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177A - 듀얼 매체 통신들 - Google Patents

듀얼 매체 통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177A
KR20180005177A KR1020177032415A KR20177032415A KR20180005177A KR 20180005177 A KR20180005177 A KR 20180005177A KR 1020177032415 A KR1020177032415 A KR 1020177032415A KR 20177032415 A KR20177032415 A KR 20177032415A KR 20180005177 A KR20180005177 A KR 2018000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channel
wireless
signal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산 카이완 아프카미
퍼바 라메쉬찬드라 라즈코티아
데니즈 렌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1Wireless systems or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듀얼 채널 송신기 및 듀얼 채널 수신기가 개시된다. 듀얼 채널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듀얼 채널 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통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정보 신호가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지 둘 모두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지의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매체 통신들
[0001] 본 출원은, 2015년 5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시리얼 번호 제14/709,03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0002] 개시된 청구대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통신들 및 채널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듀얼 매체 통신 채널들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0003]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은 컴퓨터들 및 다른 전자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이 통신 채널들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채널은 유선(wireline)과 같은 물리적 송신 매체일 수 있거나, 또는 RF 채널과 같은 멀티플렉싱된 매체를 통한 논리적 연결일 수 있다. 채널은 정보 신호, 예컨대,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송신기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수신기들로 반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채널들은 대역폭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송신 용량을 비롯한 다양한 송신 특징들을 갖는다.
[0004] 오버랩하는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는 무선 채널들은 상호 간의 간섭을 받아서, 데이터 레이트 불안정성 또는 연결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PLC(powerline communication) 링크들과 같은 유선 채널들은 또한, 링크/채널 열화 또는 장애를 겪을 수 있다. 예컨대, PLC 채널의 성능은 건물 내의 네트워크 구조, 파워라인 송신 매체 상에서의 네트워크 트래픽, 또는 파워라인 송신 매체에 유도된 잡음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0005] 하이브리드 통신 네트워크들은 유선(wireline) 및 유선(wired) 통신 디바이스들 및 채널들을 결합한다. 예컨대, 하이브리드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스마트폰들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컴퓨터들 및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예컨대, 이더넷)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포함하는 브리지들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로 지칭됨).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이 무선 또는 유선 송신 채널들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이한 송신 미디어 채널들이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지만, 현재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은 송신 미디어 다이버시티(transmission media diversity)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능력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0006] 정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듀얼 채널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기는 송신 모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송신 모드 제어기는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할지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기는 가드 인터벌 제어기(guard interval cont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할지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할지의 결정에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0007]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신호를 듀얼 채널 송신기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 유선 채널, 또는 무선 채널과 유선 채널의 결합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8]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유선 수신 액세스,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의 결합을 갖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09]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채널을 통해서만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 채널을 통해서만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0]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유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유선 채널을 통해서만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유선 채널의 송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1]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둘 모두를 통해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2]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유선 채널의 송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송신 가드 인터벌을 갖는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3]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4]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무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무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신호를 유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5]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유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16]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얼 채널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위 레벨 프로토콜 계층들;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유선 채널을 통해, 또는 무선 채널과 유선 채널의 결합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드 제어기; 및 상기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가드 인터벌 제어기를 포함한다.
[0017]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유선 수신 액세스,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의 결합을 갖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0018]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추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채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0019]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일한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일한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20]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추가로, 유선 채널의 송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0021]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0022]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무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무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신호를 유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0023]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유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24]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유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신호의 제1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유선 신호의 제2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제1 및 제2 신호 세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및 유선 신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5]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제1 신호 세기를 제1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제2 신호 세기를 제2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6]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신호 세기가 제1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신호 세기가 제2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둘 모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7]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선택된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를 정보 신호 내에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8]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얼 채널 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유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무선 신호의 제1 신호 세기 및 유선 신호의 제2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제1 및 제2 신호 세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select diversity unit)을 포함한다.
[0029]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추가로, 제1 신호 세기를 제1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리고 제2 신호 세기를 제2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0030]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추가로, 제1 신호 세기가 제1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신호 세기가 제2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0031]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얼 채널 수신기는, 선택된 무선 신호 및 선택된 유선 신호들을 정보 신호 내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combine diversity unit)을 더 포함한다.
[0032] 본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들에 의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많은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0033]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0034]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채널 송신기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0035]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수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듀얼 채널 수신기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0036]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선택 및 송신 가드 인터벌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행되는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0037]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행되는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그리고
[0038] 도 6은 듀얼 채널 송신기 및/또는 듀얼 채널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예시적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0039] 다음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기법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기법들, 명령 시퀀스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명령 인스턴스들, 프로토콜들, 구조들 및 기법들은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0040] 본 개시내용은 동일한 정보 신호의 카피들을 다양한 채널 미디어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통신 기술들의 범위(reach)를 확장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설명한다. 정보 신호(예컨대, 기저대역 비트 스트림)는, RF 채널 또는 PLC 채널과 같은 특정 채널 매체를 통해 송신되도록 송신 포맷으로 변조되고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변환된 반송파 송신 신호(예컨대, 무선 또는 유선 신호) 내에 인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신호는 RF 송신 신호 및 PLC 송신 신호 내에 인코딩될 수 있다. RF 및 PLC 송신 신호들을 사용하여, 정보 신호는 RF 채널 및 PLC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매체 특징들의 활용과 함께, 송신 및 수신 둘 모두에 대한 다이버시티는 정보 신호의 전체적인 커버리지 및 범위를 가능하게 한다.
