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242B1 -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 Google Patents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242B1
KR101702242B1 KR1020150161187A KR20150161187A KR101702242B1 KR 101702242 B1 KR101702242 B1 KR 101702242B1 KR 1020150161187 A KR1020150161187 A KR 1020150161187A KR 20150161187 A KR20150161187 A KR 20150161187A KR 101702242 B1 KR101702242 B1 KR 10170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le
fixing unit
climbing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준
Original Assignee
안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준 filed Critical 안덕준
Priority to KR102015016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이 개시된다. 개시된 등산스틱은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은 폴대부;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촉부;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카메라기기를 고정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HIKING STICK HAVING SELF-CAMERA MONOPAD FUNCTION}
본 발명은 등산할 때 사용하는 등산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할 때 사용하는 지팡이 기능이외에 셀카봉기능을 겸한 등산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틱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스포츠방면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골프클럽, 스키폴, 등산용 지팡이 등의 형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로 재현되는 스포츠용 지팡이 중 가장 수요가 많은 등산스틱은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곳에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어, 등산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한편, 등산시 주위의 아름다운 풍경들을 배경으로 셀카를 찍을 때, 셀카봉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셀카봉을 별도로 가방에 넣어 짐을 꾸려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기존에는 등산시 등산스틱과 셀카봉을 각각 지참해야 했기 때문에, 짐의 부피 및 무게가 늘어날 뿐 아니라, 등산스틱은 등산시 계속 잡고서 사용하게 되지만, 셀카봉은 가방에 넣어두었다가 필요시 다시 꺼내서 써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6520호 공개특허 10-2014-0112967호 공개특허 10-2015-01225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등산스틱에 셀카봉기능을 부여하여, 등산시 등산스틱으로 사용하다가 셀카를 찍을 때 셀카봉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등산스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은 폴대부;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촉부;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카메라기기를 고정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촉부를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을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촉부는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이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촉부를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장착된 상기 촉부 또는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을 감싸 보호하는 캡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촉부는 상기 폴대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상기 폴대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하단이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일부가 꺾이는 형태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기기를 파지하는 형태로 잡아 고정하는 카메라그립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등산스틱은 등산시 사용되는 지팡이 기능이외에도 셀카봉기능을 가지고 있어 등산시 셀카를 찍을 때 별도의 셀카봉을 구비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등산스틱으로 셀카봉 기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산스틱의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등산스틱의 끝단에 카메라고정유닛을 결합하고, 카메라고정유닛에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기기를 고정하여 손쉽게 셀카를 찍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산스틱을 사용하게 되면 등산시 별도로 셀카봉을 챙겨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 아니라 짐크기를 줄일 수 있어 등산 자체를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등산스틱에서 상부와 하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캡이 분리되고, 카메라고정유닛을 각도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촉부를 폴대부의 상단에, 카메라고정유닛을 폴대부의 하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고정유닛의 카메라그립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등산스틱은 폴대부(110), 촉부(120), 카메라고정유닛(130), 캡부(140)를 포함한다.
폴대부(110)는 다단의 폴대(111,112,113,114)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형태로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폴대(111,112,113,114)들 사이에 이웃하는 폴대의 인출 및 인입을 규제하거나 허용하게 하는 길이조절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폴대부(110)는 상단부 외주면 상에 손잡이부(116)가 형성될 수 있고, 하단부에 바스켓(118)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폴대부(110)는 통상적인 등산스틱의 길이조절가능한 폴대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개시된 폴대부(1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길이조절가능한 여타의 폴대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길이조절이 되지 않은 공지된 등산스틱의 폴대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촉부(120)는 폴대부(111)의 하단 즉, 최하단폴대(114)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촉부(120)의 상단에는 제1암나사산부(122a)가 형성되고, 폴대부(110)의 하단에는 제1수나사산부(12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촉부(120)는 폴대부(110)의 하단에 나사체결할 수 있다.
