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491A -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 Google Patents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491A
KR20100045491A KR1020107003888A KR20107003888A KR20100045491A KR 20100045491 A KR20100045491 A KR 20100045491A KR 1020107003888 A KR1020107003888 A KR 1020107003888A KR 20107003888 A KR20107003888 A KR 20107003888A KR 20100045491 A KR20100045491 A KR 2010004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hull
sailing
kee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하르트 벤츠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벤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3658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36584B3/d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벤츠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벤츠
Publication of KR2010004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1/00Drop keels, e.g. centre boards or side boards ; Collapsible keels, or the like, e.g. telescopically; Longitudinally split hinged k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선체부와 관련하여 항해 요트가 종래 방식으로 항해할 수 있으며 비경사 선체부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선실, 취사실 및/또는 조타실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수평-유지 정렬의 장점을 보장하고, 이로써 항해 요트가 항해할 때 특히 갑판 아래에 있게 될 때 가능한 최대의 안정감을 제공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순수한 모터보트로 변환될 수 있는, 경사 선체부와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두 개의 선체부를 갖는 종류의 항해 요트에서 더 나아가, 이물-고물 축 둘레에서 회전각 a 만큼 추축으로 회전하도록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돛대와 용골이 각각 제 1 선체부에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배치되고 돛대-용골 조립부를 지지하는 제 1 선체부가 분절식으로 돛대-용골 조립부를 지지하지 않는 제 2 선체부에 접속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SAILING YACHT HAVING A HEELING HULL BODY PART AND HAVING A NON-HEELING HULL BODY PART, IN PARTICULAR COMBINABLE SAILING-YACHT AND MOTORBOAT MODULAR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새로운 타입의 항해 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 선체부와 비경사 선체부를 동시에 구비하는 항해 요트에 관한 것이다.
요트 또는 용골 보트에는 측방 저항으로 기능하도록 선체 아래에 견고한 용골이 제공되며, 상기 용골에는 통상적으로 하부에 놓인 바닥짐이 장착된다. 이는 무게 중심이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이때 요트에 작용하는 풍력으로 인해 요트가 측방으로 기울어질(경사질)수록, 수평작용 힘 또는 수평 토크가 작용하며, 그 결과 용골 요트는 이 원리에 따라 뒤집어질 수 없다. 요트가 기울어지는 순간, 한편으로는 조파 저항의 부분 저항으로서의 경사 저항과 이에 따라 속도를 감소시키는 요트의 전체 저항이 증가한다. 약 20°를 초과하는 경사각은 요트의 경사 저항을 매우 현저한 정도까지 증가시킨다. 따라서 요트는 이상적으로 가능한 직립으로 항해하게 된다.
경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특히 용골, 돛대 또는 용골-돛대 조합부에 작용하는 힘 성분을 선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선회 용골 또는 선회 돛대와 같은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독일 실용신안 DE 200 10 896 U1은 수평 중심축에 대해 방사형-대칭으로 제공되고 부유 몸체가 장착된 박스 연(box kite) 형태의 장대 구조물을 포함하는 배가 개시되어 있으며, 통로 셀 또는 부하-수용 셀로서 기능하는 곤돌라가 구조물에 대해 추축으로 장착되어 풍력과 관련된 중심축 둘레의 구조물의 경사 회전 움직임의 경우에 경사 없이 수직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전복될 수 있는 경우에, 방사형-대칭 구조로 인해 장대 구조물은 곧바로 안정된 평형 위치로 추축선회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물 위에서의 경사 또는 진자 형태로 흔들리는 통로 셀의 전복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회전 움직임 없이 유효하게 상쇄된다.
독일 공개공보 DE 198 25 930에 항해 요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된 항해 요트는 돛대와 용골이 이물-고물 종축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뒤에 위치한 두 개의 선체 사이의 결합 베어링 상에서 이물-고물 종축 둘레에 분절식으로(articulately)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돛대-용골-조합은 풍력이 요트에 작용하는 경우에 요트에 작용하는 횡단 힘과 관련하여 선체로부터 분리되며, 그 결과 돛대-용골 조합만 기울어질 뿐 선체는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고 전방 추진력만을 얻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 두 개의 선체에 수용되는 선실 공간은 선체 분리로 인해 두 개의 선체 중 하나의 선체로부터 다른 선체까지 선택적으로 갑판 아래에 수용될 수 없으며, 스포츠용으로 항해가능한 항해 요트의 특성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선원의 무게-이동에 의한 반작용 경사를 이용하는 항해의 개별적인 조절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선체부와 관련하여 항해 요트가 종래 방식으로 항해할 수 있으며 비경사 선체부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선실, 취사실 및/또는 조타실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수평-유지 정렬의 장점을 보장하고, 이로써 항해 요트가 항해할 때 특히 갑판 아래에 있게 될 때 가능한 최대의 안정감을 제공하며 간단한 방식으로 순수한 모터보트로 변환될 수 있는, 경사 선체부와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두 개의 선체부를 갖는 종류의 항해 요트에서 더 나아가, 이물-고물 축 둘레에서 회전각 a 만큼 추축으로 회전하도록 레볼루트 조인트(revolute joint)를 이용하여 돛대와 용골이 각각 제 1 선체부에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배치되고 돛대-용골 조립부를 지지하는 제 1 선체부가 분절식으로 돛대-용골 조립부를 지지하지 않는 제 2 선체부에 접속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구조는 종래 방식으로 선원의 일부가 항해 요트를 항해시킬 수 있으며, 즉 모든 항해 조종이 가능하며, 선원 또는 안락함을 원하는 손님들이 예컨대 조타실, 취사실 및/또는 취침실의 형태인 비경사 선체부를 거부감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선체부에 대해 일반적인 경우처럼 본 발명의 경우 다용도 공간은 비경사 제 2 선체부 내에 배치된다면 비경사 선체부는 강한 바람속에서 항해할 때에도 바람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심지어 경사 선체부가 전복되거나 뒤집히는 경우에도 수평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구와 장비, 특히 전기난로 또는 침대를 종래 카대닉(cardanic) 매달음 또는 분절식으로 배치된 장착이 완전히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선체부는 이물측의 선수부로서 설계되고 제 2 선체부는 고물측의 선미부로서 구성되며, 이들은 레볼루트 조인트에 의해 상호접속된다. 예컨대 레볼루트 조인트들에 의해 접속된 세 개의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에서, 경사 제 1 선체부는 중간-몸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선수부와 선미부는 비경사 제 2 선체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선체부를 구성하는 전체 선체부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이 가능하며, 경사 선체부는 특히 다용도 공간을 지원하는 비경사 제 2 선체부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다.
