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214B1 - 누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1214B1 KR102111214B1 KR1020180138970A KR20180138970A KR102111214B1 KR 102111214 B1 KR102111214 B1 KR 102111214B1 KR 1020180138970 A KR1020180138970 A KR 1020180138970A KR 20180138970 A KR20180138970 A KR 20180138970A KR 102111214 B1 KR102111214 B1 KR 102111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ergizing
- hole
- unit
- detection device
- leak det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치된 옥외소화전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옥외소화전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쉽게 설치 가능하며 내부 소화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누수 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챔버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전 유니트와, 상기 통전 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에 접촉하는 절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통전 유니트의 연장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옥외소화전 내측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챔버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전 유니트와, 상기 통전 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에 접촉하는 절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통전 유니트의 연장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옥외소화전 내측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설치된 옥외소화전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옥외소화전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쉽게 설치 가능하며 내부 소화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전은 수도배관이나 별도의 수원을 확보한 가압 송수장치로부터 소방차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거나 옥외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시설로부터 일반적으로 65㎜구경의 소방용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수도법의 적용을 받는 공설(公設) 수도의 배수관에 설치된 소화전 이외의 것을 특히 사설 소화전이라 하며, 공업지역ㆍ상업지역ㆍ주거지역은 100m 이내마다, 그 밖의 지역은 140m 이내마다 소화전을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공장, 사업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옥외소화전이나 방화전용수도 및 우물물 연락수도(건물상호간에 지하수를 비상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관으로 연결한 것) 등의 배관으로 설치된 것이며, 자위소방대의 사용에 제공되는 것이 여기에 해당된다.
기존의 누수 감지 장치들은 소화전의 외부에 설치되었는데, 옥외소화전은 반 이상이 지하에 매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옥외소화전에 누수 감지 장치를 설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서 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소화전은 제조업체에 따라 규격 및 디자인에 차이가 있고, 같은 제조업체에서 만든 제품이라도 공차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소화전의 치수에 맞는 누수 감지 장치를 찾거나 주문 제작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1356호에는 수위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설치된 옥외소화전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옥외소화전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쉽게 설치 가능하며 내부 소화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누수 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챔버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전 유니트와, 상기 통전 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에 접촉하는 절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통전 유니트의 연장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통전 유니트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는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이고, 상기 제1 통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통전부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소재가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절연 소재는 실란트, 에나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제1 통전부는 상기 제2 통전부보다 상기 챔버의 하부로 더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통전 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전부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은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제1 통전부의 측벽에는 상기 가이드 장홀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이드 장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장홀까지 연결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장홀까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통전 유니트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 유니트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통전 유니트가 상기 통전 유니트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제1 홀에서 상기 가이드 장홀으로 유도되는 방향으로 상기 통전 유니트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전 유니트는 나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으로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 구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통전 유니트는 상기 제2 통전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 구멍으로 유입된 상기 액체에 하단부가 침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홀더부는 상기 통전 핀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홀더부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와 상기 통전 핀은 나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의 상기 홀더부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통전부, 제2 통전부, 통전 핀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상기 유입 구멍의 측벽 중 상기 챔버의 저면과 대면하는 부분은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옥외소화전 내측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에서 상기 가압부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중공으로 상기 옥외소화전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통전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 구멍으로 유입된 상기 물에 하단부가 침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의 규격이 달라지더라도 전극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 없이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상·하의 양단부가 챔버의 천장 및 저면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와류에 의해서 장치가 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누수 감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제1 통전부의 내부에 실란트 또는 에나멜을 채움으로써, 제1 통전부의 내부에서 제2 통전부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통전부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구 감지 장치는 누수 감지 장치를 회전하여 관통홀과 나사 결합할 때 고정 돌기가 가이드 장홀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이드 장홀에 삽입된 고정 돌기가 가이드 장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옥외소화전의 배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연 유니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전 유니트 및 절연 유니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옥외소화전의 배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연 유니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전 유니트 및 절연 유니트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에 대한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측 및 하측의 기준은 챔버(20)의 천장과 저면을 기준으로 천장 측을 상측이라고 하고, 저면 측을 하측이라고 한다.
