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88U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88U
KR20180002088U KR2020160007645U KR20160007645U KR20180002088U KR 20180002088 U KR20180002088 U KR 20180002088U KR 2020160007645 U KR2020160007645 U KR 2020160007645U KR 20160007645 U KR20160007645 U KR 20160007645U KR 20180002088 U KR20180002088 U KR 201800020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upling body
knob housing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88Y1 (ko
Inventor
박삼훈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8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가 안착되는 노브 하우징과, 운전자가 파지 가능하고 상기 결합체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노브;를 구비하되, 상기 노브 하우징은,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결합체가 상기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개방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유격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 {Automotive transmission}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및 유격이 줄어든 노브 하우징을 가진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 범위 내의 rpm을 갖는 엔진을 이용해 저속부터 고속에 이르는 차량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rpm에 기어비를 변화시키며 구동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변속 장치를 장착한다. 또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엔진의 출력을 역으로 전달하여 차량을 후진하게 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노브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자동 변속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수동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 장치이고, 자동 변속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운전자는 노브를 이용하여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노브의 대표적인종류로는 조이스틱 타입과 로터리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
일반적인 조이스틱 타입의 변속 장치는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이 일렬 배치되고 조이스틱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이스틱 타입의 변속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 레버의 상단에 위치해서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 및 기타 전자식 변속 장치에 필요한 와이어,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운전자는 노브 하우징을 파지하고 힘을 가해 레버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각 변속단을 선택한다.
이러한 노브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2개의 대칭된 부품으로 구성되어, 레버의 양 측면에서 레버를 감싸며 서로 결합됨으로써 그 사이에 레버를 협지하여 레버와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좌우로 분리된 2개의 부품을 사용하는 노브 하우징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있다. 완벽하게 대칭되는 2개의 부품을 생산하기 어려워 조립시 완전한 하나의 노브 하우징을 만들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동종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시 비틀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레버를 하우징이 협지하여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레버와 하우징 사이의 유격이 발생해 운전자가 조작시 유격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 및 유격이 감소된 노브 하우징을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와 결합되고, 운전자가 파지 가능한 노브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는, 상기 레버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체; 및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결합체가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이 개방된 노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의 일단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은,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상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슬롯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결합체를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잇는 배선 중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의 상면에는, 제1 커넥터가 안착되며, 상기 배선 중공의 내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상기 노브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의 개방된 개방면 중 상기 레버로부터 먼 개방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상기 노브 하우징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결합체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공동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동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레버의 일단의 외관과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져, 상기 레버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레버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레버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단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결합체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레버의 일단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일체로 형성된 노브 하우징 및 결합체가 레버와 결합함으로써 소음 및 유격이 감소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노브 하우징과 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레버와 결합된 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에 결합체,제1 커넥터 및 버튼이 결합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결합체와 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레버(20), 레버(20)에 결합된 소켓(50), 레버의 일단(21)에서 결합된 노브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노브는 노브 하우징(10)과 커버(40)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버튼(70), 차량용 변속 장치(1)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60)을 확인할 수 있다.
운전자는 노브를 파지하고, 파지한 노브에 대해 힘을 가해 노브에 연결된 레버(20)를 움직인다. 레버(20)에 접촉하는 스위치나 레버(20)에 인접하게 위치한 센서 또는 레버(20)에 연결된 기계적인 구성을 통해 레버(20)의 움직임이 변속단을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레버(20), 소켓(50), 노브 하우징(10), 결합체(30), 케이블(60), 버튼(70) 및 커버(4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레버(20)는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뼈대가 되는 구성요소로, 노브에 작용된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 하거나 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을 제어한다.
레버(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 끝단을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20)가 연장된 방향을 레버(20)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레버의 일단(21)은 후술할 결합체(3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소켓(50)을 관통하며, 타단은 스위치에 접하는 등의 방식으로 변속단을 제어하도록 움직인다. 레버(20)의 외관은 소켓(50) 및 결합체(30)에 원활히 삽입되고 잘 결합되도록 요철이 형성된 형태로 도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레버(20)의 외관 형상은 도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켓(50)은 레버(20)가 관통하는 구성요소로, 중심에 레버(2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소켓 중공(52)을 포함하여 레버(20)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소켓(50)은 판형으로 구성된 플랜지부(51)를 포함하여 레버의 일단(21)과 타단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결합체(30) 및 레버(20)가 보다 잘 결합되도록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블(60)이 레버(20)와 인접하게 연장되어 내려오도록 케이블(60)의 일부 영역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10, 30, 40)의 외관은 노브 하우징(10)과 커버(40)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노브 하우징(10)과 커버(4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결합체(30)가 수용 및 결합됨으로써 노브(10, 30, 40)가 완성된다. 노브(10, 30, 40)의 역할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레버(20)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파지하기 원활한 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노브 하우징(10)은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10, 30, 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노브(10, 30, 40)의 하측에 위치해서 상측에 위치한 커버(40)와 결합되어 노브의 외관을 이룬다. 외측면에 버튼 안착부(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방 개방면(15)과 하방 개방면(16)을 형성한다. 즉, 커버(40)는 상방 개방면(15)을 덮는 것이다.