분절된 방식으로 제 1 선체부를 제 2 선체부에 접속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레볼루트 조인트는 적절한 치수를 갖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고 축상 및/또는 방사상 힘을 흡수하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 특히 볼 베어링, 실린더 베어링 또는 원뿔형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제 1 최외각 링은 바람직하게 리브들의 영역에서 제 1 선체부에 끼워맞춰지고 제 2 최내각 링은 제 2 선체부에 끼워맞춰진다. 제 1 최외각 링 또는 제 2 최내각 링 대신에, 결합부의 안정성을 높이고 및/또는 구조적으로 개선된 방식으로 이중-링 롤링 베어링을 통해 각각의 제 1 선체부와 제 2 선체부 내부에 수용된 다용도 공간들 사이의 최적으로 접근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원형-원통형 몸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의 특징적인 장점에 따르면, 제 2 선체부는 플러그-인 모듈로서 설계되고, 제 2 선체부에는 이물-고물 종축에 위치한 외향부분 상에 배치된 플러그-인 스터드가 제공되며, 플러그-인 스터드는 이물-고물 종축에 위치한 제 1 선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인 부쉬와 맞물리며, 다용도 공간은 예컨대 취침실, 조타실 또는 취사실과 같이 제 2 선체부의 내부에 제공된다. 문맥상, 제 2 내부 레볼루트 결합 링의 일부에 고정된, 제 1 선체부의 대응 리베이트 안으로 이물측 상에서 돌출하는, 다용도 공간의 곁방을 둘러싸는 제 1 선체부의 선수부는 이물측 상의 내부 레볼루트 결합 링에 플랜지된 회전 원통 몸체부 들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 2 내부 레볼루트 결합 링의 일부에 고정된 고물측에 제공된 다용도 공간의 후방 공간은 고물측의 내부 레볼루트 결합 링에 플랜지된 회전 원통 몸체부들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결합된 다용도 공간의 곁방과 후방 공간 사이의 통로는 제 2 내부 링의 내부에 제공된 링 개구부를 통해 최적의 헤드룸(headroom)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특정한 다용도 공간으로 각각 설계되고 제 1 선체부와 독립된 다양한 형태의 비경사 제 2 선체부가 "분절된 트럭(articulated truck)"의 원리에 따라 모듈화된 형태로 경사 제 1 선체부들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특히 제 2 선체부는 구동 모터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선체부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온 모터보트 이물부와 결합되는 경우,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순수한 모터보트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한 자체-수용, 방수 및 항해적합한 구조로 인해, 항해 요트의 이물 부분과 분리되고, 완전한 선실, 모터 및 방향타 부분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삭구와 용골없이(즉 "분절된" 부분없이) 모듈화식으로-상호 교체가능한 플러그-온된 견고한 전방 이물부와 조립되는 후방 선체부는 고성능 모터보트를 형성한다. 최전방의 제 1 선체부는 정박시설 또는 육지에 남겨두고 언제든지 종래의 기술적으로 간단한 결합 및 분리 수단에 의해 복구될 수 있다.
이물 부분이 없더라도, 후방 선체부는 완전하게 기능하며 따라서 항해 사고(damage), 전복 및 파손 또는 좌초되는 경우에 전방 돛 이물 부분은 간단히 포기하고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구조 요청은 이러한 경우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후방 모듈의 우수성과 크기 및 물에서 종래 타입의 추진력에 대한 절대적으로 제한받지 않는 능력을 통해 많은 가능성이 매우 상이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배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를 보다 개선하여, 제 2 선체부 내에 형성된 다용도 공간은 분리되게 구성되고 또한 제 2 선체부의 내부에 위치한 베어링 부재들 상의 이물-고물 축(L)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추축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에, 이물 측에 제공된 다용도 공간의 곁방은 제 2 선체부의 이물측에 있는 대응하는 방향의 리베이트에 수용되고, 레볼루트 조인트 뒤의 고물측에 제공된 다용도 공간의 후방 공간은 고물측에 위치한 제 2 선체부의 대응하는 리베이트에 수용되며, 다용도 공간의 외벽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선체부의 내벽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언급한 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용도 공간의 이중 레볼루트 조인트 장착으로 인해, 특히 추가의 바닥짐이 다용도 공간의 바닥에 제공되는 경우 및/또는 추가의 전기식-제어, 수평-정렬 서보모터가 관성에 의해 베어링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잔류 경사 힘을 상쇄시키는 경우, 경사 영향은 더 이상 기대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라 - 분기되고 환형 방식으로 제 1 선체부의 배 갑판의 겉판자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기 위하여 - 종래와 같이 돛대가 겉판자를 관통하여 용골에서 종료되는 것처럼 돛대를 중앙에서 수직으로 배치시키지 않고, 돛대와 용골 사이의 직접적이 아닌 방식으로(non-positive) 접속을 위하여 돛대가 분기된 구조를 갖고 제 1 선체부의 좌현측 상의 외벽 영역의 돛대의 제 1 분기 돌출부와 제 1 선체부의 우현측 상의 외벽 영역의 돛대의 제 2 분기 돌출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돛대 지주에 의한 영향없이 갑판의 겉판자의 내부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제 1 선체부 내에 수용된 다용도 공간의 내부에서 추가의 빈 공간을 형성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돛대에 맞물리는 굴곡 모멘트가 선체부 안으로 전환되고 판자 벽을 경유하여, 특히 리브를 경유하거나 리브에 작용하는 이중-링 베어링의 최외각 링의 일부를 경유하여 기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용골 안으로 전환된다. 바람직하게, 돛대는 리브 영역에 제공된 이중-링 베어링의 최외각 링뿐만 아니라 용골에 견고하고 일체형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힘-전환 링으로서 추가로 작용하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의 최외각 링을 경유하여, 돛대에 작용하는 힘은 선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다용도 공간 주위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원형으로 전환되며 그 다음에 용골로 전달된다. 게다가, "분절된 트럭-원리"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분리되고 연속적인 내부 공간을 통해 수직 돛대-용골-힘이 직선으로 통과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불가능하다.
