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624B1 - 블럭식 모듈 건축물 - Google Patents

블럭식 모듈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624B1
KR102347624B1 KR1020210053915A KR20210053915A KR102347624B1 KR 102347624 B1 KR102347624 B1 KR 102347624B1 KR 1020210053915 A KR1020210053915 A KR 1020210053915A KR 20210053915 A KR20210053915 A KR 20210053915A KR 102347624 B1 KR102347624 B1 KR 10234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ainer
module
unit
rot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방산
Original Assignee
원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방산 filed Critical 원방산
Priority to KR102021005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22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characterised by raising a structure and then adding structural elements under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식 조립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은, 제1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 상에 위치되는 제2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회동 기준부; 및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가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럭식 모듈 건축물{Building of block type module}
본 발명은 블럭식 모듈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된 복수의 블럭 컨테이너들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럭식 모듈의 조립 건축물은 소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진다. 컨테이너는 무역 항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각 나라를 연결하는 항구에는 수출 물품들을 가득 실은 많은 양의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폐 컨테이너를 건축 소재로 활용하는 컨테이너 조립 건축물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조립 건축물은 건물의 폭, 길이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고, 모든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설치 및 분해가 쉽지 않으며, 큰 중량을 가져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건축물은 단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각 층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고정된 조망권만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266호(2009.07.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가 적층되고, 적층된 모듈 컨테이너가 회동 가능하여 다양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모듈 컨테이너를 회동시키면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망 방향에 따른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은, 제1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 상에 위치되는 제2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회동 기준부; 및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가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가 적층되고, 적층된 모듈 컨테이너가 회동 가능하여 다양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컨테이너를 회동시키면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망 방향에 따른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가능한 모듈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 지면과 중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3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과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C 영역과 D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제2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모듈 컨테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3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과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에서 (a)는 도 3의 A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b)는 도 3의 B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10)은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이 조립된 건축물일 수 있다. 블럭식 조립 건축물(10)은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 회동 기준부(200), 및 제1 회동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럭식 조립식 건축물은 제1 진동 흡수 부재(500), 제2 진동 흡수 부재(550), 제2 회동 유닛(350), 제1 스토퍼 유닛(400) 및 제2 스토퍼 유닛(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컨테이너들(10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은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블럭식 조립 건축물(10)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제2 모듈 컨테이너(120), 및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모듈 컨테이너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모듈 컨테이너들(100) 각각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컨테이너들(100) 각각은 하측 판넬, 상측 판넬, 좌측 판넬, 우측 판넬, 전방 판넬 및 후방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판넬들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RP는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휨 등의 변형에 매우 안정적이다. 이에 따라, 1~2명의 작업자가 간단한 운반 도구 등을 이용하여 각 판넬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는 지면(G)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는 출입문, 창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 내에는 회동 기준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는 회동 기준부(200)가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홀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는 관통 홀 내에 위치된 회동 기준부(200) 간의 틈새를 막기 위한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미도시)는 관통 홀 내에 위치되고, 회동 기준부(200)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제1 모듈 컨테이너(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1 모듈 컨테이너(1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제1 회동 유닛(300)에 의해 회동되기 전에는 제1 컨테이너와 수직하게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회동 기준부(200)가 관통하는 제1 관통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 홀(123)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위치된 제1 관통 홀(123)을 제1 하부 관통 홀(123a)이라 지칭하고,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상부에 위치된 제1 관통 홀(123)은 제1 상부 관통 홀이라 지칭한다.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관통 홀과 제1 하부 관통 홀(123a)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제2 회동 유닛(350)에 의해 회동되기 전에는 제2 컨테이너에 수직하게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회동 기준부(200)가 관통하는 제2 관통 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 홀(133)은 제3 모듈 컨테이너(13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 기준부(200)는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관통하면서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기준부(200)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관통하면서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회동 기준부(200)는 몸체부(210), 기둥부(220) 및 계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제1 모듈 컨테이너(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회동하지 않도록 제1 모듈 컨테이너(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10)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210)는 복수의 출입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제1 내지 제3 출입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입구는 제1 모듈 컨테이너(110)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출입구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출입구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둥부(220)는 몸체부(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둥부(220)는 몸체부(210)의 중공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둥부(220)는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 및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둥부(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단부(230)는 기둥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계단부(230)는 복수의 계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계단들은 기둥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럭식 모듈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계단부(230)를 통해 적층된 모듈 컨테이너들(1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회동 유닛(300)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가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제2 모듈 컨테이너(120)에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은 제1 회동부(310) 및 제1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 유닛(300)은 제1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부(31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하부와 