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68A - 절연전선 - Google Patents

절연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68A
KR20180001468A KR1020170078298A KR20170078298A KR20180001468A KR 20180001468 A KR20180001468 A KR 20180001468A KR 1020170078298 A KR1020170078298 A KR 1020170078298A KR 20170078298 A KR20170078298 A KR 20170078298A KR 20180001468 A KR20180001468 A KR 2018000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ape
conductor
coating lay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892B1 (ko
Inventor
데티안 후앙
세이이치 시오타
다케노리 다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더 작은 힘으로 휘어지게 하여 배선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절연전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절연전선(10)은, 도체(1)와, 도체의 외주에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테이프층(2)과, 테이프층(2)의 외주에 형성된 피복층(3)을 구비하고, 도체(1)와 테이프층(2)의 사이에는 활재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절연전선{INSULATED WIRE}
본 발명은, 배전반(配電盤) 등에 사용되는 절연전선(絶緣電線)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配電盤) 내부용의 전선으로서 집합연선도체(集合撚線導體)에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체(架橋 polyethylene 絶緣體)가 피복된 전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배전반 내에서 전선이 휘어진 상태로 부설(敷設)되어 있다.
절연전선에 대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35024호 공보
최근에는, 배전반의 소형화에 따라 배선 스페이스(配線 space)도 한정되어, 더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배선이 가능하도록 더 작은 힘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이 우수한 절연전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작은 힘으로 휘어지게 하여 배선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절연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주에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테이프층과, 상기 테이프층의 외주에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와 상기 테이프층의 사이에는 활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
[2]상기 피복층은, 중실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실 압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층과 상기 피복층은 접착되어 있는 [1]에 기재되어 있는 절연전선.
[3]상기 활재층은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실 압출층은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2]에 기재되어 있는 절연전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 작은 힘으로 휘어지게 하여 배선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전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선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절연전선(絶緣電線))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절연전선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절연전선(10)은, 복수 개의 소선(素線)을 꼬은 도체(導體)(1)와, 도체(1)의 외주에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테이프층(tape層)(2)과, 테이프층(2)의 외주에 형성된 피복층(被覆層)(3)을 구비하고, 도체(1)와 테이프층(2)의 사이에는 활재층(滑材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1))
도체(1)는, 예를 들면 연동선(軟銅線)이나 동합금(銅合金)으로 이루어지는 소선을 꼬은 집합연선도체(集合撚線導體)로 이루어진다. 이 소선이나 집합연선도체에는 Sn 도금 등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테이프층(2))
테이프층(2)은, 절연성의 테이프를 그 양단(兩端)이 겹치도록 길이방향으로 부착하여 형성하더라도 좋고, 절연성의 테이프를 중첩하여 랩 감기(wrap winding)를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테이프층(2)은, 단말처리(端末處理) 시에 도체(1)와 피복층(3)을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separator)로서 기능을 한다.
테이프층(2)의 절연성 테이프로서는, 피복층(3)을 중실(中實 : solid) 압출에 의하여 형성할 때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테이프층(2)이 피복층(3)에 접착되기 쉬운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압착에 의한 접착이 가능한 핫멜트 접착제(hotmelt 接着劑)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층을, 절연성 테이프의 외면(피복층(3)에 면(面)하는 측)에 형성한 핫멜트 접착층 부착 절연성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테이프의 두께는 10㎛∼50㎛가 바람직하다.
(활재층(滑材層))
테이프층(2)과 도체(1)의 사이에는,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불소 오일(弗素 oil) 또는 탤크(talc) 등으로 이루어지는 활재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1) 위에 활재층을 형성한 후에 절연성 테이프를 감아서 테이프층(2)을 형성하더라도 좋고, 절연성 테이프의 편면(片面)에 미리 활재층을 형성한 후에 도체(1)에 감아서 테이프층(2)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활재층은, 상기한 피복층(3)을 중실 압출할 때에 도체(1)와 테이프층(2)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도체(1)와 테이프층(2)이 접착되지 않고 또한 계면(界面)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절연전선으로부터 피복층(3) 및 테이프층(2)을 제거하여 도체(1)를 노출시키는 단말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절연전선(10)을 휘어지게 하였을 때에 도체(1)와 테이프층(2)의 계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체(1)와 피복층(3)의 사이에서 저항이 작아서 작은 힘으로 휘어지게 하기 쉽다. 즉 도체(1)는 피복층(3)으로부터 휘어짐에 저항하는 힘을 받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작은 절곡저항(折曲抵抗)으로 휘어지게 되어 가요성이 향상된다.
(피복층(3))
절연전선(10)은, 테이프층(2)의 바로 위에 피복층(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층(3)은, 중실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실 압출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피복층(3)의 중실 압출 피복 시에, 피복층(3)이 되는 용융수지(溶融樹脂)의 열에 의하여 피복층(3)과 테이프층(2)이 접착되고, 압력에 의하여 용융수지가 도체(1)의 소선 사이의 간극에 테이프층(2)을 통하여 압입(壓入)된다. 따라서 피복층(3)의 내면은, 도체(1)를 구성하는 소선의 형상에 대응한 패턴이 전사(轉寫)되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복층(3)은, 예를 들면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체(架橋 polyethylene 絶緣體)에 의하여 형성되고, 두께는 0.5mm∼3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도체(1)와 테이프층(2)의 사이에는 미끄러짐성이 우수한 활재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층(3)을 중실 압출에 의하여 형성하더라도 도체(1)와 테이프층(2)의 밀착(접착)이 방지됨과 아울러, 도체(1)로부터 테이프층(2)을 제거하기 쉽다.
(2)절연전선은 미끄러짐성이 우수한 활재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전선(10)을 휘어지게 하였을 때에 도체(1)는 피복층(3)으로부터 휘어짐에 저항하는 힘을 받기 어렵게 되고, 작은 절곡저항으로 휘어지게 되어, 절연전선(10)의 가요성은 향상된다.
(3) 테이프층(2)은 피복층(3)과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층(3)을 제거할 때에 테이프층(2)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먼저, 두께가 23㎛, 폭이 55mm인 PET 기재(PET 基材)의 편면(片面)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여 활재층 부착 PET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공칭 단면적이 100SQ(도체 구성 19/34/0.45)인 집합연선도체로 이루어지는 도체(1)에, 이 활재층 부착 PET 테이프를, 도체(1)측에 활재층이 면하도록 중첩하여 랩 감기를 하여, 테이프층(2)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mm인 피복층(3)을 중실로 압출피복하여 외경이 약 17.7mm인 절연전선(10)을 제작하였다.
(비교예1)
공칭 단면적이 100SQ(도체구성 19/34/0.45)인 집합연선도체로 이루어지는 도체에,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mm인 피복층을 중실로 압출피복하여 외경이 약 17.7mm인 절연전선을 제작하였다.
(가요성 시험)
가요성 시험은, 일단(一端)을 기대(基臺)에 고정하고, 타단(他端)을 500mm 돌출시키도록 한 캔틸레버(cantilever)의 상태로 절연전선을 세트하고, 그 타단(자유단(自由端))에 추(錘)를 탑재하여 시행하였다. 소정의 휘어짐 양이 되는 데에 필요한 추의 중량으로 비교한 바, 실시예1의 절연전선쪽이 더 적은 중량(더 작은 힘)에 의하여 휘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가요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절연전선
1 : 도체
2 : 테이프층
3 : 피복층