[0041]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는 병렬 무선 및 유선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기저대역 정보 신호(예컨대, RF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한다. 병렬 무선 및 유선 신호들은 대응하는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수신기에 송신될 수 있다.
[0042] 기저대역 정보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다중 채널 미디어 및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을 활용함으로써, 커버리지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및 유선 신호들이 결합되어 다이버시티 이득들을 달성할 수 있다.
[0043]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송신기는, 공통 기저대역 신호를 각각 프로세싱하고 공통 기저대역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결과적인 무선 및 유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0044]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송신기는 선택적으로, 무선 신호만을 또는 유선 신호만을 또는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둘 모두를 송신하며, 무선 및 유선 신호들 각각은 동일한 기저대역 정보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기준들은 채널 트래픽 컨디션들 및/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수신기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5] 대안적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수신기는, 동일한 정보 신호를 각각 포함하는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는 프로세싱을 위해 절대적 신호 세기(예컨대, 하나의 신호가 특정 임계치 미만임) 또는 상대적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만을 또는 유선 신호만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기는,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를 결합하여 프로세싱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0046]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네트워크 환경은 유선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112) 및 무선 NIC(11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유선 NIC(112) 및 무선 NIC(114) 둘 모두를 갖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로 분류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는 2개의 상이한 송신 채널/미디어를 통해 정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선 NIC(112)는, PLC(powerline communication) 송신 채널(124)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정보 신호들을 송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세싱 계층 및 유선 물리 계층(PHY1)을 포함한다. 무선 NIC(114)는 무선 송신 채널(126)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정보 신호들을 송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MAC 프로세싱 계층 및 무선 물리 계층(PHY2)을 포함한다.
[0047]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는 무선 송신 채널(126)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는, 무선 송신 채널(126)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정보 신호들을 송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MAC 프로세싱 계층 및 PHY2 무선 계층을 갖는 무선 NIC(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는 정보 신호를 자기 자신의 무선 NIC(120)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무선 NIC(114)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는 또한, 무선 NIC(1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무선 NIC(114)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0048] 다른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유선 NIC(122)를 통해 PLC 송신 채널(124)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선 NIC(122)는 PLC 송신 채널(124)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정보 신호들을 송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MAC 프로세싱 계층 및 PHY1 유선 계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정보 신호를 유선 NIC(122)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유선 NIC(112)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또한, 유선 NIC(12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유선 NIC(112)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0049] 일 실시예에서, PLC 송신 채널(124)은 가정 또는 다른 건물 내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LC 송신 채널(124)은 가정 또는 다른 건물 내의 AC 전력 분배 와이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PLC 송신 채널(124)은, 이를테면,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내에서 물리적 송신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송신 채널(126)은 무선 LAN 내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에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는, 유선 LAN에 포함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을 무선 LAN에 포함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108))에 통신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브리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0050] 도시된 네트워크 환경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및 106)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및 106)은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을 각각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은 유선 송신 채널(124) 및 무선 송신 채널(126) 둘 모두를 통해 정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2) 내의 유선 NIC(112) 및 무선 NIC(114)와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은 MAC 프로세싱 계층을 포함한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은 하이브리드 물리 계층(PHY1/PHY2)을 더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물리 계층(PHY1/PHY2)은 주어진 정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유선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의 하이브리드 물리 계층들은 듀얼 채널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의 하이브리드 물리 계층은 듀얼 채널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51] 도 2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NIC들(116 및 118) 각각은, 유선 송신기 프론트-엔드 및 무선 송신기 프론트-엔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듀얼 채널 송신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된 구조 및/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및 무선 송신기 프론트-엔드들 각각은 공통 기저대역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서, 그 각각은 동일한 기저대역 정보 신호의 각각 변조된(예컨대, RF 변조된 그리고 PLC 변조된) 카피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NIC들(116 및 118) 각각은, 유선 채널 및 무선 채널을 통해 각각의 송신 신호들 내에 인코딩된 동일한 기저대역 정보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유선 수신기 프론트-엔드 및 무선 수신기 프론트-엔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듀얼 채널 수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52]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및 106)은, PLC 송신 채널(124) 또는 무선 송신 채널(126)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기저대역 정보 신호들을 송신하고 그로부터 기저대역 정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및 106)은 서로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0053] 도 2 및 도 3은 듀얼 채널 송신기 및 듀얼 채널 수신기를 각각 도시한다. 듀얼 채널 송신기 및 듀얼 채널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포함된 PHY1, PH2, 및 PHY1/PH2 계층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내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듀얼 채널 송신기는 송신 모드 제어기 및 가드 인터벌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제어기 및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의 듀얼 매체/채널 송신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듀얼 채널 수신기는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 및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 및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은 듀얼 채널 수신기 성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도 2의 더 상세한 논의로 진행될 것이다.
