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67Y1 - 조립식 지팡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67Y1
KR200430967Y1 KR2020060023330U KR20060023330U KR200430967Y1 KR 200430967 Y1 KR200430967 Y1 KR 200430967Y1 KR 2020060023330 U KR2020060023330 U KR 2020060023330U KR 20060023330 U KR20060023330 U KR 20060023330U KR 200430967 Y1 KR200430967 Y1 KR 200430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e
locking
locking member
connecting pip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20060023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관(10, 20)들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지팡이는, 상부 연결관(10)과, 상부 연결관(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 연결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연결관(20)과, 하부 연결관(20)의 상단에 연결되며, 하부 연결관(20)의 회전에 따라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밀착되는 잠금부재(40)와,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잠금부재(40)의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걸림턱(11)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립식 지팡이에서는, 걸림턱(11)에 의하여 잠금부재(40)의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잠금부재(40)를 약한 힘으로 잠가도 연결관들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약자나 여성과 같은 힘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지팡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지팡이, 조립, 잠김, 걸림턱

Description

조립식 지팡이{Assemblable walking stick}
도 1은 조립식 지팡이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지팡이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의 일부 단면도로서, 잠금부재가 풀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조립식 지팡이에서 잠금부재가 강한 힘으로 잠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조립식 지팡이에서 잠금부재가 최소한의 필요한 힘으로 잠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의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연결관 11 : 걸림턱
20 : 하부 연결관 30 : 이동부재
40 : 잠금부재 41 : 분할편
44 : 고무링 50 : 결합부재
51 : 결합축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관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도 상기 연결관들을 용이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용 또는 환자의 보행 보조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지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관들이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팡이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지팡이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지팡이는, 손잡이(2)와, 몸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연결관들(4, 5, 6)과, 지면에 접촉하는 선단부(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들(4, 5, 6)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관(제1 연결관)(4)의 하단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관(제2 연결관)(5)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연결관(제3 연결관)(6)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연결관(5)의 하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 연결관(5)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지팡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 다.
그리고, 제1 연결관(4)의 상단에는 손잡이(2)가 결합되며, 제3 연결관(6)의 하단에는 선단부(8)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들(4, 5, 6)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의 결합 부위에는 한 쌍의 잠금장치(100, 1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들(100, 100')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연결관(4)과 제2 연결관(5)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장치(100)는, 제2 연결관(5)의 상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50)와, 상기 결합부재(50)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제1 연결관(4)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제 1 연결관(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30)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축(51)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결합축(51)이 나사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나사구멍(31)을 구비하여, 결합축(51)의 회전하면 결합축(51)을 따라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0)는 외주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원뿔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잠금부재(40)는 축방향(수직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41)들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잠금부재(40)의 외주면은 그 길이방 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잠금부재(40)의 내주면은 이동부재(30)의 외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잠금부재(40)의 각 분할편(41)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체결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43)에 고무링(44)이 체결됨으로써, 잠금부재(40)의 분할편(41)들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팡이를 조립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장치(100)가 결합된 제2 연결관(5)의 상단부를 제1 연결관(4)의 하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2 연결관(5)을 돌리면, 제2 연결관(5)에 고정된 결합부재(20)가 회전함으로써 이동부재(30)는 결합부재(20)의 결합축(2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동부재(30)의 외주면과 잠금부재(40)의 내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30)가 상승하면, 잠금부재(40)는 이동부재(30)의 이동량 만큼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잠금부재(40)의 외주면이 제1 연결관(4)의 내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잠금부재(40)의 외주면과 제1 연결관(4)의 내주면 사이에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4, 5)들의 결합상태가 잠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조립식 지팡이에서는, 잠금부재(40)와 연결관(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연결관(4, 5)들의 결합상태를 잠그므로, 지팡이의 사용 시에 연결관(4, 5)들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잠금부재(40)를 잠그는 힘, 즉 제2 연결관(5)을 돌리는 힘이 커져야 한다. 예를 들어, 지팡이가 60kg 정도의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10kgf 정도의 힘으로 잠금부재(40)를 잠가야 한다. 그런데, 지팡이의 사용자가 대부분 노약자인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힘을 가하여 잠금부재(40)를 잠그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 지팡이의 몸체를 이루는 연결관들을 용이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식 지팡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연결관과, 상기 상부 연결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연결관과, 상기 하부 연결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연결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밀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관들의 결합상태를 잠그는 잠금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지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연결관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짐으로써 그 연결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연결관이 원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연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지팡이의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는, 상기 하부 연결관의 상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는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승강 이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주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할편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할편들은 고무링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함에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편의상 지팡이의 전체 형상은 생략하고, 지팡이의 몸체를 이루는 연결관(10, 20)들과 이들의 결합을 위한 잠금장치(100) 만을 도시하였다. 이 연결관(10, 20)들 중 하부 연결관(20)은 그 외경이 상부 연결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 연결관(10)에 삽입된다. 잠금장치(100)는 하부 연결관(20)을 상부 연결관(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잠금장치(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잠금장치(100)는, 하부 연결관(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50)와, 상기 결합부재(50)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축(51)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결합축(51)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합축(51)이 회전하면 결합축(51)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동부재(30)는 외주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원뿔형의 형상을 가진다. 잠금부재(40)는 고무링(44)으로 연결되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41)들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주면은 잠금부재(3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장치(100)가 결합된 하부 연결관(20)의 상단부를 상부 연결관(10)의 하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 연결관(20)을 돌리면, 이동부재(30)가 상승하면 잠금부재(40)는 이동부재(30)의 이동량만큼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연결관(10, 20)의 결합상태를 잠그게 된다. 잠금장치(100)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지팡이는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돌출하도록 형성된 걸림턱(11)을 구비한다. 걸림턱(11)은 잠금부재(40)가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과 맞닿아 고정되는 부위의 위쪽에 형성되어 잠금부재(40)가 상부 연결관(10)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턱(11)은 상부 연결관(10)의 상부와 하부의 내경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부의 내경을 하부 연결관(20)이 삽입되는 하부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그 연결부위에 걸림턱(1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걸림턱(11)의 형성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링 형상의 플랜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걸림턱(11)의 존재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0)와 상부 연결관(10) 사이의 마찰력이 작은 경우, 즉 약한 힘으로 잠금부재(40)를 잠근 경우에도, 잠금부재(40)가 걸림턱(11)에 걸려 축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지팡이의 사용 시 하중은 지면에 대한 반발력으로 인하여 하부 연결관(20)에 축방향 위쪽으로 작용하는데, 이 때 잠금부재(40)와 상부 연결관(10) 사이의 마찰력이 작을 경우 잠금부재(40)가 축방향 위쪽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나, 걸림턱(11)에 의하여 잠금부재(4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므로, 약한 마찰력(잠금력)으로도 연결관(10, 20)들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11)이 없는 경우 지팡이가 60kg 정도의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10kgf 정도의 힘으로 잠금부재(40)를 잠가야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1kgf 정도의 힘으로 잠그더라도 연결관(10, 20)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팡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팡이에서는, 다수의 걸림턱(11)들이 상부 연결관(10)의 길이방향(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걸림턱(11)들은 상부 연결관(10)의 벽이 원주를 따라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연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11)을 형성하면, 걸림턱(11)들 사이의 간격만큼의 단위로 지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0)가 첫 번째의 걸림턱(11)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0)가 첫 번째 걸림턱(11)을 넘어갈 수 있도록 잠금장치(100)를 완전히 푼 상태에서, 하부 연결관(20)을 잠금부재(40)가 두 번째 걸림턱(11) 바로 아래에 위치하 도록 상부 연결관(10)의 내부로 더 삽입한 다음, 잠금부재(40)를 잠그면 지팡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잠금부재의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잠금부재를 약한 힘으로 잠가도 연결관들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약자나 여성과 같은 힘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지팡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하면, 지팡이의 길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상부 연결관(10);
    상기 상부 연결관(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연결관(20);
    상기 하부 연결관(2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밀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관(10, 20)들의 결합상태를 잠그는 잠금부재(40); 및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40)의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걸림턱(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짐으로써 그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상부 연결관(10)이 원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관(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50); 및
    상기 결합부재(50)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30)는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30)가 승강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부재(30)는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주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3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할편(41)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할편(41)들은 고무링(44)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 연결관(1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팡이.
KR2020060023330U 2006-08-30 2006-08-30 조립식 지팡이 KR200430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30U KR200430967Y1 (ko) 2006-08-30 2006-08-30 조립식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30U KR200430967Y1 (ko) 2006-08-30 2006-08-30 조립식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67Y1 true KR200430967Y1 (ko) 2006-11-14

