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511A -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511A
KR20180003511A KR1020170180167A KR20170180167A KR20180003511A KR 20180003511 A KR20180003511 A KR 20180003511A KR 1020170180167 A KR1020170180167 A KR 1020170180167A KR 20170180167 A KR20170180167 A KR 20170180167A KR 20180003511 A KR20180003511 A KR 2018000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
composition
hang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350B1 (ko
Inventor
이성현
이선혜
김정봉
장환희
최봉겸
조수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8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1)
    • C12Y101/01001Alcohol dehydrogenase (1.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2/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 C12Y102/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2.1)
    • C12Y102/01003Aldehyde dehydrogenase (NAD+) (1.2.1.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은 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삼채 추출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comprising an extract of Allium hookeri}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뇌의 억제중추를 마비하여 섭취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의 주요한 기호식품이다. 우리나라의 음주 문화는 경제성장과 함께 그 소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현재 개인당 알코올 소비 수준은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알코올은 과다 섭취하는 경우에 중독증으로 발전할 수 있고, 뇌 등의 중추신경계뿐만 아니라 소화기관 및 간 등의 대사기관도 손상시키는 개인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음주운전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증가는 사회적 문제로 크게 대두하고 있어,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음주 후 숙취 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틸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독성 작용이 장시간 지속되어 신진대사 등의 장애를 일으켜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에틸알코올 대사과정은 에틸알코올이 체내에 유입되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속으로 들어가 간장으로 이동하고, 간세포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있어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하여 초산으로 분해되어 온몸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이행되어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기능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인 경우에만 작용하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결핍 내지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틸알코올의 유독 작용에 의하여 간세포와 뇌세포의 손상을 야기한다. 아울러, 알코올의 탈수작용으로 인한 체내의 수분 부족과 수분과 함께 여러 가지 전해질이 체외로 배출되어 전해질이 부족해진다. 상기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구토, 두통, 오한, 복통 등의 다양한 숙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음주 후의 숙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 제재 또는 인공 제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되는 다수의 숙취 해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북어국이나 콩나물국 등이 숙취해소에 자주 이용되고 있으나, 보관이나 복용이 불편하여 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경제적이고 효과가 탁월한 숙취해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삼채(Allium hookeri)는 동아시아의 중국 남부, 인도, 부탄, 스리랑카 등에 분포하며, 숲, 습지 및 해발 1400 m 내지 4200 m의 초원지대에서 자란다. 뿌리 부추라고도 하며, 맛과 모양이 인삼과 비슷하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도 하며, 쓴맛, 단맛, 매운맛의 3가지 맛이 난다하여 삼채(三菜)라고도 한다. 식물체의 높이는 약 0.6 내지 1 m이며, 삼채의 알뿌리, 잎 및 꽃을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조사결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8215호에서는 삼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1609호에서는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삼채를 숙취 해소 용도로 개시하고 있는 문헌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와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의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숙취 해소제를 연구하던 중, 삼채의 70% 발효주정 추출물을 간세포인 HepG2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을 활성화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은 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을 활성시킴으로써, 상기 삼채 추출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삼채 잎 또는 뿌리 추출물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삼채 추출물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삼채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삼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삼채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잎, 뿌리, 줄기 및 가지 등 어느 것도 이용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삼채 잎 또는 이의 동속근연계 식물의 잎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삼채 잎 혹은 뿌리 분말 분량에 1 내지 3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삼채 추출물은 40 내지 95% 주정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90% 주정 추출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주정 추출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40% 이하 주정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낮아져 목적으로 하는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80% 주정 추출물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생산 단가를 높이게 되어 좋지 않다.
상기 삼채 추출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을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삼채의 잎 및 뿌리 부분을 이용하여 70% 발효주정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간세포인 HepG2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삼채 추출물이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활성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도 1 참조),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고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삼채 추출물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삼채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삼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삼채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잎, 뿌리, 줄기 및 가지 등 어느 것도 이용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삼채 잎 또는 이의 동속근연계 식물의 잎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삼채 잎 혹은 뿌리 분말 분량에 1 내지 3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삼채 추출물은 40 내지 95% 주정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90% 주정 추출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주정 추출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40% 이하 주정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낮아져 목적으로 하는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80% 주정 추출물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생산 단가를 높이게 되어 좋지 않다.
상기 삼채 추출물은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을 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삼채의 잎 및 뿌리 부분을 이용하여 70% 발효주정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간세포인 HepG2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삼채 추출물이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을 활성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도 1 참조),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삼채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삼채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2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삼채 추출물 제조
삼채는 전라북도 순창군 농업기술센터의 형태학적 평가를 통해 동정된 것을 구입하였으며, 삼채 잎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PVTFD 10R, Ilsin Lab, 양주, 대한민국)하였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쇄한 후, 시료 100 g에 중량 대비 20배의 70% 발효주정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씩 2회 반복하여 교반추출(Jeio tech sk-71, Lab companion, 대전, 대한민국)하였다. 추출물은 ADVANTEC 페이퍼(No.6)(ADVANTEC Co., 도쿄, 일본)를 이용하여 여과하였고, 감압농축기(EYELA N-1000, Riakikai Co., Ltd., 도쿄, 일본)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삼채 추출물에 의한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 활성 확인
<1-1> 간세포 균질액의 수득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삼채 추출물의 간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 조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세포 균질액을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간세포인 HepG2(ATCC HB-8065) 세포주를 10%(v/v) 열 비활성화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미국) 및 1%(v/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 미국)이 포함된 MEM 배지(Gibco, 미국)에 1×105개가 되도록 조절한 뒤, 24-웰 플레이트에 1 ㎖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상기 세포를 배양한 플레이트의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의 배지(대조군), 삼채 잎과 뿌리 추출물을 1 ㎖씩 첨가한 뒤, 5% CO2, 37℃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플레이트의 추출물 용액을 제거하고 0.25% 트립신-EDTA(Trypsin-EDTA, Gibco, 미국)를 1 ㎖씩 첨가하여 37℃에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간세포를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간세포는 0.1 M의 PBS 완충용액(Gibco, 미국)에 1회 동안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고, 세척된 세포를 300 ㎕의 PBS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2 ㎜의 비드(bead)가 들어있는 바이알(vial)에 분주하였다. 상기 바이알은 패스트 프렙-24(Fast Prep-24)를 사용하여 10초 동안 4회 반복으로 균질화되었으며,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인 간세포 균질액을 얻었다.
<1-2>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 확인
상기 실험예 <1-2>에서 수득된 삼채가 처리된 간세포 균질액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분석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에 상기 실험예 <1-2>에서 수득된 간세포 균질액을 50 ㎕씩 분주하고, 흡광도를 이용한 분석키트(Biovision, 미국)에서 제공된 리액시온 믹스(Reacion mix)를 혼합한 뒤, 37℃에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방법으로 계산하여 도 1과 같이 표현하였다.
[수학식 1]
활성 = (ADH 또는 ALDH 몰 수(mol)/ 반응 시간(min) × 샘플용량(mL)) × 희석배수
[수학식 2]
상대적 활성 = 실험군 활성/대조군 활성 × 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채의 잎 및 뿌리 추출물이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을 유의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Claims (3)

