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05U -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05U
KR20180001505U KR2020160006599U KR20160006599U KR20180001505U KR 20180001505 U KR20180001505 U KR 20180001505U KR 2020160006599 U KR2020160006599 U KR 2020160006599U KR 20160006599 U KR20160006599 U KR 20160006599U KR 20180001505 U KR20180001505 U KR 20180001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horizontal
vertical distance
data measur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14Y1 (ko
Inventor
김낙점
김옥윤
박기열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1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66C13/063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송 대상물의 주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크레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또는 크레인에 구비되고 크레인과 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 및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MONITERING SYSTEM OF CRAIN}
본 고안은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수차발전기 등 산업설비는 점검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분해 및 조립이 이루어진다. 발전기에 이용되는 로터를 분해하고 조립할 때, 로터를 인양하기 위해 크레인이 사용된다. 대형 수차발전기의 경우 로터(1)의 무게는 500톤에 달하고, 로터(1)의 인양 시 크레인(3)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3a, 3b)의 길이가 다르면 로터(1)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해 로터(1) 주변에 위치한 고정자(2)에 접촉할 수 있다(도 1, 도2 참조).
따라서, 종래에는 로터가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느 정도 인양한 후 작업자가 직접 로터에 올라가 로터의 수평상태를 점검하였다. 점검은 공간이 협소하고 높이가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정밀하게 로터의 수평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일 과제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송 대상물의 주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크레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또는 크레인에 구비되고 크레인과 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 및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다른 예에서, 고정부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는 수평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 개의 수직 거리 센서는 크레인의 수평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 개의 수직 거리 센서는 크레인의 수평방향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될 수 이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정부에 위치하고, 고정부와 이송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평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와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과,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부로부터 모니터링된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산기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 또는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전산기기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는, 수직 거리센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조정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수평조정장치는, 수직 거리센서에 결합되고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 결합되고 크레인 또는 고정부에 부착되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측정부는, 지면에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1 수평계 및 제2 수평계,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대각선 방향인 제3 방향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3 수평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정부는, 크레인 또는 고정부에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제1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조정로드 및 일단은 제1 조정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측정부에 연결되며,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조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 거리센서 또는 수평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정밀하게 가공된 수평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밀하게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로터를, 로터를 둘러싸고 있는 고정자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산기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정장치에 결합된 거리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와 측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로터를, 로터를 둘러싸고 있는 고정자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대형 수차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로터(이송 대상물)(1)는, 수차발전기의 정비 시 발전기로부터 분해할 필요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좌우 측에 와이어(3a, 3b)가 구비된 크레인(3)에 로터(1)를 결합시키고, 크레인(3)의 높이를 조절하여 로터(1)를 리프트한 후, 로터(1)를 이송시킨다. 이때 발전기의 운전 시 회전하지 않고, 로터(1)를 둘러싸고 있는 고정자(고정부)(2)에 로터(1)가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2)에 로터(1)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로터(1)를 리프트하는 크레인(3)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이송 대상물(예를 들어, 로터)(1)의 주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예를 들어, 고정자)(2)에 간섭되지 않도록, 크레인(3)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지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고정부(2)는 크레인(3)의 하측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고정부(2) 또는 크레인(3)에 구비되어, 크레인(3)과 고정부(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센서(5)는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2에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고정부(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크레인(3)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자석에 의해 고정부(2) 또는 크레인(3)에 부착될 수 있는 경우, 크레인(3) 또는 고정부(2)의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부(2)와 크레인(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수직 거리센서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무선으로 제어부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와 같이, 크레인(3) 또는 고정부(2)에 구비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면, 작업자가 직접 크레인(3)에 올라가서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점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형 수차발전기에 이용되는 대형 로터의 경우, 사람이 직접 수평상태를 점검하다 보면 작업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거리센서를 통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고정부(2)의 수평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를 통해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수직 거리센서(5)는 크레인(3)을 향해 지면에 정확히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을 위한 