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123A -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123A
KR20180004123A KR1020177030998A KR20177030998A KR20180004123A KR 20180004123 A KR20180004123 A KR 20180004123A KR 1020177030998 A KR1020177030998 A KR 1020177030998A KR 20177030998 A KR20177030998 A KR 20177030998A KR 20180004123 A KR20180004123 A KR 20180004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ncoding
unit
lin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508B1 (ko
Inventor
앙드레 노뜨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004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6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disposed beneath a wrapper, label, or other element of sheet material securing a lid, cover, or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8Coding means for the cont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용 용기로서, 용기는 음료 또는 식품 조리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이며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 코드를 표면에 포함하고, 코드는 기준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고, 기준 부분은 기준 라인(r)을 한정하는 적어도 2개의 기준 유닛의 선형 배열을 포함하고, 데이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데이터 유닛은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에 배열되고, 데이터 유닛은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인코딩 라인(D)을 따라 임의의 연속적인 거리(d)를 차지하고,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D)은 원형이고 그에 대한 접선이 상기 교차점에서 기준 라인(r)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기술된 실시예들은, 대체적으로, 커피 캡슐과 같은 용기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시스템의 기계가 판독하기 위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 용기 상에 배열된 코드에 관한 것이다.
점차 증가하는 음료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제조 기계들은 일인용(single-serving) 조리 재료(preparation material), 예컨대 커피, 차, 아이스크림, 요구르트를 포함하는 용기를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계는 상기 재료를, 예컨대 우유 또는 물과 같은 유체의 첨가와 그에 대한 혼합의 적용에 의해, 용기 내에서 가공 처리함으로써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러한 기계는 PCT/EP13/072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는 용기로부터 재료의 성분을, 예컨대 용해 또는 브루잉(brewing)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의 예는 EP 2393404 A1호, EP 2470053 A1호, EP 2533672 A1호, EP 2509473 A1호, EP 2685874 A1호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에 대한 인기의 증가는 종래의 제조 기계에 비해, 예컨대 수동 작동식 스토브-탑 에스프레소 메이커(stove-top espresso maker) 또는 카페테리아(프렌치 프레스)에 비해,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또한 향상된 제조 공정에도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용기 및/또는 그 내부의 조리 재료에 특정적인 제조 정보가 용기 상의 코드 내에 인코딩되고, 제조 기계에 의해 판독되고, 기계에 의해 사용되어 제조 공정을 최적화한다. 특히, 제조 정보는, 유체 온도; 제조 지속기간; 혼합 조건과 같은 기계의 작동 매개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정보를 용기 상에 코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다양한 코드가 개발되어 있고, 예가 EP 2594171 A1호에 제공되어 있는데, 여기서 캡슐의 플랜지의 주연부는 그 위에 배열된 코드를 포함한다. 코드는 제조 중에 캡슐 상에 인쇄될 수 있는 일련의 부호를 포함한다. 그러한 코드의 단점은 코드의 인코딩 밀도가 제한된다는 것, 즉 인코딩할 수 있는 제조 정보의 양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코드가 상당히 가시적이어서 심미적으로 불쾌하게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EP2525691호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더 높은 인코딩 밀도를 갖는 2D 바코드를 갖는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코드의 개발 및 그와 연관된 프로세싱 방법에 이미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인코딩 밀도를 갖는 코드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조리 재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보다 덜 가시적인 그러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다수의 부호를 포함하지 않도록 복잡하지 않게 한 그러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제작에 있어서 비용 효율적이며 그리고 비용 효율적인 코드 판독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한 그러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신뢰성 있게 판독 및 프로세싱될 수 있도록 한 그러한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라, 식품 또는 음료 제조 기계, 특히 제2 실시예에 개시된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기(예를 들어, 이는 적합하게 치수설정되어 있음)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용기는 음료 또는 식품 조리 재료를 담기하기 위한 것이다(예를 들어, 용기는 내부 공간(internal volume)을 가지며 음식에 안전할 수 있다). 용기는 일인용 용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는 상기 제품의 일인용 준비(예를 들어, 사전 분배)를 위한 음료 또는 식품 재료의 일회 투입량을 담도록 치수설정된다. 용기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용기는 일회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고 그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천공, 관통, 뚜껑 제거, 또는 상기 재료의 소모에 의해 사용 불능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는 (예를 들면, 그의 표면 상에)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 코드로서 기준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기준 부분은 데이터 부분에 대한 기준 위치를 제공한다. 기준 부분은 기준 라인(r)을 한정하는 적어도 2개의 기준 유닛의, 선형일 수 있는 배열을 포함하고; 데이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데이터 유닛은 (예를 들어, 그의 적어도 일부분이, 대체적으로는 중심이, 상기 기준 라인과 교차하는 상태에서)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의 일부분 상에 배열되고, 데이터 유닛은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상기 인코딩 라인(D)을 따라 거리(d)를 차지하고,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D)은 반원형(즉, 원의 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완전한 원형이고 그에 대한 접선이 상기 교차점에서 기준 라인(r)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원형 연장 인코딩 라인(D)을 갖는 것의 한 가지 이점은,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해 극좌표계를 이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원점이 전형적으로 기준 라인 배향 식별자의 기준 유닛이 되고, 각각의 데이터 유닛이 원점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거리(이는 연관된 기준 위치의 반경 방향 거리와 동등함)를 가지며, 각각의 데이터 유닛이 기준 라인(r)과 그의 반경 방향 라인 사이로 정의된 각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어서, 거리(d)는 상기 각도와 상기 반경 방향 거리에 의해 편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좌표계를 사용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은 직교 좌표계의 경우보다 더 편리하며, 그에 의해 축이 기준 라인과 이에 직교로 연장되는 선형 인코딩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데, 이는 직교 좌표 배열에서는 코드의 직교 축들이 이미지 프로세서의 축과 정렬되도록 코드의 이미지를 재배향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비용 효율적인 이미지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유닛을 각각 갖는 복수(예컨대, 2, 3, 4, 5, 6, 7, 또는 8개)의 인코딩 라인(D)은 각각이 하나 이상의 연관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 상태에서 원점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는 높은 인코딩 밀도를 갖는다.
데이터 유닛은 교차점으로부터 임의의 연속적인 거리(d)로 인코딩 라인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한 가지 이점은 코드가 이산된 방식이 아닌 연속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인코딩 밀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데이터 유닛들은 교차점으로부터 이산된 거리로만 배열될 수 있다(즉, 데이터 유닛은 인코딩 라인(D)을 따라 복수의 사전결정된 위치들 - 이 위치들은 대체적으로 겹치지 않음 - 중 하나의 위치만을 차지할 수 있으며, 인접한 위치들 사이에 이산된 분리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인코딩 라인(D) 및/또는 인코딩 라인(들)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초과의 데이터 유닛의 경우에, 데이터 유닛들은 연속적인 거리와 이산된 거리의 조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조 정보는 제조 공정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기계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들, 예컨대, 온도; 토크 및 각속도(혼합을 수행하는 기계들의 혼합 유닛의 경우); 유량/체적; 압력; % 냉각 능력; 시간(예를 들어, 전술된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phase)가 적용되는 시간); 유효 기간(expiry date); 용기의 기하학적 특성; 단계 식별자(다수의 코드를 포함하는 용기들의 경우 - 그에 의해 코드 각각은 제조 동작의 구별되는 단계를 인코딩함); 용기 식별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기계에 의해 사용되는, 기계의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들을 검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레시피 식별자(여기서, 상기 매개변수들은 기계 상에 저장될 수 있음); 사전 습윤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600μm 내지 1600μm, 또는 600μm 내지 6000μm의 주연부 길이(예를 들어, 직경, 또는 직사각형의 변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코드가 특별히 가시적이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코드를 포함하는 유닛들(즉, 데이터 유닛과 기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50μm 내지 250μm의 유닛 길이를 갖는다. 전술된 유닛 길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유닛의 경우에는 직경으로서, 사변형 유닛의 경우에는 변의 길이로서, 다른 형상의 유닛의 경우에는 다른 적합한 길이 측정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인코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주연부에서 원형이고, 그에 의해 인코딩 라인들(D)은 그들의 중심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된다.
기준 부분은 기준 유닛을 기준 라인 배향 식별자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향 식별자인 기준 유닛은, 예컨대, 데이터 유닛이 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기준 유닛과 교차하는 연관된 인코딩 라인(D)이 없는 것; 형상, 크기, 색상 중 하나 이상의 관점에서 코드의 다른 유닛들과 구별되는 기준 유닛을 포함하는 것; 상기 기준 라인(r)의 단부에 배열된 것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의해 코드의 다른 유닛들과 식별가능할 수 있다. 한 가지 이점은 이미지 프로세서가 기준 라인(r)의 배향을 결정하기에 편리하다는 것이다.
배향 식별자를 한정하는 기준 유닛은 원형으로 연장되는 인코딩 라인(D)에 의해 한정된 원의 중심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부분은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배열(즉, 데이터 유닛은 매개변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도록 교차점으로부터 거리(d)에 배열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예를 들어, 최대 2, 3, 4, 5, 6, 10, 16, 20개, 또는 그 이상)의 인코딩 라인(D)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코딩 라인(D)들은 동심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위치에서 기준 라인(r)과 교차한다.