옥외소화전은 긴 원통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의 하부에는 외부의 수원(水源)으로 부터 물을 공급하는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21)는 옥외소화전 상단부에 마련되는 핸들을 돌려서 몸체 내부의 샤프트(23)로 동력을 전달받아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밸브(21)가 개방되면 옥외소화전의 몸체 내부로 물이 차오르고, 옥외소화전의 상부의 개구로 물을 배출하며, 배출된 물은 소화수로 사용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의 하부에는 밸브(21)보다 높은 위치에 옥외소화전 내부의 물이 자연배수되는 배수구(25)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구(25)로 흘러간 물은 옥외소화전의 외부로 흘러 외부 지형에 흡수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에서 물이 나오는 배수 출구는 지하에 위치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의 누수는 밸브(21)가 제대로 닫히지 않아 밸브(21)를 통해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옥외소화전에서 누수가 장시간 지속되면 물의 낭비뿐만 아니라 옥외소화전의 노후화를 가속시킬 수 있어 빠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에는 누수를 감지하는 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옥외소화전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의 외부에 설치되고, 배수 출구에서 나오는 물을 감지하여 누수를 판단하였다.
종래의 누수 감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옥외소화전 주변의 지형을 굴삭해야 되는 등 단순 기계 조립이 아닌 공사 작업이 들어가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누수 감지 장치는 하나의 전극(접지 전극)을 물에 침수시켜 접지시키고, 다른 하나의 전극(수위 전극)을 누수로 판단되는 높이까지 하단부를 아래로 연장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물이 누수 되어 수위(water level)가 누수로 판단되는 높이까지 차오르게 되면, 물을 통해 두 전극 사이에 전기가 흐르게 되고,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여 누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1)가 한번이라도 개방되어 옥외소화전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난 후 밸브(21)가 폐쇄되면, 물은 배수구(25)의 높이까지만 배수되기 때문에, 배수구(25)의 높이 아래로는 물이 채워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상태는 정상상태로 누수 상태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의 누수로 판단되는 수위는 배수구(25)의 높이일 수 있다.
옥외소화전에서 수위 전극의 하단부가 배수구(25)의 아래로 설치되면 밸브(21)가 누수가 되지 않는 상태인데도 누수 상태로 감지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에서 수위 전극의 하단부가 배수구(25)의 높이보다 너무 높은 곳에 설치되면, 누수 감지를 못 하거나 누수 감지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의 내부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장치의 수위 전극의 하단부는 배수구(25)의 높이 또는 그보다 조금 높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조금 높은 높이는 배수구(25)로 배출되는 물의 배수 속도, 밸브(21)의 규격, 외부 수원의 수압, 옥외소화전 내부의 직경 등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은 제조사, 공차 등으로 인해 실제 배수구(25)의 높이는 제품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옥외소화전은 회주철, 청동 주물로 제작되며 제품마다 약 1c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의 규격이 달라지더라도 전극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 없이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챔버(20)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로 챔버(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챔버(20)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전 유니트(100)와, 통전 유니트(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챔버(2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절연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유니트(200)는 통전 유니트(100)의 연장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20)는 옥외소화전의 몸체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절연 유니트(200)는 통전 유니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241)을 포함하고 있으며, 절연 유니트(200)의 하단부는 챔버(20)의 저면을 가압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옥외소화전의 밸브(21)가 개방되면 고압의 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챔버(20) 내부에는 강한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옥외소화전 내부로 삽입된 누수 감지 장치는 와류에 의해 흔들려 밴딩될 수 있다. 장치가 밴딩되면 수위를 감지하는 전극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누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상·하의 양단부가 챔버(20)의 천장 및 저면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와류에 의해서 장치가 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누수 감지를 할 수 있다.
통전 유니트(100)는 챔버(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110)와, 제1 통전부(110) 내부에서 챔버(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통형으로 챔버(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파이프일 수 있다.
