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51B1 -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51B1
KR102633351B1 KR1020230158756A KR20230158756A KR102633351B1 KR 102633351 B1 KR102633351 B1 KR 102633351B1 KR 1020230158756 A KR1020230158756 A KR 1020230158756A KR 20230158756 A KR20230158756 A KR 20230158756A KR 102633351 B1 KR102633351 B1 KR 102633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housing
blower
tension control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주)대림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전력공사 filed Critical (주)대림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15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배전선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소화분말로 꽉 차게 하여 산소차단에 의한 초기 소화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배전선의 장력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유동성있게 조절함으로써 배전선의 파단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with distribution line tension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배전선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소화분말로 꽉 차게 하여 산소차단에 의한 초기 소화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배전선의 장력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유동성있게 조절함으로써 배전선의 파단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중 배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로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대에 고정된 배전선로가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대부분 도전체를 연결 접속하는 것에 있어 불안정성으로 인한 단점이 많다.
예컨대, 지중 배전선로를 구축하는 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그리고, 전력구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에서 관로식이 제일 많이 사용되며, 관로식은 합성수지관, 강관, 흄관 등 관재(pipes)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배전선을 부설하는 방식으로써 일정 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배전선과 해당 접속하는 방식이다.
이때, 지중 배전선로는 매설된 선로길이 중간에 별도의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배전선을 상호연결하고 있는데, 이 연결부위에서의 전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합선, 누전, 단락 등이 발생되어 전력을 안정적으로 배전할 수 없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배전선은 수시로 장력이 변화되는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없어 장시간 사용시 급격한 장력변화로 인해 배전선이 파단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231161호(2021-03-17),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배전선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소화분말로 꽉 차게 하여 산소차단에 의한 초기 소화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배전선의 장력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유동성있게 조절함으로써 배전선의 파단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절연성을 갖고, 양측면을 통해 배전선(200)이 접속되는 커넥팅하우징(1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커넥팅하우징(100)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포스트(11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전선(200)을 결속하여 통전가능하게 구성하는 한 쌍의 단자접속부재(3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 천정면에 설치된 분말소화기(4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말소화기(400)에 충전된 소화분말을 비산시키는 블로어(45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중 배전선(200) 하측에는 장력조절유닛(500)이 더 설치되어 배전선(200)의 장력 변화에 따라 경사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배전선(200)을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자접속부재(300)는 도전체로드(31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접지봉(312)과, 상기 접지봉(312)에 나사체결되는 이동환(320)과, 상기 이동환(320)의 둘레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33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측단부를 고정한 채 커넥팅하우징(100)의 바닥면 상에 입설(立設)되는 절연포스트(34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유닛(500)은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에 고정된 후 경사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커버(520)와, 상기 커버(52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하단은 걸림구(532)를 가진 채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지지롤(534)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유동로드(530)와, 상기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로드(5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력스프링(540)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길이 일부에는 스위치인 개폐기(6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분말소화기(400)는 하부면 일부가 개방된 본체하우징(410)과, 상기 본체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면을 밀폐하여 본체하우징(410) 내부에 소화분말을 채울 수 있게 하는 하부판(420)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천정면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410)과 연통되는 송풍유로(4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송풍유로(430) 상에는 체크밸브(440)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유로(430)의 상단은 블로어(45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어(450)는 커넥팅하우징(100)의 상면에 고정된 블로어박스(452)에 내장되며; 상기 블로어박스(452)에는 상기 블로어(450)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로어제어기(454)가 탑재되고;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 일측벽 상부에는 온도감지센서(460)가 설치되며; 상기 블로어제어기(454)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60)의 감지신호에 따라 블로어(4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배전선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소화분말로 꽉 차게 하여 산소차단에 의한 초기 소화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배전선의 장력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유동성있게 조절함으로써 배전선의 파단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속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단자 결합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장력조절유닛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력조절유닛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커넥팅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은 배전선로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배전선(200)을 점핑하는 것은 물론, 장력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커넥팅하우징(100)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사각박스 형상이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측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열고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은 고정포스트(110)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바닥을 흐르는 물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절연성은 물론, 내화성, 방수성, 내부식성을 갖추도록 하여 화재에 강하고, 내구성도 좋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은 PPO수지(Polyehenylene Oxide) 100중량부에 대해,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 15중량부,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25중량부, 멜라민시아누네이트(Melamine Cyanurate) 15중량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 triethoxysilane) 10중량부, 옥토크릴렌(Octocrylene) 15중량부, 디아릴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 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20중량부를 혼합한 성형조성물로 성형된다.