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고정부(2)가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고정부(2)의 수평면에 구비되면, 지면에 정확히 수직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각 수직 거리센서(5a, 5b)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어느 쪽에 구비된 와이어(3a, 3b)의 높이를, 어느 정도 조절해야 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거리센서(5)가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2개 구비되어 있는 경우, 좌측 거리센서(5a)에서 측정된 거리가 100cm, 우측 거리센서(5b)에서 측정된 거리가 80cm라면, 우측 크레인(3)의 높이를 10cm 상승시켰을 때 크레인(3)이 수평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C)을 기준으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리센서가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C)에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되면 보다 정확하게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3)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라도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C) 근처에서는 그 높이차이가 미세할 수 있다. 그러나, 크레인(3)의 수평방향으로 좌우 가장 먼 측의 높이차이는 크레인의 수평방향의 중심(C)보다 증가할 수 있다. 수평상태에서 각도가 미세하게 틀어지더라도 중심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리센서(5)를 크레인(3)의 수평방향의 중심에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이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제어부에 입력되어있는 값으로,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깨진 것으로 판단하는 각 부분에서의 크레인(3)과 고정부(2) 사이의 거리의 차이 값을 의미한다.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계측되면, 작업자는 크레인(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수평을 조절한 후 작업을 재개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3)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평 거리센서(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거리센서(7)는 고정부(2)에 위치하고, 고정부(2)와 이송 대상물(1)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수평 거리센서(7) 역시 데이터 송수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와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 대상물(1)을 리프트할 때,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이송 대상물(1)이 기울면서 고정부(2)에 부딪힐 수 있다. 수평 거리센서(7)가 이송 대상물(1)과 고정부(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거리센서만 이용할 때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1)을 리프트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과,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수평 거리센서(7)에 대해서 기준 값이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제어부에 입력되어있는 값으로,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깨진 것으로 판단하는 이송 대상물(1)과 고정부(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 거리센서(7)가 고정부(2)의 도면 상 좌측에 구비되어 있는데,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이송 대상물(1)이 오른쪽으로 기울면, 이송 대상물(1)의 우측과 도면 상 우측에 도시된 고정부(2)가 부딪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수평 거리센서(7)와 고정부(2) 사이의 거리가 기준 값을 초과했을 때 이송 대상물(1)의 우측과 고정부(2)가 부딪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이송 대상물(1)이 왼쪽으로 기울면, 이송 대상물(1)의 좌측과 도면 상 좌측에 도시된 고정부(2)가 부딪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수평 거리센서(7)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준 값 이하가 되는 경우도 고려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 거리센서(7)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는 각 수평 거리센서(7)에서 측정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산기기의 화면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3)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부로부터 모니터링된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산기기(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 및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의해 크레인(3)의 수평상태가 계측된 결과가 전산기기(9)에 표시될 수 있다.
기준 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준선(A)이 표시되어,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 및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이 기준 값이 넘는지 알아보기 쉽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 또는 상기 수평 거리센서(7)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전산기기(9)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산기기(9)에 표시된 알림, 예를 들어 화면이 붉게 되는 현상 또는 경고음 등을 인식하여 크레인(3)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조절한 후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정장치에 결합된 거리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와 측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수직 거리센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수평조정장치(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같이 거리 센서(5)를 이용하여 크레인(3)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거리센서(5)가 크레인(3) 또는 고정부(2)를 향해서 지면에 정확히 수직하게 광(예를 들어, 레이저)을 조사하는 것이다. 광을 조사하는 각도가 아주 미세하게 틀어지더라도, 측정 거리가 멀어질수록 측정된 거리의 오차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5)는 지면에 정확히 수직인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거리 센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조정장치(20)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조정장치(20)는 측정부(30)와 조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30)는 수직 거리센서(5)에 결합되어 수직 거리센서(5)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측정부(30)와 수직 거리센서(5)가 결합될 때, 측정부(30)의 수평면(301)과 거리 센서(5)의 광조사부(53)가 형성된 수평면(51)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도록 정밀하게 가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수평조정장치(20)는 측정부(30)와 수직 거리센서(5)의 결합을 위해 측정부(30)의 하측과 수직 거리센서(5)에 일측이 결합되는 브라켓(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30), 브라켓(33) 및 거리센서(5)가 일체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조정부(40)는 측정부(30)에 결합되고 크레인(3) 또는 고정부(2)에 부착되어 수평조정장치(20)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부(40)에 의해 측정부(3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면, 측정부(30)와 거리센서(5)의 수평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측정부(30)는 제1 수평계(30a), 제2 수평계(30b) 및 제3 수평계(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계(30a) 및 제2 수평계(30b)는, 지면에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I) 및 제2 방향(II)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수평계(30c)는 제1 방향(I)과 제2 방향(II)의 대각선 방향인 제3 방향(III)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3방향에서의 수평을 조정하면 보다 정밀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각 수평계(30a, 30b, 30c)로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물방울 수평계가 이용될 수 있다. 수평을 맞출 수 있다면 다른 수평계가 이용될 수 있다.
