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48A -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48A
KR20180001448A KR1020170072365A KR20170072365A KR20180001448A KR 20180001448 A KR20180001448 A KR 20180001448A KR 1020170072365 A KR1020170072365 A KR 1020170072365A KR 20170072365 A KR20170072365 A KR 20170072365A KR 20180001448 A KR20180001448 A KR 2018000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height position
input device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토요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전극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T1)는, 복수의 제1전극(100a)과,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과, 복수의 제3전극(100c)을 구비하고 있다. 제1전극(100a)은, 제1높이 위치에서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전극(100b)은, 제1높이 위치에서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의 빈 영역(R1)에 배치되어 있다. 제3전극(100c)은, 제2높이 위치에서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과 교차하고 있다. 제1전극(100a)의 Y-Y'방향의 치수가 W1, 제2전극(100b)의 Y-Y'방향의 치수가 W2일 때, 1) W2는, W1의 2배 이상으로 한다. 또는, 2) 제2전극(100b)이 복수이며, 또한, W2는 W1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인 경우, W2×제2전극(100b)의 수≥W1×제2전극(100b)의 수+W1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장치{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종래의 휴대 정보 단말이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 정보 단말은, 위쪽 하우징과, 아래쪽 하우징과, 그 사이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위쪽 하우징은, 밀어내림 조작 가능한 복수의 키부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95730호 공보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가지고 있다. 제1전극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사이즈이며, 또한, X-X'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전극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사이즈이며, 제1전극과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전극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Y-Y'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어느 한 쪽에는, 키부 아래에 위치하는 것과, 키부 이외의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있다. 전자는, 키부에 대한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하는 것에 사용되지만, 후자는, 키부에 대한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하는 것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어느 한 쪽에는, 터치 검출에 사용되지 않는 전극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전극이 유효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터치 입력 장치의 전극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제1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제2전극과, 복수의 제3전극을 갖추고 있다. 제1전극은, 제1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전극은, 제1높이 위치에서 빈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빈 영역은, 제1전극 중 2개의 제1전극의 사이 또는 제1전극 중 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제1방향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제3전극은, 제2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전극은,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교차하고 있다. 제1높이 위치 및 제2높이 위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다른 높이 위치이다. 제1전극의 제1방향의 치수가 W1이고, 제2전극의 제1방향의 치수가 W2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이다.
1) W2는, W1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2) 제2전극이 복수이며, 또한, W2는 W1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일 경우, W2×제2전극의 수≥W1×제2전극의 수+W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한 경우에도, 제2전극의 존재에 의해, 적어도 제1전극 1개분, 전극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전극은, 복수의 제1전극부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1전극에 있어서, 제1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1전극부 중,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1전극부끼리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전극은, 복수의 제2전극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2전극부 중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2전극부끼리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전극은, 복수의 제3전극부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3전극에 있어서, 제3전극부는 제2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3전극부 중 제1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3전극부끼리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1전극부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 제3방향의 한 쪽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전극은, 변형 전극부를 각각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전극부 및 2개의 제1전극부의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의 상기 제3방향의 한 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 전극부는, 당해 변형 전극부의 근처의 제3전극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 전극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부분은, 변형 전극부의 제2전극부 쪽의 부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부분은, 변형 전극부의 제1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전극부의 제1부분의 제1방향의 치수와 변형 전극부의 제2부분의 제1방향의 치수와의 비율은, 제2전극의 제1방향의 치수와 제1전극의 제1방향의 치수와의 비율과 대략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한 경우, 변형 전극부의 존재에 의해, 제3전극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전극이 변형 전극부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변형 전극부 대신에, 제3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제4전극 및 복수의 제5전극을 갖추고 있다. 제4전극은, 제1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5전극은, 제2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5전극은, 제4전극과 교차하고 있다. 제4전극 중 2개의 제4전극의 사이 또는 제4전극 중 단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4전극의 제1방향의 근처에, 제4전극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1높이 위치 및 제2높이 위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다른 높이 위치이다. 제4전극의 제1방향의 치수가 W3이고, 빈 영역의 제1방향의 치수가 W4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이다
1) W4는, W3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빈 영역이 복수이며, 또한, W4는 W3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일 경우, W4×빈 영역의 수≥W3×빈 영역의 수+W3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한 경우에도, 복수의 빈 영역의 존재에 의해, 적어도 제4전극 1개분, 전극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전극은, 복수의 제4전극부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4전극에 있어서, 제4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4전극부 중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4전극부끼리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전극은, 복수의 제5전극부와,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5전극에 있어서, 제5전극부는 제2높이 위치에서 빈 영역 외에 위치하도록 제1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5전극부의 중 서로 인접한 제5전극부끼리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전극부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4전극부의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 상기 제3방향의 한 쪽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는, 제2높이 위치에서 빈 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의 제2방향의 치수가, 제5전극부의 제2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할 경우, 빈 영역에 있어서 검출 대상의 접근을 오검출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빈 영역 내에는, 제4전극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제5전극의 접속부만이 존재하고 있다. 접속부의 제2방향의 치수는, 적어도 제5전극부의 제2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가 자기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검출 대상이 접속부에 접근했다고 하여도, 검출 대상과 접속부가 정전결합하기 어렵다. 터치 입력 장치가 상호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접속부와 정전결합하는 제4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빈 영역에서 검출 대상의 접근이 오검출될 것은 없다.
접속부는, 제5전극부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5전극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의 전극부를 각각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쪽 형상 전극부는, 제5전극부의 제1방향의 대략 반쪽 모양의 형상이며, 제2높이 위치에서 접속부와 제5전극부 중 하나의 제5전극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5전극부와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는, 반쪽 형상 전극부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의 제2방향의 치수가, 제5전극부 및 반쪽 형상 전극부의 제2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도 1 중의 2A-2A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1변형예의 2A-2A단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2변형예의 2A-2A단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3전극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한 형태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한 형태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도 5 중의 6A-6A단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1변형예의 6A-6A단면도이다.
