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96B1 - 에어보트 - Google Patents

에어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96B1
KR102328196B1 KR1020200041820A KR20200041820A KR102328196B1 KR 102328196 B1 KR102328196 B1 KR 102328196B1 KR 1020200041820 A KR1020200041820 A KR 1020200041820A KR 20200041820 A KR20200041820 A KR 20200041820A KR 102328196 B1 KR102328196 B1 KR 10232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ull
magnetic force
ship bott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941A (ko
Inventor
엄희숙
Original Assignee
엄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희숙 filed Critical 엄희숙
Priority to KR102020004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상, 육지 및 빙판 등에서 사용 가능하고, 특히 수상에서 사용 시 양력 제어가 탁월한 에어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레저나 군용으로 다양한 범위에서 포괄적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운항 시 흘수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운항속도가 뛰어나고, 해상 및 육상과 빙판 등에서 운항 가능하여, 전천후로 사용 가능하며, 선체 회전 시에 회전 반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조작 제어가 민첩하고, 동력이나 기구적 특징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하여 해군이나 특수부대 등에서 야간작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에어보트{AIR BOAT}
본 발명은 에어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상, 육지 및 빙판 등에서 사용 가능하고, 특히 수상에서 사용 시 양력 제어가 탁월한 에어보트에 관한 것이다.
서양과 같이 유럽 및 북미 지역에서는 오랜 레저 산업의 역사를 갖고 있고, 특히 수상 레저 등의 보트 산업이 GDP 및 교역에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하다. 보트 산업이 성숙되어 있으며, 보트 판매의 상당 부분이 보트쇼와 같은 런칭을 통해 이뤄지고 있을 정도로 보트 산업을 뒷받침하는 전시회 등 연관 산업도 크게 발달해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도 각종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국내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취득 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서는 등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해양레저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국민의 경제적 수준향상과 육상레저 및 해양레저와 수상레포츠의 저변확대, 주5일 근무제 실시 등으로 해양레저 선박분야 산업은 2018년까지 1조 2천억 규모의 국내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선체 상에 조파 저항을 적게 받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보트 선체 개발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80169호(2002.07.02) 및 공개특허 10-2013-0080513(2013.07.15)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용골과 선측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바닥선을 형성하여 보트와 수면과의 1차 충격을 감소시키고, 선측부와 바깥쪽 바닥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는 바깥쪽 바닥선을 형성하여 보트와 수면과의 2차 충격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상기 공개특허는 보트 선체가 수면 위로 운항되는 항행 중에 받게 되는 자연스러운 바람을 이용하여 보트 선체의 침수 표면인 선저부에 기포가 방출되도록 가이드하여 보트 선체와 수면 간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기술을 개시하지만, 수면 상에서 보트의 이동 성능을 향상하는 방안이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키는 구성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시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169호(2002.07.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0513호(2013.07.1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에어보트가 운항 시 흘수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운항속도가 뛰어난 에어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해상 및 육상과 빙판 등에서 운항 가능한 전천후 에어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선체 회전 시, 회전 반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조작 제어가 뛰어난 에어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동력이나 기구적 특징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하여 해군이나 특수부대 등에서 야간작전에 사용하기 적합한 에어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선수부부터 선미부까지 유선형을 갖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선체부; 및 상기 선체부의 선저부에 횡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선미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면 날개 형상의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스킨부가 서로 소정영역 포개어지도록 구비되는 에어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저부의 중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용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킨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부의 선측부에 상기 스킨부의 양 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킨부의 양측단을 포개어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부는 양 선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좌현부 및 우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저부와 상기 각 스킨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스킨부 양 측단 방향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저부와 상기 스킨부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킨제어부; 및 상기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킨제어부를 제어하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제어부는, 상기 선저부에 접하고, 상기 선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 1 부재; 상기 스킨부와 접하고, 상기 선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힌지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 2 부재; 및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 간의 거리를 소정의 복원력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발생부는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킨제어부에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포개어져 상기 스킨부가 상기 선저부에 접하고, 상기 스킨제어부가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스킨부가 상기 선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자력발생부는, 상기 좌현부 또는 상기 우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나선 형상의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내부에 구비되는 도전성 재질의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에 전류를 인가할 때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막대부에 자력이 부여되고, 상기 막대부의 자력 및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에 자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에어보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가 미리 지정된 소정 각도로 상기 선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코일부에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스킨부가 상기 선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선체부의 회전 반경이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보트가 운항 시 흘수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운항속도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보트는 해상 및 육상과 빙판 등에서 운항 가능하여, 전천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 회전 시에 회전 반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조작 제어가 민첩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이나 기구적 특징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하여 해군이나 특수부대 등에서 야간작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예각 모드 및 둔각 모드를 구성함으로써, 예각 모드를 통해 흘수를 저감시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선체부 회전 시 둔각 모드를 통해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육지나 빙판 위에서 운항 시에도 둔각 모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운항 안전성을 확보하고,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데미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보트의 설명에 앞서 방향과 위치의 명칭에 대한 일반적인 선박용어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의 스킨부를 나타내기 위해 선체부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스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의 스킨제어부 및 자력발생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의 스킨제어부 및 자력발생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의 둔각 모드를 통해 변화되는 스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의 예각 모드를 통해 변화되는 스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도 1을 참고하면, 에어보트는 일반적인 보트의 부위별 명칭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하게,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은 선수부(F), 후방은 선미부(R), 측면은 선측부(S), 저면은 선저부(B)의 명칭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종 방향(T1)은 보트의 중심에서 선수부(F)의 중심과 연결된 부분을 일컫으며 보트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의미한다. 횡 방향(T2)은 종 방향(T1)과 90도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흘수는 에어보트가 수면에 떠 있을 때 수면에서 선체부(100)의 최하부인 선저부(B)까지의 수직 거리인 선체부(100)가 물속에 잠긴 깊이를 일컫는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는 선수부(F)부터 선미부(R)까지 유선형을 갖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선체부(100) 및 선체부(100)의 선저부(B)에 형성되는 스킨부(200)를 포함한다.
