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307A -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307A
KR20180005307A KR1020160084872A KR20160084872A KR20180005307A KR 20180005307 A KR20180005307 A KR 20180005307A KR 1020160084872 A KR1020160084872 A KR 1020160084872A KR 20160084872 A KR20160084872 A KR 20160084872A KR 20180005307 A KR20180005307 A KR 2018000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guide groove
monorail
vehicle
guid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496B1 (ko
Inventor
박기준
정종덕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8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2Switches;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노레일 차량이 분기할 수 있도록 분기구간의 메인선로와 분기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선로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과 분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홈과 만나는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를 개폐하는 방향제어블록과, 상기 분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블록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홈을 지나 개방된 분기 가이드홈으로 분기 안내되는 안내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 차량의 하부에 안내륜을 구비하고 분기구간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방향제어블록을 작동시켜 개폐하여 안내륜을 안내하여 분기하도록 하여 모노레일 차량의 분기를 위한 구조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Turnout system for monorail railway}
본 발명은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시스템에서 모노레일 차량이 분기할 수 있는 분기구간을 간단히 형성함은 물론 분기구간에서의 분기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노레일은 콘크리트나 철제 빔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 개의 궤도 위를 고무타이어나 철륜이 장착된 열차가 운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바, 차량의 지지방식에 따라 과좌식(궤도 위를 열차가 달리는 방식)과 현수식(열차가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모노레일의 수송규모가 도시철도와 버스의 중간이기 때문에 중규모의 수송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도시교통계획에서는 경전철로 분류되며, 대도시의 보조교통수단, 중소도시의 주요교통수단으로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모노레일의 장점을 살펴보면 모노레일은 도로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지주는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할 수 있고, 다른 고가물과 달리 점유면적이 작아 하천과 도로 등의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도시철도보다 공사가 용이하며, 신속한 건설이 가능하고, 토지비가 적게 들어간다. 그런 이유로 도시철도 공사비에 비해 40% 정도의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다.
또한, 폭이 좁은 차륜으로 운행하므로 철도보다 반경이 작은 급곡선 운행도 가능하며, 현수식은 특히나 작게 운행이 가능하다. 전기동력으로 운행하고 고무타이어를 쓰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소음 및 진동 공해도 적다.
이와 같은 모노레일 시스템은 통상 등록특허 제10-0600642호 등에 제안된 바와 같이 그 구조상 분기구간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선로를 설치시에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06006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노레일 시스템에서 모노레일 차량이 선택적으로 분기할 수 있는 분기구간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고 모노레일 차량의 분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 구간에서는 안내륜을 사용하지 않고 분기 구간에서만 안내륜을 작동하는 구조를 통해 모노레일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선로 레일의 설치시 분기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선로를 설치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노레일 차량이 분기할 수 있도록 분기구간의 메인선로와 분기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선로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과 분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홈과 만나는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를 개폐하는 방향제어블록과, 상기 분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블록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홈을 지나 개방된 분기 가이드홈으로 분기 안내되는 안내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내륜은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에 구비되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어블록은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에 승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 하부에 상기 방향제어블록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륜은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에 구비되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륜은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는 축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축상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차체의 내부로 승하강 되며 측부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기어부에 대응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륜이 상승하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에 치합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상기 승강로드의 기어부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하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차체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실린더로드가 축상에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 차량의 하부에 안내륜을 구비하고 분기구간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방향제어블록을 작동시켜 개폐하여 안내륜을 안내하여 분기하도록 하여 모노레일 차량의 분기를 위한 구조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기구간에서만 안내륜이 작동하게 하고 일반구간에서는 안내륜을 사용하지 않게 하여 분기구간 형성을 위한 레일을 설치시 분기구간 이외의 일반구간에서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분기 선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선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은 메인선로(110)와 분기선로(120)로 이루어지는 분기구간(100)에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112)과 분기 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체(210) 하부에는 메인 가이드홈(112)과 분기 가이드홈(122)을 따라 안내되어 회전하는 안내륜(220)을 구비하고, 상기 분기구간(100)에는 상기 분기 가이드홈(122)을 개폐하여 안내륜(220)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도록 안내하는 방향제어불록(130)의 구동을 통해 모노레일 차량(200)의 주행 방향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은 모노레일 차량(200)이 분기구간(100)의 메인선로(1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선로(120)의 상면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112)과 분기 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홈(112)과 만나는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를 개폐하는 방향제어블록(130)과, 상기 분기 가이드홈(122)을 개폐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블록(13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40)과,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체(2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홈(112)을 지나 선택된 분기 가이드홈(122)으로 분기 안내되는 안내륜(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륜(220)은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체(210)에 구비되는 승강수단(230)에 의해 승강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분기구간(100)으로 모노레일 차량(200)이 진입하면 하강하여 메인 및 분기 가이드홈(112,122)을 따라 안내되며 일반 구간에서는 상승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모노레일 시스템에서 분기구간(100)은 메인선로(110)에서 복수의 분기선로(120)로 갈라지는 구간으로 모노레일 차량(200)은 메인선로(110)에서 복수의 분기선로(120)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기구간(100)은 메인선로(110)의 상면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선로(120)의 상면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가이드홈(112)과 연결되는 분기 가이드홈(1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에는 방향제어블록(130)이 승강되도록 되며, 상기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 하부에는 상기 방향제어블록(13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작동수단(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140)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모터와 렉 및 피니언을 이용해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노레일 차량(200)이 이동하여 분기구간(100)으로 진입하는 경우 복수의 메인선로(110)에서 선택된 분기선로(120)로 진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향제어블록(130)을 하강시켜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를 개방하여 안내륜(220)이 분기용 가이드홈(122)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선택되지 않은 분기선로(120)의 경우에는 안내륜(220)이 해당 분기용 가이드홈(122)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수단(140)에 의해 방향제어블록(130)을 상승시켜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를 폐쇄한다.
