 인출된 후에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2차 이동샤프트(410)는 하부에 지지홀더(420)가 구비되고, 지지홀더(420)는 장공 형상의 하단홀(421)이 형성되며, 지지홀더(420)는 지지샤프트(430)의 내측 상부의 삽입홀(431)에 삽입된다. 지지샤프트(430)는 핀홀(432)이 관통 형성되고, 삽입홀(431)에는 안티쇽스프링(434)이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삽입홀(431)에 지지홀더(420)가 삽입되어 안티쇽스프링(434) 상에 완충 지지되고, 고정핀(433)이 핀홀(432)을 관통하여 하단홀(421)에 고정 결합되며, 이로써 장공의 형태인 하단홀(421)을 따라 안티쇽스프링(434)의 작용으로 길이 조절시 지면에 대해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용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2차 신장폴대(400)의 하단부에 지지부(500)가 결합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부(500)는 2차 신장폴대(400)의 하단부가 지지팩(5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팩(510)은 하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지팩(51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날개(521)가 서로 이격된 채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윙(520)이 체결되어 지면으로부터 돌이나 흙이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팩(510)의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지패드(5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지지패드(530)는 하부면에 복수 개의 지지돌기(531)가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고, 측부에 복수 개의 지지홈(532)이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10a와 같이 길이 조절 장치가 접혀져 보관 중인 상태에서, 잠금버튼(130)의 조작편(13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하여 잠금버튼(130)의 단속편(133)도 회전하여 잠금편(122)의 단속이 해제된다. 회전너트(N)를 회전시켜 오픈시키고, 누름버튼(120)을 누르면 레버샤프트(210)와 상부볼커버(240)가 하강하고, 상부볼커버(240)의 하강에 따라 푸쉬된 하부볼커버(330)가 하강하게 되어 고정볼(350)에 대한 가압력에 해제되어 고정볼(350)이 걸림홈(411)에서 이탈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홀(342)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2차 이동샤프트(4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하부 신장스프링(320)의 도움을 받아 2차 신장폴대(400)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곧 상부볼커버(240)가 아래로 밀리면서 고정볼(26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고정볼(260)이 고정홀(252)에서 외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볼(260)과 걸림홈(313)의 잠금 결합이 풀어지게 되어 1차 이동샤프트(3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상부 신장스프링(230)도 함께 신장되므로, 1차 신장폴대(300)가 메인폴대(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된다.
길이 조절 장치를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로 조절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누름버튼(12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여 누름버튼(120)이 위로 복귀하면서 레버샤프트(210)와 상부볼커버(240)가 상승하게 되고, 상부볼커버(240)의 고정볼(260)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져 고정볼(260)이 1차 이동샤프트(310)의 걸림홈(313)에 삽입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1차 신장폴대(300)를 잡아 당기거나 힘을 가해도 더 이상 당겨지거나 신장되지 않고 잠금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하부볼커버(330)도 위로 상승하여 하부볼커버(330)의 고정볼(350)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져 고정볼(350)이 2차 이동샤프트(410)의 걸림홈(411)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회전너트(N)를 회전시키면 회전너트(N)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회전너트(N)가 인출되어 있는 1차 신장폴대(300)와 2차 신장폴대(400)를 가압하여 조임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잠금버튼(130)의 조작편(132)을 "LOCK"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하여 잠금버튼(130)의 단속편(133)도 회전하여 잠금편(122)이 단속되어 누름버튼(120)에 대한 잠금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등산용 스틱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다시 접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잠금버튼(130)의 조작편(132)을 "OPEN"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버튼(130)의 개방홀(133a)이 잠금편(122)의 직하에 오도록 하여 누름버튼(120)을 오픈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회전너트(N)를 회전시켜 회전너트(26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누름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1차 이동샤프트(310)와 2차 이동샤프트(41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고, 이때 길이 조절 장치의 하단을 눌러 신장되었던 상부 신장스프링(230)과 하부 신장스프링(320)을 압축시켜 1차 신장폴대(300)와 2차 신장폴대(400)를 메인폴대(200)의 내부로 인입시킨 후, 누름버튼(120)의 누름 작용을 해제하여 누름버튼(120)을 위로 복귀시켜 다시 잠금 작동시키고 회전너트(N)를 회전시켜 결합구(P)와 결합 고정시킨다.
아울러, 길이가 조절된 길이 조절 장치를 지면에 대고 사용시 안티쇽스프링(434)이 기능하여 안티쇽스프링(434)의 힘에 의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길이 조절 장치가 지면에 작용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누름버튼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상·하부에 각각 원호 형상의 고정볼이 개재된 볼커버와 볼바디를 설치하여 1·2차 신장폴대에 대한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잠금력이 증가하며, 안티쇽스프링의 작용으로 길이 조절시 지면에 대해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용되고, 또한 하나의 누름버튼 조작만으로 상·하부 신장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적은 힘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며,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작동되고,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장치를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여러가지 사용환경에서 신속히 대응하여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종래기술
1. 지침부 2. 길이조절수단
2a. 상측폴대 2b. 너트
2c. 하측폴대 3. 경음기
3a. 누름부 4. 야광띠
5. 손잡이
*본 발명
100. 헤드 105. 연결볼트
110. 캡 111. 상부 설치홈
112. 하부 설치홈 113. 인출공
114. 웨빙홈 115. 결합볼트
116. 체결부 120. 누름버튼
121. 누름편 121a. 누름공
122. 잠금편 130. 잠금버튼
131. 연결홀 132. 조작편
133. 단속편 133a. 개방홀
140. 웨빙스트랩 141. 스트랩끈
142. 조절부 200. 메인폴대
210. 레버샤프트 211. 이동홀
212. 연결편 213. 누름대
220. 고정샤프트 221. 이동홀
222. 핀고정대 222a. 핀홀
223. 고정핀 230. 상부 신장스프링
240. 상부볼커버 241. 내주면
250. 상부볼바디 251. 외주면
252. 고정홀 260. 고정볼
270. 리턴스프링 300. 1차 신장폴대
310. 1차 이동샤프트 311. 핀홀
312. 이동핀 313. 걸림홈
320. 하부 신장스프링 330. 하부볼커버
331. 내주면 340. 하부볼바디
341. 외주면 342. 고정홀
350. 고정볼 360. 리턴스프링
400. 2차 신장폴대 410. 2차 이동샤프트
411. 걸림홈 412. 스토퍼
420. 지지홀더 421. 하단홀
430. 지지샤프트 431. 삽입홀
432. 핀홀 433. 고정핀
434. 안티쇽스프링 500. 지지부
510. 지지팩 520. 지지윙
521. 지지날개 530. 지지패드
531. 지지돌기 532. 지지홈
P. 결합구 N. 회전너트

