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360U -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360U
KR20180002360U KR2020170000485U KR20170000485U KR20180002360U KR 20180002360 U KR20180002360 U KR 20180002360U KR 2020170000485 U KR2020170000485 U KR 2020170000485U KR 20170000485 U KR20170000485 U KR 20170000485U KR 20180002360 U KR20180002360 U KR 20180002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uct
cable
duct
flam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린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린전기
Priority to KR2020170000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360U/ko
Publication of KR20180002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3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배선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구성의 전기자재이며; 케이블 보호용 전선관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덕트(11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에 삽입 배치되는 전선으로서, 양측단부가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노출 배치되고,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는 옥내용 케이블(12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 양측단면에 각각 삽입 끼움에 의해 가요성 덕트(11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양측부를 고정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 덕트(110)로부터 이탈을 방지 및 상기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의 일체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난연성을 갖는 난연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규격품 제작이 가능하므로 시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건설현장의 시공품질을 단일화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케이블 입선작업공정을 없앨 수 있는 등 전기배선공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나 타설 후 외압에 의한 가요성 덕트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옥내용 케이블에서 전기단락 등에 의한 발화시 불꽃의 연소 진행을 억제하는 등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COMBINE DUCT CABLE FOR ELECTRIC WIRING WORK}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딩 등의 각종 건축물을 건축시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과 벽체 및 천정 등에 매입되고 전기박스와의 연결 및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기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옥내용 케이블(전선)을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가요성 덕트(전선관)에 삽입 배치하되 가요성 덕트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난연성 재질로 구성한 난연캡을 끼워 넣고 옥내용 케이블의 양측부를 관통 배치 및 고정시킴에 의해 결합하여 덕트와 케이블을 개별 단품이 아닌 일체형 제품으로 구성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건축공사시 옥내용 케이블(전선)을 옥내에 배선하고 전등과 콘센트, 스위치, 전력계 등을 설치하는 전기배선공사 또한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전기배선공사는 건축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 공사시 바닥과 벽체 및 천정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용도로 기초 철근 배근을 실시한 상태에 전기자재 중 케이블 보호용 가요성 덕트(전선관)를 설계도에 기준하여 기초 철근 배근 상에 미리 설치하는 작업을 한다.
이때, 상기 가요성 덕트는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 등의 구분된 옥내 배선 및 작업 용이성을 위해 다양한 색상의 전선관을 적용하고 있으며, 전기박스와의 연결 및 케이블 입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어, 기초 철근 배근 상에 가요성 덕트를 미리 설치한 다음 거푸집을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바닥과 벽체 및 천정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며, 이후 콘크리트구조물에 매입된 가요성 덕트에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 등의 옥내용 케이블을 삽입하는 입선작업을 별도로 실시한다.
이어, 상기 가요성 덕트를 이용하여 각종 옥내용 케이블을 삽입 배치한 다음에는 전등과 콘센트 및 스위치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옥내배선 작업을 하여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전기배선공사시 가요성 덕트와 옥내용 케이블이 각각 개별 단품의 전기자재이므로 이들의 현장 설치작업을 각각 실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각각의 현장 설치작업에 따라 인건비와 경비가 두 배로 소요되는 문제점 및 전기배선 공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전선관인 가요성 덕트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하는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한 타격 및 중량에 의해 가요성 덕트가 짓눌리거나 꺾이는 등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굴곡진 부분에서도 쉽게 꺾이는 등 파손이 발생되고 한번 구부려질 시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가요성 덕트 설치 후 현장에서 케이블을 삽입하여 끼워 넣는 입선 작업시 입선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가요성 덕트 설치작업을 다시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가요성 덕트의 설치작업을 다시 실시하기 위해 구축된 콘크리트구조물을 파손하는 경우도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종래에는 전기배선공사를 위한 가요성 덕트의 설치 및 케이블 입선 작업시 시공성 및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없이 여전히 종래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중공 구조를 갖는 가요성 덕트에 케이블을 단순 삽입하여 옥내배선을 실시하는 형태로서 케이블이 이탈되는 문제점은 물론 케이블의 가닥수가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요성 덕트의 중공이 주로 오픈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물질 유입에 의한 막힘에 의해 케이블의 입선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종래에는 가요성 덕트에 있어 외부 공기가 유입 가능한 설치구조로서 전선 단락에 의한 화재발생시 관내 산소량이 잔재하므로 인해 케이블의 불꽃 발화를 촉진 및 화재가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요성 덕트의 중공 관내를 통해 소음이 전달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고 있다.