노브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리브(13)가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을 따라 형성된다.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은 결합체 외측면(32)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체(30)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노브 하우징(10)의 자세한 구조 및 노브 하우징(10)과 결합체(3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8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결합체(30)는 노브 하우징(10) 내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 하방으로부터 레버의 일단(21)과 결합되어 레버(20)를 노브에 대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체(30)의 외관은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의 구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체(30)를 노브 하우징(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그 밖에 결합체(30)에는 배선 중공(36), 버튼 결합부(38), 레버 중공(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30)는 노브 하우징(10)과 동종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체(3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커버(40)는 노브 하우징(10)의 상면인 상방 개방면(15)을 덮는 구성요소로, 노브 하우징(10)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의 하면을 가져, 결합시 요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40)의 외관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에게 좋은 그립(grip)감을 줄 수 있고, 내면은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과 함께 노브 내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결합체 상면(31)과의 사이에서 제1 커넥터(73) 등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1 및 도 2에서는 커버(40)를 노브 하우징(10)의 상면에 씌움으로써 노브(10, 30, 40)가 완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실제 운전자에게 제공될 때에는 노브(10, 30, 40)의 외관 전체 또는 커버(40)의 외관에 가죽, 인공 피혁 등의 소재를 덧대거나 덮어 운전자에게 제공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60)은 차량용 변속 장치(1)에 사용되는 버튼(70) 또는 기타 전력이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노브(10, 30, 40) 내 공간으로 전력 및 전기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전선과, 케이블(60) 일단에 형성된 제2 커넥터(61)로 구성되어 후술할 버튼(70) 및 제1 커넥터(7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70)은 차량용 변속 장치(1)에서 단순히 레버(20) 조작만으로 얻을 수 없는 제어를 위해 부가적으로 존재하는 구성요소로, 레버(20) 락(lock) 해제 기능, 주차단에서 잠긴 레버(20)를 타 변속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프트 락 릴리즈(shift lock release) 등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존재하나 그 기능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버튼(70)이 운전자에 의해 힘을 받아 푸시(push)되어 전기적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그 동작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튼(70)은 노브 하우징(10)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촉부(71), 접촉부(71)를 지지하는 버튼 지지부(72) 및 결합체 상면(31)에 안착되고 접촉부(71)와 연결된 제1 커넥터(73)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구성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노브(10, 30, 40) 내의 공간에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가 안착 및 연결되어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노브 하우징(10) 및 커버(40)만이 조립되지 않은 경우의 모습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과 커버(40)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노브 하우징(10)과 커버(40)를 제거하면, 노브(10, 30, 40)에는 결합체(30)만이 남는다. 결합체(30)의 상면에는 버튼(70)이 위치하고, 결합체 상면(31)에 형성된 배선 중공(36)을 통해 노브(10, 30, 40) 내부의 공간으로 들어와있는 케이블(60)의 제2 커넥터(61)가 버튼(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케이블(60)의 제2 커넥터(6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은 제1 커넥터(73)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서는 케이블(60)의 제2 커넥터(61)가 제1 커넥터(73)가 아닌 다른 위치에 연결된 상황을 도시하였다.