도 6c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2변형예의 6A-6A단면도이다.
도 7a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4전극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제5전극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한 형태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4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1)에 대하여, 도 1~도 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복수의 제1전극(100a)과,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과, 복수의 제3전극(100c)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a에는, 실시예 1의 터치 패널(T1)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실시예 1의 터치 패널(T1)의 제1변형예가 표시되어 있고, 도 2c에는, 실시예 1의 터치 패널(T1)의 제2변형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실시예 1,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의 터치 패널(T1)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배치가 표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실시예 1,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의 터치 패널(T1)의 제3전극의 배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b에 나타내는 Y-Y'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1방향에 해당한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X-X'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2방향에 해당한다. X-X'방향은 Y-Y'방향으로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서는, X-X'방향은 Y-Y'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도 2a~도 2c에 나타내는 Z-Z'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3방향에 해당한다. Z-Z'방향은, Y-Y'방향 및 X-X'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1전극(100a)~제3전극(100c)을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 다른 도트를 부여하고 있지만, 제1전극(100a)~제3전극(100c)에 도트의 모양이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닌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제1전극(100a)은, X-X'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전극(100a)은, 제1높이 위치에서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전극(100a)의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를 제외하고, 등간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전극(100a)은 서로 비접촉이다. 제1전극(100a) 중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에는, 빈 영역(R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전극(100a) 중 2개의 제1전극(100a)이 복수조 있는 경우, 이 복수조의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에 각각 빈 영역(R1)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 및 도 3a에서는, 빈 영역(R1)이, 제1전극(100a) 중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 및 다른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1전극(100a)은, X-X'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각 제1전극(100a)은, 도 1 및 도 3a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전극부(110a)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1전극(100a)에 있어서, 제1전극부(110a)는 제1높이 위치에서 X-X'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1전극부(110a) 중 X-X'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1전극부(110a)끼리 접속되어 있다. 제1전극부(110a)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전극부(110a)는, 마름모꼴(도 1 및 도 3a 참조),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1전극(100a)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a)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a)는, 제1전극부(110a)의 대략 절반의 형상(도 3a 참조)이며, 제1높이 위치에서 각 제1전극(100a)의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a)는, 그 안쪽의 제1전극부(110a)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1전극(100a)은, X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a)와, X'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a)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양쪽 반쪽 형상 전극부(120a)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 된다. 또한, 반쪽 형상 전극부(120a)가 생략되고, 제1전극부(110a)가 각 제1전극(100a)의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은, X-X'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전극(100b)은, 제1높이 위치에서 제1전극(100a) 중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빈 영역(R1) 안)에 배치되어 있다. 제2전극(100b)은, 제1전극(100a)에 대해서 평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전극(100b)과 제1전극(100a)과는 비접촉이다. 제2전극(100b)은, 도 1 및 도 3a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2전극(100b)이 하나의 빈 영역(R1) 안에 배치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제2전극(100b)이 1개씩 다른 빈 영역(R1) 안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은, X-X'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은, 도 1 및 도 3a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전극부(110b)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전극(100b)의 제2전극부(110b)는 제1높이 위치에서 X-X'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2전극부(110b) 중 X-X'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2전극부(110b)끼리 접속되어 있다. 제2전극부(110b)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전극부(110b)는, 마름모꼴(도 1 및 도 3a 참조),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b)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b)는, 제2전극부(110b)의 대략 절반의 형상(도 3a 참조)이며, 제1높이 위치에서 제2전극(100b)의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b)는, 그 안쪽의 제2전극부(110b)에 접속되어 있다. 제2전극(100b)은, X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b)와, X'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b)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양쪽 반쪽 형상 전극부(120b)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 된다. 또한, 반쪽 형상 전극부(120b)가 생략되고, 제2전극부(110b)가 제2전극(100b)의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제1전극(100a)의 Y-Y'방향의 치수가 W1이고, 제2전극(100b)의 Y-Y'방향의 치수가 W2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W2는 W1의 2배 이상이다. 이 경우, 제2전극(100b)은 단수와 복수를 묻지 않는다. 예를 들면, W2가 W1의 2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의 총수와, 제1전극(100a)만을 제1높이 위치에서 Y-Y'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했을 경우(이하, 비교예라고 칭한다.)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1전극(100a)의 수가 1개분 적게 된다. W2가 W1의 3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1전극(100a)의 수가 2개분 적게 된다. W2가 W1의 4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1전극(100a)의 수가 3개분 적게 된다.
2) 제2전극(100b)이 복수이며, 또한, W2는 W1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인 경우, W2×제2전극(100b)의 수≥W1×제2전극(100b)의 수+W1이다. 예를 들면, W1이 1mm이며, W2가 1.2mm이고, 또한, 제2전극(100b)의 수가 5인 경우, 1. 2×5≥1×5+1이 된다. W1이 1mm이며, W2가 1.5mm이고, 또한, 제2전극(100b)의 수가 2인 경우, 1.5×2≥1×2+1이 된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전극(100a)의 총수를 대비하여도, 복수의 제2전극(100b)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1전극(100a)의 수가 1개분 적게 된다.