[0054]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듀얼 채널 송신기(200)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듀얼 채널 송신기(200)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인코딩을 적용할 수 있다. OFDM은 일 양상에서, 다수의 반송파 주파수들에 대해 바이너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기(200)는 "하이브리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듀얼 채널 송신기(200)가, 정보 신호의 각각 포맷화된 송신 카피를 각각 송신하는 무선(예컨대, RF) 인터페이스 및 유선(예컨대, PLC)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005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채널 송신기(200)는 상위 프로토콜 계층(205)으로부터 기저대역 데이터 비트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202)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데이터 비트들의 스트림은, 상위 레벨 프로토콜 계층(205)으로부터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일 수 있는 정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데이터 비트들의 스트림은 또한, 상위 레벨 프로토콜 계층(205)이 정보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예컨대, IP 및/또는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56] 기저대역 프로세서(202)는 인코더(204),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유닛(206),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208)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204)는 주기적 방식으로, 이를테면, 매
Figure pct00001
초마다 비트들의 세그먼트들로 데이터 비트들의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심볼 인터벌이다. 인코더(204)는 비트 세그먼트들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비트 세그먼트들을 다수의 서브-세그먼트들로 세분(sub-divide)할 수 있다. 인코더(204)는 또한, 서브-세그먼트들을 성상도 패턴의 복소값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해 서브-세그먼트들의 직교 진폭 변조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성상도 패턴의 각각의 복소값 포인트는 위상 및 진폭의 이산 값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런 다음, 인코더(204)는 주파수-도메인 서브-심볼들의 대응하는 시퀀스, 즉,
Figure pct00003
을 IFFT 유닛(206)에 입력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IFFT 유닛(206)은 동위상(in-phase) 및 직각위상-시프트(quadrature-shifted) 디지털 컴포넌트들로 구성된 시간-도메인 OFDM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서브-심볼들의 시퀀스에 대해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0057] IFFT 유닛(206)에 의해 생성된 시간-도메인 OFDM 심볼들은 DSP(208)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DSP(208)는 OFDM 심볼들에 대해 스펙트럼 성형(spectral shap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DSP(208)는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각각의 OFDM 심볼 전에 프리픽스로서 길이(
Figure pct00004
)의 송신 가드 인터벌을 삽입할 수 있다. 사이클릭 프리픽스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송신 가드 인터벌은 대응하는 OFDM 심볼의 일부의 반복일 수 있다. 송신 가드 인터벌은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의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 채널 임펄스 응답보다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송신 미디어에 대해 상이한 길이의 송신 가드 인터벌들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가드 인터벌은 유선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가드 인터벌보다 더 짧을 수 있다. 게다가, PLC 미디어 및 동축 케이블과 같은 상이한 유선 미디어에 대해 상이한 길이의 송신 가드 인터벌들이 선택될 수 있다.
[0058] 기저대역 프로세서(202)는 2개의 별개의 경로들에서 시간-도메인 심볼들의 동위상(I) 및 직각위상-시프트(Q) 디지털 컴포넌트들을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들(212 및 214)의 쌍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DAC(212)는, 동위상 및 직각위상-시프트 IF OFDM 통과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반송파 주파수(
Figure pct00005
)를 각각 갖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반송파 신호 및 대응하는 직각위상-시프트 IF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시간-도메인 OFDM 심볼들의 동위상(I) 컴포넌트들을 혼합기(216)에 의해 사용되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유사하게, DAC(214)는, 동위상 및 직각위상-시프트 IF OFDM 통과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반송파 주파수(
Figure pct00006
)를 각각 갖는 IF 반송파 신호 및 대응하는 직각위상-시프트 IF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시간-도메인 OFDM 심볼들의 직각위상-시프트(Q) 컴포넌트들을 혼합기(218)에 의해 사용되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혼합기들(216 및 218)에 의해 생성된 동위상 및 직각위상-시프트 IF OFDM 통과대역 신호들은 합성 기저대역 IF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 결합기(220)에서 결합된다.
[0059] 합성 기저대역 IF 신호는 RF 프론트-엔드 유닛(222)의 형태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들에 추가하여, RF 프론트-엔드 유닛(222)은 RF 혼합기(224), RF 증폭기(226), 및 안테나(228)를 포함할 수 있다. RF 혼합기(224)는, 무선 채널 상에서 안테나(228)를 통해 송신될 수 있는 RF OFDM-변조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
Figure pct00007
)를 갖는 송신 반송파 신호를 변조하기 위하여, 합성 기저대역 IF 신호를 수신 및 사용한다.