제2 통전부(120)는 전도성 소재의 와이어일 수 있다. 즉, 금속성 와이어일 수 있다. 또는, 제2 통전부(120)는 외경이 제1 통전부(110)의 내경보다 작은 전도성 막대일 수 있다. 제2 통전부(120)는 강성이 비교적 낮은 소재로 제작되어 적은 힘에도 휠 수 있다. 제2 통전부(120)는 옥외소화전의 치수에 따라 길이 변화가 자유로워야 되므로, 강성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는 접지 전극일 수 있다. 제2 통전부(120)는 수위 전극일 수 있다.
수위 전극은 챔버(20)에서 정의된 높이까지 하단부가 연장되며, 물이 정의된 높이까지 차올라 하단부에 물이 접촉하면 접지 전극과 물을 통해 전기가 통하는 전극을 의미할 수 있다.
접지 전극은 하단부가 수위 전극의 하단부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어 수위 전극보다 먼저 물에 접촉하게 되는 전극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통전부(110)는 제2 통전부(120)보다 챔버(20)의 하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수위 전극과 접지 전극의 상부에는 각각 개별 전기 케이블(31)이 연결되며, 전기 케이블(31)은 단자 박스(3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위 전극과 접지 전극의 하단부가 물에 침수되면 단자 박스(30)에서 누수를 감지하고, 이를 알릴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와 제2 통전부(120)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전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통전부(120)는 절연 소재로 피폭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 및 제2 통전부(120)는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일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의 내부에는 제2 통전부(120)가 제1 통전부(110)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소재가 채워질 수 있다. 절연 소재는 실란트, 에나멜 등 일 수 있다.
정확한 누수 감지를 위해서 제1 통전부(110) 및 제2 통전부(120) 간의 전기적 연결은 수위가 제2 통전부(120)의 하단부 또는 제2 통전부(120)의 하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전도성 연장 부재에 도달했을 때만 이루어져야 한다. 전도성 연장 부재는 제2 통전부(120)의 하단부에 제2 통전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강성이 높은 전도성 소재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통전부(110)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1 통전부(110)의 내부가 비어 있으면,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제1 통전부(110)의 내부로 타고 올라갈 수 있다. 또는, 제1 통전부(110)의 내부로 물이 한번 들어가면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물이 쉽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현상들은 누수 감지 판단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통전부(110)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방수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제1 통전부(110)의 내부에 절연 소재를 채움으로써, 제1 통전부(110)의 내부에서 제2 통전부(120)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통전부(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절연 소재는 탄성을 가지는 가요성 소재로 필요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절연 소재는 절연 유니트(200)가 결합하는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 채워질 수 있다. 즉, 절연 소재는 절연 유니트(200)가 결합되는 위치보다 상부에서 제1 통전부(110)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절연 소재는 제1 통전부(110)의 상부에 국부적으로 채워지며, 제1 통전부(110)의 하부는 비워질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의 하부는 절연 소재를 채우지 않고 비워서 제1 통전부(110) 내부에서 수위 전극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실란트(sealant)는 토목, 건축,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분야에서 부재 상호간 빈틈에 사용되어 기밀, 수밀의 기능 외에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고무상의 물질 또는 연질 혹은 고점도의 액상 절연체인 고무 조성물일 수 있다.
에나멜은 바니시에 안료를 분산시켜 제조한 도료일 수 있다. 에나멜은 각종 금속제품의 도장에 사용될 수 있다. 에나멜은 방수, 절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나멜은 뭉쳐서 제1 통전부(110)의 상부에 채워질 수도 있고, 제1 통전부(110)의 내벽 또는 제2 통전부의 외면의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유니트(200)는 제1 통전부(110)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챔버(20)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210)와, 제1 통전부(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가압부(210)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220)는 가압부(2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 소재는 제1 통전부(110) 내부 중 홀더부(220) 보다 상측에 채워질 수 있다.
