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79U -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 Google Patents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79U
KR20180003479U KR2020170002753U KR20170002753U KR20180003479U KR 20180003479 U KR20180003479 U KR 20180003479U KR 2020170002753 U KR2020170002753 U KR 2020170002753U KR 20170002753 U KR20170002753 U KR 20170002753U KR 20180003479 U KR20180003479 U KR 20180003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uide member
steel nail
st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관
Original Assignee
강경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관 filed Critical 강경관
Priority to KR2020170002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479U/ko
Publication of KR2018000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0Picture hooks; X-hooks

Abstract

본 고안은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에 관한 것으로 액자 등의 대상물을 못을 이용하여 벽에 걸 때, 최대 직경 0.7mm 이하의 아주 가는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을 사용하며, 상기 강철못은 안내부재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안내홈을 따라 안내홈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강철못이 벽 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강철못을 벽에서 제거한 후에 삽입된 흔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부재이므로 상기 강철못의 안정적 삽입에 유리하도록 그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강철못의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재에 시계, 액자 등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바로 걸 수도 있고, 상기 덮개부재에 착탈가능한 걸고리부재를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도 있어 못을 제거하지 않고 덮개부재의 형태만 바꾸어줌으로서 다양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Hanger for minimizing damage to wall}
본 고안은 액자 등의 대상물을 못을 이용하여 벽에 걸 때, 최대 직경 0.7mm 이하의 아주 가는 강철못을 사용하며, 상기 강철못은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고 안내부재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안내홈을 따라 안내홈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강철못이 벽 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강철못을 벽에서 제거한 후에 삽입된 흔적을 최소화시키는 벽걸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는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부재이므로 상기 강철못의 안정적 삽입에 유리하도록 그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나아가,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강철못의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재에 시계, 액자 등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바로 걸 수도 있고, 상기 덮개부재에 착탈가능한 걸고리부재를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도 있어 못을 제거하지 않고 덮개부재의 형태만 바꾸어줌으로서 다양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 등을 벽에 거는 벽걸이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과 못을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쓰는데,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영구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고, 못을 이용하는 방법은 못이 벽 속으로 삽입되면서 벽이 부서지거나 못을 제거한 후 삽입된 흔적이 남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출원번호 20-2003-0012289로 출원되었던 실용신안에 따르면 걸고리부가 부착된 벽걸이구를 강력접착제로 벽면에 고정부착시키고 대상물이 무거울 경우 벽걸이구의 중단 홈에 추가해서 못을 박고 그 위에 덮개를 덮는 고안인 바, 강력접착제로 고정부착한 벽걸이구를 제거하면 벽지가 찢어지거나 남은 접착제를 깨끗이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본 고안에서 덮개에는 걸고리부가 없기 때문에 걸려는 대상물이 바뀌어 걸고리부의 형태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 벽걸이구 전체를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의 공개특허공보 2008-103067에 의하면, 못 삽입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양면테이프로 벽면에 부착시켜서 상기 구멍으로 못을 삽입하는 내용인데, 양면테이프로 베이스판을 벽면에 부착시킬 때 베이스판의 크기가 작을 경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시계 등과 같이 내경이 작은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거는 데 어려움이 있고, 베이스판을 벽면에서 제거할 때 베이스판과 벽면 사이에 붙어있는 양면테이프를 온전히 제거하기 힘들며 벽지가 찢어질 위험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액자 등의 대상물을 못을 이용하여 벽에 걸 때, 최대 직경 0.7mm 이하의 아주 가는 강철못을 사용하며, 상기 강철못은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고 안내부재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안내홈을 따라 안내홈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강철못을 벽에서 제거한 후에 삽입된 흔적을 최소화시키는 벽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부재이므로 상기 강철못의 안정적 삽입에 유리하도록 그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어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안내부재를 벽면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강철못의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재에 시계, 액자 등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바로 걸 수도 있고, 상기 덮개부재에 착탈가능한 걸고리부재를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도 있어 못을 제거하지 않고 덮개부재의 형태만 바꾸어줌으로서 다양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최대 직경이 0.7mm 이하이고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의 아주 가는 강철못이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고 벽 속에 일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이 부설된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를 제공한다.