[0060] 혼합기들(216 및 218)에 의해 생성된 동위상 및 직각위상-시프트 IF OFDM 통과대역 신호들은 PLC 드라이버(234)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PLC 드라이버(234)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모듈(232)을 포함할 수 있다. MIMO 모듈(232)은, PLC 드라이버(234)가 유선 송신 매체(240)를 통해 2개의 IF OFDM 통과대역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별개의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0061] 일 실시예에서, 듀얼 채널 송신기(200)는 송신 모드 제어기(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무선-단독(wireless-only), 유선-단독(wireline-only), 또는 결합된 무선 및 유선(듀얼 채널)과 같은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기저대역 프로세서(202)로부터 출력된 정보 신호(오리지널 시간 도메인 정보 신호의 I 및 Q 디지털 컴포넌트들을 현재 포함함)가 RF 프론트-엔드 유닛(222)으로부터만 송신되어야 하는지, PLC 드라이버(234)로부터만 송신되어야 하는지, 또는 RF 프론트-엔드 유닛(222) 및 PLC 드라이버(234) 둘 모두로부터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송신 모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들(242 및 244)의 쌍은 송신 모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송신 모드 제어기(236)에 통합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송신 모드 제어기(236)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신호 결합기(220)로부터 RF 프론트-엔드 유닛(222)으로의 합성 신호의 통과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스위치(242)를 작동시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어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또한, 혼합기들(216 및 218)로부터 PLC 드라이버(234)로의 변조된 2-부분 정보 신호의 통과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스위치(244)를 작동시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어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62] 송신 모드 선택(예컨대, 무선-단독, 유선-단독, 듀얼 채널)은 수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 인터페이스 구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네트워크 내의 수신기 및 수신 인터페이스 구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 데이터(245)에 액세스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정보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기 구성을 식별하기 위해 구성 데이터(245)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혼합기들(216 및 218)로부터의 출력을 RF 프론트-엔드 유닛(222)에만 전달하도록 스위치들(242 및 244)의 포지션을 제어함으로써,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혼합기들(216 및 218)로부터의 출력을 PLC 드라이버(234)에만 전달하도록 스위치(244)를 폐쇄로 유지하고 스위치(242)를 개방함으로써,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혼합기들(216 및 218)로부터의 출력을 RF 프론트-엔드 유닛(222) 및 PLC 드라이버(234)에 각각 전달하도록 스위치들(242 및 244) 둘 모두를 폐쇄로 유지함으로써,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0063]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 모드 선택은 무선 및/또는 유선 송신 채널들 상에서 검출된 트래픽 레벨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무선 채널 트래픽 입력(247)을 통해 수신된 입력으로부터 무선 채널(예컨대, 안테나(228)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 상에서의 트래픽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또한, 유선 트래픽 입력(249)을 통해 수신된 입력으로부터 유선 채널(예컨대, PLC 송신 매체(240)) 상에서의 트래픽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수신기 구성 및 트래픽 레벨 정보의 결합에 기반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듀얼 채널 구성으로 결합되지 않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추가로, 유선 트래픽 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유선 트래픽 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신호 입력(235)을 통해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유선 트래픽 레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다.
[0064] 일 실시예에서, 송신 모드 선택은, 기저대역 프로세서(202) 내에서 정보 신호의 심볼들 사이에 삽입될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기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236)는 송신 모드 신호를 신호 입력(235)을 통해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신호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 유선-단독 송신 모드, 또는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송신 모드 제어기(236)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표시하는 송신 모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RF OFDM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표시하는 송신 모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유선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예컨대, PLC 유선 또는 동축 케이블)에 대응하는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표시하는 송신 모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는 유선 송신 매체의 더 긴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
[0065]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수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듀얼 채널 수신기(300)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듀얼 채널 수신기(300)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디코딩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채널 수신기(300)는, 안테나(302), RF amp(RF amplifier)(304), ADC(analog-to-digital converter)(306), 및 복조 유닛(308)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한다. 안테나(302)에 의해 수신된 RF OFDM 신호는 RF amp(304)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증폭된 RF OFDM 신호는 중간 주파수로 하향 변환되고, 그런 다음, ADC(306)에 의해 샘플링 및 디지털화되기 전에, 이를테면, 튜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복조 유닛(308)은 ADC(306)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동위상 컴포넌트 신호(I 신호) 및 직각위상-시프트 컴포넌트 신호(Q 신호)의 형태로 직교 신호들을 생성한다.
[0066] 듀얼 채널 수신기(300)는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332)는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PLC 이득 제어 유닛(310), ADC(312), 및 복조 유닛(314)을 포함할 수 있다. PLC 이득 제어 유닛(310)은 PLC 송신 매체(303)를 통해 수신된 IF OFDM 신호를 증폭한다. 이를테면, 튜너(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주파수 하향 변환(예컨대, 기저대역으로 변환) 및 필터링 후에, 증폭된 기저대역 OFDM 신호는 ADC(312)에 의해 샘플링되고 디지털화된다. 복조 유닛(314)은 ADC(31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동위상 컴포넌트 신호(I 신호) 및 직각위상-시프트 컴포넌트 신호(Q 신호)의 형태로 직교 신호들을 생성한다.
