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33Y1 -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33Y1
KR200467433Y1 KR2020130002322U KR20130002322U KR200467433Y1 KR 200467433 Y1 KR200467433 Y1 KR 200467433Y1 KR 2020130002322 U KR2020130002322 U KR 2020130002322U KR 20130002322 U KR20130002322 U KR 20130002322U KR 200467433 Y1 KR200467433 Y1 KR 200467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unctional
handle
cane body
functiona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섭
임동호
Original Assignee
임동호
유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호, 유우섭 filed Critical 임동호
Priority to KR2020130002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33Y1/ko
Priority to PCT/KR2013/006295 priority patent/WO20141577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1Ski-sticks telescopic, e.g. for varying the length or for damping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4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CLIMBING STICK}
본 고안은,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기능성 손잡이들을 지팡이 몸체에 대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이나 야외 활동 시 가파른 언덕을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레저용 도구이다.
이러한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객이 산행을 할 때, 등산용 지팡이로 지면을 짚어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장시간의 산행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의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정신적 또는 육체적 건강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등산용 지팡이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등산 마니아 중에는 특히, 번잡한 시간을 피하고 여유를 즐기기 위하여 주로 저녁이나 새벽에 등산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저녁이나 새벽에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하게 되는 경우, 지면(등산로)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어 돌이나 나무뿌리 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
때문에 밤이나 새벽에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할 때는 조명기구나 혹은 조명수단이 부가된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조명수단이 부가된 등산용 지팡이의 경우, 밤에는 유용할 수 있으나 주로 등산객이 많은 오전이나 낮에는 필요치 않으며, 오히려 조명 부분의 손상이 가해질 수 있어 불편할 수 있다.
실제, 오전이나 낮에는 조명수단이 부가된 등산용 지팡이보다 남다른 패션 감각을 선보일 수 있거나 다양한 기능성이 부가된 등산용 지팡이의 필요성이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사람마다 혹은 시간별로 차이점이 있기는 하겠으나, 심플한 일반적인 등산용 지팡이가 필요한 경우, 조명수단이 부가된 등산용 지팡이가 필요한 경우, 기능성 또는 패션 감각을 위해 손잡이의 재질이나 색깔이 변화될 수 있는 지팡이가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형태의 등산용 지팡이가 상황에 따라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들을 모두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는 없다.
만약, 적어도 손잡이부 영역만큼이라도 지팡이 몸체에 대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용자마다 상이한 기호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으므로 종래와 다른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130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404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921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12767호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기능성 손잡이들을 지팡이 몸체에 대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터치 돌기;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원터치 돌기가 삽입되는 직선 구간부; 상기 직선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는 원주 구간부; 및 상기 원주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원주 구간부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핑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터치 돌기; 및 상기 원터치 돌기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되 상기 제2 바디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상기 제2 바디와 단차를 이루는 제3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돌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원터치 돌기가 삽입되는 경사 구간부; 상기 경사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 구간부; 및 상기 절취 구간부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는 볼 플랜지와, 상기 지팡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볼 플런저;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 플런저의 볼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볼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부 내에 형성되는 볼 홈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 후크;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후크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 유지되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손잡이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일 수 있으며, 상기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제1 손잡이 몸체; 및 상기 배터리 교체를 위해 상기 제1 손잡이 몸체에 대해 원터치(one touch) 결합방식으로 착탈되는 제2 손잡이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 몸체와 상기 제2 손잡이 몸체 사이의 원터치 결합방식은 상기 원터치 결합부와 동일한 방식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기능성 손잡이들을 지팡이 몸체에 대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형태의 기능성 손잡이들을 손쉽게 또한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등산 조건에 맞게 기능성 손잡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상이한 기호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어 등산 활동에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코르크 재질로 제작된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칼라풀한 색상을 갖는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원터치 결합부의 돌기수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코르크 재질로 제작된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칼라풀한 색상을 갖는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2의 지팡이 몸체에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2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원터치 결합부의 돌기수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는 지면을 짚어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지팡이 몸체(110), 기능성 손잡이(120), 그리고 원터치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지팡이 몸체(110)는 긴 막대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지팡이 몸체(110)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짚는 푸트(111)가 마련된다. 푸트(111)는 해당 위치에서 교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푸트(111)의 상부 영역에는 푸트(111)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푸트(111)의 지면에 대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커트(112)가 마련된다. 스커트(112)는 대략 우산 형태를 취한다.