또한, 제1높이 위치에서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이 배치되는 전극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1)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센싱 영역은, 전극 영역 중 빈 영역(R1) 이외의 영역으로서,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의 터치 입력 장치(T1)에 대한 접근(터치를 포함함)을 검출하기 위한 영역이다. 빈 영역(R1)이,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의 터치 입력 장치(T1)에 대한 접근(터치를 포함함)을 비검출로 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3전극(100c)은, Y-Y'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3전극(100c)은, 제2높이 위치에서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높이 위치는, Z-Z'방향에 있어서 제1높이 위치와 상이하다. 제3전극(100c)의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전극(100c)은 서로 비접촉이다. 제3전극(100c)은,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에 대해서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직교하고 있어도 된다.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이 X-X'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인 경우, 각 제3전극(100c)은, Y-Y'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전극(100a)이 제1전극부(110a)를 가지고, 또한, 제2전극(100b)이 제2전극부(110b)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각 제3전극(100c)은, 복수의 제3전극부(110c)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3전극(100c)에 있어서, 제3전극부(110c)는 제2높이 위치에서 Y-Y'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3전극부(110c) 중 Y-Y'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3전극부(110c)끼리 접속되어 있다. 제3전극부(110c)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전극부(110c)는, 마름모꼴(도 1 및 도 3a 참조),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3전극부(11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1전극부(110a)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전극부(11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4개의 제1전극부(110a)(제1전극(100a)의 2개의 제1전극부(110a)와 그 근처의 제1전극(100a)의 2개의 제1전극부(110a))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전극(100a)이 반쪽 형상 전극부(120a)를 가지고 있는 경우,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3전극부(11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1전극부(110a) 및 2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a)(제1전극(100a)의 제1전극부(110a)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a)와 그 근처의 제1전극(100a)의 제1전극부(110a)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a))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3전극(100c)은, 제3전극부(110c)에 더하여, 적어도 2개의 변형 전극부(120c)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변형 전극부(120c)는, 제2높이 위치에서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에 대한 Y방향쪽 및 Y'방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변형 전극부(12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전극부(110b) 및 2개의 제1전극부(110a)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제1전극(100a)이 반쪽 형상 전극부(120a)를 가지고, 또한, 제2전극(100b)이 반쪽 형상 전극부(120b)를 가지고 있는 경우,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변형 전극부(12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제1전극부(110a), 반쪽 형상 전극부(120a), 제2전극부(110b)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b)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2개의 변형 전극부(120c)는 서로 접속되고 있으며, 또한, 해당 변형 전극부(120c)의 근처의 제3전극부(110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변형 전극부(120c)는, 마름모꼴(도 1 및 도 3a 참조),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전극부(120c)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변형 전극부(120c)는, 제1부분(121c)과, 제2부분(122c)을 각각 가지고 있다. 제1부분(121c)은, 변형 전극부(120c)의 제2전극부(110b) 쪽의 부분이다. 제2부분(122c)은, 변형 전극부(120c)의 제1부분(121c) 이외의 나머지의 부분이다.
제1부분(121c)의 Y-Y'방향의 치수는, 제2부분(122c)의 Y-Y'방향의 치수보다 크며, 제1부분(121c)의 X-X'방향의 치수는, 제2부분(122c)의 X-X'방향의 치수와 대략 같다. 제2부분(122c)은, 제3전극부(110c)의 Y-Y'방향의 절반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변형 전극부(120c)가 마름모꼴인 경우, 제2부분(122c)은 제3전극부(110c)의 Y-Y'방향의 절반의 형상과 같은 삼각형이며, 제1부분(121c)은, X-X'방향의 치수가 제2부분(122c)과 같고, 또한, 제2부분(122c)보다 Y-Y'방향의 치수가 큰 삼각형이다. 변형 전극부(120c)가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인 경우, 제2부분(122c)은 제3전극부(110c)의 Y-Y'방향의 절반의 형상과 같은 형상이며, 제1부분(121c)은, X-X'방향의 치수가 제2부분(122c)과 같고, 또한, 제2부분(122c)보다 Y-Y'방향의 치수가 큰 형상이다. 변형 전극부(120c)가 원형인 경우, 제2부분(122c)은 제3전극부(110c)의 Y-Y'방향의 절반의 형상과 같은 반원형이며, 제1부분(121c)은, X-X'방향의 치수가 제2부분(122c)과 같고, 또한, 제2부분(122c)보다 Y-Y'방향의 치수가 큰 반원형이다.
제1부분(121c)의 Y-Y'방향의 치수와 제2부분(122c)의 Y-Y'방향의 치수와의 비율은, 제2전극(100b)의 Y-Y'방향의 치수와 제1전극(100a)의 Y-Y'방향의 치수와의 비율과 대략 동일하면 된다. 예를 들면, W2가 W1의 2배인 경우, 제1부분(121c)의 Y-Y'방향의 치수는, 제2부분(122c)의 Y-Y'방향의 치수의 2배가 된다. W2가 W1의 1.5배인 경우, 제1부분(121c)의 Y-Y'방향의 치수는, 제2부분(122c)의 Y-Y'방향의 치수의 1.5배가 된다. 변형 전극부(120c)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전극부(110b) 및 2개의 제1전극부(110a) 사이의 공간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전극(100c)이 변형 전극부(120c)를 가지지 않을 경우, 제3전극부(110c)가, 변형 전극부(120c) 대신에,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전극부(110b) 및 2개의 제1전극부(110a)의 사이에 제2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각 제3전극(100c)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30c)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30c)는, 제3전극부(110c)의 대략 절반의 형상(도 3b 참조)이며, 제2높이 위치에서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쪽 형상 전극부(130c)는, 그 안쪽의 제3전극부(110c)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3전극부(110c)는, Y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30c)와, Y'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30c)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양쪽 반쪽 형상 전극부(130c)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 된다. 또한, 반쪽 형상 전극부(130c)의 적어도 한 쪽이 생략되는 경우, 제3전극부(110c)가 각 제3전극(100c)의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반쪽 형상 전극부(130c)와 변형 전극부(120c)와의 사이의 제3전극부(110c)가 생략되고, 반쪽 형상 전극부(130c)와 변형 전극부(120c)가 서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A) 베이스(200a) 및 베이스(200b)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도 2a 참조), B) 베이스(200a)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도 2b 참조), 또는, C) 베이스(200a) 및 절연층(300)을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도 2c 참조)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200a) 및 베이스(200b)는, 유리판, 수지판 또는 수지 필름 등이다. 베이스(200a) 및 베이스(200b)는, Z방향의 면과 Z'방향의 면을 각각 가지고 있다.
