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773A -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773A
KR20180003773A KR1020160083298A KR20160083298A KR20180003773A KR 20180003773 A KR20180003773 A KR 20180003773A KR 1020160083298 A KR1020160083298 A KR 1020160083298A KR 20160083298 A KR20160083298 A KR 20160083298A KR 20180003773 A KR20180003773 A KR 2018000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spring
closed
doo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김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갑 filed Critical 김용갑
Priority to KR102016008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773A/ko
Publication of KR2018000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도어가 상호간 폴딩되면서 슬라이드 개폐되는 구조의 폴딩도어시스템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측 슬라이드 부분과, 도어의 측면프레임 부분 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가 도어의 측면프레임 부 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항시 감겨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폴딩도어의 개방 및 밀폐시 별도의 동력장치없이도 손쉬운 작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개방후에는 자동적으로 점차 폴딩도어가 밀폐되며, 폴딩도어가 완전 개방 및 밀폐시에는 자석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FOLDING DOOR SYSTEM BY SPRING TENSION}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없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폴딩도어가 원활히 개방 및 밀폐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 폴딩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종래의 폴딩도어는 다수개의 도어들이 상호 힌지로 연결되어, 도어를 개폐할때에 미는 힘에 의하여, 원하지 않은 회전속도로 힌지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폴딩도어들의 회전운동을 예측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폴딩도어를 닫을 때에, 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고,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시 의식적으로 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는가를 확인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재된 폴딩도어 시스템의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종래의 폴딩도어를 열거나, 닫을때에 도어의 개폐속도를 서서히 조절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회전작동범위를 예상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일정지점에서는 폴딩도어가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작동되는 편리함과 안정성등이 요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219095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456898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4857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가 상호간 폴딩되며 슬라이딩 개폐되는 폴딩도어시스템에 있어서,
폴딩도어의 상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도어의 일측 프레임에 권취되는 와이어를 설치하고, 이러한 와이어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항시 감기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구비하지 않아도 폴딩도어를 개방 또는 밀폐하는 외력에 이러한 스프링의 장력이 더해져 손쉬운 작동이 가능토록 하며,
폴딩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와이어가 스프링의 원상복귀되려는 힘에 의해 차츰 감기기에, 별도의 동력없이도 천천히 폴딩도어가 자동으로 서서히 닫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렇게 자동으로 서시히 닫힘으로 인하여 도어의 밀폐시간 예측이 가능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이 제공되고,
완전개방 또는 완전밀폐된 폴딩도어는 자석에 의해 그 위치가 확실히 고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폴딩도어(20)의 부상샤시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 내에서, 원활히 슬라이드 왕복이송가능토록 삽입장착되는 슬라이드(10); 상기 슬라이드(10)가 상부면에 고정장착된 다수개가, 각각 상호간 폴딩되며 슬라이드 개폐되는 폴딩도어(20); 폴딩도어(20)가 닫히는 일측 프레임(F) 내부 회전축(31)에 스프링(32)이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부(30); 상기 회전축(31)에 일단이 권취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10)의 내부 중심축(11)에 연결되어, 스프링부(30)의 장력에 의해, 폴딩도어(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도록 하는 와이어(40); 를 포함하여, 상기 폴딩도어(20)를 개방시에는, 와이어(40)가 풀리면서 스프링(32)이 압축되고, 개방된 폴딩도어(20)를 밀폐시에는, 압축된 스프링(32)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와이어(40)가 원상태로 권취됨으로써, 별도의 부가적인 동력추가없이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시 가해지는 외력의 가속도에, 스프링(32)의 장력이 부가되어, 더욱 원활히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딩도어를 개폐시 와이어를 폴딩도어와 측면 프레임에 상호간 연결시켜 권취하고, 이러한 와이어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항시 감기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폴딩도어의 개방 또는 밀폐시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에, 스프링의 장력이 더해져 손쉬운 폴딩도어의 개폐가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스프링에 의해 항시 감기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방된 폴딩도어는 차츰씩 자동적으로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에 의해 폴딩도어가 측면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서 폴딩도어의 순간적으로 갑작스런 작동(개방 또는 밀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이 이용되어, 폴딩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밀폐시 위치가 손쉽게 고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시스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 