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834B1 -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834B1
KR101195834B1 KR1020100062435A KR20100062435A KR101195834B1 KR 101195834 B1 KR101195834 B1 KR 101195834B1 KR 1020100062435 A KR1020100062435 A KR 1020100062435A KR 20100062435 A KR20100062435 A KR 20100062435A KR 101195834 B1 KR101195834 B1 KR 10119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stopper
working shaft
hole
connec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846A (ko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는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조립위치가 잠금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있어서, 축상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제2연결관을 연결하며,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잠금부재 또는 제2연결관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작용축; 및, 상기 작용축의 돌출턱과 제2연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축방향의 압축력 인가시 압축되면서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가 제1연결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Stopper for assemblable walking stick}
본 발명은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부재의 고정력보다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지팡이의 길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용 또는 환자의 보행 보조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팡이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관들이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의 지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팡이는, 손잡이(2)와, 몸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연결관들(4,5,6)과, 지면에 접촉하는 선단부(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들(4,5,6)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관(제1연결관)(4)의 하단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관(제2연결관)(5)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연결관(제3연결관)(6)의 상단에는 상기 제2연결관(5)의 하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연결관(5)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지팡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관(4)의 상단에는 손잡이(2)가 결합되며, 제3연결관(6)의 하단에는 선단부(8)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들(6,8,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의 결합 부위에는 한 쌍의 잠금장치(100,1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들(100,100')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연결관(4)과 제2연결관(5)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장치(100)는, 제2연결관(5)의 상단에 고정되는 체결부재(110)와, 제1연결관(4)의 내부에 삽입되는 잠금부재(120)를 구비한다.
체결부재(110)는, 제 2연결관(5)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부(114)와, 이 삽입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16)와, 플랜지부(11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나사부(118)와, 나사부(118)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경사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114)는 제2연결관(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116)는 제2연결관(5)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10)는 플랜지부(116)에 의하여 제2연결관(5)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2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개의 분할편(121)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120)의 중심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나사구멍(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구멍(128)의 상부에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되어 있다.
한편, 잠금부재(120)는 그 외경이 제1연결관(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부재(120)가 제1연결관(4)의 하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부재(120)의 외주면과 제1연결관(4)의 내주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잠금부재(120)가 제1연결관(4) 내부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지팡이(2)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관(5)의 상단에 체결부재(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부(118)를 잠금부재(120)의 나사구멍(128)에 소정 길이만큼 체결한 다음, 잠금부재(120)를 제1연결관(4)의 하단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2연결관(5)을 회전시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쐐기(110)는 제2연결관(2)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체결부재(110)의 나사부(118)는 나사구멍(128)에 체결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부(118)가 나사구멍(128)을 따라 상승하면, 나사부(118) 상단의 경사부(112)가 잠금부재(120)의 경사면(122)과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연결관(5)을 더 회전시키면, 고정쐐기(110)의 경사부(118)가 잠금부재(120)의 경사면(122)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더 상승하게 되어, 잠금부재(120)의 상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분할편(121)들은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1연결관(4)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분할편(121)의 외주면과 제1연결관(4)의 내주면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제1연결관(4)과 제2연결관(5)의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제1연결관(4)과 제2연결관(5)의 결합이 완료되면, 또 다른 잠금장치(100')를 이용하여 제2연결관(5)과 제3연결관(6)을 결합함으로써, 지팡이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지팡이의 잠금장치(100)는, 잠금부재(120)의 분할편(121)들이, 체결부재(110) 선단의 경사부(112)의 상승력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1연결관(4)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사용자가 연결관을 회전시키는 힘에 비례하여 고정력이 설정되므로, 여성이나 노약자가 고정하는 경우, 고정력이 쉽게 해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팡이를 짚을 때마다 지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하여, 제2연결관(5)이 제1연결관(4)의 내측으로 조금씩 밀려들어가거나, 잠금부재(120)의 고정력보다 큰 반발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잠금부재(120)가 제1연결관(4)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지팡이의 길이가 갑자기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잠금부재(120)와 제1연결관(4)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체결부재(110)의 조임력을 증대시키면, 제1연결관(4)과 제2연결관(5)을 분해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1연결관(4)의 내주면에 잠금부재(120)의 분할편(121)들이 강하게 밀착되면서 제1연결관(4)이 확관되므로, 지팡이가 다단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연결관들의 길이조절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2연결관(5)과 잠금부재(120)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압축과정에서 완충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스프링이 탄성복원하는 과정에서 반발력이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꿈치 등의 관절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스프링의 사용시 빗물이나 수분 등에 의해 부식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금속간의 접촉에 의한 소음 등 사용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관들의 사이에서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잠금부재의 고정력보다 큰 반발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연결관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반발력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강한 반발력에도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완충기능과 함께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조립위치가 잠금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있어서,