A)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3전극(100c)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과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이 접착층(40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B)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3전극(10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C)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3전극(10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제3전극(100c)을 덮도록 절연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00)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절연층(300)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커버 패널(500)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A~C의 어느 쪽의 경우에도, 커버 패널(500)이,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에 다른 접착층(400)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커버 패널(500)이,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보다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터치 입력 장치(T1)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도시하지 않음)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기능층은, 하드 코트층,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보호층, 안티 뉴턴층, 강도유지층, 및/또는 오염방지층이면 된다. 기능층은, 커버 패널(500)과 베이스(200a)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면 된다. 커버 패널(500)이 기능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 패널(500) 및/또는 기능층은 생략 가능하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제1인출선과, 도시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인출선과,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제3인출선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인출선은, 제1전극(100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2인출선은, 제2전극(100b)에 접속되어 있다. 제3인출선은, 제3전극(100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검출부(600)(예를 들면, 검출용 IC) 및 도시하지 않은 접속 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 수단은, 예를 들면, 플렉서블 기판 등이며, 제1인출선, 제2인출선 및 제3인출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도전 라인을 가지고 있다. 검출부(600)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가지고 있다. 접속 단자는, 핀 등이며, 제1인출선, 제2인출선, 제3인출선 및 접속 수단의 도전 라인을 개재하여 제1전극(100a), 제2전극(100b) 및 제3전극(100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자기용량 방식(Self capacitance type)의 터치 센서인 경우,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이 제1전극(100a), 제2전극(100b) 및 제3전극(100c)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접근하면, 해당 전극과 검출 대상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한다. 검출부(600)는, 제1전극(100a), 제2전극(100b) 및 제3전극(100c)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순차 검출하며, 이것을 임계치와 순차 비교하고 있다. 임계치는, 검출부(600) 내 또는 밖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있다. 검출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극(10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3전극(100c)의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해당 전기신호를 출력한 제1전극(100a) 및 제3전극(100c)의 교차 부분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3전극(100c) 및 제2전극(100b)의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캔슬 처리 등을 실시하며, 빈 영역(R1)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기용량 방식의 검출부(600)의 검출 시간은, 검출부(600)가, 제1전극(100a), 제2전극(100b) 및 제3전극(100c)의 전기신호를 1 사이클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상호용량 방식(Mutual capacitance type)의 터치 센서인 경우, 제1높이 위치의 전극(제1전극(100a) 및 제2전극(100b))과 제2높이 위치의 제3전극(100c) 중의 한쪽이 구동 전극(드라이브 전극)이며, 다른 한쪽이 검출 전극(센서 전극)이 된다. Z-Z'방향에서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이 각각 정전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1조의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에 검출 대상이 접근하면, 해당 조가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검출부(600)는, 구동 전극에 순차 구동 펄스를 공급하는 한편,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순차 검출하며, 이것을 임계치와 순차 비교하고 있다. 임계치는, 검출부(600) 내 또는 밖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있다. 검출부(600)는, 구동 전극에 구동 펄스를 공급하고, 검출 전극의 전자 신호를 검출하며, 해당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해당 구동 펄스가 공급된 전극 및 전기신호를 출력한 전극의 교차부분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전극(100b)이 검출 전극인 경우, 제2전극(100b)의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검출부(600)는, 캔슬 처리 등을 실시하며, 빈 영역(R1)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2전극(100b)이 구동 전극인 경우, 검출부(600)는, 제2전극(100b)에 구동 펄스를 공급하고, 또한, 제3전극(100c)(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검출부(600)는, 캔슬 처리 등을 실시하며, 구동 펄스를 공급한 제2전극(100b)이 위치하는 빈 영역(R1)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호용량 방식의 검출부(600)의 검출 시간은, 검출부(600)가,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1 사이클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이하의 제1 터치와 제2 터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터치는, 검출 대상(예를 들면, 한 개의 손가락)이 빈 영역(R1), 빈 영역(R1)에 대해서 Y방향쪽의 영역(이하, 간단히 Y방향쪽의 영역이라고도 칭한다.) 및 빈 영역(R1)에 대해서 Y'방향쪽의 영역(이하, 간단히 Y'방향쪽의 영역이라고도 칭한다.) 에 걸쳐 접근한 것이다. 제2 터치는, 2개의 검출 대상(예를 들면, 2개의 손가락)이, 빈 영역(R1)을 피하도록,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에 대략 동시에 접근한 것이다. 또한,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은, 상기 센싱 영역의 일부의 영역이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자기용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제1 터치가 이루어질 때, 손가락이, 빈 영역(R1),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에 접근한다. 이 경우, 하기 1)~3)과 같이 된다. 1)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빈 영역(R1) 안에 위치하는 제2전극(100b)의 전기신호, 및 동 영역 내에 변형 전극부(120c) 또는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2)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Y방향쪽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100a)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 및 동 영역 내에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3)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Y'방향쪽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100a)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 및 동 영역 내에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검출부(600)는, 상기 1)~3)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에, 제1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상호용량 방식인 경우에 있어서, 제1 터치가 이루어질 때, 손가락이, 빈 영역(R1),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에 접근한다. 이 경우, 하기 4)~6)과 같이 된다. 4)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빈 영역(R1) 안에 위치하는 제2전극(100b)(검출 전극)의 전기신호, 또는 동 영역 내에 변형 전극부(120c) 또는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검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5)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Y방향쪽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100a)(검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 또는 동 영역 내에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검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6)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Y'방향쪽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전극(100a)(검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 또는 동 영역 내에 제3전극부(110c)가 위치하는 제3전극(100c)(검출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한다. 검출부(600)는, 상기 4)~6)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에, 제1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자기용량 방식인 경우에 있어서, 제2 터치가 이루어질 때, 손가락이,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에 접근한다. 이 경우, 상기 2) 및 3)과 같이 된다. 검출부(600)는, 상기 2) 및 3)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에, 제2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상호용량 방식인 경우에 있어서, 제2 터치가 이루어질 때, 손가락이, Y방향쪽의 영역 및 Y'방향쪽의 영역에 접근한다. 이 경우, 상기 5) 및 6)과 같이 된다. 검출부(600)는, 상기 5) 및 6)의 전기신호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했을 때에, 제2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이상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T1)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T1)는,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의 존재에 의해, 적어도 제1전극(100a) 1개분, 전극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극(100a)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출선 및 검출부(600)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600)가 접속 수단(플렉서블 기판 등) 위에 실장될 경우, 검출부(600)의 실장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전극수가 감소 됨으로써, 검출부(600)의 처리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둘째, 터치 입력 장치(T1)는, 상기와 같이, 제1 터치와 제2 터치를 식별할 수 있다.
