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74A -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74A
KR20180001874A KR1020160080898A KR20160080898A KR20180001874A KR 20180001874 A KR20180001874 A KR 20180001874A KR 1020160080898 A KR1020160080898 A KR 1020160080898A KR 20160080898 A KR20160080898 A KR 20160080898A KR 20180001874 A KR20180001874 A KR 2018000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movable member
tension
roll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유호근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74A/ko
Priority to PCT/KR2017/002486 priority patent/WO2018004108A1/ko
Priority to US16/312,932 priority patent/US10908536B2/en
Publication of KR2018000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74A/ko
Priority to US17/136,501 priority patent/US115069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사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 상기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백업롤러의 양 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한다.
개시된 전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한다.
아울러,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전사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방법은, 전사벨트가 상기 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어느 하나의 롤러의 축 방향으로 쏠릴 경우, 롤러의 축에 연결된 가동부재가 전사벨트와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여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Transferr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of belt meandering}
본 발명은 전사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중간전사매체를 이용하여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일례로, 중간전사매체는 감광매체와 접촉하여 주행하는 전사벨트가 많이 이용된다. 전사벨트는 감광매체로부터 칼라별 화상을 중첩 전사 받아 원하는 색상의 화상을 얻고, 최종 중첩 화상은 전사벨트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인쇄매체로 옮겨진다. 전사벨트는 복수의 지지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중첩 전사된 칼라화상을 인쇄매체로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사벨트는 지지롤러들에 의해 주행될 경우, 지지하고 있는 롤러의 기구적 오차로 인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어느 한쪽으로 전사벨트가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칼라화상의 정합성에 문제와 전사벨트의 좌우 장력이 불균일하여 누적된 피로(Fatigue)로 인해 전사벨트가 갈라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사벨트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벨트의 좌우 장력 불균형으로 인한 전사벨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 상기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백업롤러의 양 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전사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방법은,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어느 하나의 롤러의 축 방향으로 쏠릴 경우, 상기 롤러의 축에 연결된 가동부재가 상기 전사벨트와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사벨트의 사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는 프레임(50)과, 적어도 한 쌍의 롤러(30, 40), 한 쌍의 롤러(30, 40)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 전사벨트(20) 및 전사벨트(20)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유닛(100)을 포함한다.
전사벨트(20)는 주행하면서 감광매체의 화상을 전사 받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이때, 한 쌍의 롤러(30, 4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30)이고, 다른 하나는 전사벨트(20)를 지지하여 구동롤러(30)와 함께 회전하는 백업롤러(4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는 백업롤러(4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전사벨트(20)에 기 설정된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구동롤러(30)와 백업롤러(4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레임(50)은 구동롤러(30)의 회전축(31) 및 백업롤러(40)의 회전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전사벨트(20)는 구동롤러(30) 및 백업롤러(40)에 의해 용이하게 일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는 홀더(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의 일단부는 프레임(5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홀더(120)의 타단부는 텐션롤러(60)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홀더(120)는 후술하는 가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텐션롤러(60)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사행방지유닛(100)은 연결링(105)과 가동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105)은 백업롤러(40)의 회전축(41)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가동부재(110)는 연결링(105)의 외측에 연결되어 연결링(10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링(105)은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연결링(105)의 중공은 회전축(41)에 삽입된다. 연결링(105)은 백업롤러(40)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연결링(105)는 백업롤러의 회전축(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사벨트(20)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고, 백업롤러(40)와 따로 회전할 수 있다.
