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143B1 -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143B1
KR101559143B1 KR1020150091577A KR20150091577A KR101559143B1 KR 101559143 B1 KR101559143 B1 KR 101559143B1 KR 1020150091577 A KR1020150091577 A KR 1020150091577A KR 20150091577 A KR20150091577 A KR 20150091577A KR 101559143 B1 KR101559143 B1 KR 10155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isplay unit
facility
main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백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는 발전소의 비주력설비에 구비되어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이 상기 비주력설비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발전소 전체의 설비, 특히, 주력설비를 감시하는 관리시스템과 별도로, 각각의 비주력설비를 각기 별도로 감시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상기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balance of plant vibration monitoring patter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발전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규모가 크고 매우 많은 종류의 설비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설비의 운전상태와 설비의 운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고 있다.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설비에 구비되어 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는 각종 센서와, 관리실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각 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는 관리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나, 진동센서, 변위센서를 비롯하여, 각종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며, 상기 관리부는 일반적인 컴퓨터에 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비의 운전시 상기 관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각종 설비의 운전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각종 설비 전체를 감시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어유닛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발전소의 경우, 터빈과 보일러 등과 같이 중요한 기능을 하는 주력설비만을 전술한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용수공급장치 등과 같이 중요도가 떨어지는 비주력설비는 작업자가 일정주기로 순찰을 하여 설비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주력설비 역시 고장 발생시 발전소 전체의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최근에는 비주력설비의 운전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진동만이라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비주력설비를 포함한 발전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96647호, 등록특허 10-101071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전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전소의 비주력설비에 구비되어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산프로그램(23)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이 기준값을 넘거나, 진동이 비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 의해 구동되는 경보수단(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발전소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관리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주력설비에는 하우징(3a)과, 상기 하우징(3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b)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상기 하우징(3a)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관통공(11b)이 형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2)와,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13)과, 상기 승강부재(1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12)와 상기 회전축(3b)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1)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11a)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에어챔버(11d)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바닥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1d)에 연결되는 미세한 노즐공(11e)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면과 둘레부로 일정한 유량과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저장하여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3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전송된 진동값을 분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31)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는 발전소의 비주력설비에 구비되어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이 상기 비주력설비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발전소 전체의 설비, 특히, 주력설비를 감시하는 관리시스템과 별도로, 각각의 비주력설비를 각기 별도로 감시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상기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의 진동감지수단을 도시한 참고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비주력설비인 용수공급장치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전소의 설비는 주력설비와 비주력설비로 나뉘어지며, 상기 주력설비에는 관리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주력설비에 구비되어 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는 각종 센서(1)와, 관리실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1)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각 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는 관리부(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수공급장치는 펌프(3)와, 상기 펌프(3)에 연결된 구동모터(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3)에는 하우징(3a)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a)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가 연결되는 회전축(3b)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로 펌프(3)를 운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용수공급장치의 하우징(2a)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a)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관통공(11b)이 형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2)와,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13)과, 상기 승강부재(1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12)와 상기 회전축(3b)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관통공(11b)이 상기 하우징(3a)의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축(3b)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3a)에 고정된다.