셋째, 제3전극(100c)이 변형 전극부(120c)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3전극부(110c)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변형 전극부(120c)에서는, 제1부분(121c)의 Y-Y'방향의 치수와 제2부분(122c)의 Y-Y'방향의 치수와의 비율은, 제2전극(100b)의 Y-Y'방향의 치수와 제1전극(100a)의 Y-Y'방향의 치수와의 비율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변형 전극부(120c)의 Y-Y'방향의 치수는, 제3전극부(110c)의 Y-Y'방향의 치수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이하의 차이점 1) 및 2) 이외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이점 1)은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1') 및 제2전극(100b)의 위치가 터치 입력 장치(T1)의 빈 영역(R1) 및 제2전극(100b)의 위치와 상이한 것에 있다. 차이점 2)는, 제3전극(100c')의 구성이, 터치 입력 장치(T1)의 제3전극(100c)의 구성과 상이한 것이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터치 입력 장치(T1')의 설명 중, 터치 입력 장치(T1)와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4에는, 도 1과 마찬가지로, Y-Y'방향 및 X-X'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Z-Z'방향에 대하여는, 도 2a~도 2c를 빌려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1')은,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가 아닌, Y방향의 단부의 제1전극(100a)에 대해서 Y방향쪽의 근처 및/또는 Y'방향의 단부의 제1전극(100a)에 대해서 Y'방향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1개의 제2전극(100b)은, 2개의 제1전극(100a)의 사이가 아닌, Y방향의 단부의 제1전극(100a)의 Y방향쪽의 근처(Y방향쪽의 빈 영역(R1') 내) 및/또는 Y'방향의 단부의 제1전극(100a)의 Y'방향의 근처(Y'방향쪽의 빈 영역(R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3전극(100c')은, 복수의 제3전극부(110c) 및 적어도 하나의 변형 전극부(120c)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형 전극부(140c)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 전극부(140c)는, 변형 전극부(120c)의 제1부분(121c)과 같은 형상이며, 각 제3전극(100c')에 있어서,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변형 전극부(140c)는, 그 안쪽의 변형 전극부(120c)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3전극(100c')은, Y'방향의 단부의 변형 전극부(140c)와, Y방향의 단부의 변형 전극부(120c)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양쪽 변형 전극부(140c)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다. 또한, 변형 전극부(140c)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변형 전극부(140c) 대신에, 변형 전극부(120c) 또는 제3전극부(110c)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터치 입력 장치(T1')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하여, 도 5~도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복수의 제4전극(100d)과, 복수의 제5전극(100e)을 구비하고 있다. 도 5 및 도 6a에는, 실시예 3의 터치 패널(T2)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실시예 3의 터치 패널(T2)의 제1변형예가 표시되어 있고, 도 6c에는, 실시예 3의 터치패널(T2)의 제2변형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실시예 3,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의 터치 패널(T2)의 제4전극의 배치가 표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실시예 3,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의 터치 패널(T2)의 제5전극의 배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 5~도 7b에 나타내는 Y-Y'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1방향에 해당한다. 도 5,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X-X'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2방향에 해당한다. X-X'방향은 Y-Y'방향으로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도 5, 도 7a 및 도 7b에서는, X-X'방향은 Y-Y'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도 6a~도 6c에 나타내는 Z-Z'방향은, 특허 청구범위의 제3방향에 해당한다. Z-Z'방향은, Y-Y'방향 및 X-X'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도 5,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을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에 다른 도트를 부여하고 있지만,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에 도트의 모양이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닌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제4전극(100d)은, 다음의 차이점을 제외하고, 제1전극(100a)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4전극(100d)은, X-X'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 제4전극(100d)은, 복수의 제4전극부(110d)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4전극(100d)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d)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전극(100d) 중 2개의 제4전극(100d)의 사이에는, 빈 영역(R2)이 형성되어 있다. 빈 영역(R2) 내에는 제4전극(100d)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4전극(100d) 중 2개의 제4전극(100d)이 복수조 있는 경우, 이 복수조의 2개의 제4전극(100d)의 사이에 각각 빈 영역(R2)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5 및 도 7a에서는, 빈 영역(R2)이, 제4전극(100d) 중 2개의 제4전극(100d)의 사이 및 다른 2개의 제4전극(100d)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4전극부(110d)의 Y-Y'방향의 치수가 W3이고, 빈 영역(R2)의 Y-Y'방향의 치수가 W4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W4는, W3의 2배 이상이다. 이 경우, 빈 영역(R2)은 단수와 복수를 묻지 않는다. 예를 들면, W4가 W3의 2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와, 제4전극(100d)만을 제1높이 위치에서 Y-Y'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했을 경우(이하, 비교예라고 칭한다.)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4전극(100d)의 수가 1개분 적게 된다. W4가 W3의 3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4전극(100d)의 수가 2개분 적게 된다. W4가 W3의 4배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를 대비하면,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4전극(100d)의 수가 3개분 적게 된다.