가동부재(110)는 백업롤러(40)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사벨트(20)가 사행되어 전사벨트(20)의 일 측면이 가동부재(110)에 접촉할 경우, 가동부재(110) 및 연결링(105)은 전사벨트(2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가동부재(110)는 전사벨트(2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를 전사벨트(20)에 전달하도록 일측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가동부재(110)는 백업롤러(40)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1101)와, 몸체(1101)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날개(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1)는 백업롤러(40)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전사벨트(20)가 사행될 경우, 전사벨트(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사벨트(2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날개(1102)의 일단부는 몸체(1101)에 연결되고 날개(1102)의 타단부는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날개(1102)는 몸체(1101)의 외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직선부들(1102a)과 직선부들(1102a)을 연결하는 곡면부(1102b)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사벨트(20)의 사행에 의해 가동부재(110)가 회전할 경우, 날개(1102)에 마련된 곡면부(1102b)를 통해 후술하는 홀더(120)의 접촉면(1205)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홀더(120)는 프레임(50)의 외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프레임(50)의 양 측면에는 외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부(51)가 마련되어 홀더(120)는 수용부(51)에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홀더(120)의 일단부는 프레임(50)에 마련된 회전축(1201)에 결합되도록 홀(1203)이 형성되어 프레임(5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홀더(120)의 일면(상면)에는 가동부재(110)와 접촉하도록 기 설정된 폭을 가지는 접촉면(120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는 홀더(120)와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홀더(120)와 프레임(5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 고정부(1208)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 고정부(1208)는 홀더(120)와, 프레임(50)의 수용부(51)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각각 대향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30)의 위치 또는 탄성부재 고정부(1208)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105), 가동부재(110) 및 홀더(120), 그리고 탄성부재(130)는 백업롤러(40)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측에 위치한 연결링(105), 가동부재(110) 및 홀더(120), 그리고 탄성부재(13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타 측에 위치한 연결링(105), 가동부재(110) 및 홀더(120), 그리고 탄성부재(130)의 구조 및 작동과정은 일측에 위치한 구성들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홀더(120)의 위치가 가변되는 과정은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전사벨트의 사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도 5a 및 도 5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 도 6a 및 도 6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 도 5a 및 도 5b을 참조하면, 전사벨트(20)가 가동부재(110)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주행할 경우, 가동부재(110)는 홀더(120)의 접촉면(1205)을 기 설정된 힘(Fg1)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30)는 홀더(120)에 기 설정된 탄성력(F1)을 제공함으로써, 텐션롤러(60)는 기 설정된 힘(Fg1 + F1)으로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b,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전사벨트(20)가 일 측을 향해 사행이 발생할 경우, 전사벨트(20)의 일 측면이 가동부재(110)에 접촉하여 가동부재(110)는 회전하게 된다. 가동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힘은 홀더(120)에 인가된다. 홀더(120)에 인가된 힘(Fg2)에 의해 텐션롤러(60)는 전사벨트(20)를 가압하여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전사벨트(20)의 일측과 타측에 가해지는 힘의 차이가 사행상태에서의 전사벨트(20)의 일측과 타측에 가해지는 힘의 차이보다 작아지게 된다. 즉, 전사벨트(20)의 양 측의 장력의 차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사벨트(20)에 가해지게 되는 사행력이 감소하여 전사벨트(20)는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a)는 프레임(50a), 홀더(120a), 사행방지유닛(100a) 및 탄성부재(130a)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a)의 일단부는 프레임(50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홀더(120a)의 타단부에는 텐션롤러(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행방지유닛(100a)은 가동부재(110a) 및 연결링(105a)을 포함한다. 가동부재(110a)는 전사벨트(20)가 사행될 경우, 전사벨트(20)와 접촉(마찰력)에 의해 구동되어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a)는, 탄성부재(130a)가 가동부재(110a)와 홀더(120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동부재(110a)의 날개(1102a)에는 홀더(120a)의 접촉면(1205a)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면(111a)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고정부(1208a)는 설치면(111a)과 홀더(120a)의 접촉면(1205a) 사이에 각각 대향되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탄성부재(130a)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전사벨트(20)가 가동부재(111a)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주행할 경우, 탄성부재(130a)는 홀더(120a)에 기 설정된 탄성력(F1)을 제공하여 텐션롤러(60)는 전사벨트(20)에 기 설정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사벨트(20)가 일 측을 향해 사행이 발생할 경우, 전사벨트(20)의 일 측면이 가동부재(111a)에 접촉한다. 가동부재(111a)는 전사벨트(20)에 맞닿아 회전하여 발생한 힘(Fg1)을 탄성부재(130a)에 인가시킨다. 탄성부재(130a)에 인가된 힘(F1+Fg1)은 홀더(120)를 가압하여 텐션롤러(60)를 이동시킴으로써 텐션롤러(60)는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증가시킨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전사벨트의 사행 발생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먼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b)는 프레임(50), 홀더(120b), 사행방지유닛(100b) 및 탄성부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b)의 일단부는 프레임(50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홀더(120b)의 타단부에는 텐션롤러(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행방지유닛(100b)은 가동부재(110b) 및 연결링(105b)을 포함한다. 