상기 강철못은 최대 직경이 0.7mm 이하이고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며 삽입부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예리해지는 침 모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원기둥형의 관통공으로 상기 안내부재를 전후로 관통하고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가 안정적으로 벽 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삽입이 끝난 후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의 내경을 상기 강철못의 최대 직경보다 0.1~0.2mm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원형 또는 정다각형 모양의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안내홈 사이의 간격은 2~3mm로 일정하며 벽면에 부착되는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그 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 선택할 수 있고 덮개부재의 모양에 따라 선택 배열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쪽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를 벽 속에 삽입시킨 후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될 부재이므로 상기 강철못의 안정적 삽입에 유리하도록 그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재의 외경을 덮개부재의 외경의 3~5배 사이로 충분히 크게 하여 상기 강철못이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의 후면이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후면에 다수의 원뿔형 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원뿔형 돌기의 벽면에 접촉하는 뾰족한 부분의 마찰력으로 상기 강철못이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가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수단으로, 상기 안내부재의 벽면에 닫는 후면의 일부를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중앙 상단에 위쪽을 표시하는 △ 모양의 표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높이가 상기 강철못의 길이보다 6~8mm 작은 것과 12~16mm 작은 것의 두 가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계로 상기 강철못의 길이보다 높이가 6~8mm 작은 안내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를 6~8mm 벽 속에 삽입하고, 이단계로 상기 강철못의 길이보다 높이가 12~16mm 작은 안내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의 나머지 6~8mm를 벽 속에 삽입하여 총 12~16mm를 벽 속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강철못의 총 연장길이는 18~24mm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단계로 강철못을 삽입하는 이유는 안내홈 밖으로 강철못이 돌출된 부분의 길이를 8mm 이하로 하여 강철못을 안정적으로 벽 속에 삽입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이 복수 형성될 경우 모두 서로 같은 형태와 크기와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철못의 삽입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예리해지는 침 모양이며, 최대 직경은 0.5mm와 0.7mm 사이에서 부착되는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는 일자 원기둥형이며 직경이 상기 삽입부의 최대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길이는 12~16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6~8mm로 형성되어 상기 강철못의 총 연장길이는 18~24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한편, 덮개부재는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는 홈이 상기 돌출부와 같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의 중앙 상단에 위쪽을 표시하는 △ 모양의 표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는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쪽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시계, 액자 등과 같이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의 경우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걸림홈 속에 삽입하여 상기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부재의 최대 외경은 시계, 액자 등의 걸림홈의 통상적인 최소 내경인 12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의 외측에 걸고리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고리부재는 상기 덮개부재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덮개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고리부재의 착탈만으로 대상물을 바꾸어 걸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도 상기 강철못의 돌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상기 강철못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덮개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액자 등의 대상물을 못을 이용하여 벽에 걸 때, 최대 직경 0.7mm 이하의 아주 가는 강철못을 사용하며, 상기 강철못은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고 안내부재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안내홈을 따라 안내홈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강철못이 벽 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강철못을 벽에서 제거한 후에 삽입된 흔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강철못의 삽입부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부재이므로 상기 강철못의 안정적 삽입에 유리하도록 그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강철못의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재에 시계, 액자 등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바로 걸 수도 있고, 상기 덮개부재에 착탈가능한 걸고리부재를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도 있어 못을 제거하지 않고 덮개부재의 형태만 바꾸어줌으로서 다양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정두가 없는 세 개의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을 사용한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를 벽면에 부착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해부투상도이고,
도 2는 덮개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덮개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덮개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안내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안내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안내부재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정두가 없는 세 개의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이 안내부재의 다수의 안내홈 중에서 선택된 세 개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됨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한 개의 강철못이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의 한 개의 안내홈 속에 삽입이 끝난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이어 삽입된 한 개의 강철못을 망치를 이용하여 강철못의 삽입부를 벽 속에 6~8mm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세 개의 강철못의 삽입부를 각각 벽 속에 6~8mm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이어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를 강철못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돌출된 강철못의 삽입부를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의 안내홈 속에 삽입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이어 세 개의 강철못의 돌출부를 망치로 동시에 타격하는 모습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과로 세 개의 강철못의 삽입부를 6~8mm 벽 속에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이어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를 강철못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이어 덮개부재의 홈 속에 강철못의 돌출부를 삽입시켜 본 고안의 벽걸이를 완성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정두가 없는 세 개의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30)을 사용한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를 벽면(50)에 부착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해부투상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된 세 개의 강철못(30)은 정삼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강철못(30)의 세 개의 삽입부(302)는 벽 속에 삽입되어 있고, 세 개의 돌출부(301)는 덮개부재(10)의 세 개의 홈(104) 속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덮개부재(10)는 필요에 따라 강철못(30)의 돌출부(3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걸고리부(103)의 삽입부(103a)가 덮개부재(10)의 측면 홈(102)에 삽입된 모습이지만, 상기 걸고리부(103)는 탄성금속이므로 적당한 힘으로 늘어트리면 상기 걸고리부(103)의 삽입부(103a)는 상기 홈(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덮개부재(10)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10)는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10)에서 강철못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104)도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가지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보면 벽면과 수직을 이루고 있어 좌우로는 기울어짐이 없다.