기준 부분의 추가 기준 유닛은, 상기 배향 식별자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에 비해 더 큰 반경 방향 위치 및/또는 상기 배향 식별자로부터 사전결정된 예약된 반경 방향 위치(예를 들면, 특정 위치, 예컨대 400μm 내지 600μm)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사전결정된 반경 위치에 배열되지 않는 것; 형상, 크기, 색상 중 하나 이상의 관점에서 코드의 다른 유닛들과 구별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식별가능할 수 있다. 한 가지 이점은 배향 식별자 및 추가 기준 유닛을 위치설정함으로써 기준 라인(r)이 편리하게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데이터 부분은 인코딩 라인(D)이 내부에 배열되는 인코딩 영역을 가질 수 있고, 그의 데이터 유닛들은 인코딩 영역의 경계 내에 배열된다.
인코딩 라인(D)은 기준 위치에서 기준 라인(r)과 교차할 수 있고, 기준 위치는 기준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의해 이러한 기준 위치 또는 각각의 기준 위치는, 예컨대 배향 식별자인 기준 유닛 또는 다른 위치로부터 기준 라인을 따라 사전결정된 거리에 배열되는데, 예를 들어, 기준 유닛들은 인코딩 영역 내에 정렬되지 않는다. 한 가지 이점은, 데이터 유닛들이 기준 라인(r)에 가까이 근접해서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기준 라인 상에 있게 될 수도 있는 기준 유닛과 데이터 유닛 사이에 적절한 분리가 있음을 보장할 필요 없이, 인코딩 밀도가 증가된다는 것이다. 전술된 사전결정된 거리는, 기준 위치들이 등거리가 되도록 하는 설정 값, 예컨대, 기준 라인(r)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를 기준 위치들의 개수로 나눈 값 또는 기준 위치들의 개수에 1 또는 2와 같은 특정 값을 더한 값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코딩 영역의 일부분은 기준 라인(r)에 의해 경계지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코딩 영역은 환형이고 기준 라인과 반경 방향으로 교차한다. 한 가지 이점은, 데이터 유닛들이, 결정된 거리(d)에서 덜 정확하도록 인코딩 라인(D)의 원주 방향 거리를 적게 한 환형체의 중심에 가까이 근접해서 배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인코딩 라인(D)은 기준 위치에서 기준 라인(r)과 교차할 수 있고, 그에 의해 기준 위치는 기준 유닛을 포함한다. 한 가지 이점은 이미지 프로세서가 인코딩 라인(D)들의 위치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코딩 영역의 일부분은 기준 라인(r)의 근위에 있을 수 있다.
데이터 유닛은 매개변수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추가로 인코딩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이산적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는 사전결정된 개수의 값들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메타데이터는 특정 매개변수 및/또는 그 매개변수와 연관된 특성(예를 들어, 지수의 ±)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유닛의 유닛 길이가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복수의 사전결정된 유닛 길이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유닛 길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유닛의 경우에는 직경으로서, 사변형 유닛의 경우에는 변의 길이로서, 다른 형상의 유닛의 경우에는 다른 적합한 측정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인코딩 라인(D)과의 교차점에서 그 인코딩 라인과 직교하는 선형 라인을 따라 인코딩 라인으로부터 벗어난 데이터 유닛의 중심의 오프셋(offset)이,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복수의 사전결정된 오프셋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원형 인코딩 라인(D)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을 따라 인코딩 라인(D)으로부터 벗어난 데이터 유닛의 중심의 오프셋이,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복수의 사전결정된 오프셋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프셋은 인코딩 라인(D)과 교차하는 연관된 데이터 유닛의 적어도 일부의 경계 내에서 얻어진다.
복수의 데이터 유닛들이 단일 인코딩 라인(D)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 가지 이점은 인코딩 밀도가 증가된다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개별 매개변수를 인코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유닛들이 단일 매개변수를 인코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매개변수를 인코딩하는 거리(d)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유닛들의 거리(dn)의 함수(예를 들어, 평균 또는 배수)일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각각의 데이터 유닛은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 유닛과 기준 유닛은, 인쇄(예를 들어, 통상의 잉크 프린터에 의한 인쇄: 한 가지 이점은 코드가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임); 조각술; 엠보싱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코드는 용기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닛들을 위한 기재(substrate)가 용기와 일체로 된다. 대안적으로, 코드는 용기에 부착되는 부착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그 안에 담긴 음료 또는 식품 조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캡슐; 패킷(packet); 내부의 음료 또는 식품 소비를 위한 리셉터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5ml 내지 80ml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은 150ml 내지 350ml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패킷은 응용예에 따라 150ml 내지 350ml, 또는 200ml 내지 300ml, 또는 50ml 내지 150ml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및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데, 상기 제조 기계는, 용기를 수용하고 이로부터 상기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제조 유닛;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작동가능한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 상기 디코딩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 유닛을 제어하는 것, 작동 정보를 사용하여 재주문을 위한 용기 소비를,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서버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 및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용기가 그의 유효 기간을 경과했는지 판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제조 유닛은 물 또는 우유와 같은 유체를 음료 또는 식품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제조를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용기 처리 서브시스템은 추출 유닛; 용해 유닛; 혼합 유닛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처리 서브시스템은 전술된 유닛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작동가능한 유체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유체 공급부는 유체 펌프와 유체 히터를 포함한다. 전술된 유닛들은 음료 또는 식품 재료를 담는 용기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의 프로세싱은, 코드의 유닛들을 위치설정하는 것; 기준 유닛들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기준 라인(r)을 결정하는 것; 각각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기준 라인(r)으로부터 인코딩 라인(D)을 따르는 거리(d)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의 유닛들(즉, 데이터 유닛 및 기준 유닛)의 위치설정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진(binary)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것; 특징 추출에 의해 유닛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것; 픽셀 통합에 의해 유닛들의 크기/면적/형상을 결정하는 것(즉, 유닛을 포함하는 음영 영역의 픽셀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유닛들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기준 라인(r)을 결정하는 것은, 선형 배열을 갖는 유닛들을 식별하는 것; 사전결정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유닛들을 식별하는 것; 특정 형상 또는 크기의 유닛들, 예컨대 배향 식별자의 기준 유닛을 식별하는 것; 원형으로 연장되는 인코딩 라인(D)에 의해 한정된 원의 중심에 배열되는 배향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준 유닛을 식별하고, 배향 식별자로부터의 데이터 유닛들보다 더 큰 반경 방향 위치 및/또는 배향 식별자로부터의 사전결정된 예약된 반경 방향 위치를 갖는 기준 유닛을 결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기준 라인(r)으로부터 인코딩 라인(D)을 따르는 거리(d)를 결정하는 것은, 원주 방향 거리를, 즉, 인코딩 라인의 중심에서 관측한 기준 라인(r)과 데이터 유닛 사이의 각도와 함께 상기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유닛의 반경 방향 거리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안적으로, 각거리(angular distance)를, 즉 인코딩 라인의 중심에서 관측되는 기준 라인(r)과 데이터 유닛 사이의 각도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반경 방향 거리는 데이터 유닛을 기준 위치에 관하여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가 바람직한데, 이는 요구되는 프로세싱 단계가 더 적기 때문이다.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배율/판독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의 프로세싱은, 매개변수와 거리(d) 사이의, 저장된 관계(즉, 기계의 메모리 유닛 상에 저장됨)를 이용하여, 거리(d)를 매개변수(Vp)의 실제 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관계는 선형, 예컨대 Vp ∞ d일 수 있고/있거나 그것은 비선형일 수 있다. 관계는, 대수 관계, 예컨대 Vp ∞ log(d); 지수 관계, 예컨대 Vp ∞ e d ; 다항식; 계단 함수; 선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수 관계와 대수 관계는 매개변수의 정확도가 낮은 값들에서는 중요하고 높은 값들에서는 덜 중요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인 경우 각각에 특히 유리하다. 전형적으로, 관계는 방정식 또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서 저장된다. 관계는 온도; 토크; 유량/체적; 압력; % 냉각 능력과 같은 제조 정보의 임의의 적합한 변수에 적용될 수 있다. 한 가지 이점은 복합 레시피가 실행된다는 것인데, 이는 용기 내의 특정 재료와 기계의 기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의 프로세싱은, 인코딩된 매개변수의 데이터 유닛과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예컨대, 특징 추출에 의한 유닛 길이 또는 픽셀 통합에 의한 전체 면적/형상을 결정하는 것; 인코딩 라인(D)에 대한 데이터 유닛의 오프셋을 특징 추출에 의해 결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데, 본 방법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켜서, 상기 디코딩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 유닛을 제어하는 것, 작동 정보를 사용하여 재주문을 위한 용기 소비를,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서버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 및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용기가 그의 유효 기간을 경과했는지 판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3 실시예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의 프로세싱을 위한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의 용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부착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부착물은 제1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코드를 표면 상에 담지하는 캐리어(carrier); 상기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마치 용기에 일체로 형성된 것처럼 상기 캐리어를 용기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부재는 마치 용기에 일체로 형성된 것처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다. 적합한 부착 부재의 예에는 접착 스트립; 클립 또는 볼트와 같은 기계식 체결구가 포함된다.
제5 실시예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부착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부착물은 제1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코드를 표면 상에 담지하는 캐리어; 상기 기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를 상기 기계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와 수용되었을 때의 용기 사이의 위치에서 기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어서, 그 위의 코드가 상기 용기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부재는 마치 용기에 부착된 것처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다. 적합한 부착 부재의 예는 접착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캐리어에 부착된 연장부, 또는 클립, 볼트, 또는 브래킷과 같은 기계식 체결구를 포함한다.