일단이 노브(10, 30, 40) 내부의 공간으로 진입한 케이블(60)은, 타단이 소켓(50)을 거쳐 레버(20) 타단을 향해 내려온다. 따라서 케이블(60)의 타단은 차량용 변속 장치(1) 아래 공간에 위치한 전력원 또는 제어 장치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켓(50)은 결합체(30)와 레버(20)의 사이에 위치해서, 레버(20)와 결합체(30)가 더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60)이 차량용 변속 장치(1)로부터 무질서하게 이탈되지 않고 차량용 변속 장치(1)의 하측 공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레버(20)와 결합된 결합체(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버 중공(35)과 버튼 결합부(38)가 결합체 상면(31)에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38)는 결합체 상면(31)에 안착되는 버튼(70)이 노브(10, 30, 40) 내 공간에서 무질서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버튼(70)과 서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버튼 결합부(38)를 오목하게 파인 통공으로 표현하였으나, 반대로 돌기나 후크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스냅핏(snapfi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레버 중공(35)은 레버(20)가 삽입되도록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결합체(30)의 상하면을 잇는 구성요소로, 내측면이 레버의 일단(21)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20)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고, 레버(20)를 결합체(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레버 중공(35)은 레버(20)가 삽입되는 결합체(30)의 하면에서는 레버(20)가 삽입될 수 있게 레버(20)의 직경과 같거나 미세하게 더 크도록 형성되나, 결합체(30)의 상면에서는 레버(2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레버(20)가 레버 중공(35)을 완전히 통과하지는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0)는 레버 중공(35)에 삽입되다가 결합체 상면(31)에 도달하지 못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규제된다.
그러나 레버 중공(35)은 결합체 상면(31)에서 레버(20)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나 여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개구를 통해 결합체 상면(31)으로부터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레버(20)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의 머리는 레버 중공(35)에 비해서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레버(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노브(10, 30, 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체결 부재가 레버(20)에 체결될 때, 체결 부재의 머리가 결합체 상면(31)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체(30)와 레버(20)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로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레버의 일단(21)에는 볼트의 수나사산에 상응하는 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러나 체결 부재의 종류 및 체결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10, 30, 40)에 사용되는 결합체(3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30)의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에 사용되는 결합체(30)는, 전체적으로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버의 일단(21)과 결합되는 위치로 향하면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결합체(30)가 노브 하우징(10) 내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자세한 삽입 및 결합 과정에 대해서는 노브 하우징(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결합체(30)는 결합체 상면(31)에 상술한 레버 중공(35), 버튼 결합부(38) 및 배선 중공(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체 외측면(32)에는 결합체 상면(31)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복수의 공동(34) 및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33)이 구비된다.
복수의 공동(34)은 결합체 외측면(32)을 따라 결합체 외측면(32)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동(34)은 결합체 상면(31)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동(34)이 나란하게 4개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형태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동(34)은 노브 하우징(1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어서 노브 하우징(10)과 결합체(30)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가 아니나, 결합체(30)에 빈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결합체(30) 전체의 무게를 줄여 노브(10, 30, 40)의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33)은 결합체 외측면(32)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파여 형성된다. 그러나 결합체 외측면(32)을 전부 관통하지 않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같이 결합체 상면(31)에 다다르기 전 까지만 슬라이딩 슬롯(33)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체 외측면(32)이 정확히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지는 않고 테이퍼 구조를 가지므로, 슬라이딩 슬롯(33) 역시 이러한 결합체 외측면(32)의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슬롯(33)이 결합체 외측면(32)을 따라 각 면당 2개씩 총 8개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노브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리브(13)의 개수 및 위치에 상응되도록 조절된다.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33)은 후술할 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리브(1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치 역시 서로 상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결합체(30)가 노브 하우징(10) 내로 삽입될 때 슬라이딩 슬롯(33) 내로 슬라이딩 리브(13)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결합체(30)와 노브 하우징(10)이 보다 잘 결합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리브(13)의 형상에 대해서는 노브 하우징(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저면도인 도 6과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레버 중공(35)은 결합체(30)에서 레버(20)가 삽입되는 방향이자 레버(20)의 길이 방향인 일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레버(20)가 삽입되는 위치인 하면에서는 레버(20)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됨을 도 6의 저면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레버(20)의 이동이 규제되어 레버(20)가 레버 중공(35)을 관통할 수 없는 위치인 결합체 상면(31)에서는 레버 중공(35)의 직경이 레버(20)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됨을 평면도인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레버 중공(35)의 내측면은 레버(20) 일단의 외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0)가 레버 중공(35)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체(30)와 레버(20)가 서로 불필요한 유격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배선 중공(36)은 레버 중공(35)과 유사하게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어, 케이블(60)이 지나가도록 할 수 있는 통로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케이블(60) 일단의 제1 커넥터(73)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고, 결합체 상면(3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는 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하였으나, 배선 중공(36)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체(30)의 하면에서 배선 중공(36)으로부터 이어진 통로가 전방으로도 일부 개방(37)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역시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노브 하우징(10)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노브 하우징(10)은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면인상방 개방면(15)이 개방되고,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하면인 하방 개방면(16) 역시 개방된 일체형의 구성요소이다. 