빈 영역(R2)이 복수이며, 또한, W4는 W3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인 경우, W4×빈 영역(R2)의 수≥W3×빈 영역(R2)의 수+W3이다. 예를 들면, W3이 1mm이고, W4가 1. 2mm이며, 또한, 빈 영역(R2)의 수가 5인 경우, 1. 2×5≥1×5+1이 된다. W3이 1mm이고, W4가 1.5mm이며, 또한, 빈 영역(R2)의 수가 2인 경우, 1.5×2≥1×2+1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4전극(100d)의 총수를 비교해도, 복수의 빈 영역(R2)의 존재에 의해, 전자가 후자에 비해서 제4전극(100d)의 수가 1개분 적게 된다.
또한, 제1높이 위치에서 제4전극(100d)이 배치되는 전극 영역이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의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한 접근(터치를 포함함)을 검출하기 위한 센싱 영역이다. 빈 영역(R2)은,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의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한 접근(터치를 포함함)을 비검출로 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5전극(100e)은 Y-Y'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5전극(100e)은, 제2높이 위치에서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높이 위치는, Z-Z'방향에 있어서 제1높이 위치와 상이하다. 제5전극(100e)의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전극(100e)은 서로 비접촉이다. 제5전극(100e)은, 제4전극(100d)에 대해서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직교하고 있어도 된다.
제4전극(100d)이 X-X'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인 경우, 각 제5전극(100e)은, Y-Y'방향으로 뻗은 띠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전극(100d)이 제4전극부(110d)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각 제5전극(100e)은, 복수의 제5전극부(110e)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5전극(100e)에 있어서, 제5전극부(110e)는 제2높이 위치에서 Y-Y'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제5전극부(110e) 중 Y-Y'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5전극부(110e)끼리 접속되어 있다. 제5전극부(110e)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전극부(110e)는, 마름모꼴(도 5 및 도 7a 참조), 마름모꼴을 제외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제5전극부(110e)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4전극부(110d)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전극부(110e)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4개의 제4전극부(110d)(제4전극(100d)의 2개의 제4전극부(110d)와 그 근처의 제4전극(100d)의 2개의 제4전극부(110d))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4전극(100d)이 반쪽 형상 전극부(120d)를 가지고 있는 경우,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5전극부(110e)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4전극부(110d) 및 2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d)(제4전극(100d)의 제4전극부(110d)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d)와 그 근처의 제4전극(100d)의 제4전극부(110d)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d)))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5전극(100e)은, 제5전극부(110e)에 더하여, 적어도 2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e) 및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30e)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e)는, 제5전극부(110e)의 대략 절반의 형상(도 7b 참조)이며, 제2높이 위치에서 빈 영역(R2)에 대해서 Y방향쪽 및 Y'방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반쪽 형상 전극부(120e)는, Y방향쪽 및 Y'방향쪽의 근처의 제5전극부(110e)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Y방향쪽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e)와, Y'방향쪽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e)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 된다. 각 반쪽 형상 전극부(120e)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4전극부(110d)와 빈 영역(R2)과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제4전극(100d)이 반쪽 형상 전극부(120d)를 가지고 있는 경우, X방향의 단부 및/또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반쪽 형상 전극부(120e)는,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제4전극부(110d) 및 반쪽 형상 전극부(120d)와 빈 영역(R2)과의 사이의 공간의 Z'방향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30e)는, 빈 영역(R2)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2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e)를 접속하고 있다.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는, 적어도 제5전극부(110e)의 X-X'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는, 반쪽 형상 전극부(120e)의 X-X'방향의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단, 터치 입력 장치(T2)가 상호용량 방식인 경우, 빈 영역(R2)에는, 제4전극(100d)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빈 영역(R2)에는, 접속부(130e)의 쌍이 되는 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에 제약이 없고, 임의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입력 장치(T1)가 자기용량 방식인 경우, 접속부(130e) 자체가 빈 영역(R2)에서 검출 대상의 접근을 검출하는 전극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5전극부(110e)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변화의 최대치(즉, 제5전극(100d)의 전기신호 변화의 최대치)의 X%를, 후술하는 검출부(600')의 임계치로 설정할 때,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는, 제5전극부(110e)의 X-X'방향의 치수의 X% 미만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5전극부(110e)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변화의 최대치(즉, 제5전극(100e)의 전기신호 변화의 최대치)의 50%를 검출부(600')의 임계치로 설정했을 때,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가, 제5전극(100e)의 치수의 절반 미만(50%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령, 빈 영역(R2)에 검출 대상이 접근하여, 접속부(130e) 분의 정전 용량(제5전극(100d)의 전기신호)이 최대치까지 변화했다고 해도, 그 값이 임계치에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검출부(600')는, 빈 영역(R2)에 대해서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각 제5전극(100e)은,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40e)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40e)는, 제5전극부(110e)의 대략 절반의 형상(도 7b 참조)이며, 제2높이 위치에서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쪽 형상 전극부(140e)는, 그 안쪽의 제5전극부(110e)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5전극(100e)은, Y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40e)와, Y'방향의 단부의 반쪽 형상 전극부(140e)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양쪽 반쪽 형상 전극부(140e)는, Y-Y'방향에 있어서 대칭 형상이 된다. 또한, 반쪽 형상 전극부(140e)의 적어도 한 쪽이 생략되고, 제5전극부(110e)가 각 제5전극(100e)의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반쪽 형상 전극부(140e)와 반쪽 형상 전극부(120d)와의 사이의 제5전극부(110e)가 생략되고, 반쪽 형상 전극부(140e)와 반쪽 형상 전극부(120d)가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같이, A) (도 6a 참조), B) (도 6b 참조), 또는 C) (도 6c 참조)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4전극(100d)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5전극(100e)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과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이 접착층(40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베이스(200b)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B)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4전극(100d)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5전극(100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C)의 경우,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5전극(100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 위에, 제5전극(100e)를 덮도록 절연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00)의 Z방향의 면 위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4전극(100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0a)의 Z방향의 면이 제2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절연층(300)의 Z방향의 면이 제1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커버 패널(500)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커버 패널(500)은, 터치 입력 장치(T1)의 기재와 같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갖추고 있어도 된다. 