스커트(112)의 상부에는 상호간 너트 형태로 조여지거나 풀어지면서 지팡이 몸체(11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한 쌍의 너트(113)가 마련된다.
기능성 손잡이(120)는 지팡이 몸체(110)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능성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그립핑(gripping)하는 그립부(121)와, 그립부(121)에셔 연장되어 지팡이 몸체(110)를 일정부분 덮는 넥크부(122)를 포함한다. 그립부(121)에는 홀(123)이 형성되어 고리나 줄 등을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넥크부(122)가 있는 기능성 손잡이(120)를 개시하였지만 넥크부(122)가 없는 기능성 손잡이(미도시)에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원터치 결합부(130)는 지팡이 몸체(110)와 기능성 손잡이(120)에 연결되어 기능성 손잡이(120)를 지팡이 몸체(110)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터치 결합부(130)가 단순 나사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단순 나사 방식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나사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되어 기능성 손잡이(120)의 교체가 쉽게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실시예의 경우, 아래와 같은 구조의 원터치 결합부(130)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원터치 결합부(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팡이 몸체(110)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원터치 돌기(140)와, 기능성 손잡이(120)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원터치 돌기(140)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돌기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돌기 수용부(150)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원터치 돌기(140)를 끼워 수용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돌기 수용부(150)에 원터치 돌기(140)가 잘 들어갈 수 있도록 원터치 돌기(140)와 돌기 수용부(150)는 각각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돌기 수용부(150)는, 지팡이 몸체(110)와 기능성 손잡이(120)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원터치 돌기(140)가 삽입되는 직선 구간부(151)와, 직선 구간부(151)가 끝나는 지점에서 기능성 손잡이(120)의 내벽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는 원주 구간부(152)와, 원주 구간부(152)가 끝나는 지점에서 원주 구간부(152)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원터치 돌기(140)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핑 홈부(153)를 포함한다.
이에, 지팡이 몸체(110)의 일단부에 기능성 손잡이(120)를 끼워 적당히 돌린 다음, 원터치 돌기(140)가 돌기 수용부(150)의 직선 구간부(151)에 배치되는 시점에 이르면 기능성 손잡이(120)를 지팡이 몸체(110)로 가압하여 원터치 돌기(140)가 돌기 수용부(150)의 직선 구간부(151)를 지나도록 한 다음, 기능성 손잡이(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터치 돌기(140)가 원주 구간부(152)를 지나 돌기 스토핑 홈부(153)에 수용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원터치 방식이 적용되면 지팡이 몸체(110)에 대해 기능성 손잡이(120)를 매우 손쉽게 결합시키거나 반대로 분리할 수 있어 도 2 내지 도 5처럼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손잡이(120,120a,120b,120c)들을 손쉽게, 또한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지팡이 몸체(110)에 코르크 재질로 제작된 기능성 손잡이(120a)가 결합된 상태, 도 4는 지팡이 몸체(110)에 칼라풀한 색상을 갖는 기능성 손잡이(120b)가 결합된 상태, 그리고 도 5는 지팡이 몸체(110)에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120c)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특히, 도 3의 경우에는 코르크 재질 외에도 플라스틱이나 고무, 지압돌기가 있는 재질 등 다양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기능성 손잡이(120c)의 경우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55258호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기능성 손잡이(120,120a,120b,120c)들을 지팡이 몸체(110)에 대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형태의 기능성 손잡이(120,120a,120b,120c)들을 손쉽게 또한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등산 조건에 맞게 기능성 손잡이(120,120a,120b,120c)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상이한 기호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어 등산 활동에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원터치 결합부(230)가 적용되어 기능성 손잡이(220)를 지팡이 몸체(210)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원터치 결합부(230)가 별도의 돌기 커넥터(250)를 더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원터치 결합부(230)는, 지팡이 몸체(210)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원터치 돌기(240)와, 기능성 손잡이(220)의 내부에 결합되는 돌기 커넥터(250)를 포함한다.