제6 실시예에 따라, 제2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용기 또는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부착물의 사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제7 실시예에 따라, 제2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의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의 프로세서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획득하도록,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실시예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의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술된 기능 유닛들은 디지털 전자 로직, 예컨대, 하나 이상의 ASIC들 또는 FPGA들; 저장된 코드로 구성된 펌웨어의 하나 이상의 유닛;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듈 또는 알고리즘과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그리고 모든 기능 유닛들이 디지털 전자 로직, 저장된 코드로 구성된 펌웨어의 하나 이상의 유닛,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실시예에 따라, 제7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프로세서의 메모리 유닛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의 용기, 제1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재료를 담기 위한 용기; 또는 제7 또는 제8 실시예에 따른 부착물 상에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드의 사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제10 실시예에 따라,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데, 본 방법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음료 또는 식품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인 용기 상에, 또는 상기 용기 또는 상기 기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 상에 코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부에 따른 코드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방법은, 기준 부분의 기준 라인(r)을 한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기준 유닛을 배열하는 단계; 및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에 데이터 유닛을 배열함으로써 코드의 데이터 부분에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유닛은 상기 인코딩을 위한 변수로서 상기 교차점으로부터 인코딩 라인(D)을 따라 연장되는 거리(d)에 배열되며,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D)은 원형이고 그에 대한 접선이 상기 교차점에서 기준 라인(r)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되게 된다. 본 방법은, 인쇄; 조각술; 엠보싱 중 하나에 의해 코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포함하는 정보 담지 매체(information carrying medium)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특히, 정보 담지 매체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기,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부착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적합한 매체의 접착제 스트립과 같은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담지 매체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태양에 따른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이 정보 담지 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는 정보 담지 매체와 함께, 예컨대, 정보 담지 매체를 용기 또는 다른 적합한 구성요소, 예컨대, 전술된 부착물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시키는 것을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정보 담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의 음료 또는 식품 제조 방법은 정보 담지 매체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태양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요약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특징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범주 또는 사상을 어떤 식으로든 좁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또 다른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 요지의 다른 특징들, 태양들, 및 이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 및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조 기계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코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조 기계를 위한 용기들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용기들을 위한 코드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스템에 대한 부착물들을 예시하는 개략도들이다.
음료 제조 시스템
도 1에 예가 예시되어 있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2)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4); 용기(6)를 포함하고, 이들은 순차적으로 설명된다.
제조 기계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4)는, 여기서 조리 재료라 하는 음료 또는 식품 재료의 일부분을 먹기 및/또는 마시기에 의해 소비되는 식품 및/또는 음료로 가공 처리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전형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식품 재료는 대체적으로 먹기 위한 음식물로 가공 처리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며, 이는 냉장 또는 가열될 수 있는데, 그의 비포괄적 예로는, 요구르트; 무스; 파르페; 수프; 아이스크림; 셔벗; 커스터드; 스무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품은 액체, 겔, 또는 페이스트 식품이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음료 재료는 음용(potable) 물질로 가공 처리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냉장 또는 가열될 수 있는데, 그의 비포괄적 예로는, 차; 그라인딩된 커피를 포함한 커피; 핫쵸코; 우유; 농축 과일 음료(cordial)가 있다. 두 정의들 사이에는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다는 것, 즉, 상기 기계(4)는 식품과 음료 둘 모두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제조 기계(4)는 작업대 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치수설정되는데, 예컨대, 이는 길이, 폭 및 높이가 70cm 미만이다. 제조 기계(4)는 제조하려는 음료 및/또는 식품의 특정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예는 하기와 같다:
도 1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예에서, 제조 기계(4)는 대체적으로 식품 제조용이고, 최종 사용자의 소비에 사용되는 리셉터클인 용기(6)에 공급되는 조리 재료를 제조하도록 작동가능한데, 적합한 제조 기계의 예가 PCT/EP13/072692호에 제공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조 기계(4)는 대체적으로 식품 제조용이며, 패킷 또는 캡슐과 같은 용기(6)에 공급되는 조리 재료를 최종 사용자의 소비에 사용되는 교체 리셉터클에 분배하도록 작동가능하고, 여기서 식품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제조되는데, 적합한 제조 기계의 예가 PCT/EP13/072692호 및 EP 14167344A호에 개시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3 실시예에서, 제조 기계(4)는 대체적으로 음료 제조용이며, 패킷 또는 캡슐과 같은 일회용 용기(6) 내의 조리 재료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성분들을 최종 사용자의 소비에 사용되는 교체 리셉터클에 분배하도록 작동가능한데, 적합한 제조 기계(4)의 예가 EP 2393404 A1호, EP 2470053 A1호, EP 2533672 A1호, EP 2509473 A1호, EP 2685874 A1호, EP 2594171 A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완전성을 위해, 지금부터는 몇몇 그러한 제조 기계(4)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인데, 이는 순차적으로 설명되는 하우징(10); 제조 유닛(14); 제어 시스템(16);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10)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수평으로 배열된 지지면에 접하는 베이스(20); 구성 요소들을 그에 장착하기 위한 본체(22)를 포함한다.
제조 유닛
제조 기계(4)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 유닛(14)은, 일인용의 일회용 용기(6); 최종 사용자의 소비에 사용되는 리셉터클인 용기(6); 이들의 조합 내에 배열된 조리 재료로부터 식품/음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하도록 작동가능할 수 있다. 이것의 각 구성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논의된다.
대체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제조 유닛(14)은, 대체적으로 상태 조절(즉,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는 물 또는 우유인 제조 동안 사용되는 유체를 전형적으로 용기(6)(또는 기계(4)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셉터클)에 공급하도록 작동가능한 유체 공급부(12)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부(12)는 전형적으로, 유체 - 이는 대부분의 응용에서 1 내지 5리터의 유체임 - 를 담기 위한 저장조(24); 전기 모터 또는 유도 코일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왕복 또는 회전 펌프와 같은 유체 펌프(26); 대체적으로 인라인 가열 블록형 히터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유체 히터(28); 유체를 제조 유닛(14)으로 공급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저장조(24), 유체 펌프(26), 유체 히터(28), 및 출구는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서로 유체 연통 상태에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유체 공급부(12)는 외부 유체 공급원, 예컨대, 급수 본관에 대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에 공급된 조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
도 1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조 기계(4)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유닛(14)은 약 150ml 내지 350ml의 제조된 제품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컵, 포트, 또는 다른 적합한 리셉터클과 같은 리셉터클인 용기(6) 내에 저장된 조리 재료를 제조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조 유닛(14)은 혼합 유닛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설명되는 교반기 유닛(30); 보조 제품 유닛(32); 열교환기(34); 리셉터클 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 유닛(30)은 조리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리셉터클(6) 내에서 이를 교반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교반기 유닛(30)은 임의의 적합한 혼합 배열체, 예컨대, 유성형 믹서(planetary mixer); 나선형 믹서; 수직 절단 믹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교반기 유닛(30)은 조리 재료와 접촉하기 위한 혼합 헤드를 갖는 혼합용 기구; 및 혼합용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기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유성형 믹서의 바람직한 예에서, 혼합 헤드는 회전 각속도 W2로 회전하는 오프셋 축(offset shaft) 상에서 반경 방향 각속도 W1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데, 그러한 배열체는 PCT/EP13/072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보조 제품 유닛(32)은 토핑과 같은 보조 제품을 용기(6)에 공급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보조 제품 유닛(32)은 상기 제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 저장조로부터의 상기 제품의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 작동식 분배 시스템을 포함한다.
열교환기(34)는 용기(6)로부터의 열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추출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열에너지 전달의 예에서, 이는 가열 블록과 같은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열에너지 추출의 예에서, 이는 냉동 방식 사이클의 열펌프와 같은 열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지지부(52)는 제조 공정 동안 용기(6)를 지지하도록 작동가능하여, 용기(6)가 교반기 유닛(30)에 의한 그 내부에서의 조리 재료의 교반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리셉터클 지지부(52)는 바람직하게는, 열에너지의 전달이 지지된 리셉터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34)와 열적으로 결합된다.
제조 기계(4)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1 실시예의 제조 유닛(14)이, 용기(6)를 수용하며 연관된 조리 재료를 리셉터클 - 여기서 조리 재료가 제조됨 - 내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예가 EP 14167344 A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예가 EP 15195547 A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용기의 절첩부는 취약해지는 기하학적 구조 및/또는 부분을 포함하여서, 축 방향 하중이 그 절첩부와 유지부를 통해 가해질 때에 상기 절첩부가 유지부보다 먼저 절첩되도록 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용기 처리 유닛(14)은 상기 용기를 절첩하기 위해 축 방향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작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예가 참조 출원에 제공되어 있다.
용기로부터 음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제조 유닛
제조 기계(4)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유닛(14)은 추출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조리 재료를 담고 있는 용기(6)를 수용하도록, 음료의 하나 이상의 성분이 추출될 수 있게 용기(6)를 가공 처리하도록, 그리고 상기 성분들을 최종 사용자의 소비에 사용되는 교체 리셉터클에 분배하도록 작동가능할 수 있다. 용기는 대체적으로는 캡슐 또는 패킷과 같은 일인용의 일회용 용기인데, 상기 캡슐과 함께 사용되는 제조 유닛(14)을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상기 패킷과 함께 사용되는 변형 기계를 설명한다.
