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63U -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63U
KR20180001363U KR2020160006345U KR20160006345U KR20180001363U KR 20180001363 U KR20180001363 U KR 20180001363U KR 2020160006345 U KR2020160006345 U KR 2020160006345U KR 20160006345 U KR20160006345 U KR 20160006345U KR 20180001363 U KR20180001363 U KR 20180001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nch
mooring
truss
offsho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6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 되며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되는 트러스부가 구비된 트러스 유닛; 일측부가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과하여 LNG 운반선을 포함하는 계류 대상물에 고정 되는 로프 부재; 및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며 로프 부재의 타측부가 체결 되는 로프 윈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SIDE BY SIDE MOORING APPARATUS FOR FLOATING MARINE STRUCTURE}
본 고안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구조를 갖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LNG 운반선을 포함하는 계류 대상물을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계류시키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FPSO, FSO(Floating Storage Offloading Unit),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LNG 운반선 또는 셔틀 탱커(shuttle tanker) 사이의 오프 로딩(Offloading)을 위한 방법으로는 병렬 계류(side by side mooring)와 탠덤 계류(tandem mooring)의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다.
병렬 계류 방식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계류 대상물을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계류하는 방식이고, 탠덤 계류 방식은 해양 구조물과 계류 대상물을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계류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및 계류 방법의 경우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으면 오프 로딩을 위한 병렬 계류 시 계류 로프의 연결을 위해 계류 플랫폼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선체의 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그 결과 계류 플랫폼의 추가 설치나 선체의 면적 증가로 인해 물량이 증가되어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5132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4. 04. 16.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류 플랫폼의 추가 설치나 선체의 면적 증가로 인한 자재 물량 없이 원가 경쟁력을 갖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 되며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되는 트러스부가 구비된 트러스 유닛; 일측부가 상기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과하여 LNG 운반선을 포함하는 계류 대상물에 고정 되는 로프 부재; 및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 부재의 타측부가 체결 되는 로프 윈치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로프 체결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로프 부재를 지지하는 로프 지지 바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로프 부재를 감거나 푸는 회전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윈지의 외주면을 록킹하는 록킹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체결부는, 상기 회전 윈치에 마련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트러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트러스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에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 트러스 유닛이 마련되고, 로프 부재의 일측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해 계류 대상물에 고정하고 타측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로프 윈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해양 구조물에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 트러스 유닛을 마련하고, 로프 부재의 일측부는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해 계류 대상물에 고정하고 타측부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로프 윈치부에 연결함으로써 계류 플랫폼의 추가로 설치하거나 선체의 면적을 증가할 필요가 없어 원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러스 유닛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프 윈치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러스 유닛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프 윈치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는, 해양 구조물(O)에 마련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에 결합되며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되는 트러스부(120)가 구비된 트러스 유닛(100)과, 일측부가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과하여 LNG 운반선을 포함하는 계류 대상물(MO)에 고정되는 로프 부재(200)와, 해양 구조물(O)에 마련되며 로프 부재(200)의 타측부가 체결되는 로프 윈치부(300)를 구비한다.
트러스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해양 구조물(O)의 선미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로프 부재(200)를 지지하며, 계류 대상물(MO)의 흘수(carrier draft)에 맞게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트러스 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110)에 연결되며 로프 부재(200)가 통과되는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 트러스부(120)와, 본체(110)와 트러스부(120)에 마련되어 트러스부(1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30)를 포함한다.
트러스 유닛(100)의 본체(110)는, 해양 구조물(O)의 선미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될 수 있다.
트러스 유닛(100)의 트러스부(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부재(200)가 통과되는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에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부재(200)를 통과시켜 계류 대상물(MO)에 따라 연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트러스 유닛(100)의 승강부(130)는, 트러스부(120)를 계류 대상물(MO)의 흘수에 맞게 높이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벽에 마련되는 랙 기어(131)와, 트러스부(120)에 마련된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며 랙 기어(131)와 기어 맞물림 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132)와, 본체(110)에 마련되어 승강 되는 트러스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33)를 포함한다.
로프 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로프 윈치부(300)에 권취되고 타측부는 트러스부(120)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부를 통과하여 계류 대상물(MO)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로프 부재(200)는 로프 윈치부(300)의 작동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로프 윈치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O)의 선미부에 마련되어 로프 부재(200)의 일측부를 감겨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로프 윈치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0)과, 베이스 프레임(310)에 마련되어 로프 부재(200)를 지지하는 로프 지지 바디(320)와, 베이스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로프 부재(200)를 감거나 푸는 회전 윈치(330)와, 베이스 프레임(3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 윈치(330)의 외주면을 록킹하는 록킹암(340)과, 회전 윈치(330)에 마련되는 압력계(350)를 포함한다.
로프 윈치부(300)의 베이스 프레임(310)은, 해양 구조물(O) 선미부에 볼트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로프 윈치부(300)의 로프 지지 바디(320)는, 베이스 프레임(3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로프 윈치부(300)의 회전 윈치(330)는, 베이스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구동 수단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프 부재(200)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윈치(330)의 가장자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고, 이 톱니 형상의 돌기는 록킹암(340)에 맞물림 되어 회전 윈치(330)는 세팅된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로프 윈치부(300)의 록킹암(3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마련되며, 유압과 같은 동력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 윈치(330)를 록킹(locking)하거나 그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로프 윈치부(300)의 압력계(350)는, 회전 윈치(330)에 마련되고, 본 실시 예는 압력계(350)의 측정 결과에 따라 로프 부재(200)에 가해지는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해양 구조물에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 트러스 유닛을 마련하고, 로프 부재의 일측부는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해 계류 대상물에 고정하고 타측부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로프 윈치부에 연결함으로써 계류 플랫폼의 추가로 설치하거나 선체의 면적을 증가할 필요가 없어 원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트러스 유닛
110 : 본체
120 : 트러스부
130 : 승강부
200 : 로프 부재
300 : 로프 윈치부
310 : 베이스 프레임
320 : 로프 지지 바디
330 : 회전 윈치
340 : 록킹암
350 : 압력계
MO : 계류 대상물
O : 해양 구조물