[0067] 듀얼 채널 수신기(300)는 듀얼 채널 수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2-부분 다이버시티 수신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부분 메커니즘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 및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 신호 세기에 따른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330)로부터의 신호 또는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332)로부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이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330 및 332) 둘 모두로부터의 신호들을 전달하는 경우,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320)은 신호들을 결합하여 수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0068]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330)로부터 IQ 신호 쌍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추가로,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로부터 IQ 신호 쌍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추가로 프로세싱되도록 IQ 신호 쌍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은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330 및 33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표시자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안테나(302)로부터 신호 세기 표시자(예컨대, 신호 세기를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샘플링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추가로, PLC 송신 매체(303)로부터 신호 세기 표시자를 수신하여 샘플링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330)와 연관된 신호 세기(즉, 무선 신호 세기)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332)와 연관된 신호 세기(즉, 유선 신호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 표시자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0069]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무선 신호 세기를 유선 신호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선택적으로, 무선 신호 세기를 임계 무선 신호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또한 선택적으로, 유선 신호 세기를 임계 유선 신호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무선 및/또는 유선 신호 세기가 각각의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선택적으로, IQ 신호 쌍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대응하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유닛들(318 또는 319)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이, 무선 신호 세기는 임계 무선 신호 세기를 초과하고 그리고 유선 신호 세기는 임계 유선 신호 세기 미만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08)으로부터 FFT 유닛(318)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이, 유선 신호 세기는 임계 유선 신호 세기를 초과하고 그리고 무선 신호 세기는 임계 무선 신호 세기 미만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14)으로부터 FFT 유닛(319)으로 전달할 수 있다.
[0070] 일 실시예에서, 무선 및 유선 신호 세기들 둘 모두가, 동일한 또는 각각의 임계 신호 세기들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더 큰 상대적 신호 세기를 갖는 신호 인터페이스로부터의 IQ 신호 쌍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또는 각각의 임계 신호 세기들을 무선 신호 세기도 초과하지 않고 유선 신호 세기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IQ 신호 쌍들 둘 모두를 복조 유닛들(308 및 314)로부터 FFT 유닛들(318 및 319)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0071] FFT 유닛들(318 및 319)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을 통해 복조 유닛들(308 및 3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IQ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08)으로부터 FFT 유닛(318)으로 전달할 수 있지만,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14)으로부터 FFT 유닛(319)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은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08)으로부터 FFT 유닛(318)으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 IQ 신호 쌍을 복조 유닛(314)으로부터 FFT 유닛(319)으로 또한 전달할 수 있다. FFT 유닛들(318 및 319)은 IQ 신호들을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316)이 IQ 신호 쌍들을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 둘 모두로부터 전달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320)은 FFT 유닛들(318 및 319)로부터 수신된 IQ 신호 쌍들을 주파수 도메인에서 결합할 수 있다. 디코더(322)는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320)으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시간 도메인 기저대역 비트 스트림으로서 정보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 신호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320)으로부터의 출력은 결합된 IQ 신호 쌍들일 수 있거나, FFT 유닛들(318 및 319) 중 단지 하나로부터 수신된 단일 IQ 신호일 수 있다.
[0072] 도 1 내지 도 3이 일부 실시예들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만, 본 설명은 일부 실시예들의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의 논의로 계속된다.
[0073]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드 선택 및 가드 인터벌 선택을 위한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듀얼 채널 송신기(200)와 같은 송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이를테면, 도 2의 구성 데이터(245)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네트워크 수신기 구성 정보를 송신기가 수신하는 블록(402)에서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구성 정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수신기들 내에 통합된 수신기 인터페이스들의 타입들을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만을 갖는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수신기 구성 정보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만을 갖는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수신기 구성 정보는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갖는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0074] 흐름은 송신기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블록(404)에서 계속된다. 블록(406)에서, 송신 모드 제어기(236)와 같은 송신 모드 제어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는 정보를 발견하기 위해 수신기 구성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모드 제어기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8 및 110)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만을 또는 유선 수신 액세스만을 포함한다는 것을 수신기 구성 정보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블록(408)). 단일 채널 수신 액세스가 무선 액세스라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블록(410)). 송신 모드 제어기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210)와 같은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무선 채널에 대응하는 가드 인터벌을 선택 및 구현할 수 있다(블록들(412)). 단일 채널 수신 액세스가 유선 액세스라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블록(410)), 송신 모드 제어기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블록(414)). 송신 모드 제어기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유선 송신 매체에 대응하는 가드 인터벌을 선택 및 구현할 수 있다(블록(416)).
[0075] 블록(406)을 다시 참조하면, 송신 모드 제어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및 유선 수신 액세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수신기 구성 정보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모드 제어기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04 및 106)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단일 수신기 내에 결합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수신기(300)는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포함하는 예시적 수신기이다.
