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85U -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85U
KR20180001885U KR2020160007296U KR20160007296U KR20180001885U KR 20180001885 U KR20180001885 U KR 20180001885U KR 2020160007296 U KR2020160007296 U KR 2020160007296U KR 20160007296 U KR20160007296 U KR 20160007296U KR 20180001885 U KR20180001885 U KR 20180001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ilding
rotation
ground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816Y1 (ko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2020160007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1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6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provisions to raise or lower the whol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6Rotary buildings; Buildings with rotary units, e.g.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테이너와 지하 공간을 이용한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컨테이너 건축물; 지하에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지상과 지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CONTAINER APPARATUS HAVING COMPLEX ARCHITECTURE OF GROUND AND UNDERGROUND}
본 고안의 실시예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 식 빌라형 건축물, 그리고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고 있는 빌딩형 건축물 등의 다세대나 공동 집합 건축물 등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시공현장에서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한 모든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인건비나 재료 자체의 가격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현재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다양한 건축물 대용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조립시공이 간편하고, 통상의 철골 건축물과 같이 복잡한 시공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놓거나 앵커 등을 지면에 설치하여 고정하면 시공이 완료되어 현재는 다양한 산업체의 사무실, 공장의 경비실 등으로 응용되어 설치시공이 되고 있다.
나아가, 현재에는 컨테이너를 좀 더 고급화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다양한 부자재를 설치 시공하여 집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한 컨테이너 하우스 내지는 컨테이너 사무실로 응용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응용범위는 복층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 유가하락 등으로 경영난으로 인해 폐업하거나 휴점하는 주유소가 증가하고 있다. 주유소를 운영하다 폐업하려면 오염된 토양정화비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비용은 매장 크기에 따라 약 1억 내지 2억 정도의 수준이다. 주유소의 약 1/3 정도가 폐업을 원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비용 발생 문제로 인해 난처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에, 컨테이너를 이용한 주거 또는 사무 공간과, 폐업 주유소에 주유 탱크가 매설되어 있던 지하 공간을 서로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지하 주택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등록특허 제10-1297303호(등록일자: 2013년08월09일)
본 고안은 컨테이너와 지하 공간을 이용한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의 복층형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컨테이너 건축물; 지하에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지상과 지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은,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1 컨테이너;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2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2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된 제3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하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에 고정된 제1 링 기어와, 상기 제1 링 기어에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제1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하부가 상기 제3 컨테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링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에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2 베벨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외측에 설치되고, 지상과 지하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특정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구동 모터에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 동작이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수직 이동 동작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연결 통로;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위치하는 제1 지하 공간과 연결되는 제2 지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하 공간에 위치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에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채광부; 및 상기 제2 지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하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과 외부 간에 출입로를 제공하기 위한 출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컨테이너와 지하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건물 시공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지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상과 지하를 넘나드는 새로운 형태의 주거 및 사무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 시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지상 이동 및 회전된 컨테이너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컨테이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건축물에 형성된 연결 통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공간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 시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지상 이동 및 회전된 컨테이너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컨테이너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건축물에 형성된 연결 통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1000)는 컨테이너 건축물(100), 이동부(200) 및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더불어, 컨테이너 장치(1000)는 근접 센서(400), 특정 물체(500), 채광부(600) 및 출입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100)은 다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건축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110), 제2 컨테이너(120) 및 제3 컨테이너(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컨테이너(110)가 