선체부(100)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부력을 가짐으로써 에어가 충진된 것과 동일한 부력을 갖는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선체부(100)는 물위에서 선수부(F)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선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부(100)는 선저부(B)의 중심에 길이 방향인 종 방향(T1)을 따라 용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용골부는 선저부(B)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형태는 에어보트의 사용 용도나, 사용 위치, 조류 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스킨부(200)는 선체부(100)의 선저부(B)에 형성된다. 스킨부(200)는 에어보트가 수륙양용으로 사용되거나, 빙판 위에서 사용 시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에서 사용할 때 흘수를 저감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킨부(200)는 면 또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선체부(100)의 폭, 길이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횡 방향(T2)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스킨부(200)는 넓은 모서리를 갖는 일단이 선저부(B)에 횡 방향(T2)으로 연결된다. 스킨부(200)는 일단과 대항되는 타단이 선미부(R)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스킨부(2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선저부(B)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스킨부(200)는 서로 미리 지정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서로간에 소정 영역이 포개어지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선미부(R)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 선체부(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물고기의 비늘이나 수염과 같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스킨부(200)는 선체부(100)의 선저부(B)와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탈부착 형식으로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달리 사용되로록 마련될 수 있다. 스킨부(200)가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흘수에 의해 운항 중 스킨부(200)가 선미부(R)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복수개의 홀과 끈 등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운항 중 흘수의 방향이 선미부(R)를 향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고리 등으로 선미부(R)에 걸어 선미부(R)를 향하는 흘수로 인해 운항 중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 형식의 부착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체부(100)의 양 선측부(S)는 커버부(1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01)는 스킨부(200)의 양 측단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킨부(200)를 따라 선체부(100)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스킨부(200)의 양 측단은 선측부(S)에서 외부로 노출되는데, 선저부(B)의 양 가장자리는 유선형상의 선체부(100)로 인해 상측 방향으로 소정 곡률을 가진다. 이로 인해 흘수가 스킨부(200)를 따라 스킨부(200)의 양 측단 방향으로 타고 올라와 선체부(100) 내부나 선체부(100) 윗 쪽으로 타고 올라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킨부(200)를 감싸는 커버부(101)가 선측부(S)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01)는 선측부(S)를 따라 돌출된 면 또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측 방향을 향함으로써 스킨부(200)의 양 측단을 포개어 덮음으로써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는 상기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보트에 더 부가되는 구성으로서, 선저부(B) 및 스킨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킨제어부(250) 및 좌현부(110)와 우현부(12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선체부(100)는 단면이 U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선체부(100)는 양 선측부(S)에 위치된 부분을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로 정의한다.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다. 에어가 충진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부력을 갖는 그 밖의 다른 수단을 통해서 이와 대응되는 효과가 충족된다면 대체가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스킨제어부(250)는 선저부(B)와 스킨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타단이 선미부 방향으로 위치된 스킨부(200)의 각도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스킨제어부(250)는 선저부(B)와 스킨부(200) 사이에 구비되되, 스킨부(200)의 양 측단 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스킨제어부(250)는 제 1 부재(251), 제 2 부재(252) 및 스프링부(253)를 포함한다.