안정적이고 굴곡-기계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돛대의 분기 돌출부는 초기에 배의 외부 방향으로 돛대의 분기 영역 아래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과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연속적인 요면을 가지며 배를 향해 안쪽으로 돛대의 분기 돌출부의 각각의 고정 영역 위에서 연속적인 철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새로운 부하 전달 원리로 인해 돛대로부터 돛대 돌출부를 경유하여 선체부 안으로 또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의 최외각 링의 리브들과 함께 작용하는 부분들 안으로의 부하 입력 및 힘의 흐름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돛대가 파손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모듈화된 구조로 인해, 돛대의 상부는 돛대의 분기 영역 위에 제공된 돛대 고정 부재 안으로 바람직하게 끼워 맞춰지고 따라서 상호교체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전체적인 트리밍으로 인해, 제 1 선체부에 견고하게 접속되고 바닥짐에 의해 바람직하게 무게가 아래에 위치하는 용골은 인접한 제 2 선체부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제 2 선체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추가 용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추가 용골에 방향타 날(blade) 및/또는 프로펠링 스크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선체부는 제 1 선체부의 주변 용적 내부에 필수적으로 수용되는 다용도 공간, 특히 취침실, 조타실 또는 취사실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실 또는 조타실 또는 취사실은 적어도 하나의 레볼루트 조인트 및/또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롤링 베어링으로 설계된 플러그-인 접속부를 이용하여 제 1 선체부의 일부분에 추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결과, 특히 생활 공간으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에서 추가의 안정화 바닥짐은 하부측 상에,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콘크리트로 구성된 안정화 바닥짐 판의 상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생활 공간은 요트에 작용하는 풍력과 완전히 분리되며 이로써 항상 수평 방향을 유지한다.
제 1 선체부와 제 2 선체부 사이의 레볼루트 조인트에 의해 발생한 추축회전 움직임은 삽입가능한 정지 장치에 의해 정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배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종래 돛이 전체적으로 전통적인 경사 항해 요트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제 1 선체부와 제 2 선체부 사이의 또는 제 2 선체부와 제 2 선체부에서 독립적으로 제공된 다용도 공간 사이의 레볼루트 조인트에 의한 경사로 인해 발생한 상대적인 추축회전 움직임은 제 2 선체부 및/또는 다용도 공간이 언제나 완전한 비경사, 즉 절대적인 수평 상태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적절히 설계된 서보모터에 의해 조정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스포츠 요트로서 사용될 요트의 손님들에게 상당히 큰 안락함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예는 도면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개략도로서, 바람이 불지 않는 동안 풍력이 항해 요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의 항해 요트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개략도로서, 풍력이 항해 요트에 영향을 미칠 때 선수부(forebody)가 회전되고 선미부(afterbody)가 회전되지 않은 항해 요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로서, 플러그인 모듈(plug-in module) 원리에 따라 비경사(non-heeling) 방식으로 장착된 선미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A-A 절단선을 포함한다.
도 3a는 제 1 실시예를 개선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플러그인 모듈 원리에 따라 비경사 방식으로 장착된 선미부 및 각각의 돛대 프로파일(profile)들에 의해 4-겹으로 분기되고 굴곡된(curved) 돛대 시스템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A-A 절단선을 포함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경사 선수부로서 설계된 제 1 선체부(hull body part)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비경사 선미부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비경사 선미부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와 견고하고 상호교환(interchangeable) 방식으로 끼워진 전방 모터보트 이물부(bow part)의 조합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개한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3a의 절단선 A-A를 따라 4-겹 분기되고 굴곡된 돛대 시스템이 구비된, 제 1 실시예를 개선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선실(cabin)로서 설계되고 제 1 선체부의 내부에 비경사 방식으로 장착된 제 2 선체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도 7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개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경사 선실을 구비한 항해 요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바람이 항해 요트에 영향을 미칠 때, 도 7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개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경사 선실을 구비한 항해 요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개략도로서, 바람이 불지 않는 동안 풍력이 항해 요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선체부(1)와 갑판 선루부(8)들을 포함한 항해 요트를 도시한다.