물론, 상기 방향제어블록(130) 및 작동수단(140)은 복수의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에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거나 메인선로(11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분기선로(120)의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에만 방향제어블록(130) 및 작동수단(140)을 설치함도 가능하며 이 같은 설계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체(또는 대차)(210)에는 상기 분기구간(100)에 형성되는 메인 및 분기 가이드홈(112,122)에 대응되는 안내륜(220)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분기구간(100)에서만 안내륜(220)을 하강시켜 메인 및 분기 가이드홈(112,12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선로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이드륜(미도시됨)은 상부로 절첩되도록 하여 방향제어블록에 따라 분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안내륜(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체(210) 특히 대차 하부에 구비하되 승강수단(23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서, 분기구간(100)에서는 안내륜(220)을 하강시켜 메인선로(110) 및 분기선로(120) 중심부에 형성되는 메인 및 분기 가이드홈(112,12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 및 분기 가이드홈(112,122)을 따라 이동하며 안정적으로 분기하도록 하고, 분기구간(100)이 아닌 일반 구간에서는 안내륜(220)을 상승시켜 안내륜(220)이 선로와 접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내륜(220)이 회전축(222)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222)의 양측에는 축상(22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륜(220)은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승강수단(230)은 상기 축상(224)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차체(210)의 내부로 승하강 되며 측부에는 기어부(232a)가 형성되는 승강로드(232)와, 상기 승강로드(232)의 기어부(232a)에 대응되는 작동기어(234)와, 상기 차체(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기어(234)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6)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236)의 회전축에 상기 작동기어(234)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236)에 의해 작동기어(234)가 회전하면 승강로드(232)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륜(220)이 상승하는 경우 차체와의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륜(220)이 삽입되는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륜(220)을 상승시는 경우 안내륜(220)이 삽입홈(212)에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선로의 하부와 안정적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232)의 측부에는 상기 승강로드(23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안내륜(220)이 하강한 상태 또는 상승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고정수단(240)은 승강로드(232)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어부(232a)에 치합되는 걸림구(242)와, 상기 걸림구(242)를 상기 승강로드(232)의 기어부(232a)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하는 이송수단(2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44)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모터와 렉 및 피니언을 이용해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240)은 승강로드(232)의 위치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분기구간(100)을 주행할 때 안내륜(2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분기구간(100)을 주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안내륜(220)은 각 모노레일 차량(200)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모노레일 차량(200)의 분기를 안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2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륜(2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222)의 양단에 승강로드(232)를 구비하여 안내륜(220)을 승강 시킬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10)에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250)를 설치하고, 실린더로드(252)를 축상(242)에 연결 결합하여 안내륜(220)이 승하강되게 한다.