원터치 돌기(240) 역시 지팡이 몸체(210)의 외측에서 3개 마련됨에 따라 돌기 커넥터(250)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돌기 커넥터(250)는 원터치 돌기(240)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수용부(260)를 구비하는 제1 바디(251)와, 제1 바디(251)와 연결되되 제1 바디(251)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는 제2 바디(252)와, 제2 바디(252)와 연결되되 제2 바디(252)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제2 바디(252)와 단차를 이루는 제3 바디(253)를 포함한다.
제2 바디(252)는 나사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능성 손잡이(220)의 내부에도 제2 바디(252)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한다. 제3 바디(253)는 기능성 손잡이(220) 내에서 돌기 커넥터(250)의 위치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바디(251)에 마련되는 돌기 수용부(260)는, 원터치 돌기(240)가 삽입되는 경사 구간부(261)와, 경사 구간부(261)가 끝나는 지점에서 제1 바디(2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 구간부(262)와, 절취 구간부(262)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어 원터치 돌기(240)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퍼(263)를 포함한다.
이에, 돌기 커넥터(250)를 기능성 손잡이(220)의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팡이 몸체(210)의 일단부에 기능성 손잡이(220)를 끼워 적당히 돌린 다음, 원터치 돌기(240)가 돌기 수용부(260)의 경사 구간부(261)에 배치되는 시점에 이르면 기능성 손잡이(220)를 더 회전시킨다. 그러면 원터치 돌기(240)가 돌기 스토퍼(263)를 지나 절취 구간부(262)에 배치됨에 따라 기능성 손잡이(220)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원터치 결합부(330)가 적용되어 기능성 손잡이(320)를 지팡이 몸체(310)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원터치 결합부(330)는 볼 플런저(340)와, 볼 홈부(350)를 포함한다.
볼 플런저(340)는 지팡이 몸체(310)의 일단부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341)과, 볼(341)을 지지하는 볼 플랜지(342)와, 지팡이 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 플랜지(34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4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43)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되며, 계속해서 볼(341)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볼 홈부(350)는 기능성 손잡이(320)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볼 플런저(340)의 볼(341)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볼 홈부(350)는 볼(341)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부(35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볼 홈부(350)가 가이드 홈부(351)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부재(343)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볼(341)은 가이드 홈부(351)를 따라 자리를 찾아 이동되다가 볼 홈부(350) 내에 들어가 배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기능성 손잡이(320)의 원터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에서 원터치 결합부에 대한 구조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원터치 결합부(430)가 적용되어 기능성 손잡이(420)를 지팡이 몸체(410)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원터치 결합부(430)는, 지팡이 몸체(4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 후크(431)와, 기능성 손잡이(420)의 벽면에 형성되어 탄성 후크(431)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 유지되는 후크 걸림부(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탄성 후크(431)의 작용으로 지팡이 몸체(410)의 일단부에 기능성 손잡이(420)를 결합시키는 경우인데,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기능성 손잡이(420)를 분리하려면 도 13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후크(431)를 가압하면서 기능성 손잡이(420)를 지팡이 몸체(410)에 대해 잡아 뽑으면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역시, 지팡이 몸체(510)와 기능성 손잡이(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기능성 손잡이(520)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520)로서, 조명(511)은 지팡이 몸체(510) 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기능성 손잡이(520)는 2개의 파트(part)로 분리될 수 있다. 즉 기능성 손잡이(520)는 조명(511)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는 제1 손잡이 몸체(521)와,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제1 손잡이 몸체(521)에 대해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되는 제2 손잡이 몸체(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 몸체(521)와 제2 손잡이 몸체(522) 간의 결합방식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원터치 결합부(130~430)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도 9의 원터치 결합부(23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지팡이 몸체 111 : 푸트
112 : 스커트 113 : 너트
120,120a,120b,120c : 기능성 손잡이 121 : 그립부
122 : 넥크부 123 : 홀
130 : 원터치 결합부 140 : 원터치 돌기
150 : 돌기 수용부 151 : 직선 구간부
152 : 원주 구간부 153 : 돌기 스토핑 홈부

Claims (6)

  1. 삭제
  2.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터치 돌기;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원터치 돌기가 삽입되는 직선 구간부;
    상기 직선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는 원주 구간부; 및
    상기 원주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원주 구간부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핑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3.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터치 돌기; 및
    상기 원터치 돌기가 회전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풀리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되 상기 제2 바디보다는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상기 제2 바디와 단차를 이루는 제3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부에 결합되는 돌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원터치 돌기가 삽입되는 경사 구간부;
