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20U -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20U
KR20110006520U KR2020090016690U KR20090016690U KR20110006520U KR 20110006520 U KR20110006520 U KR 20110006520U KR 2020090016690 U KR2020090016690 U KR 2020090016690U KR 20090016690 U KR20090016690 U KR 20090016690U KR 20110006520 U KR20110006520 U KR 201100065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screw
stick
pipe
climb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오
Original Assignee
박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오 filed Critical 박연오
Priority to KR2020090016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520U/ko
Publication of KR20110006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이상적인 길이로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 하중을 최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불사용시 전길이를 최소한으로 변형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며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상부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바디(11)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11)의 하측 내부로 출입로(12)가 형성되는 그립(1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21)와 바디(2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2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2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24)이 형성된 조임구(23)와, 수나사(2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2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2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26)와, 바디(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27)로 구성되는 제 1 파이프(2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31)와 바디(3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3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3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34)이 형성된 조임구(33)와, 수나사(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3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3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36)와, 바디(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37) 및 하부지지체(38)로 구성되는 제 2 파이프(30)로 이루어 져 사용시 뿐만 아니라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변형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부합하도록 탄력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도록 하여 효용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스틱, 지팡이, 등산용 스틱, 길이조절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 Stick for climbing a mountain length adjustable }
본 고안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이상적인 길이로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 하중을 최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불사용시 전길이를 최소한으로 변형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며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틱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스포츠방면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골프클럽, 스키폴, 등산용 지팡이 등의 형태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로 재현되는 스포츠용 지팡이 중 가장 수요가 많은 등산용 지팡이는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며, 산행가들에게는 산행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그 수요가 많으며, 또한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 이 계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상기 등산용 스틱은 종래에는 스틱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장 및 여타 신체조건에 따라 유동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여 사용에 불편함을 안겨 주었으며, 또한 신체의 하중을 최적으로 지지하지 못해 산행시 사용자의 체력이 많이 소모되는 등 등산용 보조기구로서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에 하나의 파이프 내에 다른 하나의 파이프가 출입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형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상기 등산용 스틱은 지지용 파이프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지지용 파이프의 하부로는 지지용 파이프에 비해 직경이 작은 파이프가 재반되는 이음부의 구성으로 결합 형성되어 지지용 파이프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다단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형 파이프 구성을 갖는 등산용 스틱은 스틱의 사용시에는 파이프 내부를 출입하는 다른 파이프의 삽입거리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불사용시에는 하나의 파이프에 다른 하나의 파이프의 전길이를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파이프 길이만큼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다단형 파이프 구성을 갖는 등산용 스틱은 하나의 이음부로 구성할 경우 불사용시 스틱의 축소가능한 길이에 제한이 있어 휴대성이 떨어져 불편함을 안겨주게 되며, 여러 이음부로 구성할 경우 이음부재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며 제품의 긴밀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부합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도록 하여 실용성이 증대되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상부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바디(11)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11)의 하측 내부로 출입로(12)가 형성되는 그립(1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21)와 바디(2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2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2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24)이 형성된 조임구(23)와, 수나사(2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2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2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26)와, 바디(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27)로 구성되는 제 1 파이프(2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31)와 바디(3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3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3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34)이 형성된 조임구(33)와, 수나사(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3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3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36)와, 바디(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37) 및 하부지지체(38)로 구성되는 제 2 파이프(30)로 이루어 져 사용시 뿐만 아니라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변형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부합하도록 탄력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도록 하여 효용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이상적인 길이로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 하중을 최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불사용시 전길이를 최소한으로 변형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높이며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불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일부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상부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바디(11)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11)의 