축상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제2연결관을 연결하며,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잠금부재 또는 제2연결관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작용축; 및,
상기 작용축의 돌출턱과 제2연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축방향의 압축력 인가시 압축되면서 외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가 제1연결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접촉부들의 사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들은 각각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축과 제2연결관 중 어느 하나는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작용축과 제2연결관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연결관의 단부 테두리에 간섭되는 돌출턱부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축이 삽입되는 수용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축과 인서트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작용축과 인서트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들의 사이에서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체결부재의 고정력보다 큰 반발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연결관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또한, 반발력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강한 반발력에도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완충기능과 함께 마찰력에 의한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지팡이의 분해사시도,
도 2a, 도 2b는 종래의 조립식 지팡이의 작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는 중공의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A)과, 상기 제1연결관(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결관(B)과, 상기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삽입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재(C)를 포함하는 조립식 지팡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연결관(B)과 잠금부재(C)를 연결하는 작용축(10)과, 상기 제2연결관(B)의 단부에 조립되는 인서트부재(30)와, 상기 작용축(10)과 인서트부재(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작용축(10)과 인서트부재(30)를 연결하는 연결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용축(10)은 상단부가 상기 잠금부재(C)에 조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인서트부재(30)에 조립되어 상기 잠금부재(C)와 인서트부재(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부재(C)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축상에 돌출턱(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수지계열의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상기 잠금부재(C)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작용축(10)의 돌출턱(11)과 제2연결관(B)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축방향으로 상기 작용축(10)이 관통삽입되는 통공(21)이 형성되고, 축방향의 압축력 인가시 압축되면서 외주면이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접촉부(22)가 두 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22)들의 사이에 각각 오목홈(23)이 형성된다. 특히, 인가되는 압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22)의 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두개 이상의 접촉부(22)들은 각각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접촉부(22)가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제1접촉부 내지 제4접촉부(22a,22b,22c,22d)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팡이의 사용목적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서트부재(30)는 상기 제2연결관(B)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연결관(B)의 단부 테두리에 간섭되는 돌출턱부(32)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축(10)이 삽입되는 수용홀(33)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장공(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40)은 상기 인서트부재(30)의 장공(34)을 통해 작용축(10)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용축(10)과 인서트부재(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핀(40)에 의해 상기 작용축(10)은 장공(34)의 길이만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인서트부재(30)에 조립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작용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용축(10)의 상단부에 잠금부재(C)가 결합되고, 작용축(10)의 하단부가 고정부재(20)의 통공(21)을 관통하여 인서트부재(30)의 수용홀(33)에 삽입된 다음, 인서트부재(30)의 장공(34)으로 삽입되는 연결핀(40)이 작용축(10)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0)가 작용축(10)의 돌출턱(11)과 인서트부재(3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작용축(10)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된 연결핀(40)이 인서트부재(30)의 장공(3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작용축(10)과 인서트부재(30)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작용축(10)과 인서트부재(3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인서트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턱부(32)가 제2연결관(B)의 단부 테두리에 간섭되도록 인서트부재(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부(31)를 제2연결관(B)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작용축(10)의 상단부에 조립된 잠금부재(C)를 제1연결관(A)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제1연결관(A)의 내측으로 제2연결관(B)의 일부를 삽입하여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을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을 고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용축(10)의 상단부에 조립된 잠금부재(C)가 확장하면서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길이가 고정되고, 반대로 고정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부재(C)가 수축하면서 고정력이 해제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C)를 확장시켜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을 고정한 상태에서 지팡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지팡이를 바닥에 짚을 때마다 바닥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하여,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사이에 압축력이 인가된다.
즉, 제2연결관(B)이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중에 제1연결관(A)에 가해지면,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된 잠금부재(C)와 작용축(10)은 제1연결관(A)과 함께 하강하므로, 작용축(10)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된 연결핀(40)이 인서트부재(30)의 장공(34)의 상부영역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부재(30)와 작용축(10)의 돌출턱(11) 사이거리가 좁혀지게 되면, 작용축(10)과 돌출턱(11) 사이에 개재된 고정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접촉부(22)의 직경이 확대되어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밀착력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사이에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작용축(10)의 돌출턱(11)과 인서트부재(30)의 사이에 개재된 고정부재(20)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따라 압축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이때,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접촉부(22)가 직경에 따라 제1접촉부 내지 제4접촉부(22a,22b,22c,22d)로 구성됨에 따라 직경이 가장 큰 제1접촉부(22a)는 작은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되고, 직경이 가장 작은 제4접촉부(22d)는 큰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제2접촉부(22b)와 제3접촉부(22c)는 상기 제1접촉부(22a)와 제4접촉부(22d)가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압축력의 사이영역에서 압축력의 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압축력에 상응하는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압축력이 인가되어 마찰력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직경이 큰 접촉부(22a,22b)들만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고, 직경이 작은 나머지 스토퍼들은 완충기능을 수행하므로, 일반적인 산행 등의 사용시에는 우수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도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6참조)