이 경우, PPO수지(Polyehenylene Oxide)는 고온 내열성 수지로서, 저수분 흡수성(내수성)인한 전기 절연성, 치수 안정성 우수, 경도와 충격강도 우수하며,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은 금속인산염의 투입을 통해 전기절연성을 현격히 강화시킨다.
또한,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는 분말 형태로 첨가되며, 석영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크리스토발라이트 분말의 공극 사이로 베이스수지가 침투하여 이들을 바인딩시킴으로써 내열성 증대와 내화성을 동시에 강화시킨다.
그리고, 멜라민시아누네이트(Melamine Cyanurate)는 CAS 넘버 37640-57-6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내열성 및 내화성, 즉 불연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은 CAS 넘버 919-30-2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멜라민과 반응하는 커플링제로서 반응을 통해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여 내구성과 내화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옥토크릴렌(Octocrylene)은 2-에칠헥실2-시아노-3-페닐신나메이트를 말하는 맑은 황색의 액체로서, 화학적으로 강한 자외선 차단 기능(광범위한 흡수성)을 가지며, 특히 강한 방수성을 함께 갖는다.
또한, 디아릴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는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부착안정성을 포함한 내열성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수산화알루미늄은 수지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내구성, 내화성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배전선(200)이 관통된 후 접속될 수 있도록 단자접속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접속부재(30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어느 일방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단자접속부재(300)는 도전체로드(31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접지봉(312)과, 상기 접지봉(312)에 나사체결되는 이동환(320)과, 상기 이동환(320)의 둘레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33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측단부를 고정한 채 커넥팅하우징(100)의 바닥면 상에 입설(立設)되는 절연포스트(3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지봉(312)의 외주면에는 봉나사산(314)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환(320)이 이 봉나사산(314)을 따라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환(3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환(320)이 상기 접지봉(312)의 단부를 기준으로 돌출되게 되며, 상기 이동환(3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환(320)이 상기 접지봉(312)의 단부를 기준으로 인입되게 된다.
즉, 이동환(320)이 절연포스트(3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환(320)도 도전체이며, 둘레면 일측 및 그와 직경방향으로 대칭되는 타측에는 고정축(350)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50)에는 록킹부재(330)의 후단부가 힌지축(3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다.
특히, 상기 힌지축(360)에는 토션스프링(370)이 끼워지는데, 상기 토션스프링(370)의 일단은 상기 고정축(350)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재(330)의 후단부에 걸림 고정되게 하여 상기 록킹부재(330)의 선단이 도 2와 같이 항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탄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부재(330)와 고정축(350) 모두 도전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330)는 항상 피고정체를 물어 고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배전선(200)의 선단부는 커넥팅하우징(100)의 일측면을 관통한 뒤 피복상에 걸림구(210)가 결속되고, 상기 걸림구(210)와 간격을 두고 피복이 벗겨진 단부에 접속단부재(220)가 결속된다.
즉, 상기 걸림구(210)는 배전선(200)이 빠지지 말고 커넥팅하우징(100) 내벽면에 걸림되게 하는 수단이고, 상기 접속단부재(220)는 배전선(200)의 피복이 벗겨진 단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록킹부재(330)에 의해 록킹되면서 당겨져 접지봉(312)과 접지되어 통전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배전선(200)의 단부에 접속단부재(220)를 결속하는 방법은 다양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판형 접속단부재(220)에 홀이 가공되고, 홀의 타측면에는 홀 둘레에 일정깊이 요홈이 가공되어 피복이 벗겨진 배전선 단부가 나사탭 방식으로 고정된 후 요홈 속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배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단부재(220)의 일측면에 평평한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과 시판되는 부재가 있으므로 이들을 이용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록킹부재(330) 사이로 접속단부재(220)를 밀면 록킹부재(330)가 벌어지면서 접속단부재(220)가 끼워짐과 동시에 접속단부재(220)의 후단은 록킹부재(330)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환(32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이동환(320)이 절연포스트(340) 쪽으로 이동하므로 접속단부재(220)가 당겨지면서 접지봉(312)과 긴밀한 접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속 부분에 관여하는 모든 부품들은 도전체이기 때문에 통전상 문제가 없다.
아울러, 상기 절연포스트(340)는 절연성과 함께 내구성, 방수성, 내오염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조성물로 성형된다.
