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385A -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385A
KR20230147385A KR1020220046338A KR20220046338A KR20230147385A KR 20230147385 A KR20230147385 A KR 20230147385A KR 1020220046338 A KR1020220046338 A KR 1020220046338A KR 20220046338 A KR20220046338 A KR 20220046338A KR 20230147385 A KR20230147385 A KR 2023014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derground transmission
transmission line
support device
c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복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
Priority to KR102022004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385A/ko
Publication of KR2023014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송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구 주변에서 불측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 화재 진압을 초기에 수행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Cable support device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connected to transformers}
본 발명은 송전기술 분야 중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송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구 주변에서 불측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 화재 진압을 초기에 수행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미관 그리고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보내진다.
이러한 지중송전선로를 구축하는 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그리고, 전력구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관로식은 합성수지관, 강관, 흄관 등 관재(pipes)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敷設)하는 방식으로써, 일정 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과 해당 접속한다.
이와 같은 관로식 공사에 사용되는 관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 강관, 흄관 등과 같은 관재(pipes)가 주로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관재는 지금까지 매우 단순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실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지중 송전케이블을 설치하는 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 연약지반의 약한 지지력 또는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지반에 의하여 지중 송전케이블이 휘어지지거나 심지어 파손되는 장애상태가 발생되고, 이러한 장애상태를 보수하기 위하여 막대한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되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지중송전선로는 매설된 선로길이 중간에 별도의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지중송선선을 상호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연결기구에 습기가 차면 합선, 누전, 단락 등이 발생되어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전할 수 없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국내 등록실용 제10-0736833호(2007.07.02.),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국내 등록특허 제10-2085574호(2020.03.02.),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중송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구 주변에서 불측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 화재 진압을 초기에 수행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중 송전선로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연결구함체(100)와,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양측에 지중송전케이블(200)이 관통된 후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접속단(400)과, 상기 연결구함체(100) 내부 천정 양측에 고정된 조습제주머니(300)와,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천정면에 설치된 소화유닛(500)을 포함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접속단(400)은 연결구함체(100)에 고정되고 통전성을 갖는 수납단자함(410)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방지부(420)와, 상기 수납단자함(410)과 회전방지부(42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지중송전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배선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단자함(410)에 나사체결되어 수납단자함(410)에 노출된 지중송전케이블(20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가압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송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구 주변에서 불측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 화재 진압을 초기에 수행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적용되는 단자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적용되는 소화유닛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연결구함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함체(100)는 지중 송전선로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지중송전케이블(200)을 점핑하는 것은 물론, 장력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구함체(100)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사각박스 형상이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측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열고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대(110)를 통해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바닥을 흐르는 물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양측에는 지중송전케이블(200)이 관통된 후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단(400)이 마련되며, 접속단(400) 외측에서는 상기 연결구함체(100)에 걸린 상태로 상기 지중송전케이블(200)이 관통되게 하여 지중송전케이블(200)이 처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이를 통해 단선이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단선방지스프링(210)이 더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구함체(100) 내부 천정 양측에는 조습제주머니(300)가 고정되는데, 이는 조습기능, 즉 습도가 높으면 습기를 머금고 습도가 낮으면 습도를 내뱉어 연결구함체(100) 내부가 적절한 습도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높은 습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습제주머니(300)에 채워지는 조습제는 알로펜분말 50중량%, 황토 20중량%, 송진 5중량% 및 물 2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볼형상으로 건조 성형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알로펜분말은 3차원 망목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조습물질이고, 황토 또한 흡습, 발수 기능이 뛰어난 천연 조습제이며, 송진은 천연 항균기능을 발현시켜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균팡이나 균류가 서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함체(100)는 합성수지 조성물로 성형되는데, 이 합성수지 조성물은 절연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내구성, 내부식성, 방수성을 갖출 수 있도록 내구성과 내침식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메탈폴리실록산 10중량부, 캐슈핵유 15중량부,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폴리비닐부티랄 10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한 수지조성물이다.