가장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컨테이너(120)가 가장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컨테이너(130)가 제1 및 제2 컨테이너(110,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컨테이너(130)는 최하부의 제1 컨테이너(110)와 최상부의 제2 컨테이너(120) 사이에서 적층되는 컨테이너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3 컨테이너(130)가 하나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하 공간(UG1)에 위치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위치는 이동부(200)의 구동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동부(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110, 120, 130)는 일반적인 화물 수송을 위해 사용되는 규격화된 형태를 취하되, 주거 또는 사무 공간을 위한 개조가 이루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생활하기 위한 시설물을 포함함을 물론, 측벽에 창문이나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바닥 부분에는 회전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3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3 컨테이너(130)의 상부에는 옥상 테라스(1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0)는 제1 지하 공간(UG1)에서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지상과 지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200)는 컨테이너 건축물(100)을 지지 및 리프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동 리프트일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200)의 하부는 제1 지하 공간(UG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는 제1 컨테이너(1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0)는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110, 120, 130)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컨테이너 건축물(100)이 지하에서 지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회전축(311, 321)을 기준으로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를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300)는 제1 및 제2 회전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310)는 제1 컨테이너(110)와 제3 컨테이너(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컨테이너(110)를 기준으로 제3 컨테이너(130)를 제1 회전각(θ1)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3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311), 제1 베벨 기어(312) 및 제1 구동 모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311)의 하부는 제1 컨테이너(1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311)의 상부는 제3 컨테이너(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311)의 하부는 제1 컨테이너(110)의 상부에 용접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311)의 상부는 제3 컨테이너(130)의 하부에 형성된 축 삽입 홈(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제1 회전축(311)이 제3 컨테이너(130)를 지지하되, 제3 컨테이너(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3 컨테이너(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벨 기어(3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 기어(312a)와 제1 피니언 기어(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 기어(312a)는 제1 회전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컨테이너(13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 기어(312a)의 톱니 부분과 제1 회전축(311)을 제외한 상면 부분이 제3 컨테이너(130)의 하부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제1 컨테이너(110)에 고정된 제1 회전축(311)을 중심축(C)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 기어(312b)의 톱니는 제1 링 기어(312a)의 톱니와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구동 모터(31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피니언 기어(312b)와 제1 구동 모터(313)는 제1 컨테이너(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구동 모터(313)의 구동 시 제1 피니언 기어(312b)를 통해 제1 링 기어(312a)만 제1 회전축(311)을 중심축(C)으로 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링 기어(312a)와 결합된 제3 컨테이너(13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모터(313)는 제1 피니언 기어(312b)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양방향에 대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구동 모터(3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피니언 기어(312b)와 함께 제1 컨테이너(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320)는 제3 컨테이너(130)와 제2 컨테이너(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컨테이너(130)를 기준으로 제2 컨테이너(120)를 제2 회전각(θ2)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부(3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321), 제2 베벨 기어(322) 및 제2 구동 모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321)의 하부는 제3 컨테이너(13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321)의 상부는 제2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축(321)의 하부는 제3 컨테이너(130)의 상부에 용접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321)의 상부는 제2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형성된 축 삽입 홈(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제2 회전축(321)이 제2 컨테이너(120)를 지지하되, 제2 컨테이너(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컨테이너(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벨 기어(32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 기어(322a)와 제2 피니언 기어(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 기어(322a)는 제2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 기어(322a)의 톱니 부분과 제2 회전축(321)을 제외한 상면 부분이 제2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제3 컨테이너(130)에 고정된 제2 회전축(321)을 중심축(C)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22b)의 톱니는 제2 링 기어(322a)의 톱니와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구동 모터(32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피니언 기어(322b)와 제2 구동 모터(323)는 제3 컨테이너(1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구동 모터(323)의 구동 시 제2 피니언 기어(322b)를 통해 제2 링 기어(322a)만 제2 회전축(321)을 중심축(C)으로 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링 기어(322a)와 결합된 제2 컨테이너(12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모터(323)는 제2 피니언 기어(322b)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이 있으며, 양방향에 대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구동 모터(3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피니언 기어(322b)와 함께 제3 컨테이너(1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 기어(312a)의 직경(D1)과 제2 링 기어(322a)의 직경(D2)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이하게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 기어(322a)의 직경(D2)이 제1 링 기어(312a)의 직경(D1)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320)에 의한 제2 컨테이너(120)의 제2 회전각(θ2)이 제1 회전부(310)에 의한 제3 컨테이너(130)의 제1 회전각(θ1)보다 커질 수 있다. 