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042B1 -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042B1
KR101160042B1 KR1020100045777A KR20100045777A KR101160042B1 KR 101160042 B1 KR101160042 B1 KR 101160042B1 KR 1020100045777 A KR1020100045777 A KR 1020100045777A KR 20100045777 A KR20100045777 A KR 20100045777A KR 101160042 B1 KR101160042 B1 KR 10116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utton
cane
sp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224A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102010004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04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상측의 제1관체 및 하측의 제2관체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상기 제2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관체에 형성되는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관체와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하다.

Description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Button Type Stick with Shock Asorber}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지팡이에 가해진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것을 차단하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버튼형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등산객이나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지팡이가 이용되고 있다. 노약자나 등산객은 지팡이를 땅에 짚어 체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지팡이를 이용하지 않을 때보다 더 편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지팡이에 체중을 싣고 보행하다 보면, 지팡이에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고, 이러한 충격은 사용자의 손목에 그대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쉬이 피로해지거나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버튼형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상측의 제1관체 및 하측의 제2관체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상기 제2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관체에 형성되는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관체와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1관체에는, 상기 제1관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버튼공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 체결되면 상기 버튼의 단부가 상기 제1관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잠금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버튼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관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버튼공이며,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이 체결되면 상기 버튼의 단부가 상기 제1관체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체는 상기 제1관체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버튼이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코일형 스프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핀이 상기 장공을 관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는, 지팡이를 지면이 짚었을 때 지팡이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충격흡수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의 결합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잠금부가 제1관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가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는 서로 조립 분리 가능한 복수의 관체(101, 102, 103, 10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관체(101)를 제1관체로 지칭하고, 제1관체(101)에 결합되는 관체(102)를 제2관체로 지칭한다. 다만, 제1관체 및 제2관체는 반드시 관체(101) 및 관체(102) 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지팡이(10)를 구성하는 관체 중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임의의 두 관체가 각각 본 명세서에서의 제1관체 및 제2관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측"은 지팡이의 손잡이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하측"은 "상측"의 길이방향의 반대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상단"은 상측 방향의 단부를 의미하며, 용어 "하단"은 "상단"의 반대편 쪽 단부를 의미한다.
제1관체(101)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부재(11)에 결합된다. 제2관체(102)는 제1관체(101)의 하단에서부터 제1관체(101) 내부에 삽입되어 제1관체(101)와 연결된다(도 3 및 도 6 참조).
제1관체(101) 내부로 삽입되는 제2관체(102)의 상단에는 충격흡수장치(200)가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200)는 관체(101)를 제외한 관체(102, 103, 104)들에 모두 결합되어 있으나, 일부 관체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충격흡수장치(20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200)는 제2관체(102)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부(202), 상기 연결부(202)의 상측에 배치되는 잠금부(201) 및, 잠금부(201)와 연결부(202) 사이에 배치되어 잠금부(201)와 연결부(202)를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잠금부(201)는 버튼(220)을 구비하는 몸체(211)와, 몸체(21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샤프트(212)를 포함한다. 샤프트(212)에는 코일형 스프링(240)이 결합된다.
버튼(220)은 몸체(211)의 상하 방향에 하나씩 구비된다. 버튼(220)은 몸체(211)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몸체(211) 내부로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머리부는 몸체(211)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버튼(220)의 내부에는 스프링(221)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220)을 눌러 힘을 가하면 버튼(220)은 몸체(211)의 내부 방향으로 압지되었다가,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2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연결부(202)는 잠금부(201)의 샤프트(21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30)을 구비한다. 하우징(230)에는 장공(232)이 샤프트(21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212)에는 상기 장공(232)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핀(2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핀(213)은 장공(23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202)는 잠금부(201)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고 샤프트(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202)의 상단부를 이루는 하우징(230)에 스프링 수용홈(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수용홈(231) 내부에는 샤프트(212)와 스프링(240)이 수용된다. 스프링(240)의 상단은 잠금부(201)의 몸체(211)의 하단에 지지되며, 스프링(240)의 하단은 수용홈(231) 내에 수용되어 연결부(202)의 상단에 지지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의 결합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200)가 결합된 제2관체(102)의 상단이 제1관체(101)의 중공(110) 내부에 삽입되어 제2관체(102)가 제1관체(101)와 연결된다.
제1관체(101)에는 버튼(220)이 체결 가능한 체결부인 버튼공(111)이 그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충격흡수장치(200)의 잠금부(201)에 형성된 버튼(220)은 버튼공(111)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버튼(220)이 버튼공(111)에 체결되었을 때 버튼(220)은 버튼공(220)을 통해 제1 관체(101)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제1관체(101)에 대해서 충격흡수장치(200)의 잠금부(201)가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어, 제2관체(102)를 일정 위치에서 제1관체(101)와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충격흡수부재(200)에 의한 충격흡수 원리를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a 및 4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로 도시되었다.
사용자가 지팡이(10)를 땅에 짚으면 지면으로부터 제2관체(102)에 도 4a의 상측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체(102)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관체(102)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202) 역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결부(202)와 잠금부(201)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240)이 그 힘에 의해 압축되면서, 제2 관체(102)에 가해진 충격은 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상쇄되어 잠금부(201)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면에서 가해진 충격이 제1관체(101)로 전달되지 않으며, 제1관체(101)에 연결된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에게도 충격이 전해지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는 버튼(220)을 버튼공(111)으로부터 잠금해제하여, 잠금부(201)가 제1관체(101)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잠금부(201)가 제1관체(10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버튼(220)에 힘을 가해 누른 후, 제2관체(102)를 제1관체(101)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버튼(220)을 제1관체(101)의 버튼공(111)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버튼(220)이 버튼공(111)으로부터 분리되면, 제2관체(102)는 제1관체(101) 내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관체(102)를 제1관체(101) 내부로 밀어 넣어 지팡이(10)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의 길이가 최대로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체(102)를 제1관체(101) 내부로 깊숙히 밀어 넣으면 지팡이(10) 길이가 수축되어 보관과 휴대가 간편해진다. 이와 반대로, 제2관체(102)를 반대 방향으로 빼내면, 지팡이(10)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으며(도 3 참조), 제2관체(102)를 제1관체(101)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낼 수도 있다(도 1 참조).
제2관체(10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잠금부(220)의 버튼(220)의 위치를 버튼공(111)의 위치와 일치시키면, 버튼(220) 내부의 스프링(2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버튼(220)이 버튼공(111)에 체결되고, 잠금부(220)는 다시 제1관체(101)에 고정된다.
10: 지팡이 11: 손잡이 부재
101, 102, 103, 104: 관체 111: 버튼공
200: 충격흡수장치 201: 잠금부
202: 연결부 211: 몸체
212: 샤프트 213: 핀
220: 버튼 230: 하우징
231: 스프링 수용홈 232: 장공
240: 스프링