이때, 메탈폴리실록산은 소포성과 발수성을 높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캐슈핵유는 인도산 캐슈열매의 껍질 추출액으로서 카르돌과 아나카르도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절연층의 피막강도 향상, 그에 따른 내구성 강화, 피착성 증대로 절연층 및 회전방지구의 장수명화를 달성하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와 지르코니아의 표면활성 증대 특성을 활용하여 완충, 흡음, 방수 및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키며, 성분간 응집력을 높여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TCPP는 내열성을 강화시키고 피로도를 낮춰 크랙, 파단이 생기지 않고 도포면이 장수명화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부티랄은 내약품성과 유연성을 확보하여 도포면 또는 성형부재의 안정화를 유지하고 산화를 억제하며 방오기능 및 방수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은 산소의 흡습 침투를 막아 도장면의 크랙과 파단을 막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즉, 내수압특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강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단자 접속구조를 탈피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접촉 안정성을 강화시키면서 설치하기 쉽게 구성한 단자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접속단(400, 도 1 참조)은 연결구함체(100)에 고정되는 수납단자함(410)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방지부(420)와, 상기 수납단자함(410)과 회전방지부(42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선공(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납단자함(410)은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고 통전성이 좋은 구리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수납단자함(410)의 외표면은 5mm 두께로 절연층(412)이 코팅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420)는 각형으로 만들어지며 합성수지물이 수납단자함(410) 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즉, 수납단자함(410)에서 돌출된 쐐기(414)가 상기 회전방지부(420)에 인서트되는 방식으로 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며, 회전방지부(420)는 각형이기 때문에 연결구함체(100)를 관통하여 고정될 때 각진 상태로 끼워 고정되므로 수납단자함(410)의 회전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내부면은 만곡지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지중송전케이블(200)을 배선할 때 피복을 벗긴 부분이 나선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일단은 배선공(430)을 통해 배출시키고 나머지는 만곡진 내부면에 위치되게 하여 나중에 체결되는 접속가압단(440)이 긴밀하게 눌러 통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가압단(440)도 통전성이 좋은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지며, 선단면은 볼록하게 튀어나와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만곡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개방된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가압단(440)의 둘레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가압단(440)에는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배선터미널(45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선터미널(450)은 M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일단면이 접속가압단(440)에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하폭 중앙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접속공(45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접속공(452)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을 끼운 후 접속가압단(440)을 당기면 접속가압단(440)의 M자 형상이 늘어나면서 중앙의 'V' 부분이 상승되면서 끼워져 있던 전선을 상부로 당겨 엇갈리게 만들기 때문에 전선이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3의 예시와 같이, 상기 연결구함체(100) 내부 천정면에는 소화유닛(5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유닛(500)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되고 공기가 채워진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튜브(520,550)에는 메탄가스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되며, 열을 받아 일정이상의 온도에 이르게 되면 폭발하면서 전방에 있는 구조물, 이를 테면 창살커버(560), 소화분말(540), 압력판(530)을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분말(540)은 얇은 비닐에 싸여 밀봉된 상태로 장입되며, 압력판(530)은 제1튜브(520) 폭발시 상기 소화분말(540)을 균일하게 밀어 비산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창살커버(560)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하우징(510)에 둘레단의 일부분이 후크(562) 결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는 리브(564)와 세그먼트(566)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폭발시 상대적으로 얇은 리브(564)가 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브(564)들 사이로는 구멍이 생기기 때문에 화재시 열기가 제2튜브(550) 쪽으로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열전달파이프(570)는 화재시 받은 열기가 제1튜브(520)도 빠르게 전달되게 공간을 형성하여 제1튜브(520)도 빠르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하여, 화재 초기에 열을 받아 팽창 후 폭발하는 제1,2튜브(520.550)에 의해 소화분말(540)이 연결구함체(100) 주변으로 쏟아져 연결구함체(100)가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 화재를 즉시에 진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구성 수지재료이며; 실리콘수지는 완충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고;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질화규소는 가볍고 열팽창율이 적어 상온이나 고온에서 강도, 파괴에 대한 인성, 열충격 저항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콘드로이틴-황산은 건조화를 방지하여 점착성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전도도가 크다. 그리고, 이산화티탄은 방열효율을 높이고,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첨가된다.