또한, 사용자가 균형을 잃는 등의 위험한 상황에서 지팡이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과 같이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사이에 강한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20)가 강하게 압축되면서 제1접촉부(22) 내지 제4접촉부(22)가 모두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하면서 압축력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제공되므로, 지팡이의 길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참조)
상기와 같이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고정부재(20)가 흡수하는 것과 동시에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제1연결관(A)과 제2연결관(B)의 설정길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인가되는 압축력이 잠금부재(C)로 전달되지 않고 고정부재(20)에서 흡수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여성이나 노약자가 잠금부재(C)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력이 다소 약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도 지팡이의 사용중에 잠금부재(C)의 고정력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고정부재(20)에 다수 마련되는 접촉부(22)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23)은 고정부재(20)의 접촉부(22)들 사이에서 압축력이 효과적으로 고정부재(20)의 변형에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것과 동시에 쿠션의 기능을 제공하므로 완충효과가 향상되며, 각각의 접촉부(22)들이 분리된 상태로 압축력에 따라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게 되므로 고정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간단한 구성으로 완충기능과 함께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고정부재가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과정에서 구성요소간의 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는 제1실시예에서 나타난 인서트부재(30)가 생략된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제2연결관(B')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장공(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연결관(B')의 단부 내측으로 작용축(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관(B')의 장공(34')을 통해 작용축(10)의 관통공(12)으로 연결핀(40)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용축(10)이 제2연결관(B')과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용축(10)의 돌출턱(11)과 제2연결관(B')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0)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축력 인가에 의해 압축되면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접촉부(22)들이 제1연결관(A)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작용축, 11:돌출턱, 12:관통공, 20:고정부재, 21:통공, 22:접촉부,
23:오목홈, 30:인서트부재, 31:삽입부, 32:돌출턱부, 33:수용홀, 34:장공,
40:연결핀, A:제1연결관, B:제2연결관, C:잠금부재

Claims (7)

  1. 삭제
  2.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조립위치가 잠금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에 있어서,
    축상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와 제2연결관을 연결하며,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잠금부재 또는 제2연결관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작용축; 및,
    상기 작용축의 돌출턱과 제2연결관 사이에 배치되어 축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외주면이 제1연결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접촉부가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접촉부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축방향 압축력에 비례하여 제1연결관과의 접촉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접촉부들의 사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축과 제2연결관 중 어느 하나는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작용축과 제2연결관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연결관의 단부 테두리에 간섭되는 돌출턱부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축이 삽입되는 수용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축과 인서트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에 의해 작용축과 인서트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KR1020100062435A 2010-06-30 2010-06-30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KR10119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435A KR101195834B1 (ko) 2010-06-30 2010-06-30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435A KR101195834B1 (ko) 2010-06-30 2010-06-30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46A KR20120001846A (ko) 2012-01-05
KR101195834B1 true KR101195834B1 (ko) 2012-11-05

Family

ID=4560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435A KR101195834B1 (ko) 2010-06-30 2010-06-30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027B1 (ko) * 2011-05-03 2013-01-30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용 잠금장치
CN107223028B (zh) * 2015-02-13 2019-10-18 雷克体育公众有限公司 具有尖部弹簧装置的手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526A (ja) 1998-05-14 1999-11-24 Aiwa Sangyo Kk 杖の無段階長さ調節装置
JP2001137024A (ja) 1999-11-15 2001-05-22 Aiwa Sangyo Kk
KR100675098B1 (ko) * 2006-11-09 2007-01-30 오성듀랄루민(주) 다단식 지팡이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526A (ja) 1998-05-14 1999-11-24 Aiwa Sangyo Kk 杖の無段階長さ調節装置
JP2001137024A (ja) 1999-11-15 2001-05-22 Aiwa Sangyo Kk
KR100675098B1 (ko) * 2006-11-09 2007-01-30 오성듀랄루민(주) 다단식 지팡이의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46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3256B2 (ja) 歩行補助具
KR100768638B1 (ko) 스틱 연결구
US7228766B1 (en) Detachable cross wrench
KR101028165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218482B1 (ko) 회전형 지팡이
KR101100968B1 (ko) 길이 조절형 지팡이
KR101733420B1 (ko) 충격 흡수 기능이 구비된 목발
US20130125943A1 (en) Ambulatory aid
KR101195834B1 (ko) 조립식 지팡이용 스토퍼
US20110073146A1 (en) Removable shock absorbing tip for a walking aid
KR200465544Y1 (ko) 레저용 다단식 스틱
KR101228027B1 (ko) 다단식 지팡이용 잠금장치
JP2010029357A (ja) 連結金具及び歩行用ストック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US9131754B2 (en) Force absorbing device
KR100675098B1 (ko) 다단식 지팡이의 완충장치
KR101160042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버튼형 지팡이
TWM564374U (zh) Simple assembled cane suspension structure
KR20120031631A (ko) 등산용 지팡이 완충장치
US20150335111A1 (en) Pole intended to be used as training equipment during walking
KR100984570B1 (ko) 충격흡수기를 구비한 지팡이
JP5890590B2 (ja) 筋力強化杖
KR200454589Y1 (ko) 흔들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지팡이
KR101579010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팡이
JP2008106885A (ja) 伸縮自在な棒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