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06U -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 Google Patents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06U
KR20180002006U KR2020180002049U KR20180002049U KR20180002006U KR 20180002006 U KR20180002006 U KR 20180002006U KR 2020180002049 U KR2020180002049 U KR 2020180002049U KR 20180002049 U KR20180002049 U KR 20180002049U KR 20180002006 U KR20180002006 U KR 201800020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side units
motor
width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294Y1 (ko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피싱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싱코리아(주) filed Critical 피싱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80002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9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63B273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탑승 구간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이동성이 향상되도록 한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에 관한 것이다.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측면 유닛(11a, 11b);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을 연결하여 선수(bow)를 형성하는 전면 유닛(12); 측면 유닛(11a, 11b)의 다른 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트랜섬(transom)(13); 및 바닥 면(14)으로 이루어지는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는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에서 선수에 이르는 길이는 바닥 면(14)의 폭의 6.0 내지 6.8 배가 되고,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은 바닥 면(14)의 폭의 0.75 내지 0.83 배가 되고, 전면 유닛(12)의 튜브 직경은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에 비하여 크다.

Description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A Boat Driven a Motor with a Straight Shape}
본 고안은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탑승 구간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이동성이 향상되도록 한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트는 갑판이 없는 소형 배를 의미하고 모터 또는 노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이 된다. 보트는 레저용, 구명용 또는 소형 어선 대용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동력 수단에 따라 단거리 항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공기를 주입시켜 수면 위로 유지시키면서 모터의 추진력에 의하여 이동이 되므로 수면과 적절한 마찰 저항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수면의 변화 또는 파도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모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80169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선수부와 선미부, 그리고 용골선을 구비한 용골 및 선측부와 바깥쪽 바닥부가 각각 형성되어 고속주행을 하도록 형성된 보트 선체에 있어서, 상기 용골 및 선측부와 맞닿는 부분에 소정이 기울기를 갖는 선수 쪽 바닥선 및 선미 쪽 바닥선이 형성되고, 상기 선측부와 바깥쪽 바닥부와 맞닿는 부분에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바깥쪽 바닥선이 형성되어 수면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보트 선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보트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1-0136159호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요홈 형상의 중앙부와, 보트의 겉모양에 다른 외각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튜브는 상기 외피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튜브와, 상기 외각 프레임에 삽입되며, 보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두 개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튜브는 각기 독립된 것으로 보트의 선수와 선미를 잇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각기 좌측과 우측을 채우고 있으며, 상기 외피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튜브를 제외하고 선수부와 선미부 모두에서 서로 면접하게 배치하게 되는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보트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0-0045491호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 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 가능한 항해 요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물과 고물 사이를 축 방향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체부를 가지며 상기 선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선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선체부 뿐만 아니라 상기 선체부의 구조적 수면 위에 있는 돛대 및 상기 선체부의 구조적 수면 아래에 제공된 용골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돛대-용골 조합부를 가지며, 상기 돛대와 상기 용골은 견고하고 직접적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는 상기 선체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분절되게 접속되는 항해 배 특히 항해 요트로 상기 돛대와 상기 용골은 각각 상기 제1 선체부에 견고하게 접속되고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를 달고 있는 상기 제1 선체부는 상기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를 달고 있지 않은 상기 제2 선체부에 상기 이물-고물 축의 둘레에서 추축각 만큼 분절되게 접속되는 항해 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트는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탑승 공간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모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80169호(주식회사 드림보트, 2002년03월19일 공개) 레져용 보트의 선체구조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2011-0136159호(주식회사 우성아이비, 2011년12월21일 공개)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 선행기술 3: 특허공개번호 제2010-0045491호(벤츠, 게르하르트, 2010년05월03일 공개)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 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 가능한 항해 요트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선형 구조로 만들어지고 이와 동시에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측면 유닛; 측면 유닛의 한쪽 끝을 연결하여 선수(bow)를 형성하는 전면 유닛; 측면 유닛의 다른 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트랜섬(transom); 및 바닥 면으로 이루어지는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는 측면 유닛의 한쪽 끝에서 선수에 이르는 길이는 바닥 면의 폭의 6.0 내지 6.8 배가 되고, 측면 유닛의 튜브 직경은 바닥 면의 폭의 0.75 내지 0.83 배가 되고, 전면 유닛의 튜브 직경은 측면 유닛의 튜브 직경에 비하여 크다.