캡슐을 포함하는 용기(6)의 예에서, 제조 유닛(14)은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추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한데, 캡슐 추출 위치로부터 캡슐 수용 위치로 이동될 때, 추출 유닛은 캡슐 배출 위치를 통하여 또는 그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소비된 캡슐이 그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조 유닛은 순차적으로 설명되는 주입 헤드; 캡슐 홀더; 캡슐 홀더 로딩 시스템; 캡슐 삽입 채널; 캡슐 배출 채널을 포함한다.
주입 헤드는 캡슐 홀더에 의해 보유되는 경우 캡슐의 캐비티 내로 유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유체 공급부의 출구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는 노즐을 갖는 인젝터가 그에 장착된다.
캡슐 홀더는 추출 동안 캡슐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이는 주입 헤드에 작동식으로 링크된다. 캡슐 홀더는 상기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추출 위치를 구현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한데, 캡슐 홀더가 캡슐 수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캡슐이 캡슐 삽입 채널로부터 캡슐 홀더로 공급될 수 있고; 캡슐 홀더가 캡슐 추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공급된 캡슐이 홀더에 의해 보유되고, 주입 헤드가 유체를 보유된 캡슐의 캐비티 내로 주입할 수 있고,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캡슐 홀더를 캡슐 추출 위치로부터 캡슐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 캡슐 홀더는 상기 캡슐 배출 위치를 통하여 또는 그로 이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비된 캡슐은 캡슐 배출 채널을 통하여 캡슐 홀더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캡슐 홀더 로딩 시스템은 캡슐 수용 위치와 캡슐 추출 위치 사이에서 캡슐 홀더를 구동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제조 유닛(14)은 캡슐(6)의 캐비티 내로 유체를, 예컨대 최대 20 바(bar)로, 가압하여 주입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는데, 이는 주입 헤드 및 펌프(2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EP 2594171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심 분리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적합한 제조 유닛의 추가 예는 EP 2393404 A1호, EP 2470053 A1호, EP 2533672 A1호, EP 2509473 A1호, EP 2685874 A1호, 및 EP 2594171 A1호에 제공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제조 유닛(14)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EP 1472156호 및 EP 17843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용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을 포함하는 용기(6)의 예에서, 제조 유닛(14)은 패킷을 수용하고 그의 입구에서 유체를 유체 공급부(12)로부터 주입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주입된 유체는 패킷의 출구를 통해 패킷을 빠져 나오게 되는 음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하도록 패킷 내에서 조리 재료와 혼합된다. 제조 유닛(14)은 미사용 패킷을 수용하고 소비된 패킷을 배출하기 위한 지지 기구; 유체를 유체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패킷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젝터를 포함한다. 추가 상세사항이 WO 2014/125123호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제어 시스템
도 2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16)은 음료/식품을 제조하는 제조 유닛(14)을 제어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제어 시스템(16)은 순차적으로 설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 프로세서(38); 선택적인 센서들(40); 전력 공급부(42); 선택적인 통신 인터페이스(44)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는 사용자로 하여금 프로세서(38)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그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는 상기 커맨드를 프로세서(38)에 입력으로서 전송한다. 커맨드는, 예를 들어, 제조 공정을 실행하고/하거나 음료 제조 기계(4)의 작동 매개변수를 조정하고/하거나 제조 기계(4)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명령어일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또한, 예컨대,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되었거나 공정과 연관된 매개변수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6)에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의 하드웨어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조이스틱 버튼 또는 누름 버튼과 같은 버튼; 조이스틱; LED들; 그래픽 또는 캐릭터 LDC들; 터치 감지 및/또는 스크린 가장자리 버튼들을 갖는 그래픽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조 공정 및/또는 제조 기계(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센서(40)가 프로세서(38)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입력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센서(40)는 전형적으로, 저장조(24)와 연관된 유체 수위 센서들; 유체 펌프(26)와 연관된 유량 센서들; 열교환기(28)와 연관된 온도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조 기계(4)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센서는 리셉터클 내의 유체 수위를 측정하도록 작동가능한 유체 수위 센서들; 리셉터클 내의 제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교반기 유닛(30)의 혼합 헤드에 의해 제품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교반기 유닛(30)의 혼합 헤드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리셉터클 지지부(52)에 의해 지지되는 리셉터클의 존재를 검출하는 리셉터클 검출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기계(4)의 제3 실시예에서, 센서는, 제조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제조 유닛(14)과 연관된 위치 센서들;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용기(6)(즉, 캡슐 또는 패킷) 검출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 및/또는 센서(40)로부터 입력, 예를 들어 커맨드를 수신하도록; 메모리 유닛(또는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입력을 프로세싱하도록; 대체적으로 제조 공정인 출력을 제공하도록 작동가능하다. 특히, 출력은 용기(6) 상의 제조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을 작동시키는 것; 결정된 정보에 따라 제조 유닛(14)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유닛(14)의 작동은 개방 루프 제어일 수 있거나, 또는 센서(4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피드백으로서 사용하는 더 바람직한 폐 루프 제어일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대체적으로, 집적 회로로서, 전형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로서 배열된 메모리, 입력 및 출력 시스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8)는 다른 적합한 집적 회로, 예컨대, ASIC; 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제어기와 같은 아날로그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의 경우, 적절하다면, 전술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그래밍된 로직으로 고려될 수 있거나 프로그래밍된 로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또한 전술된 집적 회로들, 즉 다수의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는 대체적으로 프로그램 코드 및 선택적으로 데이터로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유닛(46)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은 전형적으로, 프로그램 코드 및 작동 매개변수 저장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데이터 저장을 위한 휘발성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다이 상의) 개별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또는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조 공정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3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제조 프로그램(48)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이상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조 공정은 용기로부터 제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즉,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과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의함); 상기 포함시키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보 및/또는 메모리 유닛(46) 상에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고/있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36)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정된 정보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조 프로그램(48) 또는 그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조 기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재주문을 위한 용기(6) 소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조 기계의 정기 유지 보수를 하기 위해, 기계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42)는 전기 에너지를 프로세서(38)로 그리고 연관된 레벨로 공급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전력 공급부(42)는 주 전기 공급을 수신 및 조절하기 위한 유닛 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42)는 제조 기계(4)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6)의 일부에 작동식으로 링크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4)는 음료 제조 기계(4)와 다른 디바이스/시스템, 전형적으로는 서버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44)는 용기 소비 정보 및/또는 제조 공정 정보와 같은 제조 공정과 관련된 정보를 공급 및/또는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4)는 케이블 매체, 또는 무선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RS-232, USB, I2C, IEEE 802.3에 의해 규정된 이더넷과 같은 유선 접속; 무선 LAN(예를 들어, IEEE 802.11), 또는 근거리 통신(NFC), 또는 GPRS 또는 GSM과 같은 셀룰러 시스템 등의 무선 접속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4)는 프로세서(38)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하드웨어(예를 들어, 안테나)를 마스터 프로세서(38)와 인터페이스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개별 프로세싱 유닛(그의 예가 상기에 제공됨)을 포함한다. 그러나, 덜 복잡한 구성, 예컨대, 프로세서(38)와의 직접 직렬 통신을 위한 단순한 유선 접속이 사용될 수 있다.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은 용기(6) 상의 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은 순차적으로 설명되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 출력 디바이스(72)를 포함한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는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에 전송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디지털 이미지의 스케일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는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할 때에 코드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배열되는데;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가 렌즈를 포함하는 예에서, 렌즈의 배율은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마이크로 유닛 코드 구성(micro-unit code composition)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데, 적합한 광학 디바이스의 예로는 Sonix SN9S102; 스냅 센서 S2 이미저(imager); 오버샘플링형(oversampled) 이진 이미지 센서가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그 내부에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디지털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하기 단락들에서 논의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ASIC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전술된 프로세서(38)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38)에 출력 디바이스가 통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프로세싱을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는 전형적으로 코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적합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예로는 Texas Instruments TMS320C5517이 있다.
출력 디바이스(72)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디코딩된 제조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예컨대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해 프로세서(38)로 출력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용기
용기(6)는, 제조 기계(4)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와 최종 사용자의 소비를 위한 조리 재료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제조하기 위한 조리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 또는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재료는 식품에 안전하도록, 제조 공정의 압력/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선택된다. 용기의 적합한 예는 하기에 제공된다.
용기(6)는 패킷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조리 재료의 일회 투여량을 저장하기 위한 캐비티를 한정하는 본체 부분(58); 캐비티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 부분(60); 플랜지 부분(62), 또는 본체 부분과 플랜지 부분의 연결을 위한 다른 적합한 부분을 포함하고, 플랜지 부분은 대체적으로 캐비티의 베이스의 원위에 배열된다. 몸체 부분은 다양한 형상, 예컨대, 디스크형, 절두원추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6)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 예가 도 3a에 제공되어 있으며,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캡슐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용기(6)는 내부 공간이 150ml 내지 350ml로 구성된 경우에 최종 사용자가 소비하기 위한 리셉터클으로서 구별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내부 공간이 100ml 미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캡슐로 구별될 수 있다. 절첩가능한 구성의 용기(6)는 5ml 내지 250ml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6)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형태인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조리 재료의 일회 투여량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66)을 한정하는 시트 재료(64)의 배열체(예컨대, 그 주연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시트); 내부 공간(66) 내로의 유체 유입을 위한 입구(68);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 및 음료/식품 재료의 유출을 위한 출구(70)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입구(68) 및 출구(70)는 시트 재료에 부착된 부착물(도시되지 않음)의 본체 상에 배열된다. 시트 재료는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내부 공간(66)은 응용예에 따라 150ml 내지 350ml, 또는 200ml 내지 300ml, 또는 50ml 내지 150ml일 수 있다.