또한, 도 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10)와 강철못(30)의 돌출부(301)를 결합할 때, 중앙 상단 △ 모양의 표식(101)의 상측 꼭짓점이 천장을 향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12는 안내부재(20)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후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도 10에 표시된 △ 모양의 표식(201)의 상측 꼭짓점이 천장을 향하도록 하여 안내부재(20)을 벽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안내부재(20)는 강철못을 벽 속에 삽입한 후 분리시켜 제거할 부재이므로 그 크기와 모양이 자유로워 도 7,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에 비하여 크기가 3배~5배로 훨씬 커고 안내홈(202)도 충분히 많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중에서 필요에 따라 개수와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면에 밀착되는 안내부재(20)의 후면에 다수의 원뿔형 돌기(203)를 형성시켜 상기 원뿔형 돌기(203)가 벽면에 접촉하는 뾰족한 부분의 마찰력으로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20)가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다른 하나의 수단으로 상기 안내부재(20)의 벽면에 밀착되는 후면의 일부를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홈(202)은 안내부재(20)의 전후를 관통하는 원기둥형의 관통공으로, 도 10,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안내홈(202)의 내경은 상기 강철못(30)의 최대 직경보다 0.1~0.2mm 커서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상기 안내부재(20)를 상기 강철못(30) 중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301)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정두가 없는 세 개의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30)이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20a)의 다수의 안내홈 중에서 선택된 세 개의 안내홈(202) 속으로 삽입됨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안내홈 중에서 정삼각형 배열로 된 세 개의 안내홈(202)을 선택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14는 한 개의 강철못(30)이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20a)의 한 개의 안내홈(202) 속에 삽입이 끝난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이어 삽입된 한 개의 강철못(30)을 망치(40)를 이용하여 강철못의 삽입부(302)를 벽 속에 6~8mm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20a)의 안내홈(202)의 내경이 강철못(30)의 최대 직경보다 0.1~0.2mm 커서 상기 강철못(30)은 상기 안내부재(20)의 안내홈(202) 속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이때, 강철못의 총 연장길이는 18~24mm이고, 안내부재(20a)의 높이는 12~16mm이므로 강철못(30) 중에서 안내홈 속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은 6~8mm 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홈(202)과 강철못(30) 사이의 공간이 작고, 상기 강철못은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므로 도 15의 망치(40)질에 의해 상기 강철못(30)의 돌출부(301) 전체 6~8mm가 상기 안내홈(202) 속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삽입부(302)는 상기 안내홈(202)의 지지를 받으며 6~8mm만큼 벽 속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도 14,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20a)의 후면에 형성된 원뿔형 돌기(203)의 뾰족한 부분이 벽면에 밀착되어 큰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서 망치질에 의한 안내부재(20a)의 진동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수단으로, 상기 안내부재(20a)의 벽면에 닫는 후면의 일부를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6은 세 개의 강철못(30)의 삽입부를 각각 벽 속에 6~8mm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이어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20a)를 강철못(3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돌출된 강철못(30)의 삽입부(302)를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20b)의 안내홈 속에 삽입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 도 15와 동일한 과정으로 총 세 개의 강철못(30)의 삽입부(302)를 벽 속에 6~8mm 삽입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 도 18은 도 16의 다음 단계로서, 강철못의 삽입부(302) 중 삽입되지 않은 6~8mm를 추가 삽입하기 위하여 높이가 12~16mm인 안내부재(20a)를 제거하고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20b)를 설치하는 그림이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의 강철못이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기 때문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철못(30)의 삽입부(302) 중 일부 6~8mm가 삽입되지 않고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마저 삽입하기 위하여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20b)를 설치하되, 강철못의 삽입부 중 일부 6~8mm는 상기 안내부재(20b)의 안내홈 속으로 삽입되고 돌출부(301) 6~8mm만 돌출되도록 한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 세 개의 강철못의 돌출부(301)를 망치(40)로 동시에 타격하는 모습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과로 세 개의 강철못의 삽입부를 6~8mm 벽 속에 삽입한 결과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이어 높이가 6~8mm인 안내부재(20b)를 강철못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이어 덮개부재(10)의 홈(104) 속에 강철못의 돌출부를 삽입시켜 본 고안의 벽걸이를 완성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개의 돌출부(301)가 2~3mm 간격으로 근접해 있을 경우 하나의 망치(40)로 동시에 타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각각 타격하면 된다.
