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598U -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598U
KR20180002598U KR2020170000858U KR20170000858U KR20180002598U KR 20180002598 U KR20180002598 U KR 20180002598U KR 2020170000858 U KR2020170000858 U KR 2020170000858U KR 20170000858 U KR20170000858 U KR 20170000858U KR 20180002598 U KR20180002598 U KR 20180002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ed
control tube
bar
tub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242Y1 (ko
Inventor
장석현
장은화
Original Assignee
장석현
장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현, 장은화 filed Critical 장석현
Priority to KR2020170000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4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차량 탑승공간에 고정 설치된 고정바(B)에 연결되는 고정바연결부(1); 상기 고정바연결부(1)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관(2); 상기 고정관(2) 내부에 태엽스프링(45)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관조립체(3);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하단에 연결되는 손잡이(5);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승하강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5)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HANDLE FOR VEHICLES CAN BE ADJUSTABLE THE HIGHT OF WHICH}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지하철 또는 도시철도차량이나 버스 등에는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급출발 및 급정차 등 돌발적인 승차 환경변화로부터 차량의 운행 중 앉지 못한 입석 승객이 손잡이를 잡아 승객의 편의와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상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손잡이는 성인의 평균신장을 고려하여 고정바에 일률적인 높이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잡을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운행 중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및 흔들림 발생 시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서울시와 지하철 및 도시철도차량 관련 기관에서는 2007년 및 2008년에는 손잡이의 높이를 5㎝에서 10㎝정도를 낮추어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였으나 손잡이의 높이를 낮춤으로서 손잡이가 키 큰 사람에게는 얼굴이나 머리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건 고안 출원인은 위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승객이 직접 본인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를 개발하여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32431호로 출원하였다.
위의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32431호의 요지는 해당 공개공보 상의 도 1과 같이 차량의 고정바(B)에 고정되는 상,하부클램프(10,20)와, 상기 하부클램프(20)에 나사조립되는 연결봉(30)과, 상기 연결봉(30)에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곡면캡(40)과, 상기 곡면캡(40)에 고정되어 다수의 핀홈(51) 및 다단 볼단속홈(52)을 구비하는 고정관(50)과, 상기 고정관(50)에 인장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단속핀(61) 및 볼삽입공(62)을 구비하는 조절관(60)과, 상기 볼삽입공(62)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속볼(70)과, 조절관(60)에 압축스프링(S3)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단속볼(70)을 로킹 및 해제시키(B1)는 작동봉(80)과, 상기 조절관(6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작동봉(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90)과 상기 조절관(60)의 하부에 조립되어 핀공을 구비하는 손잡이(100)와, 상기 작동봉(80)의 하부에 나사조립되어 핀공으로 끼워지는 작동핀(200)과, 상기 작동핀(200)의 하부에 끼워지는 고리(30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의 특허출원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의 높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행 중 어린이들의 안전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단속볼(70)이 볼삽입공(62)으로부터 빠지지 않은 경우가 있어 손잡이의 길이 조절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손잡이를 회동하는데 힘이 들어 손잡이를 잡는 것이 불편하였고 조립이 어렵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3243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2514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단속볼이 볼삽입공으로부터 빠져 있어 손잡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회전으로 승객이 손잡이를 잡는 것이 편리하고, 부품의 조립을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이 부드러운 높이조절 가능한 차량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차량 탑승공간에 고정 설치된 고정바(B)에 연결되는 고정바연결부(1); 상기 고정바연결부(1)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관(2); 상기 고정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관조립체(3);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하단에 연결되는 손잡이(5);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승하강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조립체(3)는;
상기 고정관(2) 중심에 끼워지는 센터봉(31);
상기 센터봉(31)과 고정관(2) 사이에 개입되는 조절관(33);
상기 센터봉(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향을 향해 테이퍼면(32a)을 제공하는 테이퍼제공부재(32);