  1. 삼채(Allium hookeri) 잎의 60 내지 80%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삼채 잎의 60 내지 80%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70180167A 2017-12-26 2017-12-26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2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67A KR101929350B1 (ko) 2017-12-26 2017-12-26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67A KR101929350B1 (ko) 2017-12-26 2017-12-26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86A Division KR20170028636A (ko) 2015-09-04 2015-09-04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11A true KR20180003511A (ko) 2018-01-09
KR101929350B1 KR101929350B1 (ko) 2018-12-17

Family

ID=6100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67A KR101929350B1 (ko) 2017-12-26 2017-12-26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72A1 (ko) * 2018-07-18 2020-01-23 장동수 무인 이동체의 충전과 결재를 진행하는 방법
CN111902049A (zh) * 2018-09-17 2020-11-06 株式会社真生巴伊帕 宿醉解酒功能优异并且预防酒精所致肝损伤的健康饮料组成物
KR20210115691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그래미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에 좋은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25B1 (ko) 2020-02-24 2020-12-31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72A1 (ko) * 2018-07-18 2020-01-23 장동수 무인 이동체의 충전과 결재를 진행하는 방법
CN111902049A (zh) * 2018-09-17 2020-11-06 株式会社真生巴伊帕 宿醉解酒功能优异并且预防酒精所致肝损伤的健康饮料组成物
KR20210115691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그래미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에 좋은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350B1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350B1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20090186142A1 (en) Inclusion compound of isohumulones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483592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3702675A (zh) 具有增加含量的活性类黄酮化合物的漆树提取物及其制备方法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10218022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82310B1 (ko) 오미자 증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2916B1 (ko) 항염증 또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구기자 증숙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70028636A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6718158B2 (ja) 肝機能改善剤
KR101358197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CN109619577A (zh) 刺梨水提物的应用
KR101964837B1 (ko)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22032B1 (ko) 심비디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7320270B2 (ja) 肝機能改善剤
KR102552886B1 (ko)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60150619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3223B1 (ko)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30141962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80665B1 (ja) カラメル色素を含有する飲料
KR101863603B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