절연 유니트(200)는 홀더부(220)와 상기 가압부(210)의 사이에 삽입되며 통전 유니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241)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수단(241)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가요성 탄성 패드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탄성 수단(241)은 절연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소재의 탄성 수단(241)이 사용될 경우 제1 통전부(110) 및 제2 통전부(120)에 동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수단(241)은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변이 되기 때문에 옥외소화전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제품 또는 공차로 인해서 달라지더라도 누수 감지 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탄성 수단(241)이 수축한 길이만큼 탄성 수단(241)은 가압부(210)에 복원력을 전달하고, 가압부(210)는 탄성 수단(241)이 제공한 복원력으로 챔버(20)의 저면을 가압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10)는 외측면에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의 측벽에는 고정 돌기(211)가 삽입되는 가이드 장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장홀(111)은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장홀(111)의 입구 형상에서 장축의 방향은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과 같을 수 있다. 가이드 장홀(111)은 제1 통전부(110)의 측벽을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뚫어서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돌기(211)는 가이드 장홀(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며, 고정 돌기(211)가 슬라이딩되면서 가압부(210)는 제1 통정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움직일 수 있다.
가압부(210)의 재질은 절연체 및 전도체 중 특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가압부(210)의 재질의 통전에 대한 특성은 옥외소화전이 설치된 주변 지형 환경, 옥외소화전의 규격, 옥외소화전의 사용 빈도 등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홀더부(220)는 원판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홀더부(220)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장홀(111)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20)의 돌기는 고정 돌기(211)와 함께 가이드 장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부(220)의 돌기는 가이드 장홀(111)의 상부에 삽입되며, 고정 돌기(211)는 홀더부(220)의 돌기가 삽입된 위치보다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의 측벽에는 가이드 장홀(111)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장홀(111)의 길이방향으로 제1 통전부(1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홀(113)과, 제1 홀(113)의 상단부로부터 가이드 장홀(111)까지 연결되는 제2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1)는 제1 통전부(110)의 하단부에서 가이드 장홀(111)까지 제1 홀(113) 및 상기 제2 홀(11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홀(113)은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이며, 제1 홀(113)의 하단부는 제1 통전부(110)의 하단부일 수 있다. 즉, 제1 홀(113)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1)는 개방된 제1 홀(113)의 하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113)의 상단부는 가이드 장홀(111)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115)은 제1 홀(113)의 상단부로부터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장홀(111)까지 이어지는 장홀일 수 있다. 제2 홀(115)과 가이드 장홀(111)과의 연결 지점은 가이드 장홀(11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가이드 장홀(111)의 중간 지점일 수 있다.
챔버(20)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에는 통전 유니트(100)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41)이 형성될 수 있다. 통전 유니트(100)에는 관통홀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통전 유니트(100)가 통전 유니트(100)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고정 돌기(211)가 제1 홀(113)에서 가이드 장홀(111)으로 유도되는 방향으로 통전 유니트(100)가 회전함으로써 관통홀과 통전 유니트(1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통전 유니트(100)가 가이드 장홀(111)이 제1 홀(113)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통전 유니트(100)와 챔버 천장의 관통홀에 마련되는 나사 산이 맞물려 조여지게 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함으로써, 누수 감지 장치를 회전하여 관통홀과 나사 결합할 때 고정 돌기(211)가 가이드 장홀(111)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이드 장홀(111)에 삽입된 고정 돌기(211)가 가이드 장홀(111)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전 유니트(100)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관통홀과 나사결합이 되도록 통전 유니트(100)를 회전시키면, 통전 유니트(100)는 조여지면서 점점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통전 유니트(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가압부(210)는 제1 통전부(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고정 돌기(211)는 제1 홀(113)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1)가 제1 홀(113)의 상단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 통전부(100)가 계속 조여지게 되면, 고정 돌기(211)는 제2 홀(115)에 의해서 가이드 장홀(111)로 유도되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전 유니트(100)가 더 조여지더라도 통전 유니트(100)의 회전 방향은 가이드 장홀(111)에서 제1 홀(113)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이기 때문에 고정 돌기(211)는 가이드 장홀(111)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가압부(210)는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219)이 형성되고, 중공(219)으로 챔버(2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 구멍(2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21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일 수 있다. 유입 구멍은 가압부(210)의 측벽에 형성된 홀로 챔버(20)의 물이 가압부(210) 내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통전 유니트(100)는 제2 통전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홀더부(220)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2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 핀(230)은 볼트, 못 등의 형상으로 머리 부분에 제2 통전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통전 핀(230)은 전도성 소재로 전기는 통전 핀(230)을 통해 제2 통전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통전 핀(230)은 가압부(210) 내부의 중공(219)까지 연장되며, 유입 구멍(213)으로 유입된 액체에 하단부가 침수될 수 있다. 즉, 통전 핀(230)의 하단부의 위치가 누수 감지의 기준이 되는 수위일 수 있다.