[0076]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이 수신기 내에서 결합되지 않았다는 결정(블록(418))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모드 제어기는 추가로, 유선 송신 채널 상의 네트워크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블록(420)). 유선 매체 상의 네트워크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블록(414)). 송신 모드 제어기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유선 매체에 대응하는 가드 인터벌을 선택 및 구현할 수 있다(블록(416)).
[0077] 블록(420)을 다시 참조하면, 유선 매체 상의 네트워크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블록(410)). 송신 모드 제어기는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무선 채널에 대응하는 가드 인터벌을 선택 및 구현할 수 있다(블록(412)).
[0078] 블록(418)을 다시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들이 수신기 내에서 결합되는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는 듀얼 채널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듀얼 채널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유선 매체에 대응하는 가드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블록(429)). 듀얼 채널 송신기는,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정보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블록(430)). 정보 신호는 많은 다양한 데이터 또는 메시지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신호는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0079] 송신하는 동안, 송신 모드 제어기는 무선 및 유선 채널들 각각 상의 통신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블록(432)). 예컨대, 송신 모드 제어기는, 도 2의 무선 채널 트래픽 입력(247) 및 유선 트래픽 입력(249)으로부터의 입력들을 검출함으로써, 무선 및 유선 채널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송신은, 무선 채널 및 유선 채널 둘 모두 상의 트래픽 레벨들이 각각의 무선 임계치 및 유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동안 계속될 수 있다(블록(434)). 무선 채널 및/또는 유선 채널 둘 모두가 아닌 어느 하나 상의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블록(436)), 송신 모드 제어기는 비-초과 채널을 배타적 송신 모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블록(438)). 예컨대, 무선 채널 상의 트래픽 레벨이 무선 트래픽 임계치를 초과하고 유선 채널 상의 트래픽 레벨이 유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송신 모드 제어기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제어기는 또한, 대응하는 유선-단독 송신 모드 신호를 가드 인터벌 제어기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모드 선택 신호(무선-단독 또는 유선-단독)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드 인터벌 제어기는, 임계치가 초과되지 않은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가드 인터벌을 선택 및 구현할 수 있다(블록(440)). 무선 채널 및/또는 유선 채널 둘 모두 상의 트래픽 레벨들이 각각의 임계 레벨들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듀얼 채널 송신기는 채널들 둘 모두를 통해 정보 신호를 계속 송신할 수 있다(블록들(436 및 430)).
[008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 다이버시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 및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도 3의 듀얼 채널 수신기(300)와 같은 듀얼 채널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제1 복조 유닛으로부터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복조 유닛으로부터 유선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또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 및/또는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1 및 제2 주파수 도메인 변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듀얼 채널 수신기가 무선 수신 채널 및 유선 수신 채널을 통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블록(502)에서 시작된다. 블록(504)에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및 유선 채널들을 통해 수신된 정보 신호의 신호 세기들을 샘플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및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각각으로부터 신호 세기 표시자들을 획득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세기 표시자들은 RF 안테나 및 유선 매체 입력으로부터 샘플링될 수 있다. 신호 세기 표시자들은 무선 채널 신호 세기 및 유선 채널 신호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0081] 블록(506)에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채널 신호 세기를 유선 채널 신호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또한, 무선 채널 신호 세기 및 유선 채널 신호 세기 각각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임계 신호 세기들과 비교할 수 있다(블록(508)).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채널 신호 세기 및 유선 채널 신호 세기 둘 모두를 하나의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채널 신호 세기를 제1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고, 유선 채널 신호 세기를 제2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0082] 무선 신호 세기 또는 유선 신호 세기 중 하나가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다른 하나는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대응하는 복조 유닛으로부터의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를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변환기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이, 무선 신호 세기가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고 그리고 유선 신호 세기는 신호 세기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복조 유닛으로부터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변환기로 신호 쌍을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세기 및 유선 신호 세기 둘 모두가, 동일한 또는 각각의 신호 세기 임계치들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어느 쪽이든 더 큰 신호 세기를 갖는 신호 인터페이스에 속하는 복조 유닛들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블록들(510 및 512)). 예컨대, 무선 신호 세기 및 유선 신호 세기 둘 모두가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선택 유닛은, 유선 신호 세기가 무선 신호 세기보다 더 크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세기도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유선 신호 세기도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복조 유닛들 둘 모두로부터의 신호들을 각각의 주파수 도메인 변환기들에 전달할 수 있다(블록(514)). 블록(5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변환기들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신호 결합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0083] 도 6은 듀얼 채널 송신기 및/또는 듀얼 채널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를 갖는 예시적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예컨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무선 RF 인터페이스, PLC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 SONET 인터페이스 등에 포함되는 송신기 및 수신기 컴포넌트들 및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가능하게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다수의 코어들, 다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멀티-스레딩을 구현하는 등의) 프로세서(602)를 더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메모리(예컨대, 캐시, SRAM, DRAM, 제로 커패시터 RAM, 트윈 트랜지스터 RAM, eDRAM, EDO RAM, DDR RAM, EEPROM, NRAM, RRAM, SONOS, PRAM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또는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미디어의 위에서 이미 설명된 가능한 실현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일 수 있는 메모리(604)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또한, 버스(605)(예컨대, PCI, ISA, PCI-Express, HyperTransport®, InfiniBand®, NuBus 등) 및 저장 디바이스(들)(608)(예컨대, 광학 저장소, 자기 저장소 등)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듀얼 채널 신호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송신 가드 인터벌이 최적으로 선택되는 방식으로 다이버시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 중 임의의 동작은 부분적으로(또는 전체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고 그리고/또는 프로세서(602)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은 주문형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프로세서(602)에 논리 구현되거나, 주변 디바이스 또는 카드 상에 코-프로세서(c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는 등등이다. 