촉부(120)는 도면에 형성된 바와 같이 원추형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고정유닛(130)은 폴대부(110)의 상단 즉 최상단폴대(111)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카메라기기를 고정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기기는 카메라모듈이 장착한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 카메라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카메라고정유닛(130)은 바(bar)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31)와, 이 몸체부(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카메라기기를 파지하는 형태로 잡아고정하는 카메라그립부(135)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31)는 길이방향의 일정부분 상에 힌지부(h)가 형성되어, 몸체부(131)는 일부가 꺽이는 형태로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힌지부(h)는 볼조인트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사방으로 자유자재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힌지핀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하나의 축방향으로만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31)의 하부에는 제2암나사산부(134a)가 형성되고, 폴대부(110)의 상단에는 제2수나사산부(134b)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몸체부(131)가 폴대부(110)의 상단에 나사체결방식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촉부(120)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부(122b)가 제2수나사산부(134a)에 결합가능하고, 카메라고정유닛(130)의 몸체부(131)에 형성된 제2암나사산부(134b)가 제1수나사산부(122a)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암나사산부(122b)와 제2암나사산부(134b)는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고, 제1수나사산부(122a)와 제2수나사산부(134a)도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촉부(120)를 폴대부(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장착할 수 있고, 카메라고정유닛(130)을 폴대부(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장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그립부(135)는 몸체부(131)의 상단에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카메라그립부(135)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136)의 양단에 형성된 제1그립암(137) 및 제2그립암(138)이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제1그립암(37) 및 제2그립암(138) 사이에 카메라기기가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몸체부(136)의 일단에는 제1그립암(137)이 형성되며, 제2그립암(138)은 슬라이딩부재(136b)를 구비하여, 이 슬라이딩부재(136b)가 몸체부(13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며 몸체부(136)의 내부에는 제1그립암(137)과 제2그립암(138)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그립부(135)는 "ㄷ" 형태로 이루어져, 카메라기기를 파지하는 형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카메라그립부(135)는 기존 셀카봉의 그립형 카메라 고정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그립부(135)는 카메라기기를 파지하도록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공지된 셀카봉에 적용된 통상의 카메라고정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캡부(14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폴대부(110)의 상단 즉 최상단 폴대(111)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폴대부(110)의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고정뉴닛(130) 또는 촉부(12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캡부(140)는 폴대부(110)의 상단에 직경이 줄어든 형태로 형성된 단차부(111a)에 억지끼움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부(140)는 폴대(110)의 상단에 나사체결구조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외에도 여타의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6)를 잡고 등산할 때, 지팡이기능으로서 등산스틱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고정유닛(130)은 캡부(140)에 감싸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등산 중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 도 3과 같이, 캡부(140)를 폴대부(110)의 상단에서 분리한 후, 카메라기기를 카메라그립부(135)에 장착한 상태에서, 폴대부(110)의 하단부 즉 최하단 폴대(114)를 손으로 잡고 카메라기기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켜 셀카를 찍을 수 있다(A 방법).
단, 이와 같이, 카메라고정유닛(130)을 폴대부(110)의 상단에 장착한 상태에서 폴대부(110)의 하단부를 잡고 셀카를 찍을 경우, 폴대부(110)의 하단부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그립감이 좋지 않을 수 있고, 무게중심이 카메라기기 쪽으로 쏠려서 사용자의 팔힘에 따라 폴대부(110)의 하부를 계속 잡고 있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촉부(120)와 카메라고정유닛(130)을 폴대부(110)의 하단과 상단에서 나사체결을 해제하여 분리한 후, 도 4와 같이, 카메라고정유닛(130)을 폴대부(110)의 하단에 고정장착하고, 촉부(120)는 폴대부(110)의 상단에 고정장착한 다음, 카메라그립부(135)에 카메라기기를 장착하고나서 폴대부(110)의 상단부의 손잡이부(116)를 잡고 카메라기기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이 경우, A방법에 비해 무게가 카메라기기 쪽으로 쏠리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폴대부(110)를 잡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고정유닛(130)을 폴대부(110)의 하단에 고정장착하여 사용할 때, 촉부(120)는 폴대부(110)의 상단에 고정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어, 별도로 촉부(120)를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촉부(120)를 폴대부(110)의 상단에 고정장착하여 보관할 때 뽀죡한 촉부(120)에 의해 사용자 또는 주위사람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부(140)를 폴대부(110)의 상단에 고정하여 촉부(120)를 감싸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폴대부