코드로 인코딩된 정보
용기(6)의 코드(74)는 연관된 제조 공정과 관련된 정보를 대체적으로 포함하는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다. 제조 기계(4)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할 수 있는데, 여기서 매개변수는 유체 압력; (용기 입구 및/또는 리셉터클로의 출구에서의) 유체 온도; 유체 질량/체적 유량; 유체 체적; 단계 지속기간(예를 들어, 전술된 매개변수를 적용하기 위한 지속기간); 형상/체적과 같은 용기의 기하학적 매개변수; 예를 들어 용기 재주문을 위해 용기 소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용기 매개변수, 예컨대, 용기 식별자, 유효 기간;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음료 기계의 메모리 상에 저장된 레시피를 순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레시피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의 제조 기계(4)와 관련하여, 상기 인코딩된 매개변수는 적용할 백분율 냉각 또는 가열 능력(예를 들어, 열교환기(34)에 의해 적용된 능력); 교반기 유닛(30)에 의해 가해진 토크; 하나 이상의 각속도(예를 들어, 회전 각속도 W1 및 반경 방향 각속도 W2); 용기 온도(예를 들어, 열교환기(34)에 의해 설정된 온도); 전술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가 적용되게 되는 특정 제조 단계의 시간; 복수의 단계 중 어느 것이 전술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와 관련되는지 식별하기 위한 단계 식별자, 예컨대, 영숫자 식별자(alphanumeric identifi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의 제조 기계(4)와 관련하여, 상기 인코딩된 매개변수는 압력; 온도; 유체 체적; 유체 유량; 전술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가 적용되게 되는 특정 제조 단계의 시간; 복수의 단계 중 어느 것이 전술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와 관련되는지 식별하기 위한 단계 식별자, 예컨대, 영숫자 식별자; 레시피 식별자; 용기의 재료가 초기 제조 단계 동안 침액(soak)될 수 있는 시간인 사전 습윤 시간(pre-wetting time); 상기 단계 동안 적용되는 유체 체적인 사전 습윤 체적(pre-wetting volu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의 배열
코드는 그가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서 용기(6)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캡슐(6)의 전술된 예에서, 그의 임의의 외부 표면에, 예컨대, 뚜껑, 본체, 또는 플랜지 부분에 코드가 배열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6)의 전술된 예에서, 그의 임의의 외부 표면에, 예컨대, 림을 포함한 패킷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코드가 배열될 수 있다.
코드의 구성
코드(74)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에 의해 캡처되는 방식으로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코드는 주변부를 상이한 색상으로 한 상태에서 복수의 유닛(76),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유닛들로 형성되는데, 전형적으로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가 유닛과 주변부 사이를 구별하기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있도록, 유닛들은 짙은 색상(예를 들어, 검정색, 짙은 청색, 자주색, 짙은 녹색 중 하나)을 포함하고 주변부는 밝은 색상(예를 들어, 흰색, 밝은 청색, 황색, 밝은 녹색 중 하나)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한다. 유닛(76)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 특히 정사각형 또는 평행사변형과 같은 사변형; 다른 공지된 적합한 형상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형성 오차, 예컨대 인쇄 오차로 인하여, 전술된 형상은 실제 형상에 근사한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유닛(76)은 50μm 내지 200μm(예를 들어, 60, 80, 100, 120, 150μm)의 유닛 길이를 갖는다. 유닛 길이는 적합하게 정의된 유닛의 거리, 예컨대, 원형의 경우에는 직경;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변의 길이; 다각형의 경우에는 대향하는 정점들 사이의 직경 또는 거리; 삼각형의 경우에는 빗변이다. 유닛들(76)은 약 1μm의 정밀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드가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지만, 그 유닛은 대안적으로 요소 또는 마커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유닛(76)은 예컨대 잉크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에 의해, 엠보싱에 의해, 조각술에 의해, 또는 그 밖의 다른 공지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인쇄의 예로서, 잉크는 종래의 프린터 잉크일 수 있으며,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래커로 코팅된 알루미늄(Nespresso™ Classic™ 캡슐에서 찾아볼 수 있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재일 수 있다. 엠보싱의 예로서, 스탬프에 의해 소성 변형가능한 기재(예컨대, 래커로 코팅된 전술된 알루미늄)에 형상이 찍힐 수 있다.
유닛(76)은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 데이터 부분(78)으로; 데이터 부분(78)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부분(80)으로 편성된다. 기준 부분(80)은 복수의 기준 유닛(86)을 포함하며, 기준 유닛들의 중심들은 기준 라인(r)을 한정하는 선형 배열을 갖는다. 대체적으로, 기준 유닛들(86) 중 하나는 상기 기준 라인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식별되는 기준 라인(r) 배향 식별자(88)이다. 대체적으로, 데이터 부분(78)은 인코딩 영역(90)을 포함하고, 그의 경계 내에 데이터 유닛들(82)이 배열된다.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에 데이터 유닛(82)이 배열된다. 대체적으로, 데이터 유닛은,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단지 이산된 위치들(즉, 단지 이산된 의미의 사전결정된 위치들)과 대조적으로, 데이터 라인(D)을 따르는 임의의 연속적인 거리(d)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더 넓은 범위의 정보가 인코딩될 수 있다. 데이터 부분(78)은 숫자상으로 1 이상인 n개의 데이터 유닛(82)을 포함하고, 따라서 대체적으로 n개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기준 부분(80)은 m개의 기준 유닛(86)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m은 숫자상으로 적어도 2이다.
더 구체적으로, 인코딩 라인(D)은 기준 위치(84)에서 기준 라인(r)과 교차한다. 기준 위치(84)는 기준 유닛(86)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거리(d)는, 기준 위치로부터, 데이터 유닛(82)의 중심이 위에 배열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게 배열된 인코딩 라인(D) 상의 위치, 예컨대, 데이터 유닛(82)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이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의 위치까지로 정의되며, 이에 의하면 상기 라인은 교차점에서 인코딩 라인(D)에 직교하게 된다. 거리(d)는 원주거리 또는 각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코드의 상세한 설명
도 4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코드(74)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코드는 원형 평면 도형(planform)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평면 도형은 600μm 내지 1600μm, 또는 약 1100μm의 직경을 갖는데, 이는 인코딩된 매개변수들의 개수에 따라 좌우된다. 도 4(및 후속의 도면)에는 기준 라인(r)과 인코딩 라인(D)이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하는데, 즉, 그들은 코드의 일부로서 물리적 형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들은 코드의 이미지가 나중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될 때에 가상적으로 한정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기준 부분(80)은 선형 배열을 갖는 m개의 기준 유닛(86)(2개가 예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 유닛들(86)은 기준 라인(r)을 한정한다. 기준 유닛들(86) 중 하나는 기준 라인(r) 및 연관된 기준 위치들(84)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기준 라인 배향 식별자(88)인데, 예를 들어, 각각의 기준 위치(84)는 배향 식별자(88)로부터 기준 라인(r)을 따라 사전결정된 거리(예컨대, 100μm 내지 200μm, 또는 160μm)이다. 배향 식별자(88)는, 연관된 데이터 유닛(82)을 갖지 않는 기준 유닛(86); 다른 유닛들과는 상이한 형상, 색상, 크기 중 하나 이상; 기준 라인(r)의 단부에 배열된 기준 유닛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식별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유닛은 코드의 다른 유닛들과는 상이한 크기(예를 들어, 기준 유닛의 직경은 120μm이고 다른 유닛들의 직경은 60μm임)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식별자(88)를 상기 원형 평면 도형의 중심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라인(r)은 두 개의 기준 유닛, 즉 배향 식별자(88) 및 추가 기준 유닛(8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기준 유닛은, 추가 기준 유닛을 배향 식별자(88)로부터 데이터 유닛들보다 더 큰 반경 방향 위치에 배열하는 것; 추가 기준 유닛을 배향 식별자(88)로부터 사전결정된 예약된 반경 방향 위치에 배열하고, 그에 의해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사전결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배열되지 않게 하는 것; 추가 기준 유닛이 형상, 크기, 색상 중 하나 이상의 관점에서 코드의 다른 유닛들과 구별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식별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기준 라인(r)은 배향 식별자(88) 및 추가 기준 유닛(86)을 위치설정함으로써 편리하게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준 라인(r)은 기준 유닛들(86)의 다른 구성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데, 그 예는 상기 기준 라인이 관통해서 연장되는 삼각형과 같은 기준 유닛들의 배열; 상기 기준 라인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로부터 오프셋되도록 한정된 선형 배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기준 위치들(84)에 대한 넘버링은 배향 식별자(88)에 근접한 가장 낮은 수의 기준 위치(84)에서부터, 대응하는 거리(d1-n)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이어 증가하여 그에 원위인 가장 높은 수의 기준 위치(84)까지 포함한다.