본 고안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면 유닛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감소 패드를 더 포함하고, 마찰 감소 패드에 측면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유도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면 유닛에 형성되는 좌석 고정 슬라이더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는 탑승 편의성이 보장되면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는 선체의 길이를 폭에 따라 결정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 과정에서 선수가 적절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바닥 면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성이 확보되면서 탑승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접촉 바닥 면의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트에 적용되는 마찰 감소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트에 적용 가능한 부가적인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고안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10)는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측면 유닛(11a, 11b);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을 연결하여 선수(bow)를 형성하는 전면 유닛(12); 측면 유닛(11a, 11b)의 다른 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트랜섬(transom)(13); 및 바닥 면(14)으로 이루어지는 보트에 있어서,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에서 선수에 이르는 길이는 바닥 면(14)의 폭의 6.0 내지 6.8 배가 되고,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은 바닥 면(14)의 폭의 0.75 내지 0.83 배가 되고, 전면 유닛(12)의 튜브 직경은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에 비하여 크다.
본 고안 따른 보트(10)는 공기 주입 방식의 임의의 보트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저용, 낚시용, 근거리 항해용 또는 구조용 보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트(10)에 공기가 주입되면, 물에서 운행 가능한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고, 공기가 배출되면 접을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보트(10)는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해서 운행되거나 노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섬(transom)에 모터를 가진 프로펠러 유닛이 장착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프로펠러 유닛이 작동되어 보트(10)가 이동될 수 있다. 또는 가까운 거리의 이동을 위하여 노가 사용될 수 있다. 보트(10)는 2 내지 6인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은 내부에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유닛(11a, 11b)이 선형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이 서로 연결되어 선수(bow)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선수는 전면 유닛(12)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측면 유닛(11a, 11b)이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곡면 형상이 되는 부분이 전면 유닛(12)이 될 수 있다. 전면 유닛(12)은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선수를 형성한다. 전면 유닛(12)은 예를 들어 측면 유닛(11a, 11b)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측면 유닛(11a, 11b)의 직경에 비하여 1.2 내지 1.8 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면 유닛(12)은 위쪽으로 꺾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선수가 되는 부분은 측면 유닛(11a, 11b)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직선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유닛(12)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안쪽 및 위쪽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이후 선수를 형성하는 끝 부분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서로 만날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은 선미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고, 직경이 동일하거나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경우 선형의 측면 유닛(11a, 11b)의 가장 큰 직경이 가장 작은 직경의 6/5 내지 16/15가 될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의 뒤쪽은 트랜섬(1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측면 유닛(11a, 11b)의 아래쪽에 바닥 면(14)이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면(14)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 면(14)의 길이 또는 폭과 측면 유닛(11a, 11b)의 폭 또는 길이는 보트(10)의 주행 성능, 탑승 편의성 또는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탑승 편의성을 위하여 바닥 유닛(14)의 폭 또는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측면 유닛(11a, 11b)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보트(10)의 안정성을 위한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에서 선수에 이르는 길이는 바닥 면(14)의 폭의 6.0 내지 6.8 배가 되고,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은 바닥 면(14)의 폭의 0.75 내지 0.83 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보트(10)의 전체 균형을 위하여 전면 유닛(12)의 튜브 직경은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에 비하여 큰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바닥 면(14)의 폭이 제시된 값에 비하여 작을 경우 편의성이 감소될 수 있고, 제시된 값에 비하여 크게 되면 이동성이 작아지면서 탑승 안전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튜브 직경이 제시된 값에 비하여 작은 경우 바닥 면(14)의 폭에 비하여 높이가 감소되면서 부력이 약해진다. 이로 인하여 측면 높이가 낮아지면서 물에 대한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행 과정에서 앞쪽 방향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측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튜브 직경이 제시된 값에 비하여 큰 경우 보트(10)가 물에 잠기는 부분이 작아지면 주행 안전성이 감소된다는 단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트(10)에 2 내지 6인, 바람직하게 3 내지 4인이 탑승하는 경우 제시된 규격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보트(10)의 경우, 탑승 편의성이 확보되면서 이동성 및 주행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보트(10)가 제시된 규격을 가지는 경우 전면 유닛(12)의 튜브 직경이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의 최대 크기에 비하여 큰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하게 전면 유닛(12)의 최대 직경은 측면 유닛(11a, 11b)의 최대 직경에 비하여 1.2 내지 1.8 배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전면 유닛(12)의 직경은 보트(10)에 3 내지 4인이 탑승되어 이동되는 경우 보트(10)의 전체 길이의 1/6 내지 1/3이 잠기는 것이 유리하고, 이를 기초로 측면 유닛(11a, 11b)에 대한 전면 유닛(12)의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10)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탑승 안전 또는 편의를 위한 다양한 부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의 위쪽 부분에 방지 막(15)이 배치될 수 있고, 안전 줄(15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수에 취급 손잡이(16)가 배치될 수 있고, 측면 유닛(11a, 11b)에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가 배치될 수 있다.