제 1 부재(251)는 선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선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선체부(100)의 종 방향(T1)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였으나, 에어보트의 속도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길이 방향에서 일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으로서 양 측에 구비되는 스킨제어부(250)가 서로 대칭되도록 제 1 부재(251)도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재(252)는 스킨부(200)와 접하도록 구비되고 제 1 부재(251)와 대응되도록 선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 1 부재(251)와 각 일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 1 부재(251)와 제 2 부재(252)는 서로 각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 1 부재(251)와 제 2 부재(252) 사이에는 스프링부(253)가 구비된다. 스프링부(253)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구성으로서, 제 1 부재(251) 및 제 2 부재(252)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부재(251) 및 제 2 부재(252) 간의 거리를 소정의 복원력으로 이격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제 1 부재(251)와 제 2 부재(252)는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거나, 제 2 부재(252)만이 도전성 부재로 구비되록 구성된다.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자력발생부(300)에서 발생한 전자기력 또는 자력(E)을 통해 제 2 부재(252)가 선저부(B) 방향으로 힌지 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 2 부재(252)가 자력(E)에 의해 선저부(B) 방향으로 힌지운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부(253)의 복원력은 전자기력 또는 자력(E)의 힘보다 낮은 힘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력 또는 자력(E)이 제 2 부재(252)에 영향을 주었을 때 제 2 부재(252)가 자력(E)이 발생되어 선저부(B), 즉, 자력발생부(300) 방향으로 힌지 운동되도록 구성한다.
자력(E)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스킨제어부(250)에 전자기력 또는 자력(E)을 부여함으로써 제 1 부재(251) 및 제 2 부재(252)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자력(E)제어부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자력(E) 또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석, 또는 전자기력 발생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력(E)제어부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작동될 때에는 전자기력 또는 자력(E)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 1 부재(251) 및 제 2 부재(252)가 서로 포개어져 스킨부(200)가 선저부(B)에 밀착됨으로써 선저부(B)와 스킨부(200)가 서로 예각을 가지고, 이를 통해 에어보트의 순항속도가 향상되며 흘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에어보트 운항에 탁월하다. 이를 스킨부(200)의 예각 모드라고 정의한다(도 7 및 도 10 참고).
자력(E)제어부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제 1 부재(251) 및 제 2 부재(252)가 각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부(253)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스킨부(200)는 선저부(B)와 둔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에어보트는 조작부를 통해 소정 각도로 선체부(100)가 회전하는 경우 스킨부(200)는 스프링부(253)의 복원력에 의해 선저부(B)와 서로 둔각이 되고, 둔각이 된 스킨부(200)로 인해 흘수에 영향을 더 많이 받게되어 선체부(100)의 회전 반경이 감소하게된다. 이를 둔각 모드라고 정의한다(도 8 및 도 9 참고).
추가적인 실시예로, 자력(E)제어부를 더 구체화하여 한정하는 것을 정의하기로 한다. 자력(E)제어부는 코일부(310) 및 막대부(320)를 더 포함한다. 코일부(310)는 페러데이 법칙을 이용해 유도전류를 통해 막대부(320)에 자력(E)을 부여할 수 있다.
코일부(310)는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 각각에 형성되고, 원통 형상을 갖는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의 각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외부 전력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구비된다.
막대부(320)는 코일부(310) 내부를 관통하는 원통의 막대 형상으로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된다.
코일부(310)는 외부 전력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경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막대부(320)는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자력(E)이 부여된다. 이때, 막대부(320)의 자력(E)과 코일부(310)의 전자기력에 의해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의 하측인 선저부(B)에 구비되는 스킨제어부(250)가 예각 모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구성을 에어보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에어보트는 조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는 에어보트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이나, 에어보트의 후면에 위치되는 스크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기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풍력 모듈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기 등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에어보트는 직진 방향으로 순항 시 코일부(310)에 전류를 인가시켜 스킨부(200)를 예각 모드로 함으로써 에어보트의 운항속도와 운항 안전성을 높인다.