하측 내부로 출입로(12)가 형성되는 그립(1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21)와 바디(2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2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2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24)이 형성된 조임구(23)와, 수나사(2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2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2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26)와, 바디(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27)로 구성되는 제 1 파이프(2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31)와 바디(3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3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3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34)이 형성된 조임구(33)와, 수나사(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3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3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36)와, 바디(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37) 및 하부지지체(38)로 구성되는 제 2 파이프(30)로 이루어져 사용시 뿐만 아니라 불사용시에도 최적화된 길이로 변형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등산용 스틱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그립(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다수의 굴곡을 갖는 바디(11)가 형성되어 지는 바, 상기 굴곡부의 형성으로 사용자가 굴곡부의 핸들시 미끄러짐을 방지해주도록 하며, 또한 안정된 핸들감을 위해 쿠션재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그립 바디(11)의 내부는 비워진 상태로 출입로(12)를 형성하여 두는 바, 이는 후술하는 그립(10) 하부의 파이프의 출입을 위함이며, 또한, 상기 바디(11)의 하부로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의 이음구(13)가 마련되는 바, 이는 그립(10) 하부의 파이프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이로 그립(10)의 형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그립(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파이프(20)의 구성을 살펴보면, 길쭉한 봉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21)가 마련되되, 바디(21)의 직경은 그립(10) 의 출입로(12)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바디(21)가 출입로(12) 내를 출입하며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디(21)의 상단으로는 그립(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되는 바, 바디(21)의 상부로 수나사(22)와, 수나사(22)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하며 상승 및 하강하는 가압구(26)와, 가압구(26)의 상부에서 내부로 가압구(26)를 입출입시키면서 자전하는 조임구(23)가 상부로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나사(22)는 제 1 파이프(20)의 최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22)의 상부로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조임구(23)가 결합되되, 상기 조임구(23)는 자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상기 조임구(2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슬롯(24)이 형성되어져 후술하는 가압구의 돌출편(26a)이 끼워질 수 있게 하되, 상기 조임구(23)는 제 1 파이프(20)의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수나사(2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가압구(26)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태의 형상을 갖되,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또한, 개방되는 가압구(26)의 내부는 암나나산(26b)이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22)의 외주면에 치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구(26)의 외주면으로는 다수 개의 돌출편(26a)이 형성되는 바, 상기 돌출편(26a)은 조임구(23)의 슬롯(24)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슬롯(24)의 폭과 위치에 상응하는 두께 및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임구(23)의 슬롯(24)에 가압구(26)의 돌출편(26a)이 끼워지게 되면, 조임구(23)와 가압구(26)는 맞물려 동방향 동속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수나사(22)의 상부에 결합되어진 조임구(23)는 자전하고, 가압구(26)는 수나사(2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며, 타방향 회전시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파이프(20)의 하부로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의 이음구(27)가 마련되는 바, 이는 제 1 파이프(20) 하부의 제 2 파이프(3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이로 제 2 파이프(3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 1 파이프(20)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파이프(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1 파이프(20)의 구성과 대동소이한 형태를 취하는 바, 길쭉한 봉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31)가 마련되되, 바디(31)의 직경은 제 1 파이프(2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바디(31)가 제 1 파이프(20) 내부를 출입하며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디(31)의 상단으로는 제 1 파이프(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되는 바, 바디(31)의 상부로 수나사(32)와, 수나사(32)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하며 상승 및 하강하는 가압구(36)와, 가압구(36)의 상부에서 내부로 가압구(36)를 입출입시키면서 자전하는 조임구(33)가 상부로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나사(32)는 제 2 파이프(30)의 최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32)의 상부로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조임구(33)가 결합되되, 상기 조임구(33)는 자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상기 조임구(3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슬롯(34)이 형성되어져 후술하는 가압구의 돌출편(36a)이 끼워질 수 있게 하되, 상기 조임구(23)는 제 1 파이프(20)의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수나사(3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가압구(36)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태의 형상을 갖되,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또한, 개방되는 가압구(36)의 내부는 암나나산(36b)이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32)의 외주면에 치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구(36)의 외주면으로는 다수 개의 돌출편(36a)이 형성되는 바, 상기 돌출편(36a)은 조임구(33)의 슬롯(34)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슬롯(34)의 폭과 위치에 상응하는 두께 및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임구(33)의 슬롯(34)에 가압구(36)의 돌출편(36a)이 끼워지게 되면, 조임구(33)와 가압구(36)는 맞물려 동방향 동속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수나 사(32)의 상부에 결합되어진 조임구(33)는 자전하며, 가압구(36)는 수나사(3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며, 타방향 회전시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파이프(30)의 하부로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의 이음구(37)가 마련되며, 상기 이음구(37)의 하부로는 하부지지체(38)가 형성되는 바, 상기 하부지지체(38)는 사용시 지면에 닿아 전체 스틱과 사용자 신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지면에 맞닿는 최하부는 직경이 작고 첨예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하중전달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스틱의 결합구조 및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결합될 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 같은 형태를 취하는 바, 사용자가 사용시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제 1 파이프(20)에 출입하는 제 2 파이프(30)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최적화된 길이로 고정하면 되는데, 희망하는 스틱의 길이를 지정하면 제 2 파이프(3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파이프(20) 내부에 제 2 파이프(3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게 한다.