    상기 경사 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 구간부; 및
    상기 절취 구간부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원터치 돌기의 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돌기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4.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는 볼 플랜지와, 상기 지팡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볼 플런저;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 플런저의 볼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볼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부 내에 형성되는 볼 홈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5. 긴 막대 형상을 갖는 지팡이 몸체;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성 손잡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와 상기 기능성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성 손잡이를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터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 결합부는,
    상기 지팡이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 후크; 및
    상기 기능성 손잡이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후크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 유지되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손잡이는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이며,
    상기 조명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손잡이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제1 손잡이 몸체; 및
    상기 배터리 교체를 위해 상기 제1 손잡이 몸체에 대해 원터치(one touch) 결합방식으로 착탈되는 제2 손잡이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 몸체와 상기 제2 손잡이 몸체 사이의 원터치 결합방식은 상기 원터치 결합부와 동일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KR2020130002322U 2013-03-28 2013-03-28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KR200467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22U KR200467433Y1 (ko) 2013-03-28 2013-03-28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PCT/KR2013/006295 WO2014157776A1 (ko) 2013-03-28 2013-07-15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22U KR200467433Y1 (ko) 2013-03-28 2013-03-28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33Y1 true KR200467433Y1 (ko) 2013-06-17

Family

ID=5138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22U KR200467433Y1 (ko) 2013-03-28 2013-03-28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7433Y1 (ko)
WO (1) WO20141577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48A (ko) * 2019-05-14 2020-11-25 강동원 지지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35U (ko) * 2009-09-23 2009-10-28 안정현 손잡이분리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81U (ja) * 1992-11-25 1994-06-03 株式会社エキスパートオブジャパン ステッキ用ピック
KR200430967Y1 (ko) * 2006-08-30 2006-11-14 라제건 조립식 지팡이
KR200432015Y1 (ko) * 2006-09-14 2006-11-27 이신열 등산용 지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35U (ko) * 2009-09-23 2009-10-28 안정현 손잡이분리지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48A (ko) * 2019-05-14 2020-11-25 강동원 지지대
KR102209522B1 (ko) * 2019-05-14 2021-01-29 강동원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776A1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5701C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US10172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kking pole weights
EP2581610B1 (en) Mechanical assembly for the connection between two modular elements of telescopic poles for practicing sport, spare time activities and the like and telescopic poles for the practicing sport, spare time activities and the like provided with such a mechanical assembly
RU2017138999A (ru) Сменная упорная система спортивной палки
KR200467433Y1 (ko)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RU2686726C1 (ru) Лапка лыжной палки и лыжная палка с такой лапкой лыжной палки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20190126084A (ko) 폴 핸들
US20120180834A1 (en) Umbrella frame
KR20140137537A (ko) 등산용 스틱
KR101632141B1 (ko) 손전등을 구비한 등산스틱
KR20110006520U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CN203618905U (zh) 一种登山拐杖
KR101868080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WO2005087329A1 (en) Length-adjustable nordic walking pole or ski pole
KR200451012Y1 (ko) 지팡이용 마개
KR101025336B1 (ko) 등산용 지팡이
KR20160141006A (ko) 등산용 스틱
KR200482532Y1 (ko) 그립 탈부착이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
US10478654B2 (en) Jump rope with quick-adjust handle
JP6923710B2 (ja) 脚・バスケット組立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杖の振動減衰機構
CN215776023U (zh) 一种可拆卸的手杖杖托及手杖
KR20200001556U (ko) 복합 우산 스틱
WO2016174571A1 (en) Locking device for extensible poles
KR101651801B1 (ko)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