즉, 노브 하우징(10)이 포함하는 면 중 레버(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브 하우징(10)이 관통되어, 복수의 개방면(15, 16)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브 하우징(10)은 일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구를 통해 이어진 터널 또는 통로와 같은 구조가 된다. 또한 통로형의 형상으로 인해 일체로 사출될 수 있으며, 금형을 만들고 가공하기에도 유리하다.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은 결합체 외측면(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체(30)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체(30)가 일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 역시 레버(20)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방 개방면(15)으로부터 하방 개방면(!6)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이 이루는 내부 공간과 결합체(30)가 테이퍼 형상을 가져 쐐기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노브 하우징(10)의 상방 개방면(15)을 통해 결합체(30)의 하면이 하방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될 경우 결합체(30)는, 결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하더라도 노브 하우징(10)의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하방으로 갈수록 노브 하우징(10)의 폭이 좁아져 상방 개방면(15)에 비해 하방 개방면(16)의 넓이가 작도록 형성되므로, 이보다 폭이 더 큰 결합체(30)의 일부분이 상방 개방면(15)을 통과할 수는 있어도 하방 개방면(16)을 통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노브 하우징(10)에 결합체(30)가 결합되고, 결합체(30)에 형성된 레버 중공(35)을 통해 레버(2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결합된 레버(20)에 대해 체결 부재가 결합체 상면(31)으로부터 체결될 수 있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노브(10, 30, 40)와 레버(20)가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은 레버(20)와 결합된 결합체(30) 및 결합체(30)에 씌우는 일체형의 노브 하우징(10)으로 구성된 노브(10, 30, 40)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 개로 분리된 동일 재질의 하우징을 로드와 결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소음이 줄어들고, 유격이 줄어들게 된다.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에는 슬라이딩 리브(13)가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딩 리브(13)는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에서 내측으로 일부 돌출된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형성된다.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으로 결합체(30)가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리브(13)가 결합체(30)의 슬라이딩 슬롯(33)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되고, 노브 하우징(10)과 결합체(30)가 보다 단단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이 정확히 레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지는 않고 테이퍼 구조를 가지므로, 슬라이딩 리브(13) 역시 이러한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의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슬라이딩 리브(13)의 형상과 위치 및 개수는 결합체(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33)의 형상과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체(30)에 형성된 슬라이딩 리브(13)가 각 면마다 2개씩 총 8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므로, 노브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슬롯(33) 역시 각 면마다 2개씩 총 8개가 형성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슬롯(33) 및 슬라이딩 리브(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12) 역시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11)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노브 하우징(10)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표현하였다. 그러나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정한 두께를 이루지 못하더라도 운전자에게 개선된 그립감을 제공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12)과 내측면(11)을 관통하는 버튼 안착부(14)가 노브 하우징(1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안착부(14)에는 본 고안의 버튼(70)이 안착되어 운전자가 버튼(70)을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노브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70)을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노브 내 공간에서 결합체 상면(31)에 안착된 제1 커넥터(73)로 신호가 전달되고, 제1 커넥터(73)는 케이블(60)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전달한다. 본 고안에서는 노브 하우징(10)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에 버튼 안착부(14)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합체 상면(31)에 안착된 버튼(70)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노브 하우징(10)과 결합체(30)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노브 내부의 공간 및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노브 하우징(10)에 결합체(30), 버튼(70)이 결합되고 커버(40)가 덮히지 않은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노브 하우징(10) 내부로 결합체(3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체 상면(31)에 버튼(70)이 안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70)을 구성하는 제1 커넥터(73)는 결합체 상면(31)에 안착됨과 동시에 결합체 상면(31)에 형성된 버튼 결합부(38)에 체결구(75)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73)는 버튼 결합부(38)에 체결되기 위한 결합 플랜지(7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결합 플랜지(74)는 체결구(75)가 통과해 결합 플랜지(74)와 버튼 결합부(38)를 연결하기 위한 태핑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 내부의 공간에서 버튼(70)이 고정되지 못하고 무질서하게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버튼 결합부(38)와 결합 플랜지(74)에 체결구(75)를 이용하여 체결을 함으로써, 결합체 상면(31)에 버튼(70)의 구성요소들이 고정된다.
제1 커넥터(73)는 접촉부(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선 중공(36)을 통과하여 노브 내부공간으로 진입한 케이블(60)의 제2 커넥터(61)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부(71)에서 발생한 신호를 케이블(60)로 전달한다.