조정부(40)는 베이스(41)와 제1 조정로드(43) 및 제2 조정로드(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1)는 크레인(3) 또는 고정부(2)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부착대상이 자성을 갖는 경우 자석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자석에 의해 부착하면 누구나 손쉽게 수평조정장치(2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조정로드(43)는 제1 방향(I)을 회전 중심(C1)으로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4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41)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제1 지지로드(47)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조정로드(43)를 회전시키면 제1 수평계(30a) 및 제3 수평계(30c)의 수평상태가 변동하고, 제1 수평계(30a) 및 제3 수평계(30c)의 변동을 확인하여 수직 거리센서(5)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정로드(47)의 일단은 제1 조정로드(43)에 연결되고 타단은 측정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정로드(47)는 제2 방향(II)을 회전 중심(C2)으로 회전 가능하여, 제2 조정로드(47)를 회전시키면 제2 수평계(30b) 및 제3 수평계(30c)가 변동할 수 있다. 제3 수평계(30c)의 변동을 확인하여 수직 거리센서(5)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수직 거리센서(5)의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수평조정장치(20)를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고 정밀하게 수직 거리센서(5)의 광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2)에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이 없는 경우라도, 조정부(40)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지면에 정확히 수직한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1)가 자석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므로, 크레인(3)의 하측면 또는 고정부(2)의 상측면에 수직 거리센서를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고정부(2) 또는 크레인(3)의 측면에도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송 대상물
2: 고정부
3: 크레인
5: 수직 거리센서
7: 수평 거리센서
9: 전산기기
20: 수평조정장치
30: 측정부
40: 조정부

Claims (11)

  1. 이송 대상물의 주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크레인에 구비되고 상기 크레인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는 상기 수평면에 구비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 센서는 상기 크레인의 수평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 센서는 상기 크레인의 수평방향의 중심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된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상기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송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평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와 상기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과, 상기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계측하여 상기 크레인의 수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모니터링된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산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가 각각 측정한 복수 개의 거리 데이터 사이의 차이 값 또는 상기 수평 거리센서가 측정한 거리 데이터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산기기에 알림을 표시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직 거리센서는, 상기 수직 거리센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조정장치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평조정장치는, 상기 수직 거리센서에 결합되고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또는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지면에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1 수평계 및 제2 수평계,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대각선 방향인 제3 방향에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3 수평계를 포함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크레인 또는 상기 고정부에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1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조정로드 및 일단은 상기 제1 조정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조정로드를 포함하는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160006599U 2016-11-11 2016-11-11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87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99U KR200487014Y1 (ko) 2016-11-11 2016-11-11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99U KR200487014Y1 (ko) 2016-11-11 2016-11-11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05U true KR20180001505U (ko) 2018-05-21
KR200487014Y1 KR200487014Y1 (ko) 2018-07-25

Family

ID=6229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99U KR200487014Y1 (ko) 2016-11-11 2016-11-11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1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024B2 (ja) * 1993-04-28 1999-02-10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タービンロータの吊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024B2 (ja) * 1993-04-28 1999-02-10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タービンロータの吊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14Y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554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rane hoisting vertical deviation angle
US9446934B2 (en) Detecting, monitoring device of the hook angle and its crane
CN106429679B (zh) 用于测量安装平台在电梯竖井内的位置的设备和方法
CN104061921B (zh) 用于测量电梯井的方法
US20180009640A1 (en) Lifting hook bias angle monitoring apparatus, vertical hoisting monitoring apparatus and mobile crane
JP6206589B2 (ja) 昇降路の計測方法及び干渉判定システム
CN108775896A (zh) 用于塔吊的垂直度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JP7128612B2 (ja) 吊りフックの荷重計量装置
JP5297762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20180001505U (ko) 크레인 모니터링 시스템
CN203772265U (zh) 一种倾斜检测仪
KR20160115182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장치
WO2015044496A1 (es) Sistema para informar del desplome de gruas y aparatos de elevación con respecto a la carga
KR102139248B1 (ko) 수평 수직선 검사장치 및 시스템
AU20173758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otational angle of sinking platform
KR101873578B1 (ko) 크레인 대각 실시간 측정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KR101174384B1 (ko) 방사선측정장비의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19575A (ko) 펌프 설치를 위한 수평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115181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시스템
KR100970938B1 (ko) 중성자 유도관 지지대의 위치 설정을 위한 피측정장치
KR101559143B1 (ko)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09676A (ko) 크레인 붐 처짐량 측정장치
JP6814323B1 (ja) 縦型ルーパのキャリッジ水平維持装置
JP2011256034A (ja) クレーンの高さ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