제 1 선체부(1.1)는 이물(bow) 측부 상의 선수부로서 설계되고 제 2 선체부(1.2)는 고물(stern) 측부 상의 선미부로서 설계되며, 제 1 및 제 2 선체부는 레볼루트 접합부(revolute joint)를 형성하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을 이용하여 상호연결된다. 제 1 선체부(1.1)를 제 2 선체부(1.2)에 분절식으로 연결하는 레볼루트 연결부는 적절한 치수와 구조를 갖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형태를 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업용 볼 베어링으로 설계되었다. 제 1 최외각 링(4.1)은 리브(rib)들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제 1 선체부(1.1)에 끼워지고, 제 1 최외각 링(4.1)에 동심원형으로 배열된 제 2 최내각 링(4.2)은 제 2 선체부(1.2)에 고정된다. 그라운드 볼(ground ball) 트랙이 구비된 동심형 배열 링들(4.1,4.2) 사이에는 볼들이 서로 마찰하지 않도록 볼 케이지(ball cage) 내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제 1 최외각 링(4.1) 또는 제 2 최내각 링(4.2) 대신에 원통형 몸체부(circular-cylindrical body)들이 결합부의 안정성을 높이고 제 2 최내각 링(4.2)들 내에 위치한 공간을 통과하는 선체부(1.1,1.2) 사이의 통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롤링 베어링 링(4.1,4.2)들 대신에, 예컨대 하나가 다른 하나에 환상형으로 안정되게 결합된(stable) 두 개의 톱니바퀴 테(rim)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구조적인 관점에서 이들 톱니바퀴 테의 구조적인 높은 마찰 저항으로 인해 가능하다. 그러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기모터가 고물 측부 상의 내부 선미부의 수평방향 조정을 위한 수단을 구동시킨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라도 방수가 되고 석회를 사용하지 않으며 마합류의 침입을 방지하는 결합 기술에 기초한 설계가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제 1 선체부(1.1)의 배의 갑판 겉판자(deck planking)의 중앙 영역을 분기된 방식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겉판자 상에 돛대 기둥과 같은 돛대(2)가 종래처럼 중심에서 수직으로 제공되지 않고 분기된 구조로 구성된다. 돛(6)을 달고 있는 돛대(2)는 선체부(1.1)의 우현 측부 상의 외벽의 돛대 돌출부의 제 1 고정 영역 (2.1.1)에서 돛대의 제 1 분기 돌출부(2.1)에 고정되고, 선체부(1.2)의 우현 측부 상의 외벽의 돛대 돌출부의 제 2 고정 영역(2.1.2)에서 돛대의 제 2 분기 돌출부(2.2)에 고정되며, 각각의 분기 돌출부는 최외각 링(4.1)의 일부분 상에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겉판자의 내부 영역에 빈공간을 형성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돛대(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돛대의 분기 영역(2.3)에서의 포크형 분기로 인해 뱃전(board) 벽들을 통해, 특히 리브들을 통해 기계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선체로 유도되게 한다.
돛대 돌출부(2.1,2.2)들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편평한 방식으로 리브 영역 내에 위치한 최외각 링(4.1)을 향해 연장하거나, 개별적으로 부채꼴로 펼쳐져 고정된 지주(strut)들의 형태로 연장한다.
정적으로 그리고 휨-기계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에서, 돛대의 분기 영역(2.3) 아래의 돛대(2)의 분기 돌출부(2.1,2.2)들은 초기에 배의 외부 방향으로 연속적인 요면(concavity)을 갖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돛대 돌출부들의 각각의 고정 영역(2.1.1,2.2.1)의 위에서 배의 내부 방향으로 연속적인 철면(convexity)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전달 원리에 의해 돛대(2)로부터 돛대 돌출부(2.1,2.2)들을 경유하여 선체부(1.1)로 이어지는 또는 이중-링 롤링 베어링 레볼루트 조인트의 최외각 링(4.1)의 리브들과 함께 작용하는 부분들로 이어지는 힘의 흐름과 부하 입력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돛대가 파손될 위험이 감소한다.
용골(3)은 제 1 선체부(1.1) 아래에서 견고하게 끼워져 있으며, 레볼루트 조인트(4)의 영역을 넘어서 제 2 선체부(1.2) 아래까지 연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바닥짐-가중(ballast-weighted) 용골(5)이 제 2 선체부(1.2)에 추가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닥짐-가중 용골(5)은 검(sword)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종 방향타 날은 바닥짐-가중 용골(5)에 끼워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며, 경사 선수부가 회전되어 있고 비경사 선미부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선체부(1.1)와 제 2 선체부(1.2) 사이의 레볼루트 조인트(4)에 의해 발생한 이물-고물 세로축(L)에서의 추축 움직임은 정지 장치(arresting device)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잠금이 이루어진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해 요트를 이용하여 전체가 경사진 상태에서 종래와 같은 항해가 가능하다.
도 3은 플러그-인 모듈 원리에 따라 비경사 방식으로 수용된 선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절단선(A-A)를 포함한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항해 요트는 도 4에 따른 경사 선수부로서 설계된 제 1 선체부(1.1)와, 도 5에 따른 비경사 제 2 선체부(1.2)로서 설계된 선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선체부와 제 2 선체부는 플러그-인 접속부(9)의 영역과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영역에서 결합된다.
도 3a는 제 1 실시예를 개선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플러그인 모듈 원리에 따라 비경사 방식으로 장착된 선미부와 돛대 시스템을 포함하며, 돛대 시스템은 우현 측부상에 제공된 두 개의 제 1 돛대 프로파일들(2.1.01)과 좌편 측부 상에 제공된 두 개의 제 2 돛대 프로파일들(2.1.02)을 포함하고, 돛대 프로파일들은 함께 후방을 향해 4겹으로 분기되고 굴곡되며 전술한 것처럼 거울-이미지 방식으로 형성된다.