116...손잡이부
118...바스켓
120...촉부
130...카메라고정유닛
131...몸체부
135...카메라그립부
140...캡부

Claims (6)

  1. 폴대부;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촉부;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카메라기기를 고정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촉부를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을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촉부는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이 상기 폴대부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촉부를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장착된 상기 촉부 또는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을 감싸 보호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부는 상기 폴대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상기 폴대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고정유닛은
    하단이 상기 폴대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일부가 꺾이는 형태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기기를 파지하는 형태로 잡아 고정하는 카메라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KR1020150161187A 2015-11-17 2015-11-17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KR10170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87A KR101702242B1 (ko) 2015-11-17 2015-11-17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87A KR101702242B1 (ko) 2015-11-17 2015-11-17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242B1 true KR101702242B1 (ko) 2017-02-02

Family

ID=5815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187A KR101702242B1 (ko) 2015-11-17 2015-11-17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2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51B1 (ko) 2017-06-26 2018-10-31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101914868B1 (ko) * 2017-06-19 2018-11-02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DE102018118002A1 (de) * 2018-07-25 2020-01-30 Rainer Frey Wanderstock-Vorrichtung mit Fixiereinrichtung für eine Kamera
KR20220007544A (ko) 2020-07-10 2022-01-18 강성만 셀카봉 기능을 갖는 등산 스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23A (ja) * 1997-04-24 1998-11-10 Kuramae Sangyo Kk カメラの支柱兼用ステッキ
KR20110006520U (ko) 2009-12-22 2011-06-29 박연오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KR20140112967A (ko) 2013-03-15 2014-09-24 정선용 바닥 걸림 방지용 등산스틱
KR200477282Y1 (ko) * 2014-11-18 2015-05-28 주식회사 대경 셀프 카메라용 등산지팡이 연결구
KR20150122537A (ko) 2014-04-23 2015-11-02 김경도 등산용 스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23A (ja) * 1997-04-24 1998-11-10 Kuramae Sangyo Kk カメラの支柱兼用ステッキ
KR20110006520U (ko) 2009-12-22 2011-06-29 박연오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KR20140112967A (ko) 2013-03-15 2014-09-24 정선용 바닥 걸림 방지용 등산스틱
KR20150122537A (ko) 2014-04-23 2015-11-02 김경도 등산용 스틱
KR200477282Y1 (ko) * 2014-11-18 2015-05-28 주식회사 대경 셀프 카메라용 등산지팡이 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68B1 (ko) * 2017-06-19 2018-11-02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101899251B1 (ko) 2017-06-26 2018-10-31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DE102018118002A1 (de) * 2018-07-25 2020-01-30 Rainer Frey Wanderstock-Vorrichtung mit Fixiereinrichtung für eine Kamera
DE102018118002B4 (de) * 2018-07-25 2021-03-04 Rainer Frey Wanderstock-Vorrichtung mit Fixiereinrichtung für eine Kamera
KR20220007544A (ko) 2020-07-10 2022-01-18 강성만 셀카봉 기능을 갖는 등산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242B1 (ko) 셀카봉기능을 갖는 등산스틱
JP6182575B2 (ja)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US20150102074A1 (en) Protective handheld electronics case with integrated extension device
CA2695701C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US10007172B2 (en) Multifunction powered hand grip for devices
KR200479777Y1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1026486B2 (en) Pole handle
CN215189744U (zh) 可调节且可穿戴的装置
KR200477798Y1 (ko)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CN203986456U (zh) 便携式手杖
KR101787532B1 (ko) 노약자용 지팡이
KR101393046B1 (ko) 줄넘기 운동구
KR101375032B1 (ko) 카메라용 핸드스트랩
US20040007228A1 (en) Broiler frame
CN105828549A (zh) 一种移动终端外壳
JP2004254951A (ja) 多目的に使用できるステッキ
US9889061B1 (en) Multi-function crutch and method of use
KR102474652B1 (ko) 낚시대용 핸들
TWM491496U (zh) 可調整線繩長度之跳繩
KR102643475B1 (ko) 우산홀더
KR101468186B1 (ko) 줄넘기 운동구
KR20120051805A (ko) 기능성 손잡이를 구비한 등산용 스틱
CN212545964U (zh) 一种伞稳定器
JP3213515U (ja) 歩行補助用ポールのグリップ
CN213637855U (zh) 便携式蓝牙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