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회동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회동 부는 제1 회동 바퀴(311)와 제2 회동 바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 바퀴(311)와 제2 회동 바퀴(312)는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하부에 제1 회동부(310)가 삽입되는 제1 경로 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로 홈(125)은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회동 기준부(200)를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경로 홈(125)은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경로 홈(125)에는 제1 회동 바퀴(311)의 일부와 제2 회동 바퀴(31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동 바퀴(311)와 제2 회동 바퀴(312)가 제1 구동부(320)에 의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20)는 제1 회동부(3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구동부(320)는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승강부는 제1 회동부(3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제1 승강부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회동이 필요할 경우, 제1 회동부(310)를 승강시켜 제1 회동부(310)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승강부는 제1 구동부(320)와 제1 회동부(310)를 연결하면서 제1 구동부(320)의 회전력을 회동부에 전달하는 회전 샤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회동 유닛(35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회동 유닛(35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동 유닛(350)은 제3 모듈 컨테이너(130)가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제3 모듈 컨테이너(130)에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회동 유닛(350)은 제2 회동부(360) 및 제2 구동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 유닛(350)은 제2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동부(360), 제2 구동부(370) 및 제2 승강부는 제1 회동부(310), 제1 구동부(320) 및 제1 승강부와 동일한 구성이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하부에 제2 회동부(360)가 삽입되는 제2 경로 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로 홈(135)은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회동 기준부(200)를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경로 홈(135)은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로 홈(135)에는 제2 회동부(360)에 포함된 제3 회동 바퀴와 제4 회동 바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 회동 바퀴와 제4 회동 바퀴는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회동 기준부(200)를 통해 제2 모듈 컨테이너(12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1 관통 홀(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가 제1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될 때, 회동 기준부(200)가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하기도 한다.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회동 기준부(200)를 통해 제3 모듈 컨테이너(13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2 관통 홀(13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가 제2 회동 유닛(350)에 의해 회동될 때, 회동 기준부(200)가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5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9에서 후술하기로 하다.
제1 스토퍼 유닛(400)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유닛(400)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유닛(40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 유닛(40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스토퍼 유닛(40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실린더 유닛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하부에 제1 하부 관통 홀(123a)의 둘레 또는 회동 기준부(20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스토퍼 홈들(12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토퍼 홈들(127)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홈들(127)은 제1 경로 홈(125)과 제1 하부 관통 홀(123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유닛(45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유닛(45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유닛(450)은 제3 모듈 컨테이너(1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퍼 유닛(450)은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스토퍼 유닛(45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실린더 유닛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하부에 제2 관통 홀(133)의 둘레 또는 회동 기준부(20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스토퍼 홈들(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 홈들(137)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홈들(137)은 제2 경로 홈(135)과 제2 관통 홀(1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C 영역과 D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제2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에서 (a)는 도 3의 C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b)는 도 3의 D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제1 관통 홀(12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1 하부 관통 홀(123a)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1 링부(510), 제2 링부(520) 및 제1 탄성 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3 링부(530)와 베어링부(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부(510)는 제1 관통 홀(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링부(510)는 회동 기준부(200)가 관통하는 제1 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부(510)는 회동 기준부(20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링부(510)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링부(520)는 제1 관통 홀(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링부(520)는 그를 관통하는 제2 홀(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523) 내에는 제1 링부(510)와 회동 기준부(2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부(520)는 제1 링부(5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1 링부(510)와 제2 링부(5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링부(510)가 제2 홀(523) 내에서 제2 링부(520)와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제1 링부(510)는 제2 홀(52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링부(520)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40)는 제1 링부(510)와 제2 링부(5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40)는 제1 링부(510)와 제2 링부(5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40)는 회동 기준부(20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부재(540)는 복수의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은 제1 링부(5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부재(540)는 제1 링부(510)와 제2 링부(520)의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고,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 기준부(200)는 지진 등으로 제1 모듈 컨테이너(110)가 흔들릴 때, 제1 링부(510)도 함께 흔들릴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부재(540)는 제1 링부(510)의 흔들림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듈 컨테이너(120)에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3 링부(530)는 제1 관통 홀(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링부(530)는 그를 관통하는 제3 홀(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링부(530)는 제3 홀(533) 내에는 제2 링부(520), 제1 링부(510) 및 회동 기준부(2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링부(530)는 제2 링부(5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2 링부(520)와 제3 링부(5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링부(520)가 제3 홀(533) 내에서 제3 링부(530)와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제2 링부(520)는 제3 홀(53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3 링부(530)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링부(530)는 외주면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돌기(5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링부(530)는 복수의 제1 고정 돌기들(5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들(531)은 제3 링부(53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제1 관통 홀(123)을 감싸는 내주면에 외측을 향해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홈들(12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복수의 제1 고정 홈들(1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홈들(1235)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링부(530)의 제1 고정 돌기들(531) 각각은 제1 고정 홈들(1235)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진동 흡수 부재(500)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 컨테이너(120)가 회동할 때, 제3 링부(530)도 동일하게 회동할 수 있다.