100: 연결구함체 200: 지중송전케이블
300: 조습제주머니 400: 접속단
500: 소화유닛

Claims (1)

  1. 지중 송전선로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연결구함체(100)와,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양측에 지중송전케이블(200)이 관통된 후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접속단(400)과, 상기 연결구함체(100) 내부 천정 양측에 고정된 조습제주머니(300)와,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천정면에 설치된 소화유닛(500)을 포함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함체(100)의 접속단(400)은 연결구함체(100)에 고정되고 통전성을 갖는 수납단자함(410)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방지부(420)와, 상기 수납단자함(410)과 회전방지부(42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지중송전케이블(200)이 삽입되는 배선공(4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단자함(410)에 나사체결되어 수납단자함(410)에 노출된 지중송전케이블(20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가압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KR1020220046338A 2022-04-14 2022-04-14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KR20230147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38A KR20230147385A (ko) 2022-04-14 2022-04-14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338A KR20230147385A (ko) 2022-04-14 2022-04-14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385A true KR20230147385A (ko) 2023-10-23

Family

ID=8850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338A KR20230147385A (ko) 2022-04-14 2022-04-14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3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56B1 (ko) * 2023-11-16 2024-02-05 (주)도현전력기술단 화재진압 기능이 강화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51B1 (ko) * 2023-11-16 2024-02-05 (주)대림전력공사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46B1 (ko) * 2023-11-16 2024-02-05 (주)토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33B1 (ko) 2007-01-30 2007-07-10 (주)하나전력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2085574B1 (ko)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33B1 (ko) 2007-01-30 2007-07-10 (주)하나전력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KR102085574B1 (ko)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56B1 (ko) * 2023-11-16 2024-02-05 (주)도현전력기술단 화재진압 기능이 강화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51B1 (ko) * 2023-11-16 2024-02-05 (주)대림전력공사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46B1 (ko) * 2023-11-16 2024-02-05 (주)토우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7385A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CN104967086A (zh) 一种整体式高压电缆防爆接头盒
US20120152584A1 (en)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ally Induced Fires in Gas Tubing
KR102109528B1 (ko) 공동주택 전기와 통신선 통합수용 보호덕트의 소음차단과 절연 연결장치
CN209843341U (zh) 一种高强度耐用复合式电缆
CN110359675B (zh) 一种电缆竖井及应用在内部的电缆
CN108806826A (zh) 超导石墨烯防火电缆
CN107394725A (zh) 一种耐火母线槽
CN209328592U (zh) 一种高柔韧性抗折损环保电缆
KR102504566B1 (ko) 가공 송전철탑의 설비 구조
CN205542121U (zh) 一种耐火阻水电缆
KR10199624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
CN212875332U (zh) 高分子浇注防水母线槽
CN201054276Y (zh) 防火电线
CN206789335U (zh) 耐高温防鼠蚁防水铜芯电力电缆
CN207458627U (zh) 一种隔热隔离型矿物绝缘柔性防火电缆
KR102548179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장치
KR10254818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망 설비 장치
CN201331963Y (zh) 新型低烟无卤耐火防霉控制电缆
CN220526623U (zh) 一种抗震防火电缆
CN205160989U (zh) 柜内封堵材料的网式支撑
KR102536624B1 (ko) 초고속 인터넷과 연계한 정보통신의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CN103326259B (zh) 预装式开闭所
CN205211440U (zh) 一种消防系统用无卤低烟电缆
KR102672471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