방지 막(15)은 측면 유닛(11a, 11b)을 따라 물이 보트(10) 내부로 넘어 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방지 막(15)은 측면 유닛(11a, 11b)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차단 벽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방지 막(15)을 따라 안전 줄(151)이 배치될 수 있고, 안전 줄(151)은 구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측면 유닛(11a, 11b)에 적어도 한 쌍의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가 배치될 수 있다.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는 측면 유닛(11a, 11b)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좌석 플레이트의 양쪽 끝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의 연장 길이는 사각 플레이트의 한쪽 변에 비하여 충분히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좌석 플레이트는 고정 슬라이더(17a, 17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다. 두 쌍 또는 그 이상의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가 측면 유닛(11a, 11b)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10)는 위에서 설명된 규격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향상된 탑승 편의성, 이동성 및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바닥 면(14)의 아래쪽 부분에 이동성 향상을 위한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접촉 바닥면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트의 접촉 바닥면은 방수 패드(21), 방수 패드(21)과 측면 유닛(11a, 11b)을 접착하는 접착 유닛(22) 및 적어도 하나의 마찰 감소 패드(24)를 포함한다. 방수 패드(21)은 방수성 또는 발수성을 가진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접착 유닛(22)에 의하여 측면 유닛(11a, 11b)의 아래쪽 부분과 접착되어 보트의 아래쪽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마찰 감소 패드(24)는 측면 유닛(11a, 11b)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띠 형상의 접착 유닛(22)을 덮으면서 측면 유닛(11a, 11b)과 방수 패드(21)에 걸쳐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찰 감소 패드(24)는 사각 패드 형상으로 측면 유닛(11a, 11b)의 앞쪽 및 뒤쪽에 배치되거나 방수 패드(21)의 중앙 부분에 또는 용골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 감소 패드(24)는 물과 마찰이 작은 발수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표면에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길이 또는 보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 개의 유도 홈을 가질 수 있다. 유도 홈은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트의 이동 과정에서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깊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찰 감소 패드(2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측면 유닛(11a, 11b)의 앞쪽 또는 뒤쪽에 분리된 형태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골이 형성되는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 접촉면을 이등분을 하는 부분을 따라 마찰 감소 스트립(23)이 배치될 수 있다. 마찰 감소 스트립(23)에 마찰 감소 패드(24)와 마찬가지로 유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 감소 스트립(23)은 적절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보트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앙 부분 또는 용골이 형성된 부분에 평면 스트립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트가 좌우 균형 상태로 유지되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트에 적용되는 마찰 감소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찰 감소 패드(241 내지 245)는 측면 유닛(11a, 11b)의 앞쪽 및 뒤쪽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보트의 중앙 부분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앞쪽에 배치되는 마찰 감소 패드(241, 24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서 이동 과정에서 수면과 접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트의 이동 과정에서 앞쪽의 마찰 감소 패드(241, 242)의 일부는 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마찰 감소 패드(245) 또한 유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뒤쪽에 배치되는 마찰 감소 패드(243, 244)는 측면 유닛(11a, 11b)의 끝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 감소 패드(241 내지 245)는 좌우로 대칭되면서 앞뒤로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 인하여 보트의 좌우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유도 홈을 따라 흐르는 물에 의하여 보트의 수위가 적절하게 유지되면서 마찰이 감소되도록 한다.
다양한 위치에 마찰 감소 패드(241 내지 245)가 적절한 길이 또는 폭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트에 적용 가능한 부가적인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도 4의 (나)에 도시된 좌석 플레이트(41)의 끝 부분을 받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의 연장 길이는 좌석 플레이트(41)의 짧은 가장자리(L)에 비하여 충분히 길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양쪽 끝 부분(EN)에 스토퍼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스토퍼는 좌석 플레이트(41)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상과 같이 좌석 플레이트(4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의 (다)를 참조하면, 측면 유닛(11a, 11b)의 뒤쪽에 배치되는 트랜섬(13)에 물 튀김 방지 막(42a, 42b)이 배치될 수 있다. 물 튀김 방지 막(42a, 42b)은 트랜섬(13)의 위쪽으로 튀어 오르는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 튀김 방지 막(42a, 42b)은 측면 유닛(11a, 11b)에 한쪽 변이 부착된 삼각형 모양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에 탑승자의 안전 또는 편의를 위한 다양한 부가 구성이 배치될 수 있고,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는 탑승 편의성이 보장되면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트는 선체의 길이를 폭에 따라 결정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 과정에서 선수가 적절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바닥 면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성이 확보되면서 탑승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모터 구동 보트 11a, 11b: 측면 유닛