베어링부(545)는 제3 링부(530)와 제2 링부(5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어링부(545)는 회동 기준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부(545)는 제2 링부(52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베어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들의 각각은 제3 링부(530)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함께 회동할 때, 회동할 수 있다. 다만, 베어링들의 회동에 의해 제2 링부(520)는 회동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베어링들의 각각은 볼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4 링부(560), 제5 링부(570) 및 제2 탄성 부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1 진동 흡수 부재(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링부(560)는 제2 관통 홀(13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링부(560)는 회동 기준부(200)가 관통하는 제4 홀(5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링부(560)는 회동 기준부(20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링부(560)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링부(570)는 제2 관통 홀(13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5 링부(570)는 그를 관통하는 제5 홀(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홀(573) 내에는 제1 링부(510)와 회동 기준부(2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링부(570)는 제4 링부(56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4 링부(560)와 제5 링부(5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링부(560)가 제5 홀(573) 내에서 제5 링부(570)와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제4 링부(560)는 제5 홀(57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5 링부(570)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링부(570)는 외주면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돌기(57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링부(570)는 복수의 제2 고정 돌기들(5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들(571)은 제5 링부(57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제2 관통 홀(133)을 감싸는 내주면에 외측을 향해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홈들(13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복수의 제2 고정 홈들(1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홈들(1335)은 제3 모듈 컨테이너(13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5 링부(570)의 제2 고정 돌기들(571) 각각은 제2 고정 홈들(1335)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듈 컨테이너(130)가 회동할 때, 제5 링부(570)도 동일하게 회동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580)는 제4 링부(560)와 제5 링부(5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580)는 제4 링부(560)와 제5 링부(5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580)는 회동 기준부(20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회동 기준부(200)는 그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몸체부(210)의 외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몸체부(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몸체부(210)의 외측면의 둘레를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몸체부(210)의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의 일부는 제2 관통 홀(13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의 나머지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링부(560)는 제4 홀(563)을 둘러싸는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은 제4 링부(560)의 내측면의 둘레를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은 제4 링부(56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은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에 대응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과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550)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가 제2 회동 유닛(350)에 의해 회동될 때, 제4 링부(560)와 제5 링부(570)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제4 링부(560)가 회동함으로써, 제4 링부(560)의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회동 기준부(200)의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제4 링부(560)가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제2 진동 흡수 부재(550)와 제3 모듈 컨트롤러는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모듈 컨테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11)은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 회동 기준부(200), 및 제1 회동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럭식 조립 건축물(11)은 제1 진동 흡수 부재(500), 제1 스토퍼 유닛(400) 및 태양광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럭식 조립 건축물(11)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회동 기준부(200)는, 몸체부(210), 기둥부(220) 및 계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은 제1 모듈 컨테이너(110)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사이 및 제1 관통 홀(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500a)는 제1 링부(510), 제2 링부(520) 및 제1 탄성 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500a)는 도 9의 제2 진동 흡수 부재(55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500a)는 도 8의 제1 진동 흡수 부재(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부(510)는 그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 나선 가이드 라인(215)에 대응되는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선 가이드 라인(565)은 제1 링부(510)의 내측면의 둘레를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은 제1 회동부(310), 제1 구동부(320) 및 제1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회동부(310)는 제1 구동 기어 및 제2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 및 제2 구동 기어는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구동부(320)는 구동 기어들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승강부는 구동 기어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는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는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종동 기어는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회동 기준부(200)를 둘러쌀 수 있다. 