즉, 상기 절연포스트(340)를 만들기 위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10중량부,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15중량부, 왕겨-전분 혼합 펠릿 분말 10중량부, 백토분말 10중량부, 스테아린산 5중량부, PEEK(Polyetheretherketone) 10중량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iral) 5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이 경우, 수산화마그네슘은 대표적인 난연제이고,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는 과산화계 가교제로서 절연성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왕겨-전분 혼합 펠릿 분말은 왕겨분과 전분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물에 괴어 펠릿으로 압출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것으로 절연성과 내화성을 현격히 향상시킨다.
또한, 백토분말은 대표적인 절연재이자 난연재이다.
뿐만 아니라, 스테아린산은 활제이다.
아울러, PEEK(Polyetheretherketone)는 열가소성의 고기능성 플라스틱수지로서 내화학성, 내수성은 물론 고열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절연성을 월등히 강화시키고 피로도를 낮춰 크랙, 파단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그리고,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iral)은 CAS 넘버 63148-65-2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산화를 억제하며 오염방지기능 및 방수성을 증대시킨다.
다른 한편, 도 1의 예시와 같이, 상기 커넥팅하우징(100) 내부 천정면에는 분말소화기(4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분말소화기(400)는 하부면 일부가 개방된 본체하우징(410)과, 상기 본체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면을 밀폐하여 본체하우징(410) 내부에 소화분말을 채울 수 있게 하는 하부판(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천정면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410)과 연통되는 송풍유로(4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송풍유로(430) 상에는 체크밸브(440)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유로(430)의 상단은 블로어(45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어(450)는 커넥팅하우징(100)의 상면에 고정된 블로어박스(452)에 내장된다.
이때, 상기 블로어(450)는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블로어박스(452)에는 상기 블로어(450)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로어제어기(454)가 탑재되며, 상기 블로어제어기(454)는 온도감지센서(460)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되게 전기적으로 연결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감지센서(460)는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 일측벽 상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만약 커넥팅하우징(10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하부판(420)이 녹아 내리면서 소화분말이 하방으로 쏟아지면서 초기 소화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온도감지센서(460)는 정해진 온도를 넘어서면 화재로 인식하여 블로어제어기(454)로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블로어제어기(454)는 즉시 블로어(450)를 회전시켜 송풍유로(430)를 통해 바람을 불게 된다.
그러면, 바람에 의해 소화분말이 흩날리면서 커넥팅하우징(100) 구석구석으로 공급되어 효율적인 소화작업을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송풍유로(430)에는 체크밸브(4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분말이 블로어(450) 쪽으로 역류하지는 않는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장력조절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유닛(500)은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중 배전선(200) 하측에 마련된다.
즉, 장력조절유닛(500)은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에 고정된 후 경사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커버(520)와, 상기 커버(52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하단은 걸림구(532)를 가진 채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지지롤(534)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유동로드(530)와, 상기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로드(5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력스프링(5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전선(200)에 장력이 강하게 작용하면 배전선(200)이 팽팽해지므로 유동로드(530)가 상승하면서 지지롤(534)이 배전선(200)을 접촉지지하고, 장력이 약해지면 배전선(200)이 처지면서 유동로드(530) 경사방향으로 밀려 하강하면서 배전선(200)의 장력을 분산 처리하게 된다.
이것은 유동로드(530)가 경사지지되기 때문에 벡터분해력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배전선(200)의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유닛(500)은 경량이면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져야 하므로 특히 실린더와 실린더로드 기능을 하는 본체(510)와 유동로드(530)가 스프링강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아연-주석 도금액으로 도금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내마모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아연-주석 도금액은 아연 30중량%, 주석 1.5중량% 및 나머지 구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아연은 피삭성을 좋게 하지만 내식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30중량%로 포함되어야 하고, 주석은 도금액의 강도와 경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며, 구리는 내식성을 강화시키고 열간 및 냉간 가공성(인장강도)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작업 안전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개폐기(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600)는 일종의 배전선로를 개, 폐하는 스위치로서, 도전체로드(310)의 길이 일부에 설치되어 개방상태로 유지할 때 양단에 배전선(200)을 접속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접속이 완료되면 폐쇄상태로 놓아 통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작업시에는 개폐기(600)를 오프(off)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개폐기(600)를 온(on)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연결구에서 선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량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배전선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소화분말로 꽉 차게 하여 산소차단에 의한 초기 소화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배전선의 장력변화에 대응하여 이를 유동성있게 조절함으로써 배전선의 파단도 막을 수 있게 된다.