Claims (6)

  1.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상측의 제1관체 및 하측의 제2관체를 포함하는 지팡이로서,
    상기 제2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와 상기 연결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관체에 형성되는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 체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관체와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버튼이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공은 상기 제1관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 체결되면 상기 버튼의 단부가 상기 제1관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체는 상기 제1관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핀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KR1020100045777A 2010-05-17 2010-05-17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KR10116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777A KR101160042B1 (ko) 2010-05-17 2010-05-17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777A KR101160042B1 (ko) 2010-05-17 2010-05-17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24A KR20110126224A (ko) 2011-11-23
KR101160042B1 true KR101160042B1 (ko) 2012-06-26

Family

ID=4539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777A KR101160042B1 (ko) 2010-05-17 2010-05-17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482B1 (ko) * 2011-05-13 2013-01-04 라제건 회전형 지팡이
WO2016174571A1 (en) * 2015-04-29 2016-11-03 Gabel S.R.L. Unipersonale Locking device for extensible poles
KR102149925B1 (ko) * 2019-05-07 2020-08-31 이정묵 코일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698Y1 (ko)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키프코 보행용 폴
JP2004148071A (ja) * 2002-10-29 2004-05-27 Ever New Inc 長さ調節自在な杖
KR200410124Y1 (ko) 2005-06-10 2006-03-07 김영보 지팡이
KR100937880B1 (ko) * 2009-10-21 2010-01-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내측연결관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071A (ja) * 2002-10-29 2004-05-27 Ever New Inc 長さ調節自在な杖
KR200341698Y1 (ko)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키프코 보행용 폴
KR200410124Y1 (ko) 2005-06-10 2006-03-07 김영보 지팡이
KR100937880B1 (ko) * 2009-10-21 2010-01-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내측연결관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24A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572B2 (en) Crutch assembly
KR200452439Y1 (ko) 지팡이
KR101218482B1 (ko) 회전형 지팡이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7856802B2 (en) Combined golf ball retriever and retractable sand rake
US20100254751A1 (en) Telescoping pole system
KR101160042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EP2999373B1 (en) Equipment for use when sitting and when walking, skiing or the like
KR101100968B1 (ko) 길이 조절형 지팡이
US20140053887A1 (en) Handle Actuated Length-Adjustable Cane
US20110073146A1 (en) Removable shock absorbing tip for a walking aid
KR200465544Y1 (ko) 레저용 다단식 스틱
CN105310866A (zh) 一种多功能腋拐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US20130061894A1 (en) Ferrule for Ambulatory Aids
JP3211443U (ja) ロフストランドクラッチ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20140102917A (ko) 워킹 스틱
KR100984570B1 (ko) 충격흡수기를 구비한 지팡이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195834B1 (ko)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TWM538728U (zh) 折收杖結構
JP5890590B2 (ja) 筋力強化杖
KR20090000251U (ko) 보조발이 구비된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