종동 기어는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종동 기어는 랙기어일 수 있고, 구동 기어는 평기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광 유닛(600)은 적층된 복수의 모듈 컨테이너들(100) 중 최상측에 위치된 모듈 컨테이너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태양광 유닛(600)은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블럭식 조립 건축물(11)에서는 제3 모듈 컨테이너(1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유닛(600)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과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유닛(600)은 태양광 추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태양광 추적 센서는 CDS 센서일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은 태양광 추적 센서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회동시켜, 태양광 유닛(600)의 발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조립 건축물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모듈 컨테이너(110)를 지면(G)에 설치할 수 있다. 지면(G)에 제1 모듈 컨테이너(110)를 설치한 후, 제1 모듈 컨테이너(110)의 관통 홀을 통해 회동 기준부(200)를 제1 모듈 컨테이너(11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모듈 컨테이너(110)를 설치한 후, 제1 회동 유닛(300)을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회동 유닛(300)을 제1 모듈 컨테이너(110)에 설치한 후, 제1 진동 흡수 부재(500)가 설치된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회동 기준부(200)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제1 하부 관통 홀(123a), 제1 상부 관통 홀, 제1 링부(510)의 제1 홀(513)을 관통하도록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 유닛(300)의 제1 회동부(310)가 제2 모듈 컨테이너(120)의 제1 경로 홈(125)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2 모듈 컨테이너(120)를 제1 모듈 컨테이너(110) 상에 설치한 후,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제2 회동 유닛(350)을 설치할 수 있다. 제2 회동 유닛(350)을 제2 모듈 컨테이너(120)에 설치한 후, 제2 진동 흡수 부재(550)가 설치된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회동 기준부(200)가 제3 모듈 컨테이너(130)의 제2 관통 홀(133), 및 제4 링부(560)의 제4 홀(563)을 관통하도록 제3 모듈 컨테이너(130)를 제2 모듈 컨테이너(120)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동 유닛(350)의 제2 회동부(360)가 제3 모듈 컨테이너(130)의 제2 경로 홈(135)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블럭식 조립 건축물(1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 각각은 제1 회동 유닛(300)과 제2 회동 유닛(350)에 의해 회동 기준부(200)를 기준으로 별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듈 컨테이너(120)와 제3 모듈 컨테이너(130)는 낮과 밤, 계절 또는 태양의 고도와 각도 등 환경 변화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조량의 높일 수 있고, 풍경 변화에 따라 창문의 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다양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된 모듈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회동을 통해 승강이 가능하여, 장애물에 따른 시야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 컨테이너가 회동함으로써, 아래에 있는 모듈 컨테이너의 상부의 일부를 테라스 등을 별도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모듈 컨테이너들(100)은 최하단에 설치된 제1 모듈 컨테이너(110)의 지면(G) 상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11: 블럭식 조립 건축물 100: 모듈 컨테이너들
110: 제1 모듈 컨테이너 120: 제2 모듈 컨테이너
130: 제3 모듈 컨테이너 200: 회동 기준부
300: 제1 회동 유닛 350: 제2 회동 유닛
400: 제1 스토퍼 유닛 450: 제2 스토퍼 유닛
500: 제1 진동 흡수 부재 550: 제2 진동 흡수 부재
600: 태양광 유닛

Claims (9)

  1. 제1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 상에 위치되는 제2 모듈 컨테이너;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회동 기준부;
    상기 제1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가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동 유닛; 및
    상기 회동 기준부를 통해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는, 상기 회동 기준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기준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제1 링부;
    상기 제1 관통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링부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이격되는 제2 링부; 및
    상기 제1 링부와 상기 제2 링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기준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기준부는 그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나선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부는, 그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나선 가이드 라인에 맞물리는 제2 나선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선 가이드 라인은 상기 회동 기준부의 외측면의 둘레를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선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링부의 내측면의 둘레를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링부를 둘러싸면서 이격되는 제3 링부; 및
    상기 제3 링부와 상기 제2 링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기준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2 링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3 링부의 회동에 의해 회동하는 복수의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유닛은,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와 접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부는 제1 회동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는, 상기 제1 회동 바퀴가 삽입되는 제1 경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 홈은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상기 회동 기준부를 둘러싸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회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는,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어는,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상기 회동 기준부를 둘러싸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 상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기준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 홀을 갖는 제3 모듈 컨테이너; 및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3 모듈 컨테이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모듈 컨테이너가 상기 회동 기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3 모듈 컨테이너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2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기준부는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3 모듈 컨테이너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 모듈 컨테이너와 상기 제3 모듈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블럭식 모듈 건축물.