상기 공간부(11a)는 상기 지지대(11)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홀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배기공(11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11a)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에어챔버(11d)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바닥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1d)에 연결되는 미세한 노즐공(11e)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12)는 상기 공간부(11a)의 내경에 비해 조금 작은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에어공급수단(13)은 급기관(13a)을 통해 상기 에어챔버(11d)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챔버(11d)의 내부로 일정한 유량과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공급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챔버(11d)에 일정한 압력과 유량의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에어챔버(11d)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노즐공(11e)을 통해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 특히,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과 둘레부로 일정하게 분사된 후, 상기 배기공(11c)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노즐공(11e)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과 둘레부로 일정한 압력과 유량의 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공간부(11a)로 분사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면과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재(12)의 둘레면과 하측면이 상기 공간부(11a)의 바닥면과 둘레면으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부상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12)가 상측으로 부상되면, 상기 승강부재(12)는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 상기 구동모터(4)로 회전축(3b)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3a)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경우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하우징(3a)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만, 상기 승강부재(12)는 하우징(3a)이나 지지대(11)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변위측정수단(14)은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1b)을 통해 상기 회전축(3b)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12)와 회전축(3b) 사이의 간격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변위측정수단(14)은 상기 관통공(11b)을 통해 상기 회전축(3b)의 둘레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가 상기 회전축(3b)에 반사되어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3b)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비접촉식 변위측정수단(14)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2)는 상기 에어공급수단(13)에 의해 부상되어, 상기 회전축(3b)이나 하우징(3a)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더라도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으로, 상기 변위측정수단(14)에 의해 측정된 회전축(3b)까지의 거리가 변화된다는 것은 상기 회전축(3b)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상기 변위측정수단(14)에 의해 측정된 회전축(3b)까지의 거리가 변화되는 속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3b)의 진동값, 즉, 상기 회전축(3b)의 진폭과 진동수(Hz)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고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되어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은 정밀한 거리의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은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용수공급장치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회전축(3b)의 진동값, 즉, 진폭 및 진동수를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도시 안된 선택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에 시간별 또는 요일별의 진동 평균값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프로그램(23)은 상기 진동감시수단에 의해 측정된 회전축(3b)의 진동값을 수신하여, 회전축(3b)의 진동값의 평균값을 시간별, 일별, 및 주간별로 연산하여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이 기준값을 넘거나,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비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 의해 구동되어 경보음과 경광을 출력하는 경보수단(24)이 구비되어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 의해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보수단(24)이 작동되어 경보음과 경광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발전소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서 출력된 경보신호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부(2)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수신하여 상기 회전축(3a)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관리부(2)는 평상시에는 상기 주력설비에 구비된 각종 센서(1)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력설비의 운전상태만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축(3a)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는 발전소의 비주력설비에 구비되어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이 상기 비주력설비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발전소 전체의 설비, 특히, 주력설비를 감시하는 관리시스템과 별도로, 각각의 비주력설비를 각기 별도로 감시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상기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연산프로그램(23)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이 기준값을 넘거나, 진동이 비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 의해 구동되는 경보수단(24)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에 디스플레이되는 진동값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의 운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기준값을 넘는 진동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경보를 출력하여,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발전소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관리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상기 비주력설비에 기준값을 넘는 진동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관리부(2)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기준값을 넘는 진동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이 감지되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함으로써,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더욱 정확히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은 코스트를 줄이기 위해, 상기 관리부(2)에 비해 매우 낮은 성능의 CPU를 이용할 뿐 아니라, 상기 연산프로그램(23) 역시 상기 관리부(2)에 탑재된 관리프로그램에 비해 매우 단순하게 제작됨으로,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분석할 때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이 기준값을 넘는 진동이나 비정상적인 진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관리부(2)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한번 확인함으로써,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기준값을 넘거나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발생하는 지를 더욱 정확히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주력설비에는 하우징(3a)과, 상기 하우징(3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b)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상기 하우징(3a)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관통공(11b)이 형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2)와,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13)과, 상기 승강부재(1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12)와 상기 회전축(3b)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을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진동감지수단은 상기 하우징(3a)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b)의 변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3a) 역시, 회전축(3b)과 함께 진동을 하게 됨으로, 하우징(3a)에 고정된 진동감지수단(10)을 이용하여 회전축(3b)의 변위를 측정할 때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공기에 의해 부상되는 승강부재(12)에 변위측정수단(14)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3a)이 진동되더라도, 상기 승강부재(12)와 변위측정수단(14)이 진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3b)의 진동값, 