기능층도, 터치 입력 장치(T1)의 기재와 같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제4인출선과,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제5인출선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4인출선은, 제4전극(100d)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5인출선은, 제5전극(100e)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검출부(600')(예를 들면, 검출용 IC) 및 도시하지 않은 접속 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 수단은, 예를 들면, 플렉서블 기판 등이며, 제4인출선 및 제5인출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도전 라인을 가지고 있다. 검출부(600')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가지고 있다. 접속 단자는, 핀 등이며, 제4인출선, 제5인출선 및 접속 수단의 도전 라인을 개재하여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터치 입력 장치(T2)가 자기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검출 대상(손가락이나 터치 펜)이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접근하면, 해당 전극과 검출 대상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한다. 검출부(600')는,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순차 검출하며, 이것을 임계치와 순차 비교하고 있다. 임계치는, 검출부(600') 내 또는 밖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있다. 검출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제4전극(100d) 및 적어도 하나의 제5전극(100e)의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해당 전기신호를 출력한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의 교차 부분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검출부(600')는, 빈 영역(R2)에 검출 대상이 접근해도, 제4전극(100d)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지 못하고, 또한, 제5전극(100e)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어도, 그 값이 임계치에 미치지 못한다. 또한, 자기용량 방식의 검출부(600')의 검출 시간은, 검출부(600')가, 제4전극(100d) 및 제5전극(100e)의 전기신호를 1 사이클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터치 입력 장치(T2)가 상호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제4전극(100d)과 제5전극(100e) 중, 한쪽이 구동 전극(드라이브 전극)이며, 다른 한쪽이 검출 전극(센서 전극)이 된다. Z-Z'방향에서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이 각각 정전 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1조의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에 검출 대상이 접근하면, 해당 조가 교차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검출부(600')는, 구동 전극에 순차 구동 펄스를 공급하는 한편,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순차 검출하며, 이것을 임계치와 순차 비교하고 있다. 임계치는, 검출부(600') 내 또는 밖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있다. 검출부(600')는, 검출한 전기신호에 임계치 이상의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에, 해당 구동 펄스가 공급된 구동전극 및 전기신호를 출력한 전극의 교차부분에 검출 대상이 접근했다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검출부(600')는, 빈 영역(R2)에 검출 대상이 접근해도,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상호용량 방식의 검출부(600')의 검출 시간은, 검출부(600')가, 검출 전극의 전기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1 사이클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이상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T2)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T2)는,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의 존재에 의해, 적어도 제4전극(100d) 1개분, 전극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터치 입력 장치(T2)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터치 입력 장치(T2)는, 빈 영역(R2)에 있어서 검출 대상의 접근을 오검출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빈 영역(R2) 내에는, 제4전극(100d)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제5전극(100e)의 접속부(130e)만이 존재하고 있다. 접속부(130e)의 X-X'방향의 치수는, 적어도 제5전극부(110e)의 X-X'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T2)가 자기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검출 대상이 접속부(130e)에 접근했다고 하여도, 검출 대상과 접속부(130e)가 정전결합하기 어렵다. 터치 입력 장치(T2)가 상호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접속부(130e)에 정전 결합하는 제4전극(100d)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빈 영역(R2)에서 검출 대상의 접근이 오검출될 것은 없다.
셋째, 터치 입력 장치(T2)는 구부리기 쉽다. 상기와 같이, 빈 영역(R2)에는, 접속부(130e)만이 존재할 뿐이므로, 터치 입력 장치(T2)의 빈 영역(R2)에 대응하는 부분이 구부리기 쉬워진다. 특히, 터치 입력 장치(T2)의 빈 영역(R2)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내기 가공을 실시하여, 해당 부분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터치 입력 장치(T2)의 구부리기 용이함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구멍은, 터치 입력 장치(T2)의 커버 패널(500), 베이스(200a), 베이스(200b), 절연층(300), 접착층(400) 및 기능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이하의 차이점 1) 및 2) 이외, 터치 입력 장치(T2)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이점 1)은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의 위치가 터치 입력 장치(T2)의 빈 영역(R2)의 위치와 상이한 것에 있다. 차이점 2)는, 제5전극(100e')의 구성이, 터치 입력 장치(T2)의 제5전극(100e)의 구성과 상이한 것이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터치 입력 장치(T2')의 설명 중, 터치 입력 장치(T2)와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8에는, 도 5와 같이, Y-Y'방향 및 X-X'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Z-Z'방향에 대해서는, 도 6a~도 6c를 빌려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빈 영역(R2')은, 2개의 제4전극(100d)의 사이가 아닌, Y방향의 단부의 제4전극(100d)에 대해서 Y방향쪽의 근처 및/또는 Y'방향의 단부의 제4전극(100d)에 대해서 Y'방향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5전극(100e')은, 복수의 제5전극부(110e), 적어도 1개의 반쪽 형상 전극부(120e) 및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30e)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부(130e)는, Y방향 및 Y'방향의 어느 한쪽의 제1단부와, 다른 한쪽의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130e)의 제1단부는 반쪽 형상 전극부(120e)에 접속되고 있지만, 제2단부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접속부(130e)의 제2단부가 제5인출선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각 제5전극(100e')에 있어서, 접속부(130e)가 Y방향의 단부 및/또는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각 제5전극(100e')에 있어서도, 반쪽 형상 전극부(120e) 대신에, 제5전극부(110e)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접속부(130e)는, 그 안쪽의 제5전극부(110e)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터치 입력 장치(T2')는, 터치 입력 장치(T2)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한, 상기한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터치 입력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방향은, 본 발명의 제1전극이 간격을 두고 배치될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방향은, 제1방향으로 교차하는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직교하는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T1, T1':터치 입력 장치
100a:제1전극
110a:제1전극부
120a:반쪽 형상 전극부
R1, R1':빈 영역
100b:제2전극
110b:제2전극부
120b:반쪽 형상 전극부