개방시의 스프링부의 와이어 작동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의 완전개방시 및 완전밀폐시의 자석과 고정자석 상호간의 접촉을 통한 위치고정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도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폴딩도어(20)의 부상샤시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 내에서, 원활히 슬라이드 왕복이송가능토록 삽입장착되는 슬라이드(10); 상기 슬라이드(10)가 상부면에 고정장착된 다수개가, 각각 상호간 폴딩되며 슬라이드 개폐되는 폴딩도어(20); 폴딩도어(20)가 닫히는 일측 프레임(F) 내부 회전축(31)에 스프링(32)이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부(30); 상기 회전축(31)에 일단이 권취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10)의 내부 중심축(11)에 연결되어, 스프링부(30)의 장력에 의해, 폴딩도어(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도록 하는 와이어(40); 를 포함하여, 상기 폴딩도어(20)를 개방시에는, 와이어(40)가 풀리면서 스프링(32)이 압축되고, 개방된 폴딩도어(20)를 밀폐시에는, 압축된 스프링(32)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와이어(40)가 원상태로 권취됨으로써, 별도의 부가적인 동력추가없이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시 가해지는 외력의 가속도에, 스프링(32)의 장력이 부가되어, 더욱 원활히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20)는 상기 와이어(40)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외력에 의한 폴딩도어(20)가 갑작스런 개방 및 밀폐가 방지되며, 폴딩도어(20)는 개방후 원상복귀되려는 스프링(32)부(30)에 의해 와이어(40)가 잡아당겨져, 폴딩도어(20)가 점차적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20)는 최외측의 폴딩도어(20) 상단에 자석(50)이 고정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샤시(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상에서, 폴딩도어(20)의 완전개방 및 완전밀폐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60a, 60b)에 대응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개방 또는 밀폐된 폴딩도어(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100, 설명상 편의를 위하여 폴딩도어시스템이라 칭함.)은 슬라이드(10), 폴딩도어(20), 스프링부(30), 와이어(40), 자석(5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10)는 후술될 폴딩도어(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좌,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후술될 폴딩도어(20)가 폴딩되며 닫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폴딩도어(20)의 일측끝단의 상부면에 고정구(13)에 의하여 고정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드(10)는 폴딩도어(20)의 상단샤시에 내부의 빈공간인 슬라이드 통로(12)상에서 삽입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통로(12)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말해, 폴딩도어시스템(100)의 프레임의 상부샤시(21)에는 폴딩도어(20)가 서로 폴딩되도록 왕복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슬라이드(10)는 폴딩도어(2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되, 전술된 슬라이딩 통로에 장착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드(10)와 대개의 폴딩도어(20)는, 다수개의 폴딩도어(20)의 일측은 도어 프레임의 기둥에 힌지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폴딩되어 힌지운동하며, 다른 폴딩도어(20)는 폴딩되며, 위치가 왕복이동되며, 폴딩되는 것이다.
즉, 다수개의 폴딩도어(20) 중에서 안쪽에 위치한 도어는 상부샤시(21)에 힌지 고정되어 있으며, 최외측에 위치한 도어가 열리고 닫히면, 이와 연결된 중간부에 위치한 도어도 함께 폴딩되며,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부샤시(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내에서, 슬라이드(10)가 삽입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10)는 다수개의 회전되는 롤러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롤러에 의하여, 통로내부 벽면에 접촉되어, 원활하게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드(10)는 폴딩도어(20)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되어 다수개의 폴딩도어(20)가 각각 서로 폴딩되며,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폴딩도어시스템(100)의 사용용도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10)가 폴딩도어(20)의 끝단 상부면에 고정되거나, 폴딩도어(20)의 중간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부(30)는 폴딩도어(20)가 닫히는 최외측의 프레임측인 일측 프레임(F)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회전축(31)이 설치되고, 이러한 회전축(31)의 하단에는 스프링(32)을 고정설치하며, 회전축(31)의 상단에는 스프링부(30)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40)의 일단을 권취하되, 와이어(40)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10)의 내부 중심축(11)에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상기 스프링(32)의 와인딩에 의하여 와이어(40)가 감기고 풀리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폴딩도어(20)가 외력에 의해 개방시에는, 상기 와이어(40)가 풀리게 되며, 스프링부(30) 내 스프링(32)은 다시 감기려는 장력이 발생되는 것이며,
폴딩도어(20)가 닫힐시에는 원상태로 돌아가는 스프링(32)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와이어(40)가 스프링부(30) 내부로 다시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40)의 장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폴딩도어(20)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폴딩도어(2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40)는 압축되어지는 스프링(32)에 의해 원래 길이로 복귀하려는 장력을 가지게 되면서, 폴딩도어(20)가 개방된 거리만큼 풀리게 되고, 상기 폴딩도어(20)가 계속 열리게 되면, 스프링(32)은 계속 압축되되 원상복귀되려는 힘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폴딩도어(20)가 개방되는 거리만큼 계속 풀리는 와이어(40)의 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32) 및 와이어(40)에 작용되는 장력은, 폴딩도어(20)를 개방 또는 밀폐하기 위해 사용자 등 외부에서 폴딩도어(20)에 가해지는 외력에 더해져, 폴딩도어(20)의 개방 또는 밀폐가 손쉬워 지는 정도의 힘이다.)