Family

ID=4177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330U KR200430967Y1 (ko) 2006-08-30 2006-08-30 조립식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13B1 (ko) 2008-10-08 2008-12-31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방지구조
KR101047361B1 (ko) 2011-03-28 2011-07-07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 방지구조
KR200454589Y1 (ko) * 2009-08-31 2011-07-12 라제건 흔들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지팡이
WO2014157776A1 (ko) * 2013-03-28 2014-10-02 Yu Woo Sub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13B1 (ko) 2008-10-08 2008-12-31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방지구조
KR200454589Y1 (ko) * 2009-08-31 2011-07-12 라제건 흔들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지팡이
KR101047361B1 (ko) 2011-03-28 2011-07-07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 방지구조
WO2014157776A1 (ko) * 2013-03-28 2014-10-02 Yu Woo Sub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614B1 (en) Quick coupling arrangement for a telescopic shaft
RU2633854C2 (ru) Трубчатый элемент регулируемой длины,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алки
KR200430967Y1 (ko) 조립식 지팡이
US20120284914A1 (en) Tension rod
CN104797289A (zh) 导管连接装置
CN104728230B (zh) 一种伸缩管结构
JP2006271954A (ja) 伸縮式箸
KR101218482B1 (ko) 회전형 지팡이
EP1820435A1 (en) Mop with drying mechanism
US20060219280A1 (en) Walker foot
US20230010388A1 (en) Travel tripod
WO2020219882A1 (en) Cane with deployable support structure
CN103291707B (zh) 脚管自动锁紧固装置、摄影三脚架、独脚架和拐杖
US20080168627A1 (en) Portable power supplying device
CN106286514B (zh) 伸缩杆用锁紧器
KR20120120624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68605Y1 (ko)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US20050150532A1 (en) Adjustable hiking stick having multiple sections and slide limit devices to prevent the sections from pulling entirely out of one another
KR20170018227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KR100383229B1 (ko)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
JP3078278B1 (ja) 歩行補助用ポール
JP2003319808A (ja) 伸縮可能な渓流用釣り竿機能を有した折り畳み式歩行補助用ポール
US20200011037A1 (en) Pop-up Drain Stopper Linkage Assembly
CN205593426U (zh) 一种卡固结构及包含该卡固结构的伸缩警具
WO2017072474A1 (en) Clothes ai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