100: 커넥팅하우징 200: 배전선
300: 단자접속부재 400: 분말소화기
500: 장력조절유닛

Claims (3)

  1. 절연성을 갖고, 양측면을 통해 배전선(200)이 접속되는 커넥팅하우징(1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커넥팅하우징(100)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포스트(11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전선(200)을 결속하여 통전가능하게 구성하는 한 쌍의 단자접속부재(3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 천정면에 설치된 분말소화기(400);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분말소화기(400)에 충전된 소화분말을 비산시키는 블로어(45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중 배전선(200) 하측에는 장력조절유닛(500)이 더 설치되어 배전선(200)의 장력 변화에 따라 경사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배전선(200)을 접지하는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속부재(300)는 도전체로드(31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접지봉(312)과, 상기 접지봉(312)에 나사체결되는 이동환(320)과, 상기 이동환(320)의 둘레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330)와,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양측단부를 고정한 채 커넥팅하우징(100)의 바닥면 상에 입설(立設)되는 절연포스트(34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유닛(500)은 커넥팅하우징(100)의 양측벽에 고정된 후 경사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커버(520)와, 상기 커버(52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하단은 걸림구(532)를 가진 채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지지롤(534)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유동로드(530)와, 상기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로드(5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력스프링(54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체로드(310)의 길이 일부에는 스위치인 개폐기(6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분말소화기(400)는 하부면 일부가 개방된 본체하우징(410)과, 상기 본체하우징(410)의 개방된 하부면을 밀폐하여 본체하우징(410) 내부에 소화분말을 채울 수 있게 하는 하부판(420)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천정면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410)과 연통되는 송풍유로(4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송풍유로(430) 상에는 체크밸브(440)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유로(430)의 상단은 블로어(45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어(450)는 커넥팅하우징(100)의 상면에 고정된 블로어박스(452)에 내장되며; 상기 블로어박스(452)에는 상기 블로어(450)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로어제어기(454)가 탑재되고; 상기 커넥팅하우징(100)의 내부 일측벽 상부에는 온도감지센서(460)가 설치되며; 상기 블로어제어기(454)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60)의 감지신호에 따라 블로어(4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158756A 2023-11-16 2023-11-16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8756A KR102633351B1 (ko) 2023-11-16 2023-11-16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8756A KR102633351B1 (ko) 2023-11-16 2023-11-16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51B1 true KR102633351B1 (ko) 2024-02-05

Family

ID=8990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8756A KR102633351B1 (ko) 2023-11-16 2023-11-16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739Y1 (ko) * 1981-06-26 1982-08-20 박만기 천정 현수식 자동 분말 소화기
KR101719476B1 (ko) * 2017-02-07 2017-03-24 (주)엑서런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231161B1 (ko) 2020-08-27 2021-05-12 (주)해우이엔지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20230147385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739Y1 (ko) * 1981-06-26 1982-08-20 박만기 천정 현수식 자동 분말 소화기
KR101719476B1 (ko) * 2017-02-07 2017-03-24 (주)엑서런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231161B1 (ko) 2020-08-27 2021-05-12 (주)해우이엔지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20230147385A (ko) *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2633351B1 (ko)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력조절기능을 갖는 배전선 접속장치
KR102633356B1 (ko) 화재진압 기능이 강화된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KR20230147385A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KR102633346B1 (ko) 배전선로의 배전선 접속장치
KR100853034B1 (ko) 송배전을 위한 다전선 통전구조
KR102393709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349302B1 (ko) 케이블 트레이 화재 확산 방지장치
US9472936B2 (en) Nonmetallic sheathed electrical cable mounting
JPH1127008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
KR20170014914A (ko) 몰딩형 부스덕트
KR100820649B1 (ko)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CN210463222U (zh) 空调器
KR100867210B1 (ko) 지중배전용 전선보호관 이음구조
CN210403600U (zh) 一种基于单向气阀的水位电闸
US20060201079A1 (en) Gas-socket outlet
KR100844278B1 (ko) 소화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KR200350115Y1 (ko)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CN218376042U (zh) 一种耐腐蚀抗风化的防火罩
KR102111214B1 (ko) 누수 감지 장치
KR10256162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CN219420215U (zh) 应用于管线分离的可熔接接线盒
CN221057998U (zh) 一种用于封堵控制电缆保护钢管的接头
CN215674041U (zh) 一种耐火胶管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