물론, 제3 컨테이너(130)의 회전에 따라 제2 컨테이너(120)도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각(θ1)과 제2 회전각(θ2)이 일정 비를 이룰 수는 있으나, 제2 컨테이너(120)와 제3 컨테이너(130)에 대한 회전 정도를 다르게 설정하고 할 경우에는 제1 링 기어(312a)의 직경(D1)과 제2 링 기어(322a)의 직경(D2)을 달리하여 제1 회전각(θ1)과 제2 회전각(θ2)의 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제1 회전각(θ1)이 45도 제2 회전각(θ2)이 90도가 되는 일례를 도시하였으며, 이때, 제2 컨테이너(120)를 90도의 제2 회전각(θ2)으로 회전시킨 제2 회전부(320)는 제1 컨테이너(110)를 기준으로 실제 90도만큼을 회전한 것이 아니라, 제3 컨테이너(130)가 45도만큼 회전함에 따라 그 나머지 45도만큼 회전시킨 것으로, 제1 링 기어(312a)의 직경(D1)과 제2 링 기어(322a)의 직경(D2)이 동일한 경우 이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400)는 특정 물체(500)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건축물(100)이 지상으로 위치 이동할 때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의 회전 시점을 결정하여 자동 실행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근접 센서(400)는, 제1 컨테이너(110)의 측벽 상단 부분에 설치되어 제1 컨테이너(110)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순간, 근접해진 특정 물체(500)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구동 모터(313, 323)에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100) 중에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만 회전하고 제1 컨테이너(110)는 이동부(20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컨테이너(110)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시점부터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의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부터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의 자동 회전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근접 센서(400)를 이용하여 제1 컨테이너(110)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시점을 감지하고, 이를 감지하는 순간, 제1 및 제2 구동 모터(313, 323)에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부(310, 320)가 구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110, 120, 130)가 이동부(200)에 의해 수직 상승 이동(①)하다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400)에 의해 제1 컨테이너(110)가 지상으로 올라옴을 감지하는 순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가 각각 자동으로 회전(②)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부(200)와 근접 센서(400)에 의해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수직 이동과 회전 운동이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회전 운동은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수직 이동과 별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컨테이너 건축물(100)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수직 이동과 함께 회전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근접 센서(40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400)를 턴오프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건축물(100)이 이동부(20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턴온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수직 이동과 함께 지상으로 올라왔을 때 회전 동작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광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건축물(100)이 제1 지하 공간(UG1)에 위치하는 경우 컨테이너 건축물(100)에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채광부(600)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설치된 유리면(610)과, 그 유리면(610) 하부에 형성된 제2 지하 공간(UG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하 공간(UG2)은 제1 지하 공간(UG1)과 연결되며 소정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에서는 외부 햇빛이 제1 지하 공간(UG1)에 위치한 컨테이너 건출물(100)로 비춰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반사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채광부(600)는 컨테이너 건축물(100)에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 지하 공간(UG1)에 위치한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환기를 위한 시설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출입부(700)의 설치 공간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부(700)는 제2 지하 공간(UG2)에 형성되고, 외부와 제1 지하 공간(UG1) 사이의 출입로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외부와 제1 지하 공간(UG1)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건축물(100) 간의 출입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부(700)는 외부에 설치되며 제2 지하 공간(UG2)과 연결되는 출입문(710), 제2 지하 공간(UG2)의 경사면에 설치된 계단(7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단(720)은 출입문(710)과 제1 지하 공간(UG1)에 있는 컨테이너 건축물(100)의 출입문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계단(720)은 경사면에 설치된 반사체(미도시)와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 중 중간 부분에 계단(720)이 설치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 반사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경사면의 양측에 계단(720)이 설치되고, 그 중간 부분에 반사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컨테이너 건축물(100)은 각 컨테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건축물(100)에는 제1 연결 통로(101)와 제2 연결 통로(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통로(101)는, 제1 컨테이너(110)와 제3 컨테이너(130) 사이를 개방하고, 제1 회전부(310)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통로(102)는, 제2 컨테이너(120)와 제3 컨테이너(130) 사이를 개방하고, 제2 회전부(320)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 영역(OA)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첩 영역(OA)이란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의 회전 시 인접하는 컨테이너의 상하부 간 공통적으로 만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간 연결 통로도 중첩 영역(OA) 내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중심축(C)을 이루는 제1 및 제2 회전부(310, 32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제2 및 제3 컨테이너(120, 130)의 회전각과는 무관하게 개방된 크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연결 통로(101, 102)는 제1 및 제2 회전부(310, 320)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컨테이너(120)와 옥상 테라스(140) 사이에 제3 연결 통로(10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나, 옥상 테라스(140)가 생략된 구조에서는 제3 연결 통로(103)의 생략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컨테이너 장치 100: 컨테이너 건축물