100c:제3전극
110c:제3전극부
120c:변형 전극부
121c:제1부분
122c:제2부분
130c:반쪽 형상 전극부
T2, T2':터치 입력 장치
100d:제4전극
110d:제4전극부
120d:반쪽 형상 전극부
R2, R2':빈 영역
100e, 100e':제5전극
110e:제5전극부
120e:반쪽 형상 전극부
130e:접속부
140e:반쪽 형상 전극부
200a:베이스
200b:베이스
300:절연층
400:접착층
500:커버 패널
600, 600':검출부

Claims (5)

  1. 제1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빈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2전극으로서, 상기빈 영역이, 상기 제1전극 중 2개의 제1전극의 사이 또는 상기 제1전극 중 단부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전극과,
    제2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교차한 복수의 제3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높이 위치 및 상기 제2높이 위치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 위치이며,
    상기 제1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가 W1이고, 상기 제2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가 W2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이며,
    1) W2는, W1의 2배 이상이고,
    2) 상기 제2전극이 복수이며, 또한, W2는 W1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일 경우, W2×상기 제2전극의 수≥W1×상기 제2전극의 수+W1인 터치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복수의 제1전극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 상기 제1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가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1전극부끼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극은, 복수의 제2전극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전극부가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2전극부끼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3전극은, 복수의 제3전극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 상기 제3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부가 상기 제2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전극부 중 상기 제1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3전극부끼리 접속되어 있는 터치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상기 제1전극부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 상기 제3방향의 한 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전극은, 변형 전극부를 각각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 전극부는,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2전극부 및 2개의 상기 제1전극부의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 상기 제3방향의 한 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변형 전극부의 근처의 상기 제3전극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변형 전극부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변형 전극부의 상기 제2전극부 쪽의 부분이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변형 전극부의 상기 제1부분 이외의 부분이며,
    상기 변형 전극부의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와 상기 변형 전극부의 상기 제2부분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와의 비율은, 상기 제2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와 상기 제1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와의 비율과 대략 동일한 터치 입력 장치.
  4. 제1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4전극과,
    제2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4전극과 교차한 복수의 제5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높이 위치 및 상기 제2높이 위치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 위치이며,
    상기 제4전극 중 2개의 제4전극의 사이 또는 제4전극 중 단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4전극의 제1방향의 근처에, 상기 제4전극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전극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가 W3이고, 상기 빈 영역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가 W4일 때, 하기 1) 및 2)의 어느 하나이며,
    1) W4는, W3의 2배 이상이고,
    2) 상기 빈 영역이 복수이며, 또한, W4는 W3의 1배를 초과하고, 2배 미만인 경우, W4×상기 빈 영역의 수≥W3×상기 빈 영역의 수+W3인 터치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전극은, 복수의 제4전극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 상기 제4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4전극부는,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4전극부 중 상기 제2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제4전극부끼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5전극은, 복수의 제5전극부와,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 상기 제5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5전극부는, 상기 제2높이 위치에서 상기 빈 영역 외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5전극부의 중 서로 인접한 제5전극부끼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5전극부는, 상기 제1높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상기 제4전극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높이 위치에서 상기 빈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2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5전극부의 상기 제2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터치 입력 장치.
KR1020170072365A 2016-06-24 2017-06-09 터치 입력 장치 KR20180001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5319 2016-06-24
JPJP-P-2016-125319 2016-06-24
JPJP-P-2017-105646 2017-05-29
JP2017105646A JP2018005895A (ja) 2016-06-24 2017-05-29 タッチ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48A true KR20180001448A (ko) 2018-01-04

Family

ID=6094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65A KR20180001448A (ko) 2016-06-24 2017-06-09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005895A (ko)
KR (1) KR20180001448A (ko)
CN (1) CN1075447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1144A (zh) * 2019-02-15 2019-06-1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碰控制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05895A (ja) 2018-01-11
CN107544705A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9838B1 (en) Capacitive touch screen of a display device for detecting finger and stylus
US11354003B2 (en) Arrangement for spatially resolving projected-capacitive touch detection with improved locally deformed electrode structure
US20140098057A1 (en) Touch panel comprising sensing electrodes with protrusions
EP2096526A2 (en) Display panel
TWI543053B (zh) 觸控感應裝置
KR102384229B1 (ko) 지문인식가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91559A (ko) 터치 어레이, 터치 센서, 터치 디스플레이 및 터치 장치
US9910536B2 (en) Touch sensor and touch panel device
JP2009258888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0198586A (ja) 入力装置
CN103164089B (zh) 触控面板
JP641891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2133453B1 (ko)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US20150193080A1 (en) Touch pad with antenna
JP5804309B2 (ja) タッチセンサ
CN107977121B (zh) 触摸感测装置
JP7225398B2 (ja) 入力装置
KR20180001448A (ko) 터치 입력 장치
US20170371448A1 (en) Touch Sensing Device
US20230122321A1 (en) Detec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6147469B2 (ja) タッチセンサ
CN107977120B (zh) 触摸感测装置
JP2019087060A (ja) タッチパネル
CN213122936U (zh) 触控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7064747B2 (en) Touch-sensitive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