Claims (6)

  1.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 되며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되는 트러스부가 구비된 트러스 유닛;
    일측부가 상기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과하여 LNG 운반선을 포함하는 계류 대상물에 고정 되는 로프 부재; 및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 부재의 타측부가 체결되는 로프 윈치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 윈치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로프 부재를 지지하는 로프 지지 바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로프 부재를 감거나 푸는 회전 윈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 윈치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윈치의 외주면을 록킹하는 록킹암;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프 윈치부는,
    상기 회전 윈치에 마련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트러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트러스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6. 해양 구조물에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마련된 트러스 유닛이 마련되고, 로프 부재의 일측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 공간부 중 선택된 구획 공간부를 통해 계류 대상물에 고정하고 타측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에 마련된 로프 윈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KR2020160006345U 2016-10-31 2016-10-31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KR20180001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45U KR20180001363U (ko) 2016-10-31 2016-10-31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45U KR20180001363U (ko) 2016-10-31 2016-10-31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63U true KR20180001363U (ko) 2018-05-10

Family

ID=621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45U KR20180001363U (ko) 2016-10-31 2016-10-31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6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132A (ko) 2012-10-0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132A (ko) 2012-10-0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1504A1 (en) Transporting and installing flexible pipe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JP5324960B2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KR20180001363U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WO2016140347A1 (ja) 追加プロペラを装備する船
KR101689031B1 (ko) 플로트 오버용 터렛 바지선 및 이에 의한 안벽 로드아웃 방법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JP2016159824A5 (ko)
NO340970B1 (en) Mooring arrangement
KR200435347Y1 (ko) 생산저장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US8544403B2 (en) Floating unit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220026245A (ko) 헬리데크
KR20150083714A (ko)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505612B1 (ko)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KR10142217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0393946Y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KR101556206B1 (ko) 해양 플랜트
KR20240018071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40052210A (ko) 앵커 제어 장치
KR20180012462A (ko) 플로터 재입거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방법
KR10144414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