또한, 실현들은 더 적은 또는 도 6에 예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들(예컨대, 추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주변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84] 도 1 내지 도 6은,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 예들이고, 실시예들을 제한하거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은 추가의 동작들, 더 적은 동작들, 동작들을 상이한 순서로, 동작들을 병렬로 그리고 일부 동작들을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도 4 및 도 5의 동작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0085] 당업자에게 인식될 바와 같이, 개시된 청구대상의 양상들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청구대상의 실시예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의 형태,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의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상들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게다가, 개시된 청구대상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008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임의의 결합이 활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결합일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 특정한 예들(비-한정적 리스트)은 다음의 것들, 즉,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와이어들을 갖는 전기 연결, 휴대가능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가능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상기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적(tangible) 매체일 수 있다.
[0087] 복수의 인스턴스들은 단일 인스턴스로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컴포넌트들, 동작들 및 데이터 스토어들 사이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이고, 특정한 동작들은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의 상황에서 예시된다. 기능의 다른 할당들이 고려되고 개시된 청구대상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 구성들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들, 수정들, 추가들 및 개선들은 개시된 청구대상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0088] 실시예들이 다양한 구현들 및 활용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며 개시된 청구대상의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4)

  1.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정보 신호를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무선 채널, 유선 채널, 및 상기 무선 채널과 상기 유선 채널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채널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은,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의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선택됨 ―;
    상기 정보 신호의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송신 가드 인터벌(transmit guard interval)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은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및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갖는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과 연관된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기 인터페이스들의 타입들을 특정하는 수신기 구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채널만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채널의 무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유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유선 채널만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과 연관된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및 상기 유선 채널의 채널 트래픽 컨디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및 상기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트래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무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유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유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듀얼 채널 송신기로서,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정보 신호를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게 하고,
    무선 채널, 유선 채널, 및 상기 무선 채널과 상기 유선 채널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채널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게 하고 ―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은,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의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선택됨 ―,
    상기 정보 신호의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은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그리고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갖는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과 연관된 송신을 위해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기 인터페이스들의 타입들을 특정하는 수신기 구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를 결정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채널만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무선 채널의 무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유선 수신 액세스만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유선 채널만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과 연관된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무선 채널 및 상기 유선 채널의 채널 트래픽 컨디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무선 채널 및 상기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신호 트래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무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무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유선 채널을 선택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유선 채널 상의 신호 트래픽이 유선 채널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채널을 선택하게 하는,
    듀얼 채널 송신기.
  19.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신호를 그리고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유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의 제1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선 신호의 제2 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세기 및 상기 제2 신호 세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은 상기 무선 신호, 상기 유선 신호, 및 상기 무선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세기를 제1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 세기를 제2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신호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유선 신호 둘 모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을 위한 정보 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3. 듀얼 채널 수신기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유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select diversity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상기 무선 신호의 제1 신호 세기 및 상기 유선 신호의 제2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신호 세기 및 상기 제2 신호 세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은 상기 무선 신호, 상기 유선 신호, 및 상기 무선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듀얼 채널 수신기.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신호 세기를 제1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신호 세기를 제2 신호 세기 임계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듀얼 채널 수신기.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다이버시티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신호 세기가 상기 제1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신호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유선 신호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듀얼 채널 수신기.
  26. 제23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을 위한 정보 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 다이버시티 유닛(combine diversity unit)을 더 포함하는,
    듀얼 채널 수신기.