즉, 진폭과 진동수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11)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11a)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에어챔버(11d)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바닥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1d)에 연결되는 미세한 노즐공(11e)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면과 둘레부로 일정한 유량과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지지대(11)의 공간부(11a)에 상하뿐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3a)이 상하방향 뿐 아니라, 측방향으로 진동할 경우에도 이를 수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2)와 승강부재(12)에 고정된 변위측정수단(14)이 진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상기 하우징(3a)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관통공(11b)이 형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2)와,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13)과, 상기 승강부재(1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12)와 상기 회전축(3b)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회전축(3b)의 정확한 진폭을 측정할 필요가 없을 경우, 일반적인 가속도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저장하여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3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전송된 진동값을 분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31)이 탑재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브루투스 등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규격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과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된 통신유닛(25)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30)이 통신가능거리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저장된 진동값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30)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31)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 탑재된 연산프로그램(2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전동된 진동값 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전축(3b)의 진동값의 평균값을 시간별, 일별, 및 주간별로 연산하여 스마트폰(30)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이 기준값을 넘거나, 상기 회전축(3b)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비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31)이 탑재된 스마트폰(30)을 휴대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 근접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이 스마트폰(30)으로 전송되고, 진동값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31)이 이를 분석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필요에 따라 경보를 출력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진동감지수단 20. 디스플레이유닛
30. 스마트폰

Claims (7)

  1. 발전소의 비주력설비에 구비되어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진동감지수단(1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연결되어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23)이 탑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부(21)와,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평균값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되며,
    상기 비주력설비에는 하우징(3a)과, 상기 하우징(3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b)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상기 하우징(3a)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관통공(11b)이 형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재(12)와,
    상기 지지대(1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13)과,
    상기 승강부재(1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12)와 상기 회전축(3b)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프로그램(23)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이 기준값을 넘거나, 진동이 비정상적인 패턴을 나타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는 상기 연산프로그램(23)에 의해 구동되는 경보수단(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과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은 발전소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관리부(2)에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관리부(2)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진동감지수단(10)의 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하여 상기 비주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11a)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에어챔버(11d)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a)의 바닥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1d)에 연결되는 미세한 노즐공(11e)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2)의 하측면과 둘레부로 일정한 유량과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재(12)가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은 상기 진동감지수단(10)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을 저장하여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3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에서 전송된 진동값을 분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31)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50091577A 2015-06-26 2015-06-26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KR10155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77A KR101559143B1 (ko) 2015-06-26 2015-06-26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77A KR101559143B1 (ko) 2015-06-26 2015-06-26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143B1 true KR101559143B1 (ko) 2015-11-20

Family

ID=5484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577A KR101559143B1 (ko) 2015-06-26 2015-06-26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09A (ko) * 2018-10-15 2020-04-23 모루기술 주식회사 진동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68B1 (ko) * 2012-09-10 2014-10-31 주식회사 칸 해양구조물의 회전체 상태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68B1 (ko) * 2012-09-10 2014-10-31 주식회사 칸 해양구조물의 회전체 상태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09A (ko) * 2018-10-15 2020-04-23 모루기술 주식회사 진동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38319B1 (ko) * 2018-10-15 2020-07-27 모루기술 주식회사 진동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7756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и параметрами конусной дробилки
US10746626B2 (en) Vibration testing system and methodology
US10393622B2 (en) Techniques for monitoring gear condition
CN106404160B (zh) 一种现场环境下输电线路监测装置计量系统及方法
CN101855523A (zh) 紧凑型独立状态监测设备
JP2012063167A (ja) レーザ測量装置
US10877060B2 (en) Omni-directional anemometer
CN107544023A (zh) 发电机转子抽穿测控系统
KR101579250B1 (ko)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이상진동 경보장치
KR101559143B1 (ko)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디스플레이장치
JP6496298B2 (ja) 振動機能及び振動検出機能を備えた可搬式操作盤
EP3643667B1 (en) Water detection in elevator pit using pit sensors
KR101308987B1 (ko) 레이져 센서를 이용한 시설물의 2, 3차원 계측 및 안전진단관리 시스템
JP2016148628A (ja) ワイヤレスセンサ、こ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4444814B (zh) 高度检测装置及设备资产统计系统和方法
KR101559142B1 (ko) 발전소 현장 회전설비 진동패턴 분석장치
CN105016224A (zh) 塔吊倾侧监测装置
KR20170078943A (ko) 엘리베이터의 고장예측시스템
KR102119282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전도위험 경고 시스템 및 방법
JP2020171897A (ja) 篩い分け装置のベアリング監視システム
US20230221915A1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210149820A (ko) 체분리 장치의 운전 감시 시스템
KR101119502B1 (ko) 진동모니터
KR20140064745A (ko) 초정밀 장비용 기울어짐 감시 장치
CN219914450U (zh) 一种爬架导轨监测系统及爬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