나아가, 종래 전기배선공사를 위한 가요성 덕트의 설치 작업시 동일한 현장 내에서도 균일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시공 때마다 시공품질이 각각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8431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개선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 등의 각종 옥내용 케이블(전선)을 케이블 보호용 가요성 덕트(전선관)에 삽입 배치하되 가요성 덕트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난연성 재질의 난연캡을 끼워 넣고 옥내용 케이블의 양측부를 관통 배치 및 고정 지지토록 구성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덕트와 케이블을 각각의 개별 단품이 아닌 일체형 제품으로 구성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옥내용 케이블과 가요성 덕트를 결합하여 일체형 제품의 전기자재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품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아파트나 빌딩 등의 각종 건축물을 건축시 전기배선공사의 공사시간을 단축하고 콘크리트 타설시나 타설 후 외압에 의한 덕트의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케이블 입선작업공정을 없앨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규격품의 사용으로 시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건설현장의 시공품질을 단일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난연캡의 적용을 통해 덕트 내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므로 관내 산소량 부족으로 내부 케이블에서 전기단락 등에 의한 발화시 불꽃의 연소 진행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방음 및 방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로부터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은, 전기배선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구성의 전기자재이며; 케이블 보호용 전선관으로서, 일정 길이와 색상을 갖는 가요성 덕트(11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전선으로서, 양측단부가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노출 배치되고,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는 옥내용 케이블(12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 양측단면에 각각 삽입 끼움에 의해 가요성 덕트(11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양측부를 고정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 덕트(110)로부터 이탈을 방지 및 상기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의 일체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난연성을 갖는 난연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난연성과 절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폴리머에 마찰성능을 향상시켜 상기 가요성 덕트(110) 측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 측 고정성을 증대하기 위한 실리카를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스폰지 타입의 발포형 몸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중심부에 1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홀(131)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주면 둘레에 2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홈(1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 등의 각종 옥내용 케이블(전선)을 케이블 보호용 가요성 덕트(전선관)에 삽입 배치하되 가요성 덕트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난연성 재질의 난연캡을 끼워 넣고 옥내용 케이블의 양측부를 관통 배치 및 고정 지지토록 구성함에 의해 이들 구성요소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덕트와 케이블을 각각의 개별 단품이 아닌 일체형 제품으로 구성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옥내용 케이블과 가요성 덕트를 결합하여 일체형 제품의 전기자재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품으로 제작할 수 있어 규격품의 사용으로 시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건설현장의 시공품질을 단일화할 수 있고, 아파트나 빌딩 등의 각종 건축물을 건축시 전기배선공사를 위한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나 타설 후 외압에 의한 가요성 덕트의 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케이블 입선작업공정을 없앨 수 있으며, 인건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난연캡의 적용을 통해 가요성 덕트와 옥내용 케이블 간 결합성 및 고정성을 높일 수 있어 가요성 덕트로부터 옥내용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요성 덕트 내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므로 가요성 덕트의 관내 산소량 부족을 유발시켜 내부에 존재하는 옥내용 케이블에서 전기단락 등에 의한 발화시 불꽃의 연소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및 매입된 상태에서 가요성 덕트의 관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 등의 전달을 차단하므로 방음 및 방진 기능까지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에 있어 난연캡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에 있어 난연캡의 적용에 의한 작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과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가요성 덕트와의 구부림에 의한 복원력 비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100)은 전기배선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구성의 전기자재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 및 난연캡(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요성 덕트(110)는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용 전선관으로서, 콘크리트구조물 등의 건축구조물 내에 매입되고 어느 일정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전기박스와 연결하여야 하므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색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가요성 덕트(110)는 PE나 PVC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일반 합성수지재관 또는 난연성 수지를 포함시킨 난연성 합성수지재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은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전선으로서, 양측단부가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노출 배치되며, 전등과 콘센트 및 스위치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옥내배선에 사용된다.
이때,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은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 등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가닥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난연캡(130)은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 양측단면에 각각 삽입 끼움하여 배치함에 의해 가요성 덕트(11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양측부를 고정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 덕트(110)로부터 옥내용 케이블(120)의 이탈을 방지 및 상기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의 일체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며, 난연성 제공을 위해 난연성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난연캡(130)은 상기 가요성 덕트(110)는 물론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과의 결합성을 위해 스폰지 타입의 발포형 몸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난연성과 절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폴리머에 마찰성능을 향상시켜 상기 가요성 덕트(110) 측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 측 고정성을 증대하기 위한 실리카를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난연캡(130)은 신축성을 위한 발포형 몸체의 구성과 마찰성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실리콘 폴리머 80~95중량%에 실리카 5~20중량%를 혼합하는 조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난연캡(130)은 실리콘 폴리머와 실리카의 혼합 조성을 통해 유기합성고무 결합인 Si-O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 구성으로서 일반 실리콘만의 사용에 비해 더욱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고, -60 ~ -70℃의 영하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한성과 더불어 고온에서도 내유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히 쉽게 연소하지 않고 할로겐 원소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연소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난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캡(130)은 실리콘 폴리머에 실리카를 적용함으로써 난연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덕트(110)에 삽입 끼움시 밀착성 및 고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관통 배치시 고정성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관통 배치 및 고정 지지를 위해 중심부에 1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홀(131)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주면 둘레에 2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홈(1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지지홀(131)은 중심부에 1개를 형성하여 다수의 옥내용 케이블(120)을 모아 집중시켜 관통 배치 및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이 사용되는 가닥수에 맞춰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하되 서로 구분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지지홈(132)은 주로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이 2가닥 이상 사용되었을 때 보다 유용한 구성이고, 상기 옥내용 케이블이 사용되는 가닥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실리콘 폴리머에 실리카를 혼합하는 구성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증대시켜 상기 가요성 덕트(110) 측과의 결합성 및 고정성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외면에 격자 구조의 홈을 파서 형성하는 등 거친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상기 가요성 덕트(110) 측과의 결합성 및 고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난연캡(130)은 스폰지 타입의 발포형 몸체로서 신축성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블관통지지홀(131)이나 케이블관통지지홈(132)을 형성하여 옥내용 케이블(120)을 삽입 고정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도면 표현의 편의성을 위해 단순하게 도시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100)은 전기배선공사에 사용시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을 결합하여 일체형 제품의 전기자재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품으로 제작 및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시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건설현장의 시공품질을 단일화할 수 있다.