돛대의 분기 돌출부(2.1,2.2)들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두 개의 개별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로 구성된다. 돛대 돌출부의 고정 영역(2.1.,2.2.1)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분리되어 이격된 돛대 프로파일들의 개별 돛드 프로파일들 간의 각각의 간격은 돛대 프로파일들이 돛대(2)의 상부 영역에서 돛대의 분기 영역(2.3)에서 서로 끝날 때까지 돛대의 첨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속적이고 원뿔형으로 테이퍼링된다. 돛대 프로파일들은 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다. 돛대의 분기 영역(2.3)에서 레볼루트 조인트(2.3.1)가 제공되며, 선회 돛대(2.3.2)가 선회 돛대의 상단부에 의해 분절되게 레볼루트 조인트에 연결된다. 선회 돛대(2.3.2)의 하단부는 고정 부재(15)에 끼워맞춰지며, 고정 부재는 십자 빔으로 형성되고 선회 돛대(2.3.2)의 방사형 길이를 따라 오목한 만곡부를 갖는 십자 부재(14) 상에서 측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가이드되지만 고정될 수도 있다. 십자 부재(14)는 각각의 십자 부재 장착 브래킷(16)에 의해 두 개의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 사이에서 고정된다. 십자 부재 장착 브래킷(16)은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5)에서 주 돛(main sail)(6)의 돛 하단활대(boom) 연결부(linkage)(철주)(6.1)가 끼워진다. 주 돛(6)의 돛 전반부는 선회 돛(2.3.2)의 홈에서 선회 돛(2.3.2)의 전체 영역을 넘어 가이드된다.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조종가능한 주 돛 철주(6.1)는 바람직하게 반대방향으로 돌려지며, 이는 경사진 경우에 돛 압력점과 측방 압력점의 개선된 상대 위치조정으로 인해 항해 배의 바람받이 조건에 대한 포용력에 매우 양호한 영향을 미치게 한다.
경사진 경우에, 예컨대 주 돛(또는 주 돛 하단활대)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은 수직으로 선체의 중심축을 현저하게 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체가능한 고정 부재(15)가 구비된 십자 부재(14)는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를 새롭게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된 돛 지지 시스템을 정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격자 거더(lattice girder)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십자 부재(14)를 끼워 맞추는 것은 돛 프로파일(2.1.01,2.1.02)을 위한 필요한 단면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전체 돛 시스템의 무게를 줄인다.
전체 길이를 넘는 돛대(2)는 두 개 또는 안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조립된 돛대 프로파일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주 돛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로프 가이드 수단에 대응할 수 있는 사용가능성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부 돛대 부분에서 분기점에 이르는 돛대(2)는 종래 방식에서 플러그-온 단일 전체 프로파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돛대(2)가 후방으로 굴곡된 전체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전체 돛대를 미리 팽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고물 지삭(stern stay)이 필요 없으므로 상기 언급한 이중 선체-변형이 되도록 일시적인 분리를 위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시스템의 결과로서 전방 지삭 뿐만 아니라 측방 장력 돛대줄 역시 불필요하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 선수부로서 구성된 제 1 선체부(1.1)를 도시한다. 제 1 선체부(1.1)는 제 1 선체부(1.1)에 고정된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제 1 최외각 링(4.1)뿐만 아니라 제 1 선체부(1.1) 상에 형성된 내부의 플러그-인 부쉬(bush)(9.2)를 포함하며, 제 2 선체부(1.2) 상에 제공된 플러그-인 스터드(9.1)는 플러그-인 부쉬와 맞물린다. 게다가, 리베이트(rebate)(11)는 제 1 선체부(1.1)의 다용도실(10)의 곁방(10.1)을 포함하는 선수부(forebody)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이물 측부 상에 제공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최내각 링(4.2)의 일부로 구성된 비경사 선미부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1.2)를 도시한다. 제 2 선체부(1.2)의 내부에는 곁방(10.1) 뿐만 아니라 후방 공간(10.2)을 포함한 다용도실(10)이 제공되며, 다용도실은 통상적으로 취침 선실 및/또는 조타실 및/또는 취사실로서 각각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방향타 날을 포함한 추가 용골이 제공된다.
도 5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경사 선수부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1.2)의 조합을 도시하며, 제 2 선체부는 견고하게 끼워맞춰지고 고정된 상호교체가능한 전방 모터보트 고물부(18)를 포함한다. 제 2 선체부(1.2) 상의 필수적인 모터 구동 수단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 6은 도 3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취한 제 1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돛대(2)는 상호교체가능하고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돛대 장착부(2.4)에 끼워 맞춰진다.
도 6a는 도 3a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취한 4-겹 분기되고 후방으로 굴곡된 돛대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개선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해 요트의 절단선 B-B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취침실로서 설계되고 제 1 선체부(1.1)의 내부에서 경사지지 않도록 수용된 제 2 선체부(1.2)를 포함한다.