기준 라인(r)은 기준 유닛(86)과 데이터 유닛(82)의 적절한 분리가 보장되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부분(78)의 인코딩 영역(90)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최소 거리, 예컨대, 50μm 내지 150μm, 또는 100μm만큼 떨어지게 배열될 수 있는데, 즉, 반경 방향 연장 부분이 그의 환형 형상으로부터 절단된다.
대안적으로, 예시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라인(r)은 인코딩 영역(90)을 통과해 연장되는데, 즉, 기준 라인은 그의 환형 형상과 반경 방향으로 교차한다.
대체적으로, 데이터 부분(78)은 그의 데이터 유닛들(82)이 배열되는 환형 인코딩 영역(90)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기준 라인(r)은 환형 인코딩 영역(9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코딩 라인들(D)은 환형 인코딩 영역(90)의 중심에 대해서 동심이며 기준 라인(r)으로부터 연장되는 반원형 또는 완전한 원형이다. 기준 라인(r)으로부터 라인(D)을 따라 원주 방향 거리(d)에 각각 배열된 n개의 데이터 유닛(82)(4개가 예시됨)이 있다. 인코딩 라인(D)과 기준 라인(r) 사이의 교차점은 국부적으로 직교하며, 기준 위치(84)를 한정한다. 각각의 데이터 유닛(82)은 연관된 기준 위치(84)에 대응하는 기준 유닛(86)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기준 위치(84)에 기준 유닛이 없고, 그에 의해 기준 위치(84)는 가상적으로 한정되는데, 예를 들면, 기준 위치는 인접한 기준 유닛(86)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로 보간된다.
하나 초과의 데이터 유닛(82)이 인코딩 라인(D)을 따라 배열되어서, 예컨대, 다수의 매개변수가 인코딩 라인(D) 상에 인코딩되도록 하거나, 또는 각각의 매개변수가 그와 연관된 다수의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것의 예는 아래에 제공될 것이다. 매개변수의 값은 데이터 유닛(82)의 그의 연관된 기준 위치(84)로부터의 원주 방향 거리(d)로 인코딩된다.
인코딩 라인들(D)에 동축으로 배열된 음영 영역들은 연관된 데이터 유닛들(82)의 위치의 경계를 한정한다. 그들은 예시를 위해 음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가상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데이터의 인코딩
각각의 데이터 유닛(82)(또는 추가 데이터 유닛들)은 선택적으로, 연관된 매개변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한다. 메타데이터는 대체적으로 이산적으로 인코딩되는데, 즉, 메타데이터는 특정 값만을 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다양한 예들이 하기에 주어진다.
도 5a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유닛(82)의 특성 크기(예를 들어, 위에서 정의된 유닛 길이 또는 영역에 의해 한정된 크기)로서 인코딩되고, 그 크기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에 의해 변수로서 식별가능하다. 특히, 크기는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의 특정 크기들의 목록 중 하나일 수 있는데, 예컨대, 60μm, 80μm, 100μm, 120μm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3 기준 위치(84)에 예시된 특정 예에서, 데이터 유닛(82)의 크기는 3개의 크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기준 위치(84)에 예시된 특정 예에서, 인코딩된 매개변수는 3개인데, 각각의 매개변수의 데이터 유닛(82)은 3개의 상이한 크기의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가능하다.
도 5b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는 인코딩 라인(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데이터 유닛(82)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 유닛(82)의 특성 위치(즉, 반경 방향 거리 및/또는 인코딩 라인(D)에서 그은 접선에 직교하는 거리)로서 인코딩된다. 인코딩 라인(D)은, 오프셋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데이터 유닛(82)과 교차한다. 특히, 데이터 유닛(82)을 제1 또는 제2 위치에서 인코딩 라인(D)에 관하여 오프셋되게 하여 메타데이터의 2개의 값을 인코딩할 수 있고, 데이터 유닛(82)을 인코딩 라인(D) 상의 제1 또는 제2 위치에서 오프셋되게 하거나 또는 제3 위치에 배열되게 하여 메타데이터의 3개의 값을 인코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치는 인코딩 라인(D)으로부터 특정 거리, 예컨대, 적어도 20μm 떨어져 배열된 데이터 유닛(82)의 중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3 위치는 인코딩 라인(D)으로부터 특정 거리 미만으로, 예컨대, 5μm 미만으로 떨어져 배열된 데이터 유닛(82)의 중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3 기준 위치(84)에 예시된 특정 예에서, 데이터 유닛(82)은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도록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2 기준 위치에 예시된 특정 예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함께 인코딩된 3개의 매개변수를 가지며, 각각의 매개변수의 데이터 유닛(82)은 데이터 유닛(82)의 위치의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가능하다.
도 5c에 제3 기준 위치에서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3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는 기준 라인(r)의 양 측면 상에서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데이터 유닛(82)의 배열에 관하여 그들의 특성 위치로서 인코딩된다. 예로서, 기준 라인(r)의 좌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82)은 음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하고 기준 라인(r)의 우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82)은 양의 매개변수를 인코딩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도 할 수 있고; 동일한 매개변수에 대해서, 기준 라인(r)의 좌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82)은 가수(mantissa)를 인코딩하고 기준 라인(r)의 우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82)은 지수를 인코딩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배열할 수도 있고; 향상된 정확도를 위해 평균이 취해질 수 있도록, 기준 라인(r)의 좌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82)이 우측에 있는 데이터 유닛과 동일한 매개변수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내부에 연관된 데이터 유닛(82)이 각각 배열된 2개의 구별되는 반원형 서브섹션(90A, 90B)으로 인코딩 영역(90)이 바람직하게 분리되는 경우에, 예컨대, 어느 하나의 최대 거리(d)는 제2 사분면 내의 기준 라인(r) 상에 있다(또는 2개의 데이터 유닛들이 일치하게 배열되지 않도록 기준 라인의 근위에 있다).
도 5d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제4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는, 인코딩 라인(D)을 따라 배열되며 상이한 연관된 거리(dn)를 각각 갖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82)으로서 인코딩된다. 유리하게는, 전체 거리(d)가 거리(dn)의 함수(전형적으로는 평균)로서 증가된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2개의 데이터 유닛(82)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d = 0.5(d1 + d2)이다.
제5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메타데이터는 특성 형상으로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그 형상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의 목록 중 하나일 수 있다. 제6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메타데이터는 특성 색상으로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그 색상은 RGB 이미지 센서로 식별하기에 적합한, 적색; 녹색; 청색의 목록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는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인코딩된 매개변수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가 조합된 상태에서 인코딩된 메타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제조 기계(4)의 제1 실시예를 위한 코드(74)의 특정 예가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1, 제3, 및 제4 기준 위치(86)는 임의의 메타데이터 없이 매개변수를 인코딩한 데이터 유닛(82)을 가지며; 제2 기준 위치(84)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조합에 따라 인코딩된 메타데이터를 갖는 매개변수를 각각 인코딩한 3개의 데이터 유닛(82)(즉, 데이터 유닛의 크기에 대한 3개의 값, 데이터 유닛의 위치에 대한 3개의 값, 이에 따른 메타데이터의 총 9개의 가능한 값)을 갖는다.
특히, 제1 기준 위치(84)는 적용할 백분율 냉각 능력을 인코딩하고; 제3 및 제4 기준 위치(84)는 반경 방향 각속도 W1과 회전 각속도 W2 중 어느 하나를 인코딩하고; 제2 기준 위치는 시간, 온도, 토크를 특정 위치에서의 각각의 작은 크기의 데이터 유닛, 중간 크기의 데이터 유닛, 및 큰 크기의 데이터 유닛으로서 인코딩하며, 그에 의해 이들 매개변수들은 그들 중 하나에 의해 설정된 조건이 달성될 때 코드(74)에 의해 인코딩된 단계가 완료되도록 하는 트리거를 나타내게 된다.
코드 프로세싱 방법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18)은,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에 의해 획득함으로써;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에 의해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디코딩된 제조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72)에 의해 출력함으로써, 제조 정보를 결정하도록 코드를 프로세싱한다.
디지털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코드에 유닛(82, 86)을 위치설정하는 것; 기준 유닛들(86)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기준 라인(r)을 결정하는 것; 각각의 데이터 유닛(82)에 대해, 기준 라인(r)으로부터 인코딩 라인(D)을 따르는 거리(d)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순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코드에 유닛(82, 86)을 위치설정하는 것은 대체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나타낸 픽셀들을 1-비트 2-색조 흑백 이미지, 즉 이진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달성되고, 그에 의해 연관된 변환 매개변수는 유닛들이 그들의 주변의 기준 레벨로부터 구별되도록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오버샘플링형 이진 이미지 센서가 이진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닛들의 중심의 위치는 원형 허프 변환(circle Hough Transform)과 같은 특징 추출 기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이한 크기의 유닛들은 픽셀 통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기준 유닛들(86)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기준 라인(r)을 결정하는 것은, 선형 배열을 갖는 유닛들; 사전결정된 거리 및/또는 가장 큰 거리로 이격된 유닛들; 특정 형상 또는 크기의 유닛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식별함으로써 대체적으로 달성된다. 기준 라인(r)의 배향 식별자(88)는, 형상 또는 크기가 다른 기준 유닛과는 상이한 기준 유닛(86)에 의해, 인코딩 라인(D) 상에 연관된 데이터 유닛(82)을 갖지 않는 기준 유닛(86)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라인(r)은, 원형 연장 인코딩 라인(D)에 의해 한정된 원의 중심에 배열된 배향 식별자(88)에 대응하는 기준 유닛을 식별하고 이로부터 사전결정된/최대의 값을 갖는 기준 유닛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각각의 데이터 유닛(82)에 대해서 기준 라인(r)의 연관된 기준 위치(84)로부터의 인코딩 라인(D)을 따른 거리(d)를 결정하는 것은, 데이터 유닛(82)의 중심으로부터 연관된 기준 위치(84)까지의 원주 방향 거리를 결정함으로써(예를 들어, 기준 위치(88)에서의 기준 라인(r)과 데이터 유닛(82)에 대한 반경 방향 라인 사이의 라디안 각도와 인코딩 라인(D)의 전체 원주를 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거리(d)를 결정하는 것은, 각거리를, 즉 기준 라인(r)과 데이터 유닛(8)에 대한(전형적으로는 그의 중심에 대한) 반경 방향 라인 사이의 라디안 각도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반경 방향 거리는 데이터 유닛을 기준 위치에 관하여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가 바람직한데, 이는 더 적은 프로세싱 단계가 요구되고, 게다가 정확한 반경 방향 거리가 요구되지 않아서 선택적인 메타데이터의 인코딩에 대한 보상을 피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결정된 거리는 이미지가 캡처되었을 때에 코드(74)로부터 떨어져 있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의 거리 및/또는 배율을 사용하여 보정될 수 있다.