도 1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결합체(80)와 커버(41)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80)의 결합체 상면(8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커버 결합부(87)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제1 커버 결합부(87)는 커버(41)를 노브 하우징 및 결합체(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커버(41) 상에서 제1 커버 결합부(87)의 위치에 상응하는 개소에 형성된 제2 커버 결합부(42)와 서로 결합되어 서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커버 결합부(87) 및 제2 커버 결합부(4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배선 중공(86)의 양 옆에 제1 커버 결합부(87)가 배치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그 위치 역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커버 결합부(87)와 제2 커버 결합부(42)는 노브 조립을 위해 결합체(80)와 커버(41)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결합부(87)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커버 결합부(42)가 내부로 파인 개구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커버 결합부(87)가 제2 커버 결합부(42) 내로 삽입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며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 결합부(87)가 그 말단에 단차진 걸림부(88)가 형성된 스냅핏(snapfit)으로, 제2 커버 결합부(42)가 상기 스냅핏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스냅핏 결합부로 형성되어, 서로 스냅핏 결합 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1 커버 결합부(87) 및 제2 커버 결합부(4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용 변속 장치 10 : 노브 하우징
11 :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 12 :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
13 : 슬라이딩 리브 14 : 버튼 안착부
15 : 상방 개방면 16 : 하방 개방면
20 : 레버 21 : 레버의 일단
30, 80 : 결합체 31, 81 : 결합체 상면
32 : 결합체 외측면 33 : 슬라이딩 슬롯
34 : 공동 35 : 레버 중공
36, 86 : 배선 중공 37 : 결합체 전방 개방면
38 : 버튼 결합부 40, 41 : 커버
42 : 제2 커버 결합부 50 : 소켓
51 : 플랜지부 52 : 소켓 중공
60 : 케이블 61 : 제2 커넥터
70 : 버튼 71 : 접촉부
72 : 버튼 지지부 73 : 제1 커넥터
74 : 결합 플랜지 75 : 체결구
87 : 제1 커버 결합부 88 : 걸림부

Claims (13)

  1.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가 안착되는 노브 하우징과, 운전자가 파지 가능하고 상기 결합체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노브;를 구비하되,
    상기 노브 하우징은,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결합체가 상기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개방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의 일단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은,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상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결합체를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잇는 배선 중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의 상면에는, 제1 커넥터가 안착되며,
    상기 배선 중공의 내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상면에는 버튼 결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 결합부에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와 상기 노브 하우징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상면에는 제1 커버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 커버 결합부와 상응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커버 결합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결합부와 상기 제2 커버 결합부는 스냅핏(snapfit) 결합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레버의 일단의 외관과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져, 상기 레버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레버 중공을 구비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레버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일단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결합체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레버의 일단은 나사결합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0160007645U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49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45U KR200493788Y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45U KR200493788Y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88U true KR20180002088U (ko) 2018-07-09
KR200493788Y1 KR200493788Y1 (ko) 2021-06-04

Family

ID=6290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645U KR200493788Y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8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109A (ja) * 1998-07-01 2000-01-1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変速機用操作レバー装置
KR200395734Y1 (ko) * 2005-06-21 2005-09-13 에스엘 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JP2016000566A (ja) * 2014-06-11 2016-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ノブ構造
KR20160002224U (ko) * 2014-12-18 2016-06-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레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109A (ja) * 1998-07-01 2000-01-1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変速機用操作レバー装置
KR200395734Y1 (ko) * 2005-06-21 2005-09-13 에스엘 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JP2016000566A (ja) * 2014-06-11 2016-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ノブ構造
KR20160002224U (ko) * 2014-12-18 2016-06-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88Y1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678Y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4873884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hift lever for transmission
JP5208942B2 (ja) 車両シート、特に自動車用シートのアクチュエーター
US9631718B1 (en) Shift lever for vehicle
CN110139967A (zh) 用于机动车的锁闭设备
US20090263998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2584386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WO2015076248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180002088U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5685405A (en) Mechanical shift lock apparatus, and lock mechanism and wire structure for mechanical shift lock
EP4403784A2 (en) Vehicle inside handle device
JP2003014588A (ja) 車両自動運転装置
JP4472090B2 (ja) ケーブル固定具、ケーブル固定具を備えた自転車及びケーブル固定具を用いた固定方法
JP4313642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及びシフトレバー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430631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568819B1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KR100532045B1 (ko) 자동차용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스위치캡 조립구조
JPH0541128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ツト
KR100360211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기커버의 결합구조
CN216110203U (zh) 箱锁系统及可变更连接方式的联接器
JPS6231153B2 (ko)
KR200227357Y1 (ko) 변속 레버
KR100909956B1 (ko) 케이블을 중립위치에 조정하는 장치
JP2017171069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及び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の組付方法
KR100559723B1 (ko) 시프트 락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