Claims (8)

  1. 외곽을 구성하는 캡과, 캡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장공 형상의 누름공이 형성된 누름편과 하측으로 연장된 잠금편이 각각 구비된 누름버튼과, 누름편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잠금 또는 오픈 작동되도록 하는 잠금버튼을 포함하는 헤드;
    캡과 체결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누름버튼과 연결되어 누름버튼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된 레버샤프트와, 레버샤프트에 내장되고 상단부가 캡에 삽입되어 고정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누름공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된 고정샤프트와, 레버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상부 신장스프링과, 레버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함께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상부볼커버와, 고정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상부볼바디를 포함하는 메인폴대;
    메인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되,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형성된 핀홀에 이동핀이 결합되어 레버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이동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되는 1차 이동샤프트와, 1차 이동샤프트의 외측에 내장 설치된 하부 신장스프링과, 1차 이동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외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볼이 장착된 하부볼바디와, 하부볼바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부볼커버의 푸쉬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고정볼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하측으로 내경이 점점 축소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 하부볼커버를 포함하는 1차 신장폴대; 및
    1차 신장폴대의 내외로 인출입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부볼바디에 장착된 고정볼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되는 2차 이동샤프트를 구비한 2차 신장폴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캡은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상부 설치홈과, 고정샤프트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 설치홈과,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폴대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일측에 형성되어 잠금버튼의 일단부가 인출되는 인출공과, 일측에 형성되어 웨빙스트랩이 결합되는 웨빙홈을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웨빙스트랩은 양측의 스트랩끈에 각각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형성되어 스틱을 잡은 손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길이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볼커버와 상부볼바디의 사이 및 하부볼커버와 하부볼바디의 사이에 각각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홈과 고정볼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1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할 수 있고,
    1차 신장폴대는 하단부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결합구의 외측에 하부가 하측으로 테이퍼진 회전너트가 연결되며 회전너트를 회전시키면 가압에 의하여 인출된 2차 신장폴대를 조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2차 신장폴대는 2차 이동샤프트의 상단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2차 신장폴대가 인출된 후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2차 신장폴대는 2차 이동샤프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장공 형상의 하단홀이 형성된 지지홀더와, 상부의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홀에 안티쇽스프링이 설치되며 삽입홀에 지지홀더가 삽입되어 안티쇽스프링 상에 완충 지지되고 고정핀이 핀홀을 관통하여 하단홀에 고정 결합된 지지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
KR1020160097178A 2016-07-29 2016-07-29 길이 조절 장치 KR10172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78A KR101720123B1 (ko) 2016-07-29 2016-07-29 길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78A KR101720123B1 (ko) 2016-07-29 2016-07-29 길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123B1 true KR101720123B1 (ko) 2017-03-27

Family

ID=5849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78A KR101720123B1 (ko) 2016-07-29 2016-07-29 길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05B1 (ko) * 2018-02-01 2019-07-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 전개가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48Y1 (ko) 2000-09-14 2001-04-02 이학선 스틱
JP2004154434A (ja) * 2002-11-07 2004-06-03 Aiwa Sangyo Kk 杖の取手構造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30000098U (ko) * 2011-06-23 2013-01-03 조학도 길이 신축을 용이하게 한 알루미늄스틱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101366722B1 (ko) * 2013-09-04 2014-02-25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48Y1 (ko) 2000-09-14 2001-04-02 이학선 스틱
JP2004154434A (ja) * 2002-11-07 2004-06-03 Aiwa Sangyo Kk 杖の取手構造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30000098U (ko) * 2011-06-23 2013-01-03 조학도 길이 신축을 용이하게 한 알루미늄스틱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101366722B1 (ko) * 2013-09-04 2014-02-25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05B1 (ko) * 2018-02-01 2019-07-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 전개가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192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720123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8365747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US6128806A (en) Assembly of expandable pull rods of luggage
KR101801650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US6810894B2 (en) Automatic folding umbrella
KR101573440B1 (ko) 자동으로 펼쳐지는 지지체
RU2466668C1 (ru)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онт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бираемым центральным стержнем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200027893A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850970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CN109963479B (zh)
US6561205B1 (en) Control mechanism for folding jump umbrellas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KR101791655B1 (ko) 헬멧용 버클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KR970009876B1 (ko) 전자동식 우산
EP0979623B1 (en) Automatic spreading umbrella
KR200403383Y1 (ko)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KR20220102772A (ko) 환봉의 길이 조절장치
KR101289940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