가동부재(110b)는 전사벨트(20)가 사행될 경우, 전사벨트(20)와 접촉(마찰력)에 의해 구동되어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동부재(110b)는 백업롤러(40)의 회전축(41)에 연결되는 연결링(105b)에 연결되어 백업롤러(4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동부재(110b)는 연결링(105b) 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몸체(111b)와 몸체(111b)로부터 돌출되는 날개(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110b)는 날개(112b)에 마련되는 아이들 롤러(110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 롤러(1109b)는 몸체(111b)를 향해 돌출되어 날개(112b)와 따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아이들 롤러(1109b)는 전사벨트(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몸체(111b)의 회전에 의해 전사벨트(20)에 접촉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b)는 홀더(120b)와 프레임(50b)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130b)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 고정부(1208b)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 고정부(1208b)는 홀더(120b)와 수용부(51b) 사이에 각각 대향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30b)는 홀더(120b)를 향해 탄성력(F1)을 제공하여 텐션롤러(60)는 전사벨트(20)에 기 설정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사벨트(20)가 사행이 발생할 경우, 전사벨트(20)의 일 측면이 가동부재(110b)에 접촉한다. 가동부재(110b)는 전사벨트(20)에 맞닿아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 롤러(1109b)는 전사벨트(20)를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가동부재(110b)의 모멘트에 의해 발생한 힘(Fg1)은 아이들 롤러(1109b)를 통해 전사벨트(20)에 직접 가압함으로써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전사벨트(20)의 양 측의 장력의 차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사벨트(20)에 가해지게 되는 사행력이 감소하여 전사벨트(20)는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와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사행 발생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와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의 사행 발생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먼저, 도 12a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c)는 프레임(50c), 홀더(120c), 사행방지유닛(100c) 및 탄성부재(130c)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c)의 일단부는 프레임(50c)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홀더(120c)의 타단부에는 텐션롤러(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행방지유닛(10c)은 가동부재(110c) 및 연결링(105c)을 포함한다. 가동부재(110c)는 전사벨트(20)가 사행될 경우, 전사벨트(20)와 접촉(마찰력)에 의해 구동되어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사벨트(20)는 내 측단부에 각각 기 설정된 폭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레일(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110c)은 백업롤러(40)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백업롤러(4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링(105c)은 백업롤러(40)의 회전축(41)에 연결되고, 가동부재(110c)는 연결링(105c)과 백업롤러(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링(105c)은 백업롤러(40)보다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써 전사벨트(20)의 내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가동부재(110c)는 백업롤러(40)의 외경보다 작고 연결링(105c)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사벨트(20)의 사행이 발생하기 전에는, 가이드 레일(21)은 가동부재(110c)와 접촉하지 않으며, 탄성부재(130c)는 홀더(120c)에 탄성력(F1)을 인가하여 텐션롤러(60)는 전사벨트(20)에 기 설정된 장력을 인가한다.
가동부재(110c)는 날개의 선단부에 가이드 돌기(115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120c)는 가이드 돌기(115c)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25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115c)는 가이드 홈(125c)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할 경우, 텐션롤러(60)가 전사벨트(20)에 인가하는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b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가 사행이 발생할 경우, 가이드 레일(21)이 가동부재(110c)와 접촉함으로써 가동부재(110c)는 가이드 레일(21)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된 힘에 의해 가이드 돌기(115c)는 가이드 홈(125c)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홀더(120c)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힘(Fg2)은 탄성부재(130c)를 가압하여 홀더(120c)와 프레임(50) 사이의 탄성력(F1')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사벨트(20)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소된다.
따라서, 즉, 전사벨트(20)의 양 측의 장력의 차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사벨트(20)에 가해지게 되는 사행력이 감소하여 전사벨트(20)는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사장치(10, 10a, 10b, 10c)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사벨트(20)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칼라 화상의 정합성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벨트(20)의 좌우 장력 불균형으로 인한 전사벨트(2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부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2) 및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사장치(10, 10a, 10b, 1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에는 다수 매의 용지가 수납되는 급지유닛(3)과 현상장치(4), 전사장치(10, 10a, 10b, 10c), 정착장치(7) 및 배지유닛(9)이 설치될 수 있다.
인쇄가 시작되면, 급지유닛(3)에 수납된 용지는 현상장치(4) 측으로 이송되며, 현상장치(4)는 감광매체(4a) 표면에 화상정보에 따라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전달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시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장치(10, 10a, 10b, 10c)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 전사닙에서 가시화상을 전사장치(10, 10a, 10b, 10c)로 전달한다.