  27.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듀얼 채널 송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동작들은,
    정보 신호를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
    무선 채널, 유선 채널, 및 상기 무선 채널과 상기 유선 채널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채널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는 동작 ―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은,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의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선택됨 ―,
    상기 정보 신호의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은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및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갖는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과 연관된 송신을 위해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기 인터페이스들의 타입들을 특정하는 수신기 구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과 연관된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시스템으로서,
    정보 신호를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무선 채널, 유선 채널, 및 상기 무선 채널과 상기 유선 채널 둘 모두의 결합인 듀얼 미디어 채널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은,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의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선택됨 ―;
    상기 정보 신호의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은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및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갖는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과 연관된 송신을 위해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기 인터페이스들의 타입들을 특정하는 수신기 구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유선 수신 액세스를 갖는지, 또는 무선 수신 액세스와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의 결합을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수신 액세스 및 유선 수신 액세스 둘 모두를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채널의 유선 매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듀얼 미디어 채널과 연관된 상기 송신 가드 인터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듀얼 채널 송신기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77032415A 2015-05-11 2016-04-15 듀얼 매체 통신들 KR20180005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9,038 US20160337224A1 (en) 2015-05-11 2015-05-11 Dual medium communications
US14/709,038 2015-05-11
PCT/US2016/027830 WO2016182687A1 (en) 2015-05-11 2016-04-15 Dual medium commun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177A true KR20180005177A (ko) 2018-01-15

Family

ID=5591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415A KR20180005177A (ko) 2015-05-11 2016-04-15 듀얼 매체 통신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337224A1 (ko)
EP (1) EP3295575A1 (ko)
JP (1) JP2018525856A (ko)
KR (1) KR20180005177A (ko)
CN (1) CN107636978A (ko)
BR (1) BR112017024272A2 (ko)
CA (1) CA2980926A1 (ko)
HK (1) HK1244116A1 (ko)
WO (1) WO2016182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9345B2 (en) * 2015-10-19 2021-05-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video delivery for connected home applications
CN107947832B (zh) * 2018-01-03 2021-11-26 深圳市国电科技通信有限公司 一种电力线载波和微功率无线信号控制与侦听设备及方法
JP2020194991A (ja) * 2019-05-24 2020-12-03 矢崎総業株式会社 有線/無線混在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送信器、受信器および有線/無線混在通信システム
US11964729B2 (en) * 2020-09-11 2024-04-23 Shimano Inc. Operated component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human-power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548A (en) * 1993-07-09 1994-12-06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 for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7430257B1 (en) * 1998-02-12 2008-09-30 Lot 41 Acquisition Foundation, Llc Multicarrier sub-layer for direct sequence channel and multiple-access coding
WO2003044967A2 (en) * 2001-10-27 2003-05-30 Enikia Llc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nomous network segments
US20050235329A1 (en) * 2004-04-19 2005-10-20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control within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8406239B2 (en) * 2005-10-03 2013-03-26 Broadcom Corporation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US8630365B2 (en) * 2008-01-29 2014-01-14 Lantiq Deutschland Gmbh Transceiver for communicating over different media types
US20100296423A1 (en) * 2009-05-19 2010-11-25 Greenlane Investments Llc Multi-Medium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N101854202A (zh) * 2010-05-07 2010-10-0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CN102055632A (zh) * 2011-01-20 2011-05-11 中山大学 一种数字家庭网络系统及传输方法
US8745704B2 (en) * 2011-06-30 2014-06-03 Broadcom Corporation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secure data exchange
CN102761350B (zh) * 2012-07-19 2015-04-15 清华大学 电力线和无线混合通信方法及其装置
CN102801637B (zh) * 2012-09-06 2016-05-04 深圳市国电科技通信有限公司 电力线与无线通信混合自动组网方法
US9923621B2 (en) * 2013-02-16 2018-03-20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CN104038982B (zh) * 2013-03-07 2018-06-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多介质接入点及多介质客户端
CN103246275A (zh) * 2013-05-31 2013-08-14 杨俊杰 一种基于PLC与WiFi基础上的交互式家居电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687A1 (en) 2016-11-17
CN107636978A (zh) 2018-01-26
JP2018525856A (ja) 2018-09-06
EP3295575A1 (en) 2018-03-21
BR112017024272A2 (pt) 2018-07-24
CA2980926A1 (en) 2016-11-17
US20160337224A1 (en) 2016-11-17
HK1244116A1 (zh)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479B1 (ko) V-mimo 복조를 위한 저감된 복잡도의 채널 추정 및 간섭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276649B2 (en) Transmit power allocation for adaptive multi-carrier multiplexing MIMO systems
US9385907B2 (en) Dual re-configurable logic devices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KR20180005177A (ko) 듀얼 매체 통신들
JP200516750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無線局の制御装置及び受信無線局の制御装置、並びにサブキャリア選択方法
JP2008536400A (ja) Ofdm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推定のための適応時間フィルタリング
US10524273B2 (en) Resource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KR20060090379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자동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US10820334B2 (en) Configuration of resolution of uplink data
US910007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power-restricted frequency bands
US9191090B2 (en) Adapting beamforming parameter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482520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mbination of real and complex modulation types
WO2014008751A1 (zh) 一种发送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WO2005122447A1 (fr)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e estimation de voie dans un systeme ofdm
US91064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hannel function
CN105101423A (zh) 干扰处理方法、基站、终端及系统
EP29638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through power line
JP6455781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チャネル占有状況検知方法
JP2010183524A (ja) Ofdm通信装置
KR102150324B1 (ko) 채널 함수 기반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07067567A (ja) 通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8092227A (ja) 無線通信装置
JP2008042314A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それらを含んだ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ータ伝送方法
KR20120052530A (ko) Mimo-ofdm 시스템
KR20130136773A (ko)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