이때, 실린더로드(252)에는 안내륜(220)이 승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홈(254)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40)의 걸림구(242)가 삽입되게 구성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체(2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지지바(미도시됨)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안내륜(220)을 구비하고, 지지바의 측부에 지지바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안내륜(220)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기선로(120)상에 설치되어 방향제어블록(13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40)은 지상제어수단(101)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안내륜(22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30) 및 고정수단(240)은 모노레일 차량(200)에 설치되는 차상제어수단(201)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물론, 상기 지상제어수단(101)은 진입하는 모노레일 차량(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작동수단(140)을 제어하며,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는 주행 위치에 따라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승강수단(230) 및 고정수단(24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상제어수단(101)과 차상제어수단(201)은 관제센터(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거나 지상제어수단(101)과 차상제어수단(201) 간에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우선 모노레일 차량(200)이 분기구간(100)에 진입하는 경우 지상제어수단(101)은 모노레일 차량(200)의 진입하게 되는 분기선로(120)를 선택하여 해당 분기선로(120)의 입구에 구비되는 방향제어블록(130)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40)을 제어하여 분기 가이드홈(122)의 입구를 개방하고 나머지 분기선로(120)를 폐쇄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분기선로가 존재하는 경우 직선 형태의 분기선로의 입구에만 방향제어블록(13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동수단(140)의 작동에 따라 직선 형태의 분기선로만 개폐함으로서 모노레일 차량(200)의 분기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상제어수단(201)은 고정수단(240)을 해제하고 승강수단(230)을 제어하여 안내륜(220)을 하강시킨 후, 고정수단(240)을 제어하여 안내륜(220)의 하강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노레일 차량(200)이 이동 시 안내륜(220)이 메인선로(110)의 메인 가이드홈(112) 및 선택된 분기선로(120)의 분기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하며 분기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가 분기선로(120)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모노레일 차량(200)의 차상제어수단(201)은 고정수단(240)을 해제하고 승강수단(230)을 제어하여 안내륜(220)을 상승시킨 후, 고정수단(240)을 제어하여 안내륜(220)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일반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기구간 101: 지상제어수단
110: 메인선로 112: 메인 가이드홈
120: 분기선로 122: 분기 가이드홈
130: 방향제어불록 140: 작동수단
200: 모노레일 차량 201: 차상제어수단
210: 차체 220: 안내륜
222: 회전축 224: 축상
230: 승강수단 232: 승강로드
234: 작동기어 236: 구동모터
240: 고정수단 242: 걸림구
244: 이송수단 300: 관제센터

Claims (10)

  1. 모노레일 차량이 분기할 수 있도록 분기구간의 메인선로와 분기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선로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 가이드홈과 분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홈과 만나는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를 개폐하는 방향제어블록과, 상기 분기 가이드홈을 개폐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블록을 작동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홈을 지나 개방된 분기 가이드홈으로 분기 안내되는 안내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에 구비되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블록은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에 승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기 가이드홈의 입구 하부에 상기 방향제어블록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차체에 구비되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는 축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축상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는 상기 차체의 내부로 승하강 되며 측부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기어부에 대응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륜이 상승하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는 상기 승강로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승강로드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에 치합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상기 승강로드의 기어부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하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차체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실린더로드가 축상에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KR1020160084872A 2016-07-05 2016-07-05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KR10182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72A KR101825496B1 (ko) 2016-07-05 2016-07-05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72A KR101825496B1 (ko) 2016-07-05 2016-07-05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07A true KR20180005307A (ko) 2018-01-16
KR101825496B1 KR101825496B1 (ko) 2018-02-07

Family

ID=6106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72A KR101825496B1 (ko) 2016-07-05 2016-07-05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4298A (zh) * 2020-04-21 2020-07-0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系统
KR102230596B1 (ko) * 2019-11-12 2021-03-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967B1 (ko) * 2014-07-02 2015-08-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 철도용 피니언 기어 승하강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596B1 (ko) * 2019-11-12 2021-03-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CN111364298A (zh) * 2020-04-21 2020-07-0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系统
CN111364298B (zh) * 2020-04-21 2022-05-31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496B1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0724A1 (en) Multipurpose vehicle for various types of travel ways
KR101497479B1 (ko) 멀티라인 모노레일 차량의 절첩 구조
CN105292249B (zh) 胶轮低地板智能轨道列车用的轨迹跟随控制方法
CN103264625A (zh) 公铁两用牵引车
KR101622261B1 (ko) 모노레일 차량의 조향구조
CN107161159A (zh) 一种带升降梯式轿箱组合空中巴士系统
KR101485407B1 (ko)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
CN104608680A (zh) 一种用于道路汽车清障的电动搬运车
CN105751954A (zh) 一种平板型清障车
CN105015290B (zh) 一种搬运车及其对轨装置
KR101825496B1 (ko)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US20070028798A1 (en) Dual mode vehicle and system for high speed surface transportation
CN105216677B (zh) 叉举式自动导航小车
KR20140094969A (ko) 철도 레일 하화장비
JP2002514146A (ja) 乗客及び貨物の輸送装置
CN104139787A (zh) 一种磁浮交通安装巡检救援用牵引车
CN205661356U (zh) 一种平板型清障车
US20130145954A1 (en) Transport equipment with a vehicle guided along a single traffic lane
CN114144346A (zh) 一种多轨道变轨系统及其变轨方法、可变轨车辆
CN203419138U (zh) 新型高架桥事故清障轨道车
US20180118227A1 (en) Drive for a track-guided vehicle
EP1670671A1 (de) Vollautomatisches verkehrssystem
CN203126626U (zh) 汽车野外救援及维护平台
JP3836453B2 (ja) デュアルモード車両
CN107738652A (zh) 一种智能无停上下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