Claims (3)

  1. 도체(導體)와, 상기 도체의 외주(外周)에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된 테이프층(tape層)과, 상기 테이프층의 외주에 형성된 피복층(被覆層)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와 상기 테이프층의 사이에는 활재층(滑材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絶緣電線).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중실(中實 : solid) 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실 압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층과 상기 피복층은 접착되어 있는 절연전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재층은 실리콘 오일(silicone oil)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실 압출층은 가교 폴리에틸렌(架橋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전선.
KR1020170078298A 2016-06-24 2017-06-21 절연전선 KR102365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5426 2016-06-24
JP2016125426A JP6799777B2 (ja) 2016-06-24 2016-06-24 絶縁電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68A true KR20180001468A (ko) 2018-01-04
KR102365892B1 KR102365892B1 (ko) 2022-02-21

Family

ID=6089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98A KR102365892B1 (ko) 2016-06-24 2017-06-21 절연전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99777B2 (ko)
KR (1) KR1023658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111B1 (ko) * 1969-05-02 1973-09-07
JP2008235024A (ja) 2007-03-20 2008-10-02 Junkosha Co Ltd 平型ケーブル
JP2015187956A (ja) * 2014-03-27 2015-10-29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
JP6044418B2 (ja) * 2013-03-27 2016-1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9111B1 (ko) * 1969-05-02 1973-09-07
JP2008235024A (ja) 2007-03-20 2008-10-02 Junkosha Co Ltd 平型ケーブル
JP6044418B2 (ja) * 2013-03-27 2016-1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87956A (ja) * 2014-03-27 2015-10-29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9777B2 (ja) 2020-12-16
KR102365892B1 (ko) 2022-02-21
JP2017228487A (ja)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26101A1 (en) Parallel two-core shielding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282618B2 (en) High-speed flat cable having better bending/folding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77297B2 (en) Cord reel including a polymeric sheath with a conductive EMI drain
JP2020021701A (ja) 多芯通信ケーブル
CN103282973A (zh) 导线屏蔽结构
US20190096547A1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wire harness
JP201902159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91883A (ja) Lanケーブル
KR20180001468A (ko) 절연전선
JPH0561726B2 (ko)
KR101074161B1 (ko) 절연 와이어 어셈블리
JP6879443B1 (ja) 二芯平行ケーブル
CN113508441B (zh) 通信用屏蔽电线
JP6852024B2 (ja) 複合ケーブル
JP7430139B2 (ja) 同軸ケーブル
JP6713712B2 (ja) 多芯ケーブル
US20200021000A1 (en) Routing structure of two-core parallel shielded electric wire
JP2021144844A (ja) 複合ケーブル
JP4452539B2 (ja) 2芯平行同軸ケーブルを使ったフラット同軸ケーブル、及び多対同軸ケーブル
JP2020024911A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5516499B2 (ja) 細径ケーブル
JP6852023B2 (ja) 複合ケーブル
WO2016002812A1 (ja) 複数回路ケーブル
CN107945933B (zh) 电线及其制造方法
JP2022170784A (ja) 2芯平行型同軸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