결정된 거리(d)와 연관된 매개변수의 값 Vp를 결정하기 위해, 매개변수와 거리(d)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저장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56) 또는 프로세서(38)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계는 선형, 예컨대 Vp ∞ d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계는 비선형일 수 있다. 비선형 관계는 대수 관계, 예컨대 Vp ∞ log(d), 또는 지수 관계, 예컨대 Vp ∞ e d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관계는 매개변수의 정확도가 낮은 값에서는 중요하고 높은 값에서는 덜 중요한 경우나, 또는 이와 반대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예컨대, 제조 기계(4)의 제1 실시예의 경우, 혼합 유닛의 각속도 W1 및 W2의 정확도는 높은 각속도에서보다는 낮은 각속도에서 더 중요하고, 그에 따라 대수 관계가 바람직하게 된다.
인코딩 라인(D)의 원주가 환형 인코딩 영역(90)의 중심(즉, 예시된 예에서 배향 식별자(88))에 근접해 감에 따라 감소하므로, 결정된 거리(d)의 정확도는 상기 중심에 근접할수록 낮다. 유리하게는, 더 높은 수준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매개변수가 상기 중심의 원위에 배열될 수 있고, 높은 수준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매개변수는 상기 중심의 근위에 배열될 수 있다.
매개변수에 관한 전술된 메타데이터는, 인코딩하는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제1 예에서는 연관된 데이터 유닛(82)에 대해 유닛 길이를 특징 추출에 의해 또는 전체 면적을 픽셀 통합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제2 예에서는 연관된 데이터 유닛(82)에 대해 인코딩 라인(D)에 대한 오프셋을 특징 추출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제3 및 제4 예에서는 연관된 데이터 유닛의 중심을 특징 추출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기계 및 용기 부착물
부착물(94)은 그 표면 상에 배열된 전술된 코드(74)를 포함할 수 있고, 부착물(94)은 전술된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4)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부착물은 코드(74)를 담지하기 위한 캐리어(96); 상기 기계(4)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와 상기 기계(4)에 의해 수용되는 용기(6) 사이에서 캐리어(96)를 상기 기계(4)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에 근접해 있는 부착 부재(9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74)의 이미지는 용기(6)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에 의해 캡처될 수 있다. 적합한 부착 부재의 예는 접착 스트립(도시된 바와 같음)을 포함한 상기 캐리어에 부착된 연장부; 클립, 볼트, 또는 브래킷과 같은 기계식 체결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부착물(100)은 그 표면 상에 배열된 전술된 코드(74)를 포함할 수 있고, 부착물(100)은 전술된 용기(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예가 도시되어 있는 부착물(100)은 코드(74)를 담지하기 위한 캐리어(96); 캐리어(96)를 용기(6)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부재(9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74)의 이미지는 용기(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54)에 의해 캡처될 수 있다. 적합한 부착 부재의 예는, 접착 스트립(도시된 바와 같음); 클립, 볼트, 또는 브래킷과 같은 기계식 체결구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목록
2: 제조 시스템
4: 제조 기계
10: 하우징
20: 베이스
22: 본체
14: 제조 유닛
12: 유체 공급부
24: 저장조
26: 유체 펌프
28: 유체 열교환기
실시예 1
30: 교반기 유닛
32: 보조 제품 유닛
34: 열교환기
52: 리셉터클 지지부
16: 제어 시스템
36: 사용자 인터페이스
38: 프로세서
46: 메모리 유닛
48: 제조 프로그램
40: 센서(온도 센서, 리셉터클 수위 센서, 유량 센서, 토크 센서, 속도 센서)
42: 전력 공급부
44: 통신 인터페이스
18: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
54: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56: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
72: 출력 디바이스
6: 용기
캡슐/리셉터클
58: 본체 부분
60: 뚜껑 부분
62: 플랜지 부분
패킷
64: 시트 재료
66: 내부 공간
68: 입구
70: 출구
74: 코드
76: 유닛
78: 데이터 부분
90: 인코딩 영역
82: 데이터 유닛
80: 기준 부분
84: 기준 위치
86: 기준 유닛
88: 배향 식별자

Claims (21)

  1.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용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음료 또는 식품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이며 제조 정보를 인코딩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기준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부분은 기준 라인(r)을 한정하는 적어도 2개의 기준 유닛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부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은 상기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에 배열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은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상기 교차점으로부터의 거리(d)에 배열되고,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D)은 원형이고 그에 대한 접선이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기준 라인(r)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은 상기 인코딩 라인(D)을 따라 임의의 연속적인 거리를 차지할 수 있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600μm 내지 1600μm의 주연부 길이를 갖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용 인코딩 라인(D)을 각각 갖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고, 전용 인코딩 라인(D)은 그에 대한 접선이 교차점에서 직교하는 상태로 상기 기준 라인(r)과 교차하고,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들은 동심으로 배열되는,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라인(D)은 기준 위치에서 상기 기준 라인(r)과 교차하고, 상기 기준 위치에는 기준 유닛이 없고, 그에 의해 상기 또는 각각의 기준 위치는 상기 기준 라인을 따라 사전결정된 거리에 배열되는,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은 매개변수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추가로 인코딩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특정 매개변수 및/또는 그와 연관된 특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산적으로 인코딩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 유닛의 유닛 길이가 상기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복수의 사전결정된 유닛 길이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용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원형인 상기 인코딩 라인(D)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을 따라 상기 인코딩 라인(D)으로부터의 데이터 유닛의 중심의 오프셋(offset)이 상기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변수로서 복수의 사전결정된 오프셋들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용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인코딩 라인(D)을 따라 배열되고, 그에 의해 각각의 데이터 유닛은 개별 매개변수를 인코딩하고, 각각의 데이터 유닛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가능할 수 있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용기의 표면 상에 또는 그에 부착된 부착물 상에 형성되는,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캡슐; 패킷(packet); 내부의 음료 또는 식품의 소비를 위한 리셉터클; 절첩가능한 용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 및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조 기계는
    용기를 수용하고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
    상기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작동가능한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
    상기 디코딩된 제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 유닛을 제어하도록 작동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코드의 기준 유닛과 데이터 유닛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기준 유닛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기준 라인(r)을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유닛을 위한 거리(d)를 결정함으로써;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변수와 상기 거리(d) 사이의 저장된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d)를 매개변수(Vp)의 실제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된 관계는 선택적으로, 대수 관계, 예컨대 Vp ∞ log(d); 지수 관계, 예컨대 Vp ∞ e d ; 다항식; 계단 함수; 선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조 정보를 이용하여 제조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용 용기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물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드를 표면 상에 담지하는 캐리어(carrier);
    상기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부착물.
  16. 제12항의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물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드를 표면 상에 담지하는 캐리어;
    상기 기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부착물.
  17. 제1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의 부착물의 용도.
  18.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드의 용도.
  19.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의 코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인코딩된 제조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의 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19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조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음료 또는 식품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인 용기 상에, 또는
    음료 또는 식품 제조 기계의 상기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 상에, 코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추가로,
    기준 부분의 기준 라인(r)을 한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기준 유닛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라인(r)과 교차하는 인코딩 라인(D) 상에 데이터 유닛을 배열함으로써 상기 코드의 데이터 부분에 상기 제조 정보의 매개변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은 상기 인코딩을 위한 변수로서 상기 교차점으로부터의 거리(d)에 배열되고, 그에 의해 상기 인코딩 라인(D)은 원형이고 그에 대한 접선이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기준 라인(r)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방법.