110: 제1 컨테이너 120: 제2 컨테이너
130: 제3 컨테이너 101: 제1 연결 통로
102: 제2 연결 통로 103: 제3 연결 통로
140: 옥상 테라스 200: 이동부
300: 회전부 310: 제1 회전부
311: 제1 회전축 312: 제1 베벨 기어
312a: 제1 링 기어 312b: 제1 피니언 기어
313: 제1 구동 모터 320: 제2 회전부
321: 제2 회전축 322: 제2 베벨 기어
322a: 제2 링 기어 322b: 제2 피니언 기어
323: 제2 구동 모터 400: 근접 센서
500: 특정 물체 600: 채광부
610: 유리면 700: 출입부
710: 출입문 720: 계단
θ1: 제1 회전각 θ2: 제2 회전각
C: 중심축 UG1: 제1 지하 공간
UG2: 제2 지하 공간

Claims (7)

  1.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컨테이너 건축물;
    지하에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지상과 지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은,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1 컨테이너;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2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2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층된 제3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하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에 고정된 제1 링 기어와, 상기 제1 링 기어에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제1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하부가 상기 제3 컨테이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링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에 수직 교차되도록 맞물린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2 베벨 기어; 및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외측에 설치되고, 지상과 지하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특정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구동 모터에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회전 동작이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의 수직 이동 동작에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연결 통로;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와 상기 제3 컨테이너 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주변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연결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이 위치하는 제1 지하 공간과 연결되는 제2 지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하 공간에 위치한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에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채광부; 및
    상기 제2 지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하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컨테이너 건축물과 외부 간에 출입로를 제공하기 위한 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KR2020160007296U 2016-12-15 2016-12-15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KR200487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6U KR200487816Y1 (ko) 2016-12-15 2016-12-15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6U KR200487816Y1 (ko) 2016-12-15 2016-12-15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85U true KR20180001885U (ko) 2018-06-25
KR200487816Y1 KR200487816Y1 (ko) 2018-11-07

Family

ID=6274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96U KR200487816Y1 (ko) 2016-12-15 2016-12-15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725A (zh) * 2020-03-08 2020-06-26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可变位x形钢支撑的层高可调型房屋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37A (ja) * 1996-07-18 1998-02-03 Sumitomo Forestry Co Ltd ドライエリアを有する建物
JPH11502910A (ja) * 1995-03-28 1999-03-09 ヴァイア,ジョールジョウ 建物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KR20070120004A (ko) * 2006-06-17 2007-12-21 로라 미콜 피셔 회전 가능한 빌딩 구조체
KR101297303B1 (ko) 2012-12-31 2013-08-16 양경철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KR101572017B1 (ko) * 2015-05-06 2015-11-25 조영진 회전이 가능한 건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2910A (ja) * 1995-03-28 1999-03-09 ヴァイア,ジョールジョウ 建物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JPH1030237A (ja) * 1996-07-18 1998-02-03 Sumitomo Forestry Co Ltd ドライエリアを有する建物
KR20070120004A (ko) * 2006-06-17 2007-12-21 로라 미콜 피셔 회전 가능한 빌딩 구조체
KR101297303B1 (ko) 2012-12-31 2013-08-16 양경철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KR101572017B1 (ko) * 2015-05-06 2015-11-25 조영진 회전이 가능한 건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725A (zh) * 2020-03-08 2020-06-26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可变位x形钢支撑的层高可调型房屋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16Y1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8012B (zh) 一种房屋
JP5841950B2 (ja) 水門扉の昇降開閉装置
KR200487816Y1 (ko)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KR101281265B1 (ko) 지하공간 출입구의 환기 및 채광제어장치
JP2017192367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04405070B (zh) 一种旋转式开合屋盖
KR101053920B1 (ko) 태양광 이동식 방향장치를 가진 에너지 절감형 조립식 주택
AU2017265035A1 (en) Automated structure for hosting modular buildings, respective autom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KR20120124170A (ko) 회전식 방음벽 구조물
CN106801557B (zh) 一种移动式梯顶天窗及其门扇机构
KR102347624B1 (ko) 블럭식 모듈 건축물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CN205100749U (zh) 一种窗户开关系统
CN212305861U (zh) 一种户外信息通信机柜
KR101664327B1 (ko) 바닥 상승식 차수장치
KR20130006927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창호 시스템
JPH10159068A (ja) 水門自昇降式門扉
CN212433738U (zh) 一种室外安装的操控平台
CN204560526U (zh) 一种猴舍的采光结构
CN205476599U (zh) 一种多功能箱式活动房
CN110593606A (zh) 一种全封闭组合式多功能移动工棚系统
CN210422077U (zh) 一种用于立体车库的升降装置
WO2014013271A1 (en) Housing for laser site scanning device
CN108397592A (zh) 瓶塞式平板闸门
CN216476883U (zh) 地轴式平开门自动开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