또한, 조작부가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소정의 각도로 선체부(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코일부(310)에 인가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스킨부(200)가 선저부(B)로부터 이격되는 둔각 모드로 전환시켜 회전 반경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예각 모드 및 둔각 모드를 구성함으로써, 예각 모드를 통해 흘수를 저감시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선체부(100) 회전 시 둔각 모드를 통해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육지나 빙판 위에서 운항 시에도 둔각 모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운항 안전성을 확보하고,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데미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 선수부 R: 선미부
S: 선측부 B: 선저부
T1: 종 방향 T2: 횡 방향
100: 선체부 101: 커버부
110: 좌현부 120: 우현부
200: 스킨부
250: 스킨제어부
251: 제 1 부재 252: 제 2 부재
253: 스프링부
300: 자력발생부
310: 코일부 320: 막대부
E: 자력

Claims (7)

  1. 선수부(F)부터 선미부(R)까지 유선형을 갖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선체부(100); 및
    상기 선체부(100)의 선저부(B)에 횡 방향(T2)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선미부(R)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면 날개 형상의 스킨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200)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스킨부(2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서로 소정영역 포개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선체부(100)는 양 선측부(S)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선저부(B)와 상기 스킨부(20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스킨부(200) 양 측단 방향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저부(B)와 상기 스킨부(200)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킨제어부(250); 및
    상기 좌현부(110) 및 우현부(120)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킨제어부(250)를 제어하는 자력발생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제어부(250)는,
    상기 선저부(B)에 접하고, 상기 선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 1 부재(251);
    상기 스킨부(200)와 접하고, 상기 선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251)와 힌지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 2 부재(252); 및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 부재(251) 및 상기 제 2 부재(2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재(251) 및 상기 제 2 부재(252) 간의 거리를 소정의 복원력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부(253);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발생부(300)는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킨제어부(250)에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 1 부재(251) 및 상기 제 2 부재(252)가 서로 포개어져 상기 스킨부(200)가 상기 선저부(B)에 접하고, 상기 스킨제어부(250)가 전자기력 또는 자력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부재(251) 및 상기 제 2 부재(252)가 상기 스프링부(253)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스킨부(200)가 상기 선저부(B)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자력발생부(300)는,
    상기 좌현부(110) 또는 상기 우현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나선 형상의 코일부(310); 및
    상기 코일부(310) 내부에 구비되는 도전성 재질의 막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310)에 전류를 인가할 때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막대부(320)에 자력이 부여되고, 상기 막대부(320)의 자력 및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251) 및 상기 제 2 부재(252)에 자력이 가해지며,
    에어보트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선체부(100)가 선수부(F) 방향으로 운항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31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킨부(200)를 상기 선저부(B)에 접하는 예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조작부가 미리 지정된 소정 각도로 상기 선체부(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코일부(310)에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스킨부(200)가 상기 선저부(B)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선체부(100)의 회전 반경이 감소되는 둔각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저부(B)의 중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용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20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100)의 선측부(S)에 상기 스킨부(200)의 양 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스킨부(200)의 양측단을 포개어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보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41820A 2020-04-06 2020-04-06 에어보트 KR10232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20A KR102328196B1 (ko) 2020-04-06 2020-04-06 에어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20A KR102328196B1 (ko) 2020-04-06 2020-04-06 에어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41A KR20210123941A (ko) 2021-10-14
KR102328196B1 true KR102328196B1 (ko) 2021-11-17

Family

ID=7811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20A KR102328196B1 (ko) 2020-04-06 2020-04-06 에어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24A (ja) * 2008-09-13 2010-03-25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船首部形状及び船首部形状の設計方法
KR200488294Y1 (ko) * 2018-05-10 2019-01-09 피싱코리아(주)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465A (en) * 1998-03-11 1999-12-21 Medtech Center, Inc. Lower part of the hull of a planing amphibian
KR200280169Y1 (ko) 2002-03-19 2002-07-02 주식회사 드림보트 레져용 보트의 선체구조
KR101255134B1 (ko) * 2010-04-01 2013-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동 구획부재를 갖는 공기 공동 선박
KR20130080513A (ko) 2012-01-05 2013-07-15 신현구 보트 선체와 수면간 마찰계수 저하를 유도하는 보트 선체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724A (ja) * 2008-09-13 2010-03-25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船首部形状及び船首部形状の設計方法
KR200488294Y1 (ko) * 2018-05-10 2019-01-09 피싱코리아(주)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41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32070A (ja) グライド型水中航走体の姿勢制御方法、無線連絡方法及びグライド型水中航走体
JP7451516B2 (ja) 船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
KR101483507B1 (ko) 선외기
JP2006516511A (ja) 船舶用操舵及び推進構造
PL86241B1 (ko)
KR102328196B1 (ko) 에어보트
KR102353369B1 (ko) 보트
US2998790A (en) Navigable surface craft
US7328668B2 (en) Hybrid vee-hull / wing-in-ground effect vessel
NZ534977A (en) Watercraft with adjustable hydrofoil to provide lift when watercraft is powered
RU2086460C1 (ru) Подводное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плавания
KR101912153B1 (ko) 극지항해용 자기 부상선
RU196023U1 (ru) Плавуче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катамаранного типа
KR102393443B1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102146797B1 (ko) 활주부를 가지는 에어보트
KR20120133324A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보트
JP6772427B2 (ja) フロート取付装置、サイドフロート装置及びサイドフロート装置を含む船舶
US36723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wing a submersible barge
US8667919B2 (en) Boat anchor
JP3951979B2 (ja) 船体形状
US9908589B1 (en) Hull shape for improved powering and seakeeping
RU2404902C1 (ru) Плавучее средство
KR102229272B1 (ko) 선박의 추진 장치
RU48313U1 (ru) Главная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удна
US3063068A (en) Boat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