문맥상, 제 2 선체부(1.2)는 제 1 선체부(1.1)의 주변 용적 내부에 필수적으로 수용되는 다용도실, 특히 취침실, 조타실 또는 취사실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선실, 조타실 또는 취사실은 이중-링 롤링 베어링(4)으로 설계된 레볼루트 조인트뿐만 아니라 볼 베어링의 형태를 가지며 이물-고물 종축(L) 둘레에서 추축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플러그-인 접속부에 의해 제 1 선체부(1.1)의 일부분에 분절되게(articulately) 장착된다. 문맥상, 플러그-인 스터드(9.1)는 플러그-인 부쉬(9.2)에 맞물리고 제 2 선체부(1.2)의 다용도실로서 구성된 고물 영역은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제 2 최내각 링(4.2)에 끼워맞춰지며,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제 1 최외각 링(4.1)은 제 1 선체부(1.1)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그 결과, 특히 제 2 선체부(1.2) 내에서 하부측 상의 추가 안정화 바닥짐(7), 예컨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바닥짐 판(plate) 및/또는 모터-구동 조정 장치는 레볼루트 조인트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다용도실(10)로서 설계된 제 2 선체부(1.2)는 요트에 작용하는 풍력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며, 이로써 항상 수평 방향을 유지한다.
도 8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도 7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취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항해 요트의 단면도이다. 제 1 선체부(1.1)에 제공된 돛대(2)와 용골(3)의 조합은 점검창(13)을 포함하는 생활공간으로 설계된 제 2 선체부(1.2)에 대해 경사지지 않는다.
도 9는 바람이 항해 요트에 작용할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경사 방식으로 장착된 선실이 구비된 항해 요트의 단면도이다. 제 1 선체부(1.1) 상에 제공된 돛대(2)와 용골(3)의 조합은 점검창(13)을 포함하는 생활 공간으로 설계된 비경사 제 2 선체부(1.2)에 대해 경사각 a 만큼 경사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스포츠 항해 요트와 같은 요트를 운항시키면서, 항해 요트의 선체의 일부분, 특히 조타실, 수면시 또는 취사실과 같은 다용도 공간 또는 생활 공간이 완전한 비경사 조건에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르래(tackle)와 삭구(rigging)를 구비하지 않고도 항해 요트를 순수한 모터보트로서 간단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1. 선체
1.1 제 1 선체부
1.2 제 2 선체부
2. 돛대
2.1 돛대의 제 1 분기 돌출부
2.2 돛대의 제 2 분기 돌출부
2.1.1 제 1 돛대 돌출부의 고정 영역
2.2.1 제 2 돛대 돌출부의 고정 영역
2.1.01 제 1 우현 돛대 프로파일
2.1.02 제 2 좌현 돛대 프로파일
2.3 돛대의 분기 영역
2.3.1 레볼루트 조인트
2.3.2 선회 돛대
2.4 돛대 장착부
3. 용골
4. 레볼루트 조인트로서 이중-링 롤링 베어링
4.1 이중-링 롤링 베어링의 제 1 최외각 링
4.2 이중-링 롤링 베어링의 제 2 최내각 링
4.3 링 개구부
5. 추가 용골
6. 돛
6.1 돛 하단활대 연결부(철주)
7. 안정화 바닥짐
8. 갑판 선루
9. 플러그-인 접속부
9.1 플러그-인 스터드
9.2 플러그-인 부쉬
10. 다용도 공간
10.1 이물 상의 곁방
10.2 고물 상의 후방 공간
11. 제 1 선체부의 리베이트
12. 제 2 선체부의 리베이트
13. 다용도 공간용 점검창
14. 십자 부재
15. 주 돛 하단활대(17)와 돛 하단활대 연결부(철주)(6.1)를 위한 고정 부재
16. 십자 부재 장착 브래킷
17. 주 돛 하단활대
18. 보터보트 이물부
19. 이물-고물 축

Claims (22)

  1. 이물과 고물 사이를 축(L) 방향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체부(1)를 가지며, 상기 선체부(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선체부(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선체부(1.2) 뿐만 아니라, 상기 선체부(1)의 구조적 수면 위에 있는 돛대(2) 및 상기 선체부(1)의 구조적 수면 아래에 제공된 용골(3)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돛대-용골 조합부(2,3)를 가지며, 상기 돛대(2)와 상기 용골(3)은 견고하고(rigidly) 직접적이 아닌 방식으로(non-positively) 상호접속되며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2,3)는 상기 선체부들(1.1,1.2)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레볼루트 조인트(revolute joint)를 이용하여 분절되게(articulately) 접속되는 항해 배, 특히 항해 요트로서,
    상기 돛대(2)와 상기 용골(3)은 각각 상기 제 1 선체부(1.1)에 견고하게 접속되고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2,3)를 달고 있는(carrying) 상기 제 1 선체부(1.1)는 상기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돛대-용골 조합부(2,3)를 달고 있지 않은 상기 제 2 선체부(1.2)에 상기 이물-고물 축의 둘레에서 추축각(a) 만큼 분절되게 접속되는 항해 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는 상기 이물 부분의 선수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선체부(1.2)는 상기 고물 부분의 선미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를 상기 제 2 선체부(1.2)에 분절되게 접속시키는 상기 레볼루트 조인트는 축상의 및/또는 방사상의 힘들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치수와 구조의 이중-링 롤링 베어링(4), 특히 볼 베어링, 실린더 또는 원뿔형 롤러 베어링의 형태를 가지며, 제 1 최외각 링(4.1)은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rib)들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선체부(1.1)에 끼워 맞춰지고 제 2 최내각 링(4.2)은 상기 제 2 선체부(1.2)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는 플러그-인 모듈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 2 선체부(1.2)에는 상기 이물-고물 세로축(L)에 위치한 외면부 상에 배치되고 플러그-인 부쉬(9.2)와 맞물리는 플러그-인 스터드(9.1)가 제공되며, 상기 플러그-인 스터드(9.1)는 상기 이물-고물 세로 축(L) 에 위치한 상기 제 1 선체부(1.1) 상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선체부(1.2)의 내부에는 특히 취침실 또는 조타실 또는 취사실로서 사용가능한 다용도 공간(10)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선체부(1.1)의 대응하는 리베이트(11) 안으로 상기 고물 측부 상에 돌출하는 상기 다용도 공간(10)의 곁방(10.1)을 둘러싸는 선수부는 상기 제 2 최내각 링(4.2)의 일부분들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측부 상의 제 2 최내각 링(4.2)에 플랜지된 회전 원통형 몸체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물 측부 상에 제공된 상기 다용도 공간(10)의 후방 공간(10.2)은 상기 제 2 최내각 링(4.2)의 일부분들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물 측부 상의 최내각 링(4.2)에 플랜지된 회전 원통형 몸체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곁방(10.1)과 상기 후방 공간(10.2) 사이의 통로는 상기 제 2 최내각 링(4.2)의 내부에 제공된 상기 링 개구부(4.3)에 의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공간(10)은 상기 이물-고물 축(L)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레볼루트 조인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선체부(1.2) 