홀더부(220)는 통전 핀(230)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41)이 형성되고, 통전 핀(230)은 홀더부(220)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42)이 형성되며, 홀더부(220)와 통전 핀(230)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220)와 통전 핀(230)은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통전 핀(230)을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면 홀더부(220)를 기준으로 통전 핀(23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의 상부는 챔버(20)의 천장에 고정되고, 제1 통전부(110)에 마련되는 가이드 장홀(111)의 상단부에 홀더부(220)가 고정되기 때문에, 통전 핀(230)을 회전시킴으로써, 통전 핀(230)의 하단부에서 챔버(20) 천장까지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통전 핀(230)을 회전시킴으로써, 통전 핀(230)의 하단부를 누수 감지의 기준의 되는 수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홀더부(22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제작되며, 제1 통전부(110), 제2 통전부(120), 통전 핀(230)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통전부(110)는 접지 전극이며, 제2 통전부(120) 및 통전 핀(230)은 수위 전극이기 때문에 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며, 홀더부(220)는 제1 통전부(110)에 고정되어 통전 핀(2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제1 통전부(110)와 통전 핀(230) 사이의 물을 통한 통전을 제외한 통전을 막기 위해서 절연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유입 구멍(213)의 측벽 중 챔버(20)의 저면과 대면하는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유입 구멍(213)은 가압부(210)의 하단부 중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소화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옥외소화전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219)을 형성하고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110)와, 상기 제1 통전부(110) 내부에서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120)와, 상기 제1 통전부(110)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옥외소화전내측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210)와, 상기 제1 통전부(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210)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220)와, 상기 홀더부(220)와 상기 가압부(210)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통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2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는 상기 가압부(210)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219)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210)에는 상기 중공(219)으로 상기 옥외소화전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 구멍(21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통전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220)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전 핀(230)은 상기 가압부(210) 내부의 중공(219)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 구멍(213)으로 유입된 상기 물에 하단부가 침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챔버 21...밸브
23...샤프트 25...배수구
30...단자 박스 31...케이블
41...암 나사 산 42...수 나사 산
100...통전 유니트 110...제1 통전부
111...가이드 장홀 113...제1 홀
115...제2 홀 120...제2 통전부
200...절연 유니트 210...가압부
211...고정 돌기 213...유입 구멍
219...중공 220...홀더부
230...통전 핀 241...탄성 수단
23...샤프트 25...배수구
30...단자 박스 31...케이블
41...암 나사 산 42...수 나사 산
100...통전 유니트 110...제1 통전부
111...가이드 장홀 113...제1 홀
115...제2 홀 120...제2 통전부
200...절연 유니트 210...가압부
211...고정 돌기 213...유입 구멍
219...중공 220...홀더부
230...통전 핀 241...탄성 수단
Claims (17)
- 챔버의 천장에 마련되는 관통홀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전 유니트;
상기 통전 유니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에 접촉하는 절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 유니트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챔버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 유니트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통전 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는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이고,
상기 제1 통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통전부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소재가 채워지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소재는 실란트 또는 에나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부는 상기 제2 통전부보다 상기 챔버의 하부로 더 연장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전부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장홀은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부의 측벽에는,
상기 가이드 장홀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이드 장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장홀까지 연결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장홀까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통전 유니트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 유니트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통전 유니트가 상기 통전 유니트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제1 홀에서 상기 가이드 장홀으로 유도되는 방향으로 상기 통전 유니트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전 유니트는 나사 결합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으로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유니트는 상기 제2 통전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 구멍으로 유입된 상기 액체에 하단부가 침수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통전 핀과 대면하는 접촉 면에 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홀더부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수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와 상기 통전 핀은 나사 결합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통전부, 제2 통전부, 통전 핀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구멍의 측벽 중 상기 챔버의 저면과 대면하는 부분은 개방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옥외소화전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통전부;