KR1020177030998A 2015-04-30 2016-02-23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KR102622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5924 2015-04-30
EP15165924.0 2015-04-30
PCT/EP2016/053729 WO2016173735A1 (en) 2015-04-30 2016-02-23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23A true KR20180004123A (ko) 2018-01-10
KR102622508B1 KR102622508B1 (ko) 2024-01-08

Family

ID=5301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998A KR102622508B1 (ko) 2015-04-30 2016-02-23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827875B2 (ko)
EP (2) EP3265402B1 (ko)
JP (1) JP6959867B2 (ko)
KR (1) KR102622508B1 (ko)
CN (1) CN107531401B (ko)
AU (1) AU2016254083B9 (ko)
BR (1) BR112017022802B1 (ko)
CA (1) CA2982008A1 (ko)
CL (1) CL2017002704A1 (ko)
DK (1) DK3265402T3 (ko)
ES (1) ES2712976T3 (ko)
HU (1) HUE043800T2 (ko)
MX (1) MX2017013182A (ko)
MY (1) MY189258A (ko)
PH (1) PH12017501904B1 (ko)
PL (1) PL3265402T3 (ko)
PT (1) PT3265402T (ko)
SG (1) SG11201707806SA (ko)
TR (1) TR201901686T4 (ko)
WO (1) WO2016173735A1 (ko)
ZA (1) ZA2017081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18A (ko) 2018-12-14 2020-06-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의료기관 종에 따른 응급실 혼잡도 예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10722066B2 (en) * 2010-12-04 2020-07-28 Adrian Rivera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KR20190100427A (ko) * 2010-07-22 2019-08-2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음료수 제조를 위한 1인용 캡슐
US10478010B2 (en) 2015-04-30 2019-11-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de arrangement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TWI721084B (zh) * 2016-02-23 2021-03-11 瑞士商雀巢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飲料或食品製備機器之容器、經組態以用於附接至該容器之附接件、飲料或食品製備系統、經組態以用於附接至該機器之附接件、編碼製備資訊之方法、製備該飲料或食品之方法、代碼用於在該容器上編碼製備資訊之用途及電腦程式產品
TWI788279B (zh) * 2016-02-23 2023-01-01 瑞士商雀巢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製備一飲料或食品之系統的代碼、方法與容器,用於編碼製備資訊之代碼與方法,及包含電腦程式之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
EP3562357B1 (en) * 2016-12-29 2020-10-07 Koninklijke Philips N.V. Coffee brewing
CA3071237A1 (en) * 2017-07-28 2019-01-31 The Coca-Cola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ircular symbolic codes
FI3665611T3 (fi) * 2017-08-08 2024-05-03 Nestle Sa Juoman tai ruoan valmistusjärjestelmän viivakoodi ja säiliö
JP2019131209A (ja) * 2018-01-29 2019-08-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提供システム、飲料提供方法、飲料提供プログラム
EP3768130A4 (en) * 2018-03-22 2021-12-22 Bedford Systems LLC BEVERAGE DEVICE WITH CAPSULE DETECTION SYSTEM
GB2587321B (en) * 2019-08-15 2023-06-07 Douwe Egberts Bv Beverage ingredient container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WO2024094786A1 (en) 2022-11-04 2024-05-1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100077A1 (en) 2022-11-10 2024-05-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013A (ja) * 2007-12-18 2011-03-0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エンコード有りのインサートによって支持された原料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1253440A (ja) * 2010-06-03 2011-12-15 Nishizaki Tsutao 情報表現方法、情報表現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物品、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表現装置
JP2014503327A (ja) * 2011-02-01 2014-02-1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調製カプセルのためのバーコード
JP2015505499A (ja) * 2012-02-07 2015-02-23 クラフト・フーズ・アール・アンド・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調製システム、コード化された挿入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0916B2 (ja) * 1993-08-04 2004-12-15 庸良 落合 ビックバンコード読み取り器
US5637849A (en) * 1995-05-31 1997-06-10 Metanetics Corporation Maxicode data extraction using spatial domain features
US20020048621A1 (en) 2000-10-06 2002-04-25 Boyd David D. Encoded coffee packet
SI1808382T1 (sl) 2002-01-16 2013-04-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Zaprta kapsula s skodelico, ki ima odpiralna sredstva
PT1784344E (pt) 2004-08-23 2009-04-21 Nestec Sa Cápsula para preparar e distribuir uma bebida injectando um fluido pressurizado na cápsula
US8094870B2 (en) * 2006-01-27 2012-01-10 Spyder Lynk, Llc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 an image
US8194914B1 (en) * 2006-10-19 2012-06-05 Spyder Lynk, Llc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to an image using identifiable marks and encoded elements
US20100078480A1 (en) * 2008-09-29 2010-04-0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of positioning the barcode
RU2535461C2 (ru) 2009-02-06 2014-12-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ующие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е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жидкости, и средства компенсации тепловых потерь
MX2012000261A (es) * 2009-07-03 2012-05-08 Nestec Sa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identificacion.
ES2434321T3 (es) 2009-08-28 2013-12-16 Nestec S.A. Sistema de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por centrifugación
SG181164A1 (en) 2009-12-08 2012-07-30 Nestec Sa Capsule system with flow adjustment means
EP2345351A1 (en) 2010-01-19 2011-07-20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code
CN102858210B (zh) 2010-02-08 2016-10-19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在饮料生产装置中通过离心法输送咖啡饮料的方法
WO2011152296A1 (ja) * 2010-06-03 2011-12-08 Nishizaki Tsutao 情報表現方法、情報表現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物品、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表現装置
US9332877B2 (en) 2010-06-11 2016-05-10 Pressco Ip Llc Cookware and cook-packs for narrowband irradiation cooking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EP2580713B1 (en) * 2010-06-11 2016-04-06 Rnib Coded information systems
EP2579755B1 (en) 2010-06-11 2020-08-05 Pressco IP LLC Cookware and cook-packs for narrowband irradiation cooking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O2011159339A1 (en) 2010-06-14 2011-12-22 Trutag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roducing a packaged item with an identifier
US8960075B2 (en) * 2010-09-07 2015-02-24 Helmut Traitl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RU2587060C2 (ru) 2010-11-11 2016-06-10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аппар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GB2485575B (en) 2010-11-18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dispensation from beverage machines
EP2685874B1 (en) 2011-03-14 2018-04-25 Nestec S.A. Automatic beverage machine
DK2594171T3 (da) * 2011-11-16 2014-05-19 Nestec Sa Bærer og kapsel til fremstilling en drik ved centrifugering,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drik ved centrifugering
EP3590350A1 (en) * 2012-09-15 2020-01-08 Deepak Boggavarapu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US20150351583A1 (en) * 2012-12-21 2015-12-10 Nestec S.A. Food or beverage production system
ES2640104T3 (es) 2013-02-18 2017-10-31 Nestec S.A. Pack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surtido de packs, procedimiento, y máquina
JP6306165B2 (ja) 2013-06-24 2018-04-0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食用組成物調製用カプセル
DK2853182T3 (en) * 2013-09-30 2016-12-12 Nestec Sa Code carrier an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SG2013075338A (en) 2013-10-08 2015-05-28 K One Ind Pte Ltd Set meal preparation system
US10053280B2 (en) 2013-12-30 2018-08-21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packagings for customized food items that were customized based, at least in part, on customized food item integrity preference
EP3157397A4 (en) 2014-06-18 2018-08-15 Serenete Corporation Modularized food preparation device and tray structure for use thereof
US10478010B2 (en) 2015-04-30 2019-11-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de arrangement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EP3288863B8 (en) 2015-04-30 2019-07-3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013A (ja) * 2007-12-18 2011-03-0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エンコード有りのインサートによって支持された原料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1253440A (ja) * 2010-06-03 2011-12-15 Nishizaki Tsutao 情報表現方法、情報表現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物品、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表現装置
JP2014503327A (ja) * 2011-02-01 2014-02-1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調製カプセルのためのバーコード
JP2015505499A (ja) * 2012-02-07 2015-02-23 クラフト・フーズ・アール・アンド・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調製システム、コード化された挿入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18A (ko) 2018-12-14 2020-06-2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의료기관 종에 따른 응급실 혼잡도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1401B (zh) 2020-06-16
PH12017501904A1 (en) 2018-03-05
CN107531401A (zh) 2018-01-02
CL2017002704A1 (es) 2018-03-23
MX2017013182A (es) 2018-01-16
US10827875B2 (en) 2020-11-10
WO2016173735A1 (en) 2016-11-03
EP3406542A1 (en) 2018-11-28
PT3265402T (pt) 2019-03-25
MY189258A (en) 2022-01-31
ES2712976T3 (es) 2019-05-17
CA2982008A1 (en) 2016-11-03
AU2016254083A1 (en) 2017-10-12
KR102622508B1 (ko) 2024-01-08
HUE043800T2 (hu) 2019-09-30
AU2016254083B2 (en) 2020-06-11
PH12017501904B1 (en) 2018-03-05
EP3265402A1 (en) 2018-01-10
AU2016254083B9 (en) 2020-07-16
JP2018517622A (ja) 2018-07-05
EP3265402B1 (en) 2018-12-26
PL3265402T3 (pl) 2019-06-28
ZA201708110B (en) 2022-11-30
DK3265402T3 (en) 2019-03-25
BR112017022802A2 (pt) 2018-07-17
BR112017022802B1 (pt) 2022-07-26
SG11201707806SA (en) 2017-11-29
US20180125288A1 (en) 2018-05-10
TR201901686T4 (tr) 2019-02-21
JP6959867B2 (ja)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508B1 (ko)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US10820746B2 (en) Code arrangement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RU2733648C2 (ru) Код и контейнер систем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ли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RU2718646C2 (ru) Код рецептуры и контейнер систем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ли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EP3288863B1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US10595669B2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US20230355031A1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EP3420497B1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TW201741203A (zh) 用於製備一飲料或食品之系統的代碼與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