내부에서 자유롭게 추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2 선체부(1.2)의 일부분들에 장착되며, 상기 이물 측부상에 제공된 상기 곁방(10.1)은 상기 제 2 선체부(1.2)의 이물 측부 상의 매칭 리베이트에서 수용되며, 상기 고물 측부 상에 제공된 상기 후방 공간(10.2)은 상기 고물 측부 상에 대응하게 위치한 상기 제 2 선체부(1.2)의 리베이트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는 구동 모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선체부(1.2)는 상기 제 1 선체부(1.1)와 분리될 수 있으며 플러그-온 모터보트 이물부(18)와 결합되어 순수한 모터보트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의 상기 배의 상기 갑판 덮개부의 중앙 영역에 분기 방식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돛대(2)는 분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돛대의 제 1 분기 돌출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부(1.1)의 좌편측부 상의 외벽의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돛대의 제 2 분기 돌출부(2.2)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부(1.1)의 우현측부 상의 외벽의 영역에 끼워 맞춰지며, 바람직하게 각각 상기 리브들 또는 리브들과 유사한 것들의 영역 내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의 분기 영역(2.3) 아래에서, 상기 돛대(2)의 분리 돌출부들(2.1,2.2)은 초기에 상기 배의 외부 방향으로 연속한 요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돛대 돌출부들의 각각의 고정 영역들(2.1.1,2.2.1) 위에서 상기 배를 향해 내부로 연속하는 철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개별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로 구성되며, 상기 돛대 돌출부들의 고정 영역들(2.1.1,2.2.1)에서 분리되고 이격된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의 각각의 공간은 상기 돛대의 첨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테이퍼링되며,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은 상기 돛대의 첨단부와 결합되게 합쳐지며,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로 구성된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은 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구조로 상기 돛대 첨담부를 향해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로 구성되고, 상기 돛대 돌출부들의 고정 영역들(2.1.1,2.2.1) 내에서 분리되고 이격되는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의 각각의 공간은 상기 돛대의 첨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테이퍼링되고,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은 상기 돛대의 분기 영역(2.3)에서 결합되게 합쳐지고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은 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구조로 상기 돛대 첨단부를 향해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 사이에서,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 각각은 횡단 빔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돛대의 첨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오목하게 굴곡된 십자 부재가 바람직하게 십자 빔 브래킷(16)을 이용하여 끼워지며, 바람직하게 고정가능한 고정 피팅부(15)가 상기 십자 부재(14)를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의 분기 영역(2.3)에서 레볼루트 조인트(2.3.1)가 제공되며, 선회 돛대(2.3.2)가 상기 선회 돛대의 상단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선회 돛대(2.3.2)의 하단부는 십자 빔으로서 형성된 십자 부재(14) 상에서 측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가이드된 고정 부재(15)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선회 돛대(2.3.2)의 방사상 길이를 따라 오목한 요면을 가지며, 상기 주 돛(6)의 돛 하단활대 연결부(철주)(6.1)가 상기 고정 부재(15)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돛대(2.3.2)의 전체 영역을 넘어서는 상기 주 돛(6)의 전방부는 상기 선회 돛대(2.3.2)의 홈 내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 부재들(16)은 상기 돛대의 분기 돌출부들(2.1,2.2) 또는 상기 돛대 프로파일들(2.1.01,2.1.02) 각각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고정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돛 전방부(Vorliek)의 최하부에서 상기 돛(6)은 상기 고정 부재(15) 안으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기 용골(3)은 상기 인접한 제 2 선체부(1.2) 아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는 다용도 공간, 특히 취침실 또는 조타실 또는 취사실로서 설계되고, 상기와 같이 설계된 상기 제 2 선체부(1.2)는 두 개의 레볼루트 조인트들을 이용하여, 특히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형태의 레볼루트 조인트와 플러그-인 베어링(9)으로서 설계된 레볼루트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선체부(1.1) 내의 상기 이물-고물 축(L)에 위치한 부품들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상기 제 1 최외각 링(4.1)은 상기 제 1 선체부(1.1)에 고정되게 접속되며 상기 이중-링 롤링 베어링(4)의 제 2 최내각 링(4.2)은 상기 제 2 선체부(1.2)에 고정되게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인 베어링(9)의 플러그-인 스터드(9.1)는 상기 제 2 선체부(1.2)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인 스터드를 위한 부쉬(9.2)는 상기 제 1 선체부(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는 상기 제 1 선체부(1.1)의 주변 용적 내부에서 필수적으로 수용되는 다용도 공간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에서 하측부에 안정화 바닥짐(7)이 제공되며, 상기 안정화 바닥짐(7)은 바람직하게 안정화 바닥짐 판으로서 설계되고 및/또는 모터-구동 조정 장치가 상기 레볼루트 조인트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체부(1.2)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추가 용골(5)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 안정화 바닥짐을 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와 상기 제 2 선체부(1.2) 사이의 또는 상기 제 2 선체부(1.2)와 상기 다용도 공간(10) 사이의 레볼루트 조인트에 의한 경사로 인해 발생한 추축 움직임이 언제든지 분리가능한 방지 장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체부(1.1)와 상기 제 2 선체부(1.2) 사이의 또는 상기 제 2 선체부(1.2)와 상기 다용도 공간(10) 사이의 레볼루트 조인트에 의한 경사로 인해 발생한 상대적인 추축 움직임이 상기 제 2 선체부(1.2) 및/또는 상기 다용도 공간(10)이 항상 절대적인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서보모터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해 배.