상기 제1 통전부 내부에서 상기 옥외소화전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통전부;
상기 제1 통전부의 하단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옥외소화전 내측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가압부;
상기 제1 통전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상부면과 대면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통전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중공으로 상기 옥외소화전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통전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통전 핀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 핀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 구멍으로 유입된 상기 물에 하단부가 침수되는 것인 누수 감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970A KR102111214B1 (ko) | 2018-11-13 | 2018-11-13 | 누수 감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8970A KR102111214B1 (ko) | 2018-11-13 | 2018-11-13 | 누수 감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1214B1 true KR102111214B1 (ko) | 2020-05-14 |
Family
ID=7073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8970A KR102111214B1 (ko) | 2018-11-13 | 2018-11-13 | 누수 감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121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73947Y (zh) * | 1993-11-11 | 1994-08-10 | 刘义胜 | 无臂式油量测量器 |
US20020148294A1 (en) * | 1999-09-07 | 2002-10-17 | Anthony Bond | Deployment of equipment into fluid containers and conduits |
US20140084944A1 (en) * | 2012-09-25 | 2014-03-27 | Vega Grieshaber Kg | Coaxial probe comprising terminating resistor |
KR101401356B1 (ko) | 2014-01-03 | 2014-06-13 | 지귀봉 | 수위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
US20170216645A1 (en) * | 2013-05-21 | 2017-08-03 | Silversmith, Inc. | Hydr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2018
- 2018-11-13 KR KR1020180138970A patent/KR1021112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73947Y (zh) * | 1993-11-11 | 1994-08-10 | 刘义胜 | 无臂式油量测量器 |
US20020148294A1 (en) * | 1999-09-07 | 2002-10-17 | Anthony Bond | Deployment of equipment into fluid containers and conduits |
US20140084944A1 (en) * | 2012-09-25 | 2014-03-27 | Vega Grieshaber Kg | Coaxial probe comprising terminating resistor |
US20170216645A1 (en) * | 2013-05-21 | 2017-08-03 | Silversmith, Inc. | Hydr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KR101401356B1 (ko) | 2014-01-03 | 2014-06-13 | 지귀봉 | 수위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37448C (en) | Overflow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 |
US8641384B2 (en) | Solid state sump pump control | |
US5147980A (en) | Swimming pool flush mount junction box | |
US4692563A (en) | Cable gland embodying moisture-proof seal | |
EP1381117A3 (en) | Subsea connector | |
KR102231161B1 (ko) |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 |
KR101116185B1 (ko)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 |
JPS645195B2 (ko) | ||
KR100660649B1 (ko) |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 |
KR102111214B1 (ko) | 누수 감지 장치 | |
RU45207U1 (ru) | Вводы кабельные (варианты) | |
KR20200066678A (ko) | 압력센서 | |
JP5760598B2 (ja) | 地下埋設型制御盤 | |
KR20070117382A (ko) |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 |
KR101673170B1 (ko) |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 |
KR101625113B1 (ko) |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 |
KR100629894B1 (ko) |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 |
KR200412983Y1 (ko) |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 |
KR100846618B1 (ko) |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 |
KR102091183B1 (ko) |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 |
CA3025157A1 (en) | Terminal block and stud for transitionn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wo distinct areas | |
US6185994B1 (en) | Oil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oil level in the oil tank of a vehicle | |
KR20160027659A (ko) | 방폭용 종단접속함 | |
KR101996303B1 (ko) |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 |
KR101529114B1 (ko) | 전위측정 스마트 단자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