상기 테이퍼제공부재(32)와 조절관(3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봉(31)에 고정 설치된 자석(35)의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센터봉(31)에 달라붙어 있다가 상기 조절관(3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봉(31)이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테이퍼제공부재(32)의 테이퍼면(32a)을 따라 반경방향(G)으로 벌어지면서 조절관(33) 측벽에 마련된 돌출공(332)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관의 세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록킹홈(221)게 쐐기처럼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볼(34);
상기 센터봉(31)의 상단에는 설치되어 상기 센터봉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으로서, 스토퍼블럭(41) 및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스토퍼블럭(41)으로부터 반경방향(G)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의 록킹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스토퍼볼(43)을 포함하는 스토퍼(4);
일단은 상기 스토퍼(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연결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가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태엽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탄성적으로 상승하면서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수단(7)이 마련되되, 상기 완충수단(7)은;
상기 손잡이(5)의 숄더(51,52) 부위에 끼워지는 완충와셔(71); 상단은 상기 완충와셔(71)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손잡이(5)의 숄더(51,52)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7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손잡이(5)의 횡바(521) 상면에 포개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기동하는 스위치바(61); 상기 스위치바(61)의 양단에 연결되며 고정볼트(65)로써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센터봉(31)에 연결되는 활형태의 링크(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의 높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행 중 어린이들의 안전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는 평상시는 단속볼이 볼삽입공으로부터 빠져 있어 손잡이의 길이를 용이하고 손잡이의 회전으로 승객이 손잡이를 잡는 것이 편리하고 부품의 조립을 용이하여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는 차량 탑승공간에 고정 설치된 고정바(B)에 연결되는 고정바연결부(1); 상기 고정바연결부(1)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관(2); 상기 고정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관조립체(3);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하단에 연결되는 손잡이(5); 및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승하강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고정바연결부(1)는 차량의 고정바(B)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클램프(11)와 하부클램프(12)로 구성되어 고정바(B)가 끼워지는 홀(H)을 제공하며 볼트로써 고정 설치된다. 하부클램프(12)의 하단에는 구(13, ball)가 나사식으로 고정 설치된다. 구(13)의 상하단에는 구고정구(14,15)가 결합되어 볼베어링과 같은 구조가 된다. 구고정구(14,15)는 고정관(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관(2)은 구(13)를 중심으로 자유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고정관(2)은 반원통 형태의 단위고정관(21,22)이 조립되어 형성된다. 고정관 하부에는 먼지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23)이 끼워질 수 있다. 고정관(2)의 상단에도 구(13)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주름커버(17)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관(2)의 상단 측벽에는 구고정구(14,15)와의 결합을 위한 구고정구결합공(222)이 마련된다. 고정관(2)의 하단에는 안전을 위하여 손잡이가 하강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구고정구(15)에는 고정관(2)가 자유롭게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 억제수단은 스프링(161)을 통해 구(13)의 저면에 탄성지지되는 유동방지볼(16)을 포함한다.
고정관(2)의 외부에는 커버관(24)이 끼워진다. 커버관(24)을 투명한 것으로 한 다음 커버관(24)과 고정관(2) 사이에 광고지를 개입시킴으로써 광고 또는 홍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절관조립체(3)가 고정관(2) 내부에 상하 기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조절관조립체(3)는 고정관 중심에 끼워지는 센터봉(31)과, 상기 센터봉(31)과 고정관 사이에 개입되는 조절관(33)을 포함한다. 센터봉(31)의 상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테이퍼면(32a)을 제공하는 테이퍼제공부재(32)가 설치된다. 센터봉(31)의 상단에는 스토퍼(4)가 설치된다. 스토퍼(4)는 스토퍼블럭(41) 및 스프링(42)에 의해 스토퍼블럭(4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볼(43)을 가진다. 스토퍼볼(43)은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절관(33)의 외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가이드돌기(331)가 돌출 형성되며, 고정관(2) 내벽에는 세로방향으로 가이드돌기(331)가 끼워져 승하강시 축회전이 없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홈(223)이 마련된다. 테이퍼제공부재(32)와 조절관(33) 사이에는 록킹볼(34)이 설치된다. 록킹볼(34)은 센터봉(31)에 고정 설치된 자석(35)에 의해 테이퍼제공부재의 센터봉(31)에 달라붙어 있다. 조절관(33)이 고정된 상태에서 센터봉(31)이 하강하게 되면 록킹볼(34)은 테이퍼면(32a)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조절관(33) 측벽에 마련된 돌출공(332)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관(2)의 내벽에는 세로방향으로 따라 록킹홈(221)이 톱니 형태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록킹볼(34)은 돌출공(332)을 통해 튀어나와 록킹홈(221)에 결착되게 되며, 이 때 조절관조립체(3)는 고정관(2) 안에서 고정된다. 즉 해당위치에서 고정관(2)과 조절관조립체(3)가 고정되는 것이다.