일례로, 화상형성장치(1)는 컬러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각 색상별로 감광매체(4a)가 개별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벨트(20)가 1회전할 때 4가지 색상이 한번에 인쇄되어 고속인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컬러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장치(7)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컬러 화상이 용지 표면에 고착되고, 배지유닛(9)을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컬러 화상형성장치 외에도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2 : 본체
3 : 급지유닛 4 : 현상장치
7 : 정착장치 9 : 배지유닛
10 : 전사장치 20 : 전사벨트
30 : 구동롤러 40 : 백업롤러
50 : 프레임 60 : 텐션롤러
100 : 사행방지유닛 105 : 연결링
110 : 가동부재 120 : 홀더
1205 : 접촉면 1208 : 탄성부재 지지부
130 : 탄성부재

Claims (20)

  1.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
    상기 구동롤러 및 백업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백업롤러의 양 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백업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링; 및
    상기 연결링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를 상기 전사벨트에 전달하도록 일측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와 접촉하여 기 설정된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 및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텐션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동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텐션롤러의 위치를 가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연결링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사벨트의 내면을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를 가압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의 타단부는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몸체에 각각 연결되는 직선부와 각각의 상기 직선부를 연결되어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곡면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은 상기 백업롤러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백업롤러의 외경보다 큰, 화상형성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가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연결링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홀더의 일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연결링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사벨트의 내면을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날개와 따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는 내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할 경우,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백업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링; 및
    상기 연결링과 상기 백업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백업롤러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연결링의 외경보다 큰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와 접촉하여 기 설정된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 및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텐션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동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텐션롤러의 위치를 가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가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화상형성장치.
  17.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 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벨트; 및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하는 사행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전사벨트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전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링; 및
    상기 연결링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를 상기 전사벨트에 전달하도록 일측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전사장치.
  19.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전사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가 상기 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어느 하나의 롤러의 축 방향으로 쏠릴 경우, 상기 롤러의 축에 연결된 가동부재가 상기 전사벨트와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전사벨트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상기 전사벨트에 접촉하는 텐션롤러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장력을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전사벨트의 사행방지방법.
KR1020160080898A 2016-06-28 2016-06-28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KR20180001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98A KR20180001874A (ko) 2016-06-28 2016-06-28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PCT/KR2017/002486 WO2018004108A1 (ko) 2016-06-28 2017-03-08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US16/312,932 US10908536B2 (en) 2016-06-28 2017-03-08 Transf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venting meandering of transfer belt
US17/136,501 US11506998B2 (en) 2016-06-28 2020-12-29 Transfer device having meandering prevention member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98A KR20180001874A (ko) 2016-06-28 2016-06-28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74A true KR20180001874A (ko) 2018-01-05

Family

ID=607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898A KR20180001874A (ko) 2016-06-28 2016-06-28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908536B2 (ko)
KR (1) KR20180001874A (ko)
WO (1) WO20180041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679B1 (ko) * 2007-03-06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2692852B (zh) * 2007-07-13 2015-03-25 株式会社理光 带装置和成像设备
JP2009069753A (ja) * 2007-09-18 2009-04-02 Oki Data Corp ベルト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99055A (ja) * 2008-01-21 2009-09-03 Seiko Epson Corp 転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531622B1 (ko) * 2008-06-18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정착장치 및 벨트어셈블리
JP2012032437A (ja) * 2010-07-28 2012-02-1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076863A (ja) * 2011-09-30 2013-04-25 Canon Inc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27950B2 (ja) * 2012-01-30 2015-06-03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738619B1 (en) * 2012-11-29 2021-04-21 Canon Kabushiki Kaisha Bel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79581B2 (ja) * 2014-03-28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44507B2 (ja) * 2015-09-30 2020-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ルト周回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108A1 (ko) 2018-01-04
US20210116845A1 (en) 2021-04-22
US10908536B2 (en) 2021-02-02
US11506998B2 (en) 2022-11-22
US20190258194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903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transfer device
CN107229207B (zh) 成像设备
US20070183816A1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08727B2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453128B2 (en) Paper separating apparatus of printer
US9014603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010689A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19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14670A (ja) 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80001874A (ko) 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그리고 사행방지방법
JP4622610B2 (ja) 画像形成装置
US7398042B2 (en) Belt clutch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2141062A1 (ja) 二次転写ユニットの変位機構
KR101320842B1 (ko)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23512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60346A (ja) 画像形成装置
JP4375178B2 (ja) 画像記録装置
US2023041818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68351A (ja) ベルト蛇行防止機構及びその補正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95222B2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037018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잼방지장치
EP1096328B1 (en) Photoreceptor web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5138942A (ja) 連続紙用プリンタの用紙排出システム、及び用紙排出方法
JP2008081273A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98777B2 (ja) 転写ローラ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