도 20은 도 19의 망치질에 의하여 안내홈(202) 속에 삽입되어 있던 세 개의 강철못의 삽입부 6~8mm가 모두 벽 속에 삽입되고 돌출부(301)만 안내홈(202) 속에 남아 있는 모습이다.
도 21은 도 20으로 강철못의 삽입부의 삽입작업이 끝났으므로 안내부재(20b)를 강철못의 돌출부(301)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한 모습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마지막 과정으로서 덮개부재(10)의 홈(104) 속에 도 21의 강철못의 돌출부(301)를 삽입시킨 모습이며, 이것으로 본 고안의 벽걸이가 완성되었다.
10; 덮개부재 20; 안내부재

Claims (15)

  1. 최대 직경이 0.7mm 이하인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 강철못(30)을 벽의 내부로 삽입시킬 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고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2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된 후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강철못(30)의 돌출부(301)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안내부재(20)와;
    대상물을 걸 수 있고 걸고리부재(103)를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강철못(30) 중 벽속에 삽입되지 않는 돌출부(301)를 밀착하여 덮는 덮개부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못(30)은 최대 직경이 0.7mm 이하인 정두가 없는 일자 원기둥형이며 삽입부(302)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예리해지는 침 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에 한 개 또는 복수의 안내홈(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안내홈(202)은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안내홈(202의 내경이 상기 강철못(30)의 최대 직경보다 0.1~0.2mm 커서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된 후 상기 안내부재(20)를 상기 강철못(30) 중 벽 속에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301)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외경은 상기 덮개부재(10)의 외경의 3배에서 5배 사이로 충분히 커서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20)의 후면이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벽면에 밀착되는 후면에 다수의 원뿔형 돌기(203)를 형성시켜 상기 원뿔형 돌기(203)가 벽면에 접촉하는 뾰족한 부분의 마찰력으로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20)가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벽면에 밀착되는 후면의 일부를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상기 강철못(30)의 삽입부(302)가 벽 속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20)가 벽면의 특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높이가 상기 강철못의 길이보다 6~8mm 작은 안내부재(20a)와 12~16mm 작은 안내부재(20b)의 두 가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의 중앙 상단에 위쪽을 표시하는 △ 모양의 표식(20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에 상기 강철못(30)의 돌출부(301)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301)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는 홈(104)을 형성시켜, 상기 강철못(30)의 돌출부(301)가 상기 홈(104) 속에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는 벽면에 대하여, 벽면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5~15도의 오르막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의 중앙 상단에 위쪽을 표시하는 △ 모양의 표식(10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에 시계, 액자 등 걸림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직접 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에 착탈 가능한 걸고리부재(103)를 부설하여 달력, 거울 등 걸림고리가 형성된 대상물을 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KR2020170002753U 2017-06-03 2017-06-03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KR201800034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53U KR20180003479U (ko) 2017-06-03 2017-06-03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53U KR20180003479U (ko) 2017-06-03 2017-06-03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79U true KR20180003479U (ko) 2018-12-12

Family

ID=6466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753U KR20180003479U (ko) 2017-06-03 2017-06-03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4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865B1 (en) Sample and tool displaying board
US5881982A (en) Fastener for holding objects to a perforated wall
US11578833B2 (en) Mounting device
JPH0924697A (ja) メモボード
JP5471848B2 (ja) 掛け具
US20080315063A1 (en) Keyhole mounting system
KR20180003479U (ko) 벽 손상을 최소화하는 벽걸이
KR200485563Y1 (ko) 휨을 방지하는 홀더가 구비된 바늘못 벽걸이
EP2463573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unting a strip of light emitting diodes
US4017943A (en) Bracket and clip for mounting a cross-bar to a bracket
US20200288879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JP4888983B1 (ja) マグネット付き挟持具及びカードホルダ
JP2021000214A (ja) 商品陳列用フック
JP3099823U (ja) ホワイトボード
KR200485938Y1 (ko) 행거 조립체용 핀 가이드 스티커
US20220000284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KR200172247Y1 (ko) 거치대용 걸이간
JP2018176648A (ja) 画鋲
JP2006223421A (ja) 吊下具
US20240148166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JP6567283B2 (ja) Popカード用アタッチメント
JP2016200261A (ja) 打込材
JP2022182812A (ja) インサート部材、掛止部材セット、板状部材、及び収納家具
JP2007117184A (ja) 吊下フック
KR200249642Y1 (ko) 게시물의 계속적 철 기능을 갖는 압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