KR1020107003888A 2007-08-02 2008-07-30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KR20100045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6584.7 2007-08-02
DE102007036584A DE102007036584B3 (de) 2007-08-02 2007-08-02 Segel-Yacht mit einem krängenden und einem nicht krängenden Bootsrumpf-Teilkörper
DE102008005253A DE102008005253A1 (de) 2007-08-02 2008-01-19 Segel-Yacht mit einem krängenden und einem nicht krängenden Bootsrumpf-Teilkörper, insbesondere kombinierbares Segel-Yacht- und Motorboot-Modulsystem
DE102008005253.1 2008-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491A true KR20100045491A (ko) 2010-05-03

Family

ID=4013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888A KR20100045491A (ko) 2007-08-02 2008-07-30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12566A1 (ko)
EP (1) EP2176118B1 (ko)
JP (1) JP2010535122A (ko)
KR (1) KR20100045491A (ko)
AT (1) ATE524375T1 (ko)
AU (1) AU2008281154A1 (ko)
CA (1) CA2694348A1 (ko)
DE (1) DE102008005253A1 (ko)
DK (1) DK2176118T3 (ko)
WO (1) WO20090156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92U (ko) 2016-03-22 2017-10-10 김영돈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KR20180002006U (ko) 2018-05-10 2018-07-03 피싱코리아(주)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89B1 (ko) * 2010-12-10 2014-12-08 유장욱 요트 조정장치
EP3489128A1 (de) * 2017-11-28 2019-05-29 Becker Marine Systems GmbH Ruderblatt mit modularem aufbau, segment für ein ruderblatt oder für eine vorrichtung zur propulsionsverbess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uderblatts
WO2021178044A2 (en) * 2020-01-09 2021-09-10 Thayermahan, Inc. Multi-hull unmanned wate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894A (en) * 1907-02-26 1907-07-30 James P Pool Navigable vessel.
US3807333A (en) * 1972-12-26 1974-04-30 A Ross Sailboat
US3972300A (en) * 1974-05-28 1976-08-03 Adamski Leo J Sailing craft
US3885512A (en) * 1974-07-15 1975-05-27 Paul M Marcil Catamaran structure
IT1224831B (it) * 1988-12-20 1990-10-24 Quattrostelle S R L Imbarcazioni a vela ad alberatura ad autoadattamento alle condizionidi navigazione
US5072682A (en) * 1990-07-03 1991-12-17 Rodriguez Urroz Augusto C Sailboat with a pivoted mast-to-hull mounting system
AUPM453994A0 (en) * 1994-03-18 1994-04-14 Everett, Peter Kenneth Non-heeling monohull yacht
DE19825930A1 (de) 1998-04-16 1999-08-19 Leitholf System zur Verringerung der Krängung von Wasserfahrzeugen, insbesondere Segelboo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92U (ko) 2016-03-22 2017-10-10 김영돈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KR20180002006U (ko) 2018-05-10 2018-07-03 피싱코리아(주)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05253A1 (de) 2009-07-23
JP2010535122A (ja) 2010-11-18
ATE524375T1 (de) 2011-09-15
EP2176118A1 (de) 2010-04-21
WO2009015650A1 (de) 2009-02-05
AU2008281154A1 (en) 2009-02-05
US20100212566A1 (en) 2010-08-26
DK2176118T3 (da) 2012-01-16
EP2176118B1 (de) 2011-09-14
CA2694348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142A (en) Variable-beam catamaran
US8695520B1 (en) Third generation improved sailboat
US7156031B2 (en) Wide pleasure boat or cruise ship
KR20100045491A (ko) 경사 선체부 및 비경사 선체부를 갖는 항해 요트, 특히 모터보트 모듈 시스템과 조립가능한 항해 요트
EP3317178B1 (en) Wing-type sail system
JPH0788199B2 (ja) 帆艇および帆船の推進装置
US4316424A (en) Wind propelled craft
EP0020121A1 (en) A sailing vessel
US4524709A (en) Collapsible wind propelled water craft
AU760350B2 (en) Craft with tilting sail
US4333412A (en) Spar juncture structure for wind propelled craft
US20220281557A1 (en) Marine craft
US6575107B1 (en) Rotary gear for sailing boats
US5884575A (en) Nautical balance system
KR200450569Y1 (ko) 회전하는 갑판이 구비되며 돛의 양력을 이용하여 항주하는레저기구
US6830003B2 (en) Multihull boat
RU2529042C1 (ru) Гребно-парусная мотолодка поля
US4796554A (en) Sailboat
WO2020070526A1 (en) Revolving sailing catamaran watercraft
RU2714378C1 (ru) Гребно-парусная лодка поля
JPS63500024A (ja) 傾斜帆ヨット
EP0312129A2 (en) Sailing vessel
US20020195040A1 (en) Water craft, such as a boat or a ship
US20140182500A1 (en) Aerodynamic Fairing and Flap for Generating Lif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740692B2 (en) Nautical bal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