KR1020210053915A 2021-04-26 2021-04-26 블럭식 모듈 건축물 KR10234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15A KR102347624B1 (ko) 2021-04-26 2021-04-26 블럭식 모듈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15A KR102347624B1 (ko) 2021-04-26 2021-04-26 블럭식 모듈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624B1 true KR102347624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15A KR102347624B1 (ko) 2021-04-26 2021-04-26 블럭식 모듈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6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66Y1 (ko) 2009-03-30 2009-07-14 이대화 조립식 건물의 구조
KR20140021363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진동 컨테이너 지지 장치
KR101395829B1 (ko) * 2012-09-19 2014-05-15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전동식 3륜 또는 4륜 스쿠터용 동력전달장치
KR102079392B1 (ko) * 2019-04-19 2020-02-19 대한민국 적층 가능한 임시주거용 주택
KR102112823B1 (ko) * 2019-09-03 2020-05-19 이엔테크 주식회사 3축 진동 흡수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수배전반
KR102214089B1 (ko) * 2020-09-25 2021-02-08 허계용 컨베이어에 채용되는 볼베어링의 외륜체 제동력 유지용 프릭션 롤러
KR102219977B1 (ko) * 2020-12-30 2021-02-24 코리아드림 주식회사 컨테이너 주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66Y1 (ko) 2009-03-30 2009-07-14 이대화 조립식 건물의 구조
KR20140021363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진동 컨테이너 지지 장치
KR101395829B1 (ko) * 2012-09-19 2014-05-15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전동식 3륜 또는 4륜 스쿠터용 동력전달장치
KR102079392B1 (ko) * 2019-04-19 2020-02-19 대한민국 적층 가능한 임시주거용 주택
KR102112823B1 (ko) * 2019-09-03 2020-05-19 이엔테크 주식회사 3축 진동 흡수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수배전반
KR102214089B1 (ko) * 2020-09-25 2021-02-08 허계용 컨베이어에 채용되는 볼베어링의 외륜체 제동력 유지용 프릭션 롤러
KR102219977B1 (ko) * 2020-12-30 2021-02-24 코리아드림 주식회사 컨테이너 주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76967B (zh) 用于光伏发电的太阳跟踪器
CN101908841B (zh) 用于双向跟踪并聚集光线的屋顶安装型装置
KR102227755B1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US9362863B2 (en) Building body with solar tracking device
KR101264846B1 (ko) 태양광 트랙커 및 태양광 발전장치
WO2016169298A1 (zh) 一种用于太阳能板的旋转驱动装置
KR101724314B1 (ko) 접이식 태양전지 모듈
CN101173826A (zh) 太阳跟踪装置
KR102347624B1 (ko) 블럭식 모듈 건축물
CN107800366A (zh) 具有偏心齿轮的太阳跟踪系统驱动器
US10965244B2 (en) Handling system for solar energy receptor devices
KR101247663B1 (ko) 태양광 모듈의 회전지지장치
CN105186979A (zh) 一种开合式太阳能电池组件
KR100751040B1 (ko) 기둥상부 보관형 태양광 가로등
JP2018098999A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230160246A1 (en) Revolving door
KR200487816Y1 (ko) 지상 및 지하의 복합 건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장치
KR102108220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JP4272045B2 (ja) 回転式建築構造物
EP1064435A1 (fr) Structure architecturale orientable
KR10134979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14632Y1 (ko) 기둥상부 보관형 태양광 가로등
CN217159618U (zh) 一种光伏电池板的追踪调节装置
KR10109192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48168B1 (ko) 회전주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