12: 전면 유닛 13: 트랜섬
14: 바닥 면 15: 방지 막
16: 취급 손잡이 17a, 17b: 좌석 고정 슬라이더
21: 방수 패드 22: 접착 유닛
23: 마찰 감소 스트립 24: 마찰 감소 패드
41: 좌석 플레이트 42a, 42b: 물 튀김 방지 막
151: 안전 줄 241 내지 245: 마찰 감소 패드
EN: 끝 부분 L: 짧은 가장자리

Claims (2)

  1. 바닥 면(14);
    한쪽 끝에서 선수에 이르는 길이는 바닥 면(14)의 폭의 6.0 내지 6.8 배가 되고, 튜브 직경은 바닥 면(14)의 폭의 0.75 내지 0.83 배가 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측면 유닛(11a, 11b);
    측면 유닛(11a, 11b)의 한쪽 끝을 연결하여 선수(bow)를 형성하고, 측면 유닛(11a, 11b)의 튜브 직경에 비하여 큰 전면 유닛(12);
    측면 유닛(11a, 11b)의 다른 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트랜섬(transom)(13);
    측면 유닛(11a, 11b)의 아래쪽의 앞쪽 또는 뒤쪽에 분리된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사각 패드 형상의 다수 개의 마찰 감소 패드(24);
    측면 유닛(11a, 11b)에 형성되는 좌석 고정 슬라이더(17a, 17b); 및
    길이 방향으로 바닥 접촉면을 이등분을 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 마찰 감소 스트립(23)을 포함하는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섬(13)의 위쪽으로 튀어 오르는 물을 차단하는 물 튀김 방지 막(42a, 42b)를 더 포함하는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KR2020180002049U 2018-05-10 2018-05-10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KR200488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49U KR200488294Y1 (ko) 2018-05-10 2018-05-10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49U KR200488294Y1 (ko) 2018-05-10 2018-05-10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37U Division KR20170003392U (ko) 2016-03-22 2016-03-22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06U true KR20180002006U (ko) 2018-07-03
KR200488294Y1 KR200488294Y1 (ko) 2019-01-09

Family

ID=6290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49U KR200488294Y1 (ko) 2018-05-10 2018-05-10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196B1 (ko) * 2020-04-06 2021-11-17 엄희숙 에어보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589U (ko) * 1989-08-03 1991-03-29
KR980001702A (ko) * 1996-06-08 1998-03-30 조기성 공기주입식 에어매트리스 모터보트
KR200176759Y1 (ko) * 1999-06-09 2000-04-15 김호성 고무보트
KR200280169Y1 (ko) 2002-03-19 2002-07-02 주식회사 드림보트 레져용 보트의 선체구조
KR20100045491A (ko) 2007-08-02 2010-05-03 게르하르트 벤츠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KR20100116801A (ko) * 2009-04-23 2010-11-02 김영식 모터 거치대가 탈부착되는 공기 부양식 보트
KR20110136159A (ko)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589U (ko) * 1989-08-03 1991-03-29
KR980001702A (ko) * 1996-06-08 1998-03-30 조기성 공기주입식 에어매트리스 모터보트
KR200176759Y1 (ko) * 1999-06-09 2000-04-15 김호성 고무보트
KR200280169Y1 (ko) 2002-03-19 2002-07-02 주식회사 드림보트 레져용 보트의 선체구조
KR20100045491A (ko) 2007-08-02 2010-05-03 게르하르트 벤츠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KR20100116801A (ko) * 2009-04-23 2010-11-02 김영식 모터 거치대가 탈부착되는 공기 부양식 보트
KR20110136159A (ko)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무보트 러빙보강재/접착제 소요량 산출. 레저나라 쇼핑몰, [online], 2014년 07월 19일, [2017년 07월 14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leisurenara.kr/board/gallery/read.html?no=291&board_no=7&page=}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94Y1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198B2 (en) Bouyant hull extension providing lateral and longitudinal control for lightweight hulls
US3291088A (en) Multi-purpose boat
KR101738180B1 (ko) 단차형 선체와 외부 핀을 가진 선박
JP2008515699A (ja) 改良された転換可能な船舶
KR100415770B1 (ko) 수면 항행기
US5911187A (en) Pontoon
AU2007256631A1 (en) Foam stabilized watercraft with finned collar
KR200488294Y1 (ko)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US4858550A (en) Detachable inflatable boat bottom
US7370596B2 (en) Kayak having stabilizing flares
US9415836B1 (en) Hybrid running surface boat
US20110107954A1 (en) Combination Catamaran and V-hull
KR20170003392U (ko)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JP2013529151A (ja) 水上での船の移動方法および前記方法により水上移動する船
US11247759B2 (en) Sponson attachment for airboat
KR101393541B1 (ko) 주행 성능이 향상된 보트
RU196023U1 (ru) Плавуче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катамаранного типа
JPH0952591A (ja) 船体形状
US3452698A (en) Power-driven hydroplane watercraft
US5520130A (en) Boat having hull members with separate fore and aft planing surfaces
KR101790434B1 (ko) 물 튀김 방지 구조의 보트
JPS6296193A (ja) 救難用小型舟艇
RU2783765C1 (ru) Надув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од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S62125984A (ja) 小型ジエツト推進艇
US11427284B1 (en) Personal watercraft hu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