상기 제 2 파이프(30)의 회전시 제 2 파이프(30) 상단에 형성된 가압구(36)가 회전하여 수나사(32)를 타고 상승하게 되며, 이에, 상기 가압구(36)는 자전하는 조임구(3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상협하광의 구조를 갖는 가압구(36)가 조임구(33)의 내부에 깊숙이 삽입되게 되면, 조임구(33)가 벌어지게 되어 직경이 커지게 되며, 이에 제 1 파이프(20)의 내경과 조임구(33)의 직경이 동일하게 되면, 더 이상 상승 및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또한, 스틱의 불사용시에는 제 2 파이프(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이프 간 결합을 해제하게 되는데, 상기 제 2 파이프(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제 2 파이프(30) 상단에 형성된 가압구(36)가 회전하여 수나사(32)를 타고 하강하게 되며, 이에, 상기 가압구(36)는 하강하여 수나사(22) 하단의 걸림턱(25)까지 내려와 정지하게 되는데, 이 때 벌어져 있던 조임구(33)가 복구되어 원래의 직경을 유지하게 되면, 제 1 파이프(20) 내에서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제 2 파이프(30)를 제 1 파이프(20) 내로 최대한 밀어넣어 결합을 해제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구(33)가 벌어지게 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파이프(20) 또한 동일한 과정으로 그립(10)의 내부로 끝까지 밀어넣고,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면 스틱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되어 불사용시에도 휴대가 용이한 구성을 갖는 스틱이 재현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불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등산용 스틱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조립관계를 나타낸 일부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그립 11, 21, 31 : 바디(Body)
12 : 출입로 13, 27, 37 : 이음구
20 : 제 1 파이프 22, 32 : 수나사
23, 33 : 조임구 24, 34 : 슬롯
25, 35 : 걸림턱 26, 36 : 가압구
26a, 36a : 돌출편 26b, 36b : 암나사산
30 : 제 2 파이프 38 : 하부지지체

Claims (1)

  1.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상부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바디(11)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11)의 하측 내부로 출입로(12)가 형성되는 그립(1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21)와 바디(2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2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2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24)이 형성된 조임구(23)와, 수나사(2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2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2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26)와, 바디(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27)로 구성되는 제 1 파이프(20)과;
    길쭉한 봉 형태의 바디(31)와 바디(31)의 상부로 형성되는 수나사(32) 및 자전가능하도록 수나사(32)의 상부와 결합되되 다수의 슬롯(34)이 형성된 조임구(33)와, 수나사(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나사산(36b)을 내부에 구비하되 다수의 돌출편(36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협하관 형태의 가압구(36)와, 바디(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음구(37) 및 하부지지체(38)로 구성되는 제 2 파이프(30)로 이루어져 길이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등산용 스틱.
KR2020090016690U 2009-12-22 2009-12-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KR201100065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90U KR20110006520U (ko) 2009-12-22 2009-12-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90U KR20110006520U (ko) 2009-12-22 2009-12-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20U true KR20110006520U (ko) 2011-06-29

Family

ID=4929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690U KR20110006520U (ko) 2009-12-22 2009-12-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52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20170003171A (ko) 2015-06-30 2017-01-09 황순희 등산용 스틱
KR101702242B1 (ko) 2015-11-17 2017-02-02 안덕준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WO2017131398A1 (ko) * 2016-01-29 2017-08-03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WO201316218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Kyung-Won 등산용 스틱
KR20170003171A (ko) 2015-06-30 2017-01-09 황순희 등산용 스틱
KR101702242B1 (ko) 2015-11-17 2017-02-02 안덕준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WO2017131398A1 (ko) * 2016-01-29 2017-08-03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707B2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US9694236B2 (en) Stability and strength training device
US10092067B2 (en) Walking stick
US9352184B2 (en) Exercise system and kit
US8601724B2 (en) Golf shoes
KR20110006520U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EP2999373B1 (en) Equipment for use when sitting and when walking, skiing or the like
WO2010122527A2 (en) A heel for a shoe
KR101261783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7017936B2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for stroller or toy stroller
US7306550B2 (en) Annular fitness ball
KR101220229B1 (ko) 등산용 스틱
SE532108C2 (sv) Träningsanordning
US10118084B2 (en) Anti-fatigue grip for poles
KR20120031631A (ko) 등산용 지팡이 완충장치
US10507371B2 (en) Handle for a cognitive training device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comprising same
US20110251026A1 (en) Exercise pole
US11969079B2 (en) Hairbrush apparatus with detachable brush heads
TWM477270U (zh) 按摩滾筒構造
KR20160141006A (ko) 등산용 스틱
KR200467433Y1 (ko)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KR200459328Y1 (ko) 등산용 지팡이
US20110049844A1 (en) Skeleton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grip for baby stroller
ITTO20110818A1 (it) Attrezzatura convertibile di ausilio alla deambulazione.
KR200445529Y1 (ko) 골프 연습 기능을 갖는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