센터봉(31)을 아래로 내림으로써 록킹볼(34)이 외측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스위치부의 역할이다. 스위치부는 손잡이(5)의 횡바(521) 상면에 포개진 상태로 설치되는 스위치바(61)와, 스위치바(61)의 양단에 연결되며 중심에는 고정볼트(65)로써 센터봉(31)과 연결되는 활형태의 링크(6)를 포함한다. 링크(6)는 손잡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의 활대(62)와, 활대(62) 중심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고정볼트(65)를 끼우기 위한 허브(64)와, 스위치바(61)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바연결돌기(66)를 가진다. 센터봉(31)과 고정볼트(65) 사이에는 내부에 암나사(351)가 마련된 연결관(35)이 개입될 수 있다. 연결관(35)의 하단에는 고정볼트(65)를 결합하는 볼트결합부(352)가 마련된다. 스위치바(61)는 스위치바 스프링(6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거동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바 스프링(63)의 하단은 손잡이(5)의 횡바(521)에 마련되는 스프링지지돌기(522)에 끼워진다.
한편 스토퍼블럭(41)과 하부 구고정구(15) 사이에는 태엽스프링(45)이 연결된다. 태엽스프링(45)은 비교적 긴 구간에서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가 대칭되게 설치되고 있다. 스토퍼블럭(41)에는 태엽스프링(45)의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태엽고정홈(411)이 마련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5)를 하방향(F)으로 잡아당기면, 태엽스프링(4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손잡이(5) 및 조절관조립체(3)가 하강하게 된다(도 5 참조). 스토퍼볼(43)은 고정관(2) 내벽면에 마련된 록킹홈(221)을 따라 찰칵찰칵 소리를 내며 좌우로 유동하게 될 것이다. 손잡이(5)를 놓으면 태엽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5)와 조절관조립체(3)는 다시금 위로 상승하여 원상회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손잡이(5)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내린 다음 손잡이(5)의 횡바(521)와 스위치바(61)를 손으로 꽉 쥐게 되면 스위치바(61)가 하강하면서 센터봉(31)을 아래로 잡아당기게 될 것이며, 결국 록킹볼(34)은 반경방향으로 기동하여 쐐기처럼 테이퍼제공부재(32)와 고정관의 록킹홈(221)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손잡이(5)는 상승 및 하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은 손잡이(5, 미도시됨)와 조절관조립체(3)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다.
스위치바(61)를 놓으면 자력(磁力)에 의해 록킹볼(34)이 록킹홈(221)으로부터 빠져 센터봉(31)에 달라붙게 되고 손잡이(5)는 위로나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손잡이(5) 자체를 완전히 놓으면 태엽스프링(45)에 의해 손잡이(5)와 조절관조립체(3)가 탄성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조절관조립체(3)가 탄성적으로 상승하면서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수단(7)이 마련된다. 이 완충수단(7)은 손잡이(5)의 숄더(51,52) 부위에 끼워지는 완충와셔(71)와 상단은 완충와셔(71)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손잡이의 숄더(51,52)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7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의 숄더(51,52) 상단 중간 지점에는 조절관(33)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관(53)이 설치된다. 나사관(53)의 주연부에는 완충수단(7)의 코일스프링(72)이 안착되는 안착부(521)가 마련된다.
1 : 고정바연결부 2 : 고정관
3 : 조절관조립체 4 : 스토퍼
5 : 손잡이 6 : 링크
13 : 구(救) 14,15 : 구고정구
16 : 유동방지볼 21 : 록킹홈
24 : 커버관 31 : 센터봉
33 : 조절관 34 : 록킹볼
35 : 자석 45 : 태엽스프링
61 : 스위치바 63 : 스위치바 스프링
B : 고정바

Claims (3)

  1. 차량 탑승공간에 고정 설치된 고정바(B)에 연결되는 고정바연결부(1); 상기 고정바연결부(1)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관(2); 상기 고정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절관조립체(3);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하단에 연결되는 손잡이(5);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승하강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조립체(3)는;
    상기 고정관(2) 중심에 끼워지는 센터봉(31);
    상기 센터봉(31)과 고정관(2) 사이에 개입되는 조절관(33);
    상기 센터봉(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향을 향해 테이퍼면(32a)을 제공하는 테이퍼제공부재(32);
    상기 테이퍼제공부재(32)와 조절관(3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봉(31)에 고정 설치된 자석(35)의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센터봉(31)에 달라붙어 있다가 상기 조절관(3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봉(31)이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테이퍼제공부재(32)의 테이퍼면(32a)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조절관(33) 측벽에 마련된 돌출공(332)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관의 세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록킹홈(221)게 쐐기처럼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볼(34);
    상기 센터봉(31)의 상단에는 설치되어 상기 센터봉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으로서, 스토퍼블럭(41) 및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스토퍼블럭(4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의 록킹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스토퍼볼(43)을 포함하는 스토퍼(4);
    일단은 상기 스토퍼(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연결부(1)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5)가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태엽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조립체(3)가 탄성적으로 상승하면서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수단(7)이 마련되되, 상기 완충수단(7)은;
    상기 손잡이(5)의 숄더(51,52) 부위에 끼워지는 완충와셔(71); 상단은 상기 완충와셔(71)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손잡이(5)의 숄더(51,52)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손잡이(5)의 횡바(521) 상면에 포개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기동하는 스위치바(61);
    상기 스위치바(61)의 양단에 연결되며 고정볼트(65)로써 상기 조절관조립체(3)의 센터봉(31)에 연결되는 활형태의 링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2020170000858U 2017-02-21 2017-0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200488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58U KR200488242Y1 (ko) 2017-02-21 2017-0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58U KR200488242Y1 (ko) 2017-02-21 2017-0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98U true KR20180002598U (ko) 2018-08-30
KR200488242Y1 KR200488242Y1 (ko) 2019-01-04

Family

ID=6340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58U KR200488242Y1 (ko) 2017-02-21 2017-02-21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305A (zh) * 2019-09-19 2019-12-03 洪俊捷 一种根据乘客身高调节高度且避免晃动的公交车扶手
CN115158133A (zh) * 2022-08-01 2022-10-11 刘曼珏 一种可伸缩的吊环及公共交通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877U (ko) * 1995-08-24 1997-03-27 차량용 손잡이
KR20040025142A (ko) 2002-09-18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형 유기 el의 감마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32431A (ko) 2007-09-28 2009-04-01 장은화 차량용 손잡이 높이조절장치
KR20160046280A (ko)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877U (ko) * 1995-08-24 1997-03-27 차량용 손잡이
KR20040025142A (ko) 2002-09-18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형 유기 el의 감마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32431A (ko) 2007-09-28 2009-04-01 장은화 차량용 손잡이 높이조절장치
KR20160046280A (ko)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305A (zh) * 2019-09-19 2019-12-03 洪俊捷 一种根据乘客身高调节高度且避免晃动的公交车扶手
CN115158133A (zh) * 2022-08-01 2022-10-11 刘曼珏 一种可伸缩的吊环及公共交通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42Y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7932A1 (en) Wheel with suspension system
EP2771589B1 (en) Wheel with suspension system and centralizing unit with suspension system
US2540585A (en) Fork assemblage for bicycles
EP0528069A2 (en) Shock absorbing bicycle seat mounting post assembly
KR20048824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170833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JPH0439134U (ko)
KR101884550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아동용 카시트
CN108189940B (zh) 一种折叠座椅
CN107745615B (zh) 一种轮式机器人缓震结构
CN105905014A (zh) 一种新型公交吊环把手
JP2005265155A (ja) 車両用懸架装置
CN107878559B (zh) 转向横拉杆连接结构
KR10092335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CN112092702A (zh) 一种汽车用颈椎保护器
KR200484586Y1 (ko) 차량용 높이조절 이중 손잡이
CN104085480A (zh) 一种便携式三轮电动车
CN211308326U (zh) 一种汽车座椅的扶手调节机构
US20080169163A1 (en) Harmonic dampener
KR20140056632A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JP2018519207A (ja) 一般的な自転車及び他の車両のためのシートポスト
KR101184254B1 (ko) 대중교통수단의 손잡이
JP3210176U (ja) 犬用車椅子の衝撃吸収構造
JPH07300088A (ja) 自転車用ハンドル支持装置
KR200162558Y1 (ko) 길이가 조절되고 회전되는 버스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