이후 폴딩도어(20)를 밀폐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32)이 원상복귀하려는 원상복귀력에 의해, 와이어(40)는 잡아당겨지고, 이에 와이어(40)는 스프링부(30) 내부로 재권취되며 복귀하려는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폴딩도어(20)가 손쉽게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별도의 동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압축되어 있다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스프링(32)의 장력에 의해 폴딩도어(20)는 천천히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폴딩도어(20)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부(30)에 와이어(40)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도어(20)를 개방하거나 밀폐시 갑작스렇게 열리거나 닫히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석(50)은 전술된 폴딩도어(20) 중 최외측의 폴딩도어(20)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와 대응되도록 전술된 상부샤시(21)의 슬라이드 통로(12)상에도 복수개의 고정자석(60a, 60b)이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통로(12)상에서의 고정자석(60a, 60b)은 폴딩도어(20)가 완전개방되었을시 최외측 폴딩도어(20) 상단의 자석(50)과 대응되는 위치(일단(왼측)에 위치되는 고정자석(60a)) 및, 폴딩도어(20)가 완전밀폐되었을시 최외측 폴딩도어(20) 상단의 자석(50)과 대응되는 위치(타단(오른쪽)에 위치되는 고정자석(60b)), 총 2군데이다.
즉, 폴딩도어(20)의 완전개방 및 완전 밀폐시 이러한 폴딩도어(20)의 자석(50)이 각각의 고정자석(60a, 60b)과 대응접촉되어 자석결합됨으로써, 폴딩도어(20)의 개방 또는 밀폐된 상태가 유지될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슬라이드 11: 중심축
12: 슬라이딩 통로 13: 고정구
20: 폴딩도어 21: 상부샤시
30: 스프링부 31: 회전축
32: 스프링 40: 와이어
50: 자석 60a, 60b: 고정자석
100: 폴딩도어시스템
F: 일측프레임

Claims (3)

  1. 폴딩도어(20)의 부상샤시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 내에서, 원활히 슬라이드 왕복이송가능토록 삽입장착되는 슬라이드(10);
    상기 슬라이드(10)가 상부면에 고정장착된 다수개가, 각각 상호간 폴딩되며 슬라이드 개폐되는 폴딩도어(20);
    폴딩도어(20)가 닫히는 일측 프레임(F) 내부 회전축(31)에 스프링(32)이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부(30);
    상기 회전축(31)에 일단이 권취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10)의 내부 중심축(11)에 연결되어, 스프링부(30)의 장력에 의해, 폴딩도어(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도록 하는 와이어(40); 를 포함하여,
    상기 폴딩도어(20)를 개방시에는, 와이어(40)가 풀리면서 스프링(32)이 압축되고, 개방된 폴딩도어(20)를 밀폐시에는, 압축된 스프링(32)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와이어(40)가 원상태로 권취됨으로써, 별도의 부가적인 동력추가없이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시 가해지는 외력의 가속도에, 스프링(32)의 장력이 부가되어, 더욱 원활히 폴딩도어(20)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20)는
    상기 와이어(40)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외력에 의한 폴딩도어(20)가 갑작스런 개방 및 밀폐가 방지되며, 폴딩도어(20)는 개방후 원상복귀되려는 스프링(32)부(30)에 의해 와이어(40)가 잡아당겨져, 폴딩도어(20)가 점차적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20)는
    최외측의 폴딩도어(20) 상단에 자석(50)이 고정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샤시(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통로(12)상에서, 폴딩도어(20)의 완전개방 및 완전밀폐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고정자석(60a, 60b)에 대응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개방 또는 밀폐된 폴딩도어(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KR1020160083298A 2016-07-01 2016-07-01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KR20180003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98A KR20180003773A (ko) 2016-07-01 2016-07-01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98A KR20180003773A (ko) 2016-07-01 2016-07-01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773A true KR20180003773A (ko) 2018-01-10

Family

ID=6099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298A KR20180003773A (ko) 2016-07-01 2016-07-01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7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51B1 (ko) * 2019-07-29 2019-12-02 (주)세진도어텍 자동 개폐식 폴딩도어
KR102329685B1 (ko) * 2021-03-12 2021-11-22 (주)동광명품도어 다중 접이식 방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51B1 (ko) * 2019-07-29 2019-12-02 (주)세진도어텍 자동 개폐식 폴딩도어
KR102329685B1 (ko) * 2021-03-12 2021-11-22 (주)동광명품도어 다중 접이식 방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KR20180003773A (ko)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폴딩도어시스템
US20190254486A1 (en) Automated door slider assembly
JP2008057259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KR20180116596A (ko) 복합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795365B1 (ko) 도어 클로저
KR101834972B1 (ko) 양방향 댐퍼 및 스프링부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CN104563766A (zh) 一种移轴式自动平开门
KR101015071B1 (ko) 도어힌지 하우징
JP7094010B2 (ja) ペット用のドア開閉装置
KR101829872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US9364064B2 (en) Attic door rope apparatus
JP5957261B2 (ja) アコーディオンドア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JP2000240349A (ja) ドアクローザ
KR101717479B1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1개의 동일한 이동 통로를 갖는 개폐도어의 구동방법
JP6496465B2 (ja) 3面構造を持つフォールディングドアの折り畳み装置
KR101784984B1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2477595B1 (ko) 폴딩도어용 커버
KR101845844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KR102590721B1 (ko) 외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닫히는 2 도어 폴딩시스템
JPH03305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