둘째, 현장에서의 케이블 입선작업공정을 없앨 수 있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각종 건축물을 건축시 전기배선공사를 위한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가요성 덕트(110) 내에 옥내용 케이블(120)이 삽입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시나 타설 후 외압에 의한 가요성 덕트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난연캡(130)의 적용을 통해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 간 결합성 및 고정성을 높일 수 있어 가요성 덕트(110)로부터 옥내용 케이블(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시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덕트(110) 내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므로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 산소량 부족을 최소화시켜 내부에 존재하는 옥내용 케이블(120)에서 전기단락 등에 의한 발화시 불꽃의 연소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및 매입된 상태에서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 등의 전달을 차단하므로 방음 및 방진 기능까지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100)과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가요성 덕트(일반 CD관)와의 구부림에 의한 복원력 비교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 제품은 가요성 덕트를 구부릴 시 내부에 삽입 배치된 옥내용 케이블의 작용에 의해 쉽게 원상 복원되고 관 꺾임에 의한 변형이 극소화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종래 가요성 덕트(일반 CD관)만을 구부릴 시 원상 복원이 어려움은 물론 관 꺾임에 의해 파손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의 입선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 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100: 콤바인 덕트 케이블 110: 가요성 덕트
120: 옥내용 케이블 130: 난연캡
131: 케이블관통지지홀 132: 케이블관통지지홈

Claims (4)

  1. 전기배선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일체형 구성의 전기자재이며;
    케이블 보호용 전선관으로서, 일정 길이와 색상을 갖는 가요성 덕트(11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관내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전선으로서, 양측단부가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노출 배치되고, 전기용, 통신용, 소방용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는 옥내용 케이블(120);
    상기 가요성 덕트(110)의 길이방향 양측단면에 각각 삽입 끼움에 의해 가요성 덕트(110)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의 양측부를 고정 지지하여 상기 가요성 덕트(110)로부터 이탈을 방지 및 상기 가요성 덕트(110)와 옥내용 케이블(120)의 일체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난연성을 갖는 난연캡(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캡(130)은,
    난연성과 절연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폴리머에 마찰성능을 향상시켜 상기 가요성 덕트(110) 측 밀착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상기 옥내용 케이블(120) 측 고정성을 증대하기 위한 실리카를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캡(130)은,
    스폰지 타입의 발포형 몸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캡(130)은,
    중심부에 1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홀(131)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주면 둘레에 2개 이상의 케이블관통지지홈(1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KR2020170000485U 2017-01-26 2017-01-26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KR201800023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85U KR20180002360U (ko) 2017-01-26 2017-01-26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85U KR20180002360U (ko) 2017-01-26 2017-01-26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60U true KR20180002360U (ko) 2018-08-03

Family

ID=6320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85U KR20180002360U (ko) 2017-01-26 2017-01-26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36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431A (ko) 2002-11-01 2004-05-08 이순재 전선일체형 호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431A (ko) 2002-11-01 2004-05-08 이순재 전선일체형 호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200489856Y1 (ko) 내화재 충진용 슬리브
JPH10319286A (ja) 単一チューブ・プレナムリボンケーブル
KR102021358B1 (ko)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5041345A1 (ja) 防火区画の貫通孔に配設可能な熱膨張性長尺部材、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の形成方法、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US20020053460A1 (en) Composite power cable
KR20230147385A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KR20180002360U (ko) 전기배선공사용 콤바인 덕트 케이블
KR101930368B1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JP6378092B2 (ja) 防火区画の貫通孔に配設可能な熱膨張性スリーブ、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の形成方法、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KR101664210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2132819B1 (ko) 일체형 배기덕트
CN212695647U (zh) 一种防火套管及带有其的电线组件或电缆组件
RU555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от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а вдоль кабеля или трубопровода
JP3156316U (ja) 分岐付光・メタル複合ケーブル
KR20220091932A (ko)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KR101033515B1 (ko) 목조건축물 노출배선용 전선과 그 제조방법 및 배선방법
KR101110964B1 (ko) 케이블 설치 부속품
JP2014147273A (ja) 電線の保護チューブ
KR102646143B1 (ko)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CN219370639U (zh) 一种轻型柔性防火电力电缆
CN215564170U (zh) 一种立柱及支撑框架
KR10231